KR101034145B1 -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 Google Patents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45B1
KR101034145B1 KR1020100085315A KR20100085315A KR101034145B1 KR 101034145 B1 KR101034145 B1 KR 101034145B1 KR 1020100085315 A KR1020100085315 A KR 1020100085315A KR 20100085315 A KR20100085315 A KR 20100085315A KR 101034145 B1 KR101034145 B1 KR 10103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braid
bolt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공영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임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공영 filed Critical 임공영
Priority to KR102010008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상수도 관을 압륜에 의하여 메카니칼 이음(mechanical joint) 방식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압륜에 볼트일체형 관압착구를 구비하여 삽구측 관이 수압 변동 등 진동 요인이나 관 설치 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축 직각 방향의 굽힘 요인에 의하여 수구측 관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구측 관을 관 외부에서 압착할 수 있게 한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에 관한 것으로,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의 나사 하단에 지름이 확장된 원주형 브레이드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드 베이스 하면에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환형 브레이드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환형 브레이드는 지름이 작은 환형 브레이드일수록 지름이 큰 환형 브레이드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CATCHING AND TIGHTENING PRESS WHEEL FOR MECHANICAL JOINT }
본 발명은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접한 상수도 관을 압륜에 의하여 메카니칼 이음(mechanical joint) 방식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압륜에 관압착구를 구비하여 삽구측 관이 수압 변동 등 진동 요인이나 관 설치 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축 직각 방향의 굽힘 요인에 의하여 수구측 관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구측 관을 관 외부에서 압착할 수 있게 한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 배관은 수압변동에 의하여 수시로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상수도 배관은 대부분의 구간이 지중(地中)에 설치되는 데, 관 설치 지점은 토사의 매립불량, 우천시 침수, 주변의 토목공사 등에 의하여 지반 침하, 지반 융기 등 지반 변동이 수시로 발생한다. 근래, 상수도 배관으로 빔 브레이크가 없는 덕타일 주철관이 주로 사용되고, 덕타일 주철관은 통상 4m, 5m, 6m 등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설치 현장에서 이음 수단(joint)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러나, 상수도 배관에 진동이나 지반 변동이 발생할 경우 이음 부위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수도 관 이음 방식을 선택할 때는 진동이나 지변 변동을 고려하여야 한다.
지상에서의 관 이음, 맨홀 내부에서의 밸브와의 관 이음 등에는 관 선단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플랜지 이음을 하지만,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에는 관 일측 선단에 소켓을 형성하여 타이튼 이음(tyton joint type: 소켓 내부에 홈을 내고 이 곳에 원형 고무를 설치한 상태에서 하는 삽입이음), 메카니칼 이음(mechanical joint type : 수구에 플랜지소켓을 형성하고 소켓의 플랜지에 볼트체결부을 형성한 후 압륜으로 고무링이 수구 소켓과 삽구 직관 외부에 압입되도록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 또는 케이피 메카니칼 이음(KP mechanical joint type:수구에 플랜지소켓을 형성하고 압륜으로 고무링이 수구 소켓과 삽구 직관 외부에 압입 되도록 볼트를 체결하되, 볼트를 플랜지에 삽입하지 않고 거는 방식, 이때 사용하는 후크형 볼트를 케이피볼트라고 함) 등을 한다.
지중 이음에 이러한 소켓형 이음 방식을 채용하는 것는 이음 부분에 어느 정도 굴절성이 있어 플랜지 이음 방식에 비하여 관 설치 지점의 지반 변화로부터 관의 굴절이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켓형 이음 방식은 삽구가 수구 내에서 고무링의 압착에 의하여만 고정이 되기 때문에 지반 융기 또는 지반 침하 등 지반 변화가 반복되거나, 수압 변동 등에 의하여 관에 진동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삽구가 수구로부터 이탈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79436호, 공고번호 제20-202098호, 등록번호 20-223610호 등에는 메카니칼 이음용 압륜에서 삽구측으로 돌출된 스파이크 박스를 더 형성하고 이 곳에 삽구 외면을 가압할 수 있는 스파이크형 관압착구를 설치하여 삽구가 수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이탈방지압륜이 개시되어 있다. 관압착구를 설치한 이탈방지압륜을 업계에서는 캣타이튼(catching and tightening 의 약어) 이탈방지압륜이라고 명명하므로, 본원 명세서에서도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들 고안 등에 개시된 스파이크형 관압착구는 서로 분리된 스파이크와 체결볼트로 구성된다. 스파이크는 원호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 하단에는 삽구 외면에 미세하게 압입되어 삽구를 고정할 수 있는 날이 형성되고 몸체 상단에는 볼트결합용 홈이 형성된다. 체결볼트는 선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이 돌기가 스파이크의 상단 홈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체결볼트의 나선은 스파이크 박스에 형성된 탭에 체결되어 체결볼트를 돌리면 스파이크가 진행한다. 이 체결볼트를 내측으로 진행하도록 돌리면 스파이크의 날의 선단이 삽구 표면에 미세하게 압입되어 삽구가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스파이크 볼트 분리형 관압착구는 스파이크와 체결볼트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별도로 성형 된 후, 스파이크의 홈과 체결볼트의 선단 돌기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압 변동 등에 의하여 관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이 진동이 스파이크의 홈과 체결볼트의 하단 돌기가 결합 된 부위에서 더욱 진폭 된다. 스파이크 볼트 분리형 관압착구는 진동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스파이크 볼트 분리형 이탈방지압륜을 개선한 스파이크 볼트 일체형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을 개발하여, 한국 특허 제0838179호로 개시한 바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특허 제0838179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특허 제0838179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관압착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특허 제0838179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c 및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허 제0838179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은 내륜(121), 외륜(125) 및 내륜(121)과 외륜(125)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연결면(123)을 포함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관(141a)의 삽구(131)를 인접한 다른 관(141b)의 수구(133) 내측에 삽입한 상태로 고무링(129)을 상기 삽구(131)와 수구(133) 사이에 삽입한 후, 상기 내륜(121)이 상기 고무링(129)을 가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륜(121)으로부터 관(141a)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119)를 형성하고 슬리브(119)의 내면에 원형 시트(117)를 요입 되게 형성하고, 상기 원형 시트(117)로 부터 상기 슬리브(119)를 관통하여 상기 원형 시트(117) 보다 작은 지름의 탭(115)을 형성한 후, 상기 원형 시트(117) 및 탭(115)에 회전이 가능한 스파이크(블레이드) 볼트 일체형 관압착구(101)를 체결하여, 관압착구(101)가 관(141a)의 삽구 표면을 압착하게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파이크(블레이드) 볼트 일체형 관압축구(10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브레이드 몸체(107)를 가지며, 원형 브레이드 몸체(107)의 관압착면에는 중심에 첨두(109)가 형성되고, 첨두의 외측에는 첨두(109)를 중심으로 한 원형 브레이드(111, 113) 1-3개가 첨두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압착구(101)를 견고하게 조였을 때 첨두(109) 및 원형 브레이드(111, 113) 하단이 모두 삽구 표면에 미세하게 압입(壓入) 되어 관을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출원인의 위 특허 제0838179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은 현재 출원인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상술한 스파이크 볼트 분리형 이탈방지압륜에 비하여 특히 수압 변동 등 진동 요인에 대한 내진성이 탁월한 것으로 인정받아, 국내 상수도 배관 연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 제0838179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은 관 설치 지점에 지반 변화 등 관 축 직각 방향의 굽힘 요인이 발생하였을 경우,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압착구(101)의 최외측 원형 브레이드(111, 113)가 삽구측 관을 관 길이 방향으로 밀어 삽구측 관이 이탈하는 문제와 관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제0838179호 발명의 관압착구는 원형 브레이드 몸체(107)의 관압착면에 첨두(109)와 원형 브레이드(111, 113)가 같은 높이로 돌출되어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기 때문에, 관압착구(101)를 견고하게 조였을 때 첨두(109) 및 원형 브레이드(111, 113) 하단이 모두 삽구(131) 표면에 미세하게 압입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삽구측 관(141a)에 지반 변화 등 직각 방향의 굽힘 요인이 발생하면, 삽구측 관(141a) 또는 압륜(100)이 도 1d에서와 같이 기울었다가 다시 도 1c에서와 같은 수평상태로 복귀하고, 다시 도 1d에서와 같이 기울어지는 움직임을 반복한다. 삽구측 관(141a) 또는 압륜(100)이 기울어 질 때마다, 관압착구(101)의 최외측 원형 브레이드(113)의 일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압입 지점에서 원형 브레이드에 의한 압입 상태가 해제되고, 여전히 일지점에서 삽구(131) 표면에 압입된 최외측 원형 브레이드(113)는 삽구측 관(141a)을 기울어진 쪽으로 밀어내어 삽구측 관(141a)이 조금씩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첨두(109) 및 원형 브레이드(111, 113)의 돌출 정도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첨두(109) 및 원형 브레이드(111, 113)의 돌출 정도가 모두 동일하면, 삽구측 관(141a) 및 압륜(100)이 수평상태에 있을 때, 즉, 삽구측 관 (141a) 및 압륜(100)이 기울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는 첨두(109) 및 모든 원형 브레이드(111, 113)가 삽구 표면(131)에 미세하게 압입되어 있다가, 삽구측 관(141a) 및 압륜(100)이 조금만 기울어져도, 최외측 원형 브레이드(113)의 한 지점(기울어진 반대쪽 압입 지점)에서만 압입이 유지되고, 첨두(109) 및 원형 브레이드(113)에 의한 나머지 압입 지점에서의 압입은 모두 해제되어, 최외측 원형 브레이드(113)가 압입이 유지되는 지점에서 삽구(131)를 기울어진 쪽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두(109) 및 원형 브레이드(111, 113)의 돌출 정도가 모두 동일하면, 삽구측 관(141a) 및 압륜(100)이 조금만 기울어져도, 관압착구(101)의 압력이 한 지점에 집중되어 최외측 원형 브레이드(113)가 손상되거나 관이 파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허 제0838179호 발명의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제1과제는 수압 변동 등 진동 요인 뿐만 아니라, 관 설치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 굽힘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삽구측 관이 수구측 관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관 설치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 굽힘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 관압착구에 의한 관의 파손을 막고, 관압착구 원형 브레이드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과제 및 제2과제는, 압륜에 삽구 외면을 감싸는 슬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에 삽구 외면을 압착하는 볼트일체형 관압착구를 나사 결합한 이탈방지압륜에 있어서, 상기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의 나사 하단에 지름이 확장된 원주형 브레이드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드 베이스 하면에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환형(環形) 브레이드(blade)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환형 브레이드는 지름이 작은 환형(環形) 브레이드(blade)일수록 지름이 큰 환형 브레이드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해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 각 환형 브레이드의 선단이 동일한 중심을 갖는 구면(球面)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해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 각 환형 브레이드 단면의 외측면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내측면을 경사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해결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최외측 환형 브레이드의 돌출 정도가 내측에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 돌출 정도보다 적으므로, 삽구측 관 또는 압륜이 기울어도 외측에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가 관을 외측으로 밀지 않게 되고 동시에 내측에 형성된 나머지 환형 브레이드의 압입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적어도 2지점 이상에서 압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수압 변동 등 진동 요인 뿐만 아니라, 관 설치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 굽힘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삽구측 관이 수구측 관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일체형 관압착구가 관에 가압된 상태에서 관 또는 압륜이 기울면, 삽구 표면이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의 압착면을 구르게(rolling) 되는 데,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환형 브레이드의 선단을 동일한 중심을 갖는 구면(球面)에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삽구 표면이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의 압착면을 구를 때 각 환형 브레이드의 삽구 표면에 대한 압입 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동시에 삽구 표면에 작용하는 환형 브레이드의 압력이 여러 지점으로 분산되어 관 파손 및 환형 브레이드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환형 브레이드의 외측면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내측면을 경사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관 길이 방향의 진동이 심한 경우에도, 환형 브레이드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c 및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은 원통형의 내륜(222), 외륜(225) 및 내륜(222)과 외륜(225)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연결면(223)으로 구성되는 압륜에 삽구(231) 외면을 감싸는 슬리브(219)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219)에 삽구(231) 외면을 압착하는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를 나사 결합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를 개선하여, 수압 변동 등 진동 요인 뿐만 아니라, 관 설치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 굽힘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삽구측 관(241a)의 삽구(231)이 수구측 관(241b)의 수구(233)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고, 환형 브레이드의 삽구 표면에 대한 압입 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삽구 표면에 작용하는 환형 브레이드의 압력이 여러 지점으로 분산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b)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는 중심에 첨두(243)가 더 구비된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 201b)는 볼트형 몸체의 나사(205) 하단에 나사(205)의 지름보다 지름이 확장된 원주형 브레이드 베이스(207)를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드 베이스(207) 하면에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환형 브레이드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돌출 형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 213)을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 201b) 형성함에 있어서, 지름이 작은 환형 브레이드일수록 지름이 큰 환형 브레이드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한 데 있다. 따라서, 중심부로 갈수록 환형 브레이드를 더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다. 도 2에서, 가장 내측에 형성된 제1환형 브레이드(209)는 제2환형 브레이드(209)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원형브레이드(211)은 제3원형브레이드(213)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처럼 첨두(243)를 포함할 경우, 상기 첨두(243)는 제1환형 브레이드(209)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 213)을 하단이 뾰족한 단면을 가지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 213)이 관을 압착할 때는 내측에 형성된 지름이 작은 환형 브레이드(209)일수록 관 표면에 더 깊숙히 파고 든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200)에 의하여 연결된 관(241a, 241b)에서, 관(241a, 241b) 및 압륜(222, 223, 225)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200)에 의하여 연결된 관(241a, 241b)에서 관(241a, 241b) 또는 압륜(222, 223, 225)에 관 설치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 굽힘 요인이 작용하여 관(241a, 241b) 또는 압륜(222, 223, 225)이 약간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200)을 설치할 경우, 중심부에 가까이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 일수록 삽구(231) 표면에 더 깊숙히 압입된다.
그 결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에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213)의 압입 정도가 내측에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의 압입 정도보다 적으므로, 삽구측 관(241a) 또는 압륜(222,223, 225)이 기울어도 내측에 형성된 나머지 환형 브레이드(209, 211)의 압입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삽구측 관(241a) 또는 압륜(222,223, 225)이 기울어도 최외측에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213)과 삽구(231) 표면에 깊숙히 압입될 수 없기 때문에 삽구측 관(241a)을 관 길이 방향으로 밀 수 없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구측 관(241a) 또는 압륜(222,223, 225)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이 적어도 2지점 이상에서 압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압 변동 등 진동 요인 뿐만 아니라, 관 설치지점의 지반 변화 등 관 굽힘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삽구측 관이 수구측 관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
다시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 201b)에 형성된 각 환형 브레이드(209, 211, 213)의 선단이 동일한 중심을 갖는 구면(球面)에 배치되는 데 있다.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 201b)가 관에 가압된 상태에서 관 또는 압륜이 기울면, 삽구(231) 표면이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 201b)의 압착면(환형 브레이드들의 하단을 연결한 곡면)을 구르게(rolling) 되는 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삽구(231) 표면이 볼트일체형 관압착구의 압착면을 구를 때 각 환형 브레이드(209, 211, 213)의 삽구 표면에 대한 압입 정도(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동시에 삽구(231) 표면에 작용하는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 213)의 압력이 여러 지점으로 균등하게 분산되어 관 파손 및 환형 브레이드(209, 211, 213)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 201b)의 환형 브레이드(209, 211, 213)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환형 브레이드 단면의 외측면(v)은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내측면(s)은 경사방향으로 형성한 데 있다. 환형 브레이드의 형상을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은, 환형 브레이드가 삽구(231) 표면에 압입된 상태에서 수압 변동에 의한 관 길이 방향의 진동을 끓임 없이 받기 때문이다. 외측면(v)을 관 길이 방향의 진동에 대항할 수 있게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내측면(s)을 경사방향으로 형성하면, 관 길이 방향의 진동이 심한 경우에도, 환형 브레이드(209, 211, 213)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100 : 압륜 101 : 볼트일체형 관압착구
103 : 공구결합용 머리 105 : 나사
107 : 원주형 브레이드 베이스 109 : 첨두
111, 113 : 환형 브레이드 115 : 탭
117 : 원형 시트 119 : 슬리브
121 : 내륜 123 : 연결면
125 : 외륜 127 : 볼트체결부
129 : 고무링 131: 삽구
133 : 수구 135 : 플랜지
137 : 케이피볼트 139 : 너트
141a, 141b, 141c : 관 200 : 압륜 201 : 볼트일체형 관압착구 203 : 공구결합용 머리
205 : 나사 207 : 브레이드 베이스
209, 211, 213 : 환형 브레이드 215 : 탭
217 : 원형 시트 219 : 슬리브
222 : 내륜 223 : 연결면
225 : 외륜 227 : 볼트체결부
229 : 고무링 231: 삽구
233 : 수구 235 : 플랜지
237 : 케이피볼트 239 : 너트
241a, 241b, 241c : 관 243 : 첨두

Claims (3)

  1. 원통형의 내륜(222), 외륜(225) 및 내륜(222)과 외륜(225)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연결면(223)으로 구성되는 압륜에 삽구(231) 외면을 감싸는 슬리브(219)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219)에 삽구(231) 외면을 압착하는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를 나사 결합한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볼트일체형 관압착구(201a, 201b)는 볼트형 몸체의 나사(205) 하단에 나사(205)의 지름보다 지름이 확장된 원주형 브레이드 베이스(207)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드 베이스(207) 하면에는, 중심이 서로 같으면서 지름은 서로 다른 복수의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 213)을 하단이 뾰족한 단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환형 브레이드들(209, 211, 213)은, 그 선단들을 연결한 곡면이 동일한 중심을 갖는 구면(球面)을 형성할 수 있게 중심부에 가까이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 일수록 더 돌출 형성하여, 환형 브레이드가 삽구를 압착한 상태에서 삽구측 관 또는 압륜이 진동으로 압착 지점을 중심으로 기울어져도 최외측에 형성된 환형 브레이드(213)가 관을 이탈 방향으로 밀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환형 브레이드(209, 211, 213) 단면의 외측면(v)은 수직하게 형성하고 상기 각 환형 브레이드 단면의 내측면(s)은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KR1020100085315A 2010-09-01 2010-09-01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KR10103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15A KR101034145B1 (ko) 2010-09-01 2010-09-01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15A KR101034145B1 (ko) 2010-09-01 2010-09-01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145B1 true KR101034145B1 (ko) 2011-05-09

Family

ID=4436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315A KR101034145B1 (ko) 2010-09-01 2010-09-01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64B1 (ko) * 2014-05-22 2014-11-12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이탈 방지 압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054A (ko) * 1999-10-21 2001-05-15 조영재 인터넷을 이용한 이알피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173853A (ja) 1999-12-22 2001-06-29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継手部の離脱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054A (ko) * 1999-10-21 2001-05-15 조영재 인터넷을 이용한 이알피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173853A (ja) 1999-12-22 2001-06-29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継手部の離脱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64B1 (ko) * 2014-05-22 2014-11-12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이탈 방지 압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KR101034145B1 (ko) 캣타이튼 이탈방지압륜
US20130343823A1 (en) Pile with Grout Vortex
US6581984B1 (en) Corrugated spiral pipe with a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20080026751A (ko) 풀림방지 및 연결소켓이 체결된 관연결장치
US6447029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waterway pipe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390448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286138Y1 (ko) 다양한 형상 및 종류의 봉재 또는 강봉을 연결하는쇄기형 커플러
RU2621429C2 (ru) Трубный фитинг
KR20100073424A (ko) 파이프 연결구용 이탈방지링
US4678211A (en) Joints formed with welded flange pipes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0752359B1 (ko) 2날의 높낮이가 다른 스파이크를 갖는 주철관용 이탈방지압륜
KR101044253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용 압륜
KR200268425Y1 (ko) 도로 경사면의 지중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102611949B1 (ko) 타이튼 조인트형 배관 연결 구조체
KR200373716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KR200391289Y1 (ko) 이중벽관의 소켓 체결 구조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2524410B1 (ko)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 압륜 구조체
JPH1122880A (ja) 耐震用管継手および耐震継手付管
KR100458128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110009602A (ko)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