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495B1 - 멀티비전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495B1
KR101033495B1 KR1020090132845A KR20090132845A KR101033495B1 KR 101033495 B1 KR101033495 B1 KR 101033495B1 KR 1020090132845 A KR1020090132845 A KR 1020090132845A KR 20090132845 A KR20090132845 A KR 20090132845A KR 101033495 B1 KR101033495 B1 KR 10103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display frame
display
hin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조
정용배
Original Assignee
(주)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시스 filed Critical (주)엔시스
Priority to KR102009013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비전(100)은 벽체(W)에 고정되며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셀(C)로 구획되며 상기 각 셀(C)의 일 측에 지지 브래킷(11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기초 프레임(110); 상기 각 지지 브래킷(1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120); 상기 제1 슬라이더(12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130); 상기 제2 슬라이더(13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H) 결합되고,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각 셀(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하되,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들(140) 간의 간섭을 배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150)를 쉽게 보수(수리)할 수 있다.
지지 브래킷, 제1 슬라이더, 제2 슬라이더, 디스플레이 프레임

Description

멀티비전{Mutivision}
본 발명은 멀티비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멀티비전 수리시 멀티비전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보수가 필요한 화면의 디스플레이 프레임만을 열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멀티비전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디스플레이 매체의 대형화, 슬림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 인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프로젝터 등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도 대화면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또한 각종 경기장, 공연장, 전시실, 공항 등 많은 사람이 오가는 곳에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초대형 화면을 구현해 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비의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미 PDP, LCD, 프로젝터(Projector), CRT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멀티비전이 구현되어 실생활 및 제품 전시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멀티비전(multivision)은 CRT 또는 LCD(혹은 LCM) 등의 표시장치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그 표시장치들을 다수의 행과 열로 배치하여 대화면을 이루는 것으로, 각 단위 표시장치에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화면을 각 단위 표시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 멀티비전은 그 단위 표시장치의 배치를 위해 고정 틀(프레임)을 가지며, 그 고정 틀에 의해 각 단위 표시장치들의 사이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종래 멀티비전은 벽에 설치하는 경우, 멀티비전을 벽 안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벽을 일정깊이로 파내고, 그곳에 멀티비전을 고정하는 구조이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벽을 일정깊이로 파내야 하기 때문에 벽의 두께가 최소 30센티미터 이상이어야 하고, 벽을 파내기 때문에 건물 전체의 안전에도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멀티비전의 일부 화면을 보수하기 위하여 멀티비전 전체를 해체해야 하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비전 수리시 멀티비전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보수가 필요한 화면의 디스플레이 프레임만을 열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멀티비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멀티비전은 벽체에 고정되며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셀로 구획되며 상기 각 셀의 일 측에 지지 브래킷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기초 프레임; 상기 각 지지 브래킷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각 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간의 간섭을 배제하고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를 쉽게 보수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주위에는 베어링 부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일정각도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멀티비전은 벽체에 고정되며 가로 세로 방향 으로 다수의 셀로 구획되며 상기 각 셀의 일 측에 지지 브래킷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기초 프레임; 상기 기초 프레임의 가로 및 세로 방향에 각각 균일 사이즈로 설치되고, 상부 좌 우측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여닫이로 상하 개폐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기초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 개방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업 소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를 보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비전 수리시 멀티비전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보수가 필요한 화면의 디스플레이 프레임만을 열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은 물론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 간의 간섭을 배제하여 간섭으로 인한 기기의 파손이나 마찰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요부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도 6은 도 5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100)은 벽체(W)에 고정되며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셀(C)로 구획되며 상기 각 셀(C)의 일 측에 지지 브래킷(11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기초 프레임(110); 상기 각 지지 브래킷(1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120); 상기 제1 슬라이더(12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130); 상기 제2 슬라이더(13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H) 결합되고,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각 셀(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10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기초 프레임(110)은 통상 철재 혹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셀(C)이, 예를 들어 3X3, 5X5 등으로 배열되며, 벽체(W) 또는 고정 구조물 등에 통상의 체결수단(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각 셀(C)의 일 측면에는 지지 브래킷(111)이 형성되는바, 상기 지지 브 래킷(111) 내부에는 슬라이드 홈(111a)이 형성되고 그 슬라이드 홈(111a) 안에 상기 제1 슬라이더(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120)가 상기 각 지지 브래킷(1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슬라이더(120)에도 공간부(120a)가 형성되고 그 공간 부(120a) 안에 상기 제2 슬라이더(130)가 삽입된다. 상기 제2 슬라이더(130)는 상기 제1 슬라이더(12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슬라이더(130) 끝단에는 힌지 삽입 홈(120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더(130)의 끝단에는 힌지 홈(130a)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홈(130a)에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힌지(H)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은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셀(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LCM(Liquid Crystal Module), LED(Lighting Emitting Diode) 등이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140)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150)를 좀더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상기 힌지(H) 주위에는 베어링 부(160)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이 일정각도로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힌지(H)와 베어링 부(160)의 마찰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 열림 각도가 적당히 유지되어 작업자가 수리시에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이 닫힌 상태(도 3 참조)에서, 보수(수리)를 위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수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도 4 참조), 제1 슬라이더(120)가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 브래킷(111)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연이어 제2 슬라이더(130)가 화살표 방향으로 제1 슬라이더(120)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프레임(140) 및 디스플레이(15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힌지(H)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회동시켜서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개방한다(도 5 참조). 이때, 인접하는 디스플레이들(15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마찰소음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손쉽게 열 수 있다(도 6 참조).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및 도 9는 도 8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200)은 벽체(W)에 고정되며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셀(C)로 구획되는 사각형의 기초 프레임(210); 상기 기초 프레임(2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에 각각 균일 사이즈로 설치되고, 상부 좌 우측에 형성된 힌지(H)를 중심으로 여닫이로 상하 개폐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220); 일단(230a)은 상기 기초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 결되고, 타단(230b)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220)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220) 개방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2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업 소버(2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프레임(240)이 닫힌 상태(도 7 참조)에서, 보수(수리)를 위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240)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수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240)을 잡아 당기면(도 8 참조), 디스플레이 프레임(240)은 힌지(H)를 중심으로 여닫이로 상하 개방된다. 이때 상기 업 소버(230)가 디스플레이 프레임(220) 개방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2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220)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240)를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비전 수리시 멀티비전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보수가 필요한 화면의 디스플레이 프레임만을 열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은 물론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 간의 간섭을 배제하여 간섭으로 인한 기기의 파손이나 마찰소음이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개폐에 있어서, 일 실시 예에서는 좌측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측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우측 혹은 하측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요부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확대도
*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W:벽체
C: 셀
110: 기초 프레임
111: 지지 브래킷
120: 제1 슬라이더
130: 제2 슬라이더
H: 힌지
140: 디스플레이 프레임
150: 디스플레이
160: 베어링 부

Claims (4)

  1. 벽체(W)에 고정되며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셀(C)로 구획되며 상기 각 셀(C)의 일측에 지지 브래킷(11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기초 프레임(110);
    상기 각 지지 브래킷(1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120);
    상기 제1 슬라이더(12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130);
    상기 제2 슬라이더(13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H) 결합되고,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각 셀(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하되,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140)간의 간섭을 배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150)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111) 내부에 슬라이드 홈(111a)이 형성되고, 그 슬라이드 홈(111a) 안에 상기 제1 슬라이더(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120)가 상기 각 지지 브래킷(1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120)에도 공간부(120a)가 형성되고 그 공간 부(120a) 안에 상기 제2 슬라이더(130)가 삽입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130)는 상기 제1 슬라이더(12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130) 끝단에는 힌지 삽입 홈(120b)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130)의 끝단에는 힌지 홈(130a)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홈(130a)에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힌지(H)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은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셀(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H) 주위에는 베어링 부(160)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이 일정각도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4. 벽체(W)에 고정되며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셀(C)로 구획되며 상기 각 셀(C)의 일 측에 지지 브래킷(211)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기초 프레임(210);
    상기 기초 프레임(2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에 각각 균일 사이즈로 설치되고, 상부 좌 우측에 형성된 힌지(H)를 중심으로 여닫이로 상하 개폐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220);
    일단(230a)은 상기 기초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230b) 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220)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220) 개방시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2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업 소버(2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4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하되,
    상기 각 디스플레이 프레임(220)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240)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KR1020090132845A 2009-12-29 2009-12-29 멀티비전 KR10103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45A KR101033495B1 (ko) 2009-12-29 2009-12-29 멀티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45A KR101033495B1 (ko) 2009-12-29 2009-12-29 멀티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495B1 true KR101033495B1 (ko) 2011-05-09

Family

ID=4436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845A KR101033495B1 (ko) 2009-12-29 2009-12-29 멀티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1233A1 (en) * 2016-09-21 2018-03-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154A (ja) 1997-02-28 1998-09-11 Nissei Kinzoku Kk 平面型ディスプレイ
KR20040024130A (ko) * 2002-09-13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저 전력 장치
KR200424130Y1 (ko) 2006-05-23 2006-08-16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천정 부착형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0835811B1 (ko) 2007-02-05 2008-06-05 김성수 엘씨디비전의 멀티화를 위한 고정유닛
KR100836962B1 (ko) 2006-09-01 2008-06-10 황병선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154A (ja) 1997-02-28 1998-09-11 Nissei Kinzoku Kk 平面型ディスプレイ
KR20040024130A (ko) * 2002-09-13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저 전력 장치
KR200424130Y1 (ko) 2006-05-23 2006-08-16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천정 부착형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0836962B1 (ko) 2006-09-01 2008-06-10 황병선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KR100835811B1 (ko) 2007-02-05 2008-06-05 김성수 엘씨디비전의 멀티화를 위한 고정유닛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1233A1 (en) * 2016-09-21 2018-03-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20180032117A (ko) * 2016-09-2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96258B1 (ko) * 2016-09-21 2018-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578900B2 (en) 2016-09-21 2020-03-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EP3518220A4 (en) * 2016-09-21 2020-09-16 LG Electronics Inc. -1-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113B2 (en)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US9924603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70255226A1 (en) Interactive Kiosk With Replaceable Component Panel
JP5122616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用のガラス板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3231751A (ja) 可動型インタラクティブボードシステム
KR101033495B1 (ko) 멀티비전
DE202007000637U1 (de) Projektionsmedienmöbel
CN104269113A (zh) 一种led天幕屏及其模组
CN203870919U (zh) 顶棚向导
US8120833B2 (en) Variable space shutter for LED display
CN203241795U (zh) 影院环境智能调节装置
US10087681B2 (en) Window with built-in foldable screen, and window frame assembly thereof
CN104035268B (zh) 一种投影装置及投影系统
KR200406425Y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10221330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120024041A (ko) 양면 전광판 프레임
CN210956094U (zh) 便于拆装的全息展示柜
CN207796497U (zh) 外推交叉型撑杆
CN204215676U (zh) 一种led天幕屏及其模组
KR100879116B1 (ko) 창호형 경관조명용 인테리어 엘이디 패널
KR102302124B1 (ko) 기둥 설치형 간판 구조체
CN203502726U (zh) 一种投影装置及投影系统
KR200430807Y1 (ko) 전동 롤 스크린장치
KR100654850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RU81591U1 (ru) Рекл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