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141B1 -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141B1
KR101033141B1 KR1020080080816A KR20080080816A KR101033141B1 KR 101033141 B1 KR101033141 B1 KR 101033141B1 KR 1020080080816 A KR1020080080816 A KR 1020080080816A KR 20080080816 A KR20080080816 A KR 20080080816A KR 101033141 B1 KR101033141 B1 KR 101033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ype
loads
main power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240A (ko
Inventor
신동희
Original Assignee
(주)비엘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엘씨테크 filed Critical (주)비엘씨테크
Priority to KR102008008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1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에 연결되어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및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별 전류, 전원 장치

Description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Individual Current Per Load in Circuit with Multiple Loads}
본 발명은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가 포함된 회로에서, 부하 간의 저항값 오차로 인하여 발열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부하 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부하마다 발열량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주위의 공기 흐름이 달라 열손실이 차이가 생겨서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가 포함된 회로에서 부하들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해야만 하는 경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값의 오차 또는 공기 흐름의 차이 등으로 인해 부하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조절하여,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가 포함된 회로에서 부하들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장치 또는 방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부하들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원하는 온도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에 연결되어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상기 N형 주전원 장치,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a)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를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에 연결하여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및 상기 N형 주전원 장치만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부하 각각 에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및 상기 N형 주전원 장치가 동작하고,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이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하나 이상의 개별 전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하들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원하는 온도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100)는 n개의 부하(11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20) 및 n개의 부하(110)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전원 공급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전원 공급부(120)는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110)에 연결되어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어부(130)는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n개의 부하(110)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조절한다.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110)에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가 연결되어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되,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와, n개의 부하(110)를 연결하는 방식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에서 언급한 "P형"이란 전류가 흘러나오는 것을 의미하고, "N형"이란 전류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주전원"이란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110) 전체에 흐르는 메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을 의미하고, "부전원"이란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110)간의 연결 접점으로 흘러들어가는 부(Sub) 전류 또는 연결 접점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부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을 의미한다.
도 1, 2를 함께 참조하면, 전술한 부 전류로 인해, 도 2에서 볼 때 해당 연결 접점에서 좌측의 부하에 흐르는 개별 전류와 우측의 부하에 흐르는 개별 전류는 대개 10~20% 정도의 전류 편차를 보일 수 있다. 즉, 해당 연결 접점으로 흘러들어가는 부 전류 또는 해당 연결 접점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부 전류가 해당 연결 접점의 좌측에 있는 부하에 흐르는 개별 전류의 10~20% 정도가 된다는 것이다.
단, 해당 부전원 장치(P형 부전원 장치 또는 N형 부전원 장치)에 의해 부 전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연결 접점에서 좌측의 부하에 흐르는 개별 전류와 우측의 부하에 흐르는 개별 전류 간의 전류 편차의 크기는 조절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n개의 부하(110)는 R1, R2,..., Rn으로 표현한다. 각 부하가 연결된 점을 연결 접점이라고 하며, 예를 들어, R1과 R2가 연결된 연결 접점을 X12로 표현하고, Rn -1과 Rn이 연결된 연결 접접을 "X(n-1)n"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연결 접점에 P형 부전원 장치 및 N형 부전원 장치가 연결된다.
도 2에서는, 부하가 n개일 때, P형 주전원 장치는 "PSP 1"로 기재하여 박스로 표현하고, N형 주전원 장치는 "PSN n +1"로 기재하여 박스로 표현한다. 또한, 도 2에서 는,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는 "PSP k(여기서, 2≤k≤n)"로 기재하여 원으로 표현하고,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는 "PSN k(여기서, 2≤k≤n)"로 기재하여 원으로 표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P형 주전원 장치(PSP 1)는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R1,...,Rn) 중 첫 번째 부하(R1)의 좌측에 연결되고, N형 주전원 장치(PSN n+1)는 n개의 부하 중 마지막 n번째 부하(Rn)의 우측에 연결된다. 즉, P형 주전원 장치(PSP 1)는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R1,...,Rn) 전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N형 주전원 장치(PSN n+1)는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R1,...,Rn) 전체의 타단에 연결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는, n개의 부하 중 마지막 n번째 부하(Rn)를 제외한 나머지 n-1개의 부하(R1 ... Rn-1) 각각의 우측에 연결된다. 즉,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R1,...,Rn) 내의 각 부하간 n-1개의 연결 접점(X12, X23,...,X(n-1)n)마다 하나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및 하나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가 각각 연결된다.
연결 접점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하면, 2≤k≤n일 때, k로 일반화하면, P형 부전원 장치(PSP k)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k)의 연결 위치는 Rk -1과 Rk의 연결 접점인 X(k-1)k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k=2일 때, PSP 2와 PSN 2는 X12에 연결된다. 또한 k=n일 때, PSP n와 PSN n는 X(n-1)n에 연결된다. 단, 하나의 연결 접점에 P형 부전원 장치와 N 형 부전원 장치가 연결은 되되, 동시에 동작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k=2일 때, X12에 PSP 2와 PSN 2가 연결은 가능하지만, PSP 2와 PSN 2가 동시에 동작할 수는 없다.
도 2에 도시된 부하가 n개인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서는,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와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가 모든 n-1개의 연결 접점(X12, X23, ..., X(n-1)n) 중 해당 연결 접점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와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 중에서 선택된 몇 개만 해당 연결 접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20)에 포함된 P형 주전원 장치(PSP 1),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가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110)에 연결되어 개별 전류 조절 회로가 구성된 이후, 제어부(130)는 전원 공급부(120)에 포함된 P형 주전원 장치(PSP 1),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의 동작 여부, 출력 전압 등을 제어함으로써, n개의 부하(110)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모두 동일하게 조절하거나, n개의 부하(110) 중 하나 이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30)는 전원 공급부(120)에서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n +1)만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n개의 부하(110) 각각에는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른다. 즉, I1 = I2 = .... = In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부하가 n개인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초기 상태"라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초기 상태"라 함은,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n +1)만 동작(ON)하고, 나머지 모든 부전원 장치인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는 중지(OFF)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상태이고, 또는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110) 각각에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르는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상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30)는, 초기 상태에서 동작하던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이외에도,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를 포함한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을 동작시킴으로써, 동작된 해당 P형 부전원 장치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으로 부 전류가 흘러들어가거나, 동작된 해당 N형 부전원 장치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으로부터 부 전류를 흘러나오 게 하여, 특정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30)는, n개의 부하(110)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하나 이상의 개별 전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하기 위해, 전원 공급부(120)에서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이외에,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 중 하나 이상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이외에,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 중 하나 이상이 동작하는 상태를 부하가 n개인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상태"라 한다. 전술한 부하가 n개인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상태"에서 n개의 부하(110)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가 모두 동일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특정 부전원 장치(P형 부전원 장치, N형 부전원 장치)를 동작시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동작 상태를 초기 상태에서 개별 전류 조절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서, 제어부(130)는 n개의 부하(110)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감지하거나, n개의 부하(110) 각각에 대한 온도 또는 발열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감지된 결과에 근거하여, n개의 부하(110)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에 의해, 부하들의 온도를 감지한 결과, 특정 부하의 온도가 다른 부하의 온도보다 다소 높다고 판단되어, 제어부(130)는 특정 부하로 흐르는 개별 전류를 줄이는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전류를 감소시키는 조절을 통해, 특정 부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30)는 N형 주전원 장치(PSN n +1)의 출력 전압을 아래의 2가지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첫 번째, N형 주전원 장치(PSN n +1)의 출력 전압과 P형 주전원 장치(PSP 1)의 출력 전압이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가 되도록, N형 주전원장치(PSN n +1)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30)는 P형 주전원 장치(PSP 1),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의 출력 전압에 대한 합산 전압과, N형 주전원 장치(PSN n +1)의 출력 전압이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가 되도록, N형 주전원장치(PSN n +1)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n개의 부하(110) 중 Rk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를 증가시키는 조절을 위한 개별 전류 조절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Rk는 n개의 부하(110) 중 임의의 부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k값은 2에서 n까지의 정수이다.
n개의 부하(110) 중 Rk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130)는, PSP 2, PSP 3, ...., PSP k -1, PSP k를 포함한 k-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을 동작(ON)시켜, 동작된 P형 부전원 장치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으로 부 전류가 흘러들어가게 제어한다.
도 4는, n개의 부하(110) 중 Rk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130)는, PSP 2, PSP 3, ...., PSP k -1, PSP k를 포함한 k-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중 PSP k만을 동작(ON)시켜, 동작된 P형 부전원 장치(PSP k)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인 X(k-1)k로 부 전류 i가 흘러들어가게 제어한다. 이로 인해, Rk에는 Rk -1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 - 1와 부 전류인 i가 더해져 Ik'=Ik -1+i가 흐른다. 도 3에서의 초기 상태에서 Rk에 흐르는 개별 전류 Ik는 Rk -1에 대한 개별 전류 Ik -1과 같기 때문에, 도 4에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에서 Rk에 대한 개별 전류 Ik'는 초기 상태의 개별 전류 Ik에 비해 부 전류 i만큼 증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n개의 부하(110) 중 Rk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를 감소시키는 조절을 위한 개별 전류 조절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Rk는 n개의 부하(110) 중 임의의 부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k값은 2에서 n까지의 정수이다.
n개의 부하(110) 중 Rk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130)는, PSN 2, PSN 3, ...., PSN k -1, PSN k를 포함한 k-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을 동작(ON)시켜, 동작된 N형 부전원 장치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으로부터 부 전류가 흘러나가게 제어한다.
도 5는, n개의 부하(110) 중 Rk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130)는, PSN 2, PSN 3, ...., PSN k -1, PSN k를 포함한 k-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PSN k만을 동작(ON)시켜, 동작된 N형 부전원 장치(PSN k)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인 X(k-1)k으로부터 부 전류 i가 흘러나가게 제어한다. 이로 인해, Rk -1에 대한 개별 전류인 Ik -1 중 부 전류인 i가 동작된 N형 부전원 장치(PSN k)로 빠져나감으로써, Rk에 는 Ik'=Ik -1-i가 흐른다. 도 3에서의 초기 상태에서 Rk에 흐르는 개별 전류 Ik는 Rk -1에 대한 개별 전류 Ik -1과 같기 때문에, 도 5에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에서 Rk에 대한 개별 전류 Ik'는 초기 상태의 개별 전류 Ik에 비해 부 전류 i만큼 감소한 것이다.
도 6은 2개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n=2일 때, 즉 2개의 부하(110)는 R1 및 R2로 표현한다. R1 와 R2가 연결된 점을 연결 접점 X12라고 한다. 이러한 연결 접점 X12에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2)가 연결된다.
도 6에서는, 부하가 2개일 때, 즉 n=2일 때, P형 주전원 장치는 PSP 1로 기재하여 박스로 표현하고, N형 주전원 장치는 PSN 3로 기재하여 박스로 표현한다. 또한, 도 2에서는, 1개의 P형 부전원 장치는 PSP 2로 기재하여 원으로 표현하고, 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는 PSN 2로 기재하여 원으로 표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P형 주전원 장치(PSP 1)는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부하(R1,R2) 중 첫 번째 부하(R1)의 좌측에 연결되고, N형 주전원 장치(PSN 3)는 2개의 부하 중 2 번째 부하(R2)의 우측에 연결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2)는, 2개의 부하 중 마지막 2번째 부하(R2)를 제외한 나머지 1개의 부하(R1)의 우측에 연결된다.
연결 접점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하면, 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2)의 연결 위치는 연결 접점 X12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20)에 포함된 P형 주전원 장치(PSP 1), N형 주전원 장치(PSN 3),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2)가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부하(110)에 연결되어 개별 전류 조절 회로가 구성된 이후, 제어부(130)는 전원 공급부(120)에 포함된 P형 주전원 장치(PSP 1), N형 주전원 장치(PSN 3),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2)의 동작 여부, 출력 전압 등을 제어함으로써, 2개의 부하(110)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모두 동일하게 조절하거나, 2개의 부하(110) 중 하나 이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먼저, 2개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30)는 전원 공급부(120)에서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3)만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2개의 부하(110) 각각에는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른다. 즉, I1 = I2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초기 상태"라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초기 상태"라 함은,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3)만 동작(ON)하고, 나머지 모든 부전원 장치인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2)는 중지(OFF)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상태이고, 또는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부하(110) 각각에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르는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상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30)는, 초기 상태에서 동작하던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3) 이외에도,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2) 중 하나를 동작시킴으로써, 동작된 해당 P형 부전원 장치(PSP 2)에 의해 해 당 연결 접점 X12로 부 전류가 흘러들어가거나, 동작된 해당 N형 부전원 장치(PSN 2)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 X12로부터 부 전류를 흘러나오게 하여, 특정 부하 R2에 대한 개별 전류 I2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N형 주전원 장치(PSN 3) 이외에, 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2) 및 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2) 중 하나가 동작하는 상태를 2개의 부하인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상태"라 한다. 이러한 2개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는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2개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2개의 부하(110) 중 R2에 대한 개별 전류인 I2를 증가시키는 조절을 위한 개별 전류 조절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2개의 부하(110) 중 R2에 대한 개별 전류인 I2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130)는, P형 부전원 장치(PSP 2)를 동작(ON)시켜, 동작된 P형 부전원 장치(PSP 2)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 X12로 부 전류 I가 흘러들어가게 제어 한다.
이로 인해, R2에는 R1에 대한 개별 전류인 I1와 부 전류인 i가 더해져 I2'=I1+i가 흐른다. 도 7에서의 초기 상태에서 R2에 흐르는 개별 전류 I2는 R1에 대한 개별 전류 I1과 같기 때문에, 도 8에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에서 R2에 대한 개별 전류 I2'는 초기 상태의 개별 전류 I2에 비해 부 전류 i만큼 증가한 것이다.
도 8의 (b)는 부하가 2개인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8의 (b)는 2개의 부하(110) 중 R2에 대한 개별 전류인 I2를 감소시키는 조절을 위한 개별 전류 조절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2개의 부하(110) 중 R2에 대한 개별 전류인 I2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130)는N형 부전원 장치(PSN 2)를 동작(ON)시켜, 동작된 N형 부전원 장치(PSN 2)에 의해 해당 연결 접점 X12로부터 부 전류 i가 흘러나가게 제어한다.
이로 인해, R1에 대한 개별 전류인 I1 중 부 전류인 i가 동작된 N형 부전원 장치(PSN 2)로 빠져나감으로써, R2에는 I2'=I1-i가 흐른다. 도 7에서의 초기 상태에서 R2에 흐르는 개별 전류 I2는 R1에 대한 개별 전류 I1과 같기 때문에, 도 8의 (b) 에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에서 R2에 대한 개별 전류 I2'는 초기 상태의 개별 전류 I2에 비해 부 전류 i만큼 감소한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전원 공급부(120)에 포함된 P형 주전원 장치(PSP 1),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이하 "SCR"이라 칭함) 정류기 또는 쵸퍼(Chopper) 일 수 있다. 하지만, 전원 장치는 SCR 정류기, 쵸퍼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원 공급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SCR 정류기를 이용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는 도 9에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쵸퍼를 이용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는 도 10 및 도 11에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SCR 정류기를 이용한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CR 정류기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P형 정류기 및 N형 정류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전류가 흘러나오는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로서의 SCR 정류기를 'P형 정류기'라 하고, 전류가 흘러들어가는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로서의 SCR 정류기를 'N 형 정류기'라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SCR 정류기(PSP 1, PSN n +1, PSP k, PSN k, 2≤k≤n)는 동작(ON) 상태가 되면 3상 전원(R,S,T)을 받아서 해당 부하로 전류 또는 전원을 공급한다.
SCR 정류기(PSP 1, PSN n +1, PSP k, PSN k, 2≤k≤n)의 동작 여부 및 출력 전압 등은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은 초기 상태로 동작하거나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개별 전류 조절 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0은 쵸퍼(Chooper)를 이용한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쵸퍼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P형 쵸퍼 및 N형 쵸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류가 흘러나오는 P형 주전원 장치(PSP 1) 및 P형 부전원 장치(PSP k, 2≤k≤n)로서의 쵸퍼를 'P형 쵸퍼'라 하고, 전류가 흘러들어가는 N형 주전원 장치(PSN n +1) 및 N형 부전원 장치(PSN k, 2≤k≤n)로서의 쵸퍼를 'N형 쵸퍼'라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쵸퍼(PSP 1, PSN n +1, PSP k, PSN k, 2≤k≤n)는 동작(ON) 상태가 되면 3상 전원(R,S,T)을 받아서 해당 부하로 전류 또는 전원을 공급한다.
쵸퍼(PSP 1, PSN n +1, PSP k, PSN k, 2≤k≤n)의 동작 여부 및 출력 전압 등은 제어 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은 초기 상태로 동작하거나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개별 전류 조절 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쵸퍼(PSP 1, PSN n +1, PSP k, PSN k, 2≤k≤n)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GTO(Gate Turn-Off Thyristor) 등의 스위칭 소자와, 인덕터(Inductor) 및 다이오드(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쵸퍼를 이용한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에서는, 도 10에서와는 다르게, P형 부전원 장치인 P형 쵸퍼(PSP k, 2≤k≤n)와 N형 부전원 장치인 N형 쵸퍼(PSN k, 2≤k≤n)를 P형과 N형 구분없이 하나의 쵸퍼(PSk, 2≤k≤n)로 합치고 인덕터는 공통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P형 쵸퍼인 PSP 2와 N형 쵸퍼인 PSN 2를 하나로 합쳐 PS2로 이용한다. 여기서, P형 쵸퍼인 PSP 2와 N형 쵸퍼인 PSN 2에 각각 포함되어 있던 인덕터는 하나만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P형 쵸퍼와 N형 쵸퍼를 하나로 합칠 때 하나의 인덕터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은 동일한 연결 접점에 연결된 P형 쵸퍼와 N형 쵸퍼는 동시에 동작 하지 않기 때문이다.
쵸퍼에 포함되는 전력용 IGBT는 대개 모듈 형태로 제작이 되고, P형 쵸퍼 및 N형 쵸퍼 중 하나의 형태인 쵸퍼용 모듈보다는 P형 쵸퍼와 N형 쵸퍼가 합쳐진 형태의 인버터용 모듈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는, 10에 도시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비해, 제작하기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에서의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포함된 P형 주전원 장치(PS1)는 N형 쵸퍼가 필요 없기 때문에, 도 10에서의 P형 주전원 장치(PSP 1)처럼 P형 쵸퍼의 형태로만 된 쵸퍼용 모듈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11에서의 P형 주전원 장치(PS1)는 제작의 편리성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P형 쵸퍼와 N형 쵸퍼가 합쳐진 형태의 인버터용 모듈로 도시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11에서의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포함된 N형 주전원 장치(PSn +1)는 P형 쵸퍼가 필요 없기 때문에, 도 10에서의 N형 주전원 장치(PSN n +1)처럼 N형 쵸퍼의 형태로만 된 쵸퍼용 모듈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11에서의 N형 주전원 장치(PSn +1)는 제작의 편리성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P형 쵸퍼와 N형 쵸퍼가 합쳐진 형태의 인버터용 모듈로 도시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은,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를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에 연결하여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S1200); P형 주전원 장치 및 N형 주전원 장치만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n개의 부하 각각에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단계(S1202); 및 P형 주전원 장치 및 N형 주전원 장치가 동작하고,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이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하나 이상의 개별 전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단계(S1204)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S1200 단계에서는, n개의 부하 중 첫 번째 부하(R1)의 좌측에 P형 주전원 장치(PSP 1)를 연결하고, n개의 부하 중 n번째 부하(Rn)의 우측에 N형 주전원 장치(PSN n +1)를 연결하며, n개의 부하 중 n번째 부하(Rn)를 제외한 n-1개의 부하(R1 ... Rn -1) 각각의 우측에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PSP 2, ... , PSP n)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PSN 2, ... , PSN n)를 연결한다.
전술한 S1204 단계는,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조절할 개별 전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개별 전류에 대한 조절치를 결정하는 제 1 단계; 선택된 개별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동작할 하나 이상의 부전원 장치를 결정하는 제 2 단계; 및 결정된 조절치에 근거하여, 결정된 하나 이상의 부전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단계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S1204 단계에서의 제 1 단계는,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감지하거나, n개의 부하 각각에 대한 온도 또는 발열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근거하여,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조절할 개별 전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부하는 저항 부하, 또는 저항 성분을 가지거나 저항 성분으로 등가 해서 볼 수 있는 모터 등의 임의의 다른 소자나 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하들의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원하는 온도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다른 도면,
도 6은 2개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2개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2개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의 개별 전류 조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SCR 정류기를 이용한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쵸퍼를 이용한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
도 11은 쵸퍼를 이용한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회로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개별 전류 조절 장치
110: n개의 부하
120: 전원 공급부
130: 제어부

Claims (10)

  1.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에 연결되어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상기 N형 주전원 장치,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P형 주전원 장치는 상기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 전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N형 주전원 장치는 상기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 전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 내의 각 부하간 n-1개의 연결 접점마다 하나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하나의 N형 부전원 장치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및 상기 N형 주전원 장치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하나 이상의 개별 전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및 상기 N형 주전원 장치 이외에,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감지하거나,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대한 온도 또는 발열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형 주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과 상기 P형 주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이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가 되도록, 상기 N형 주전원장치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에 대한 합산 전압과, 상기 N형 주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이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가 되도록, 상기 N형 주전원장치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상기 N형 주전원 장치,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는 SCR 정류기 또는 쵸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장치.
  8.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a) P형 주전원 장치, N형 주전원 장치,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를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에 연결하여 개별 전류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및 상기 N형 주전원 장치만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동일한 개별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P형 주전원 장치 및 상기 N형 주전원 장치가 동작하고,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하나 이상이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하나 이상의 개별 전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P형 주전원 장치는 상기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 전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N형 주전원 장치는 상기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 전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직렬로 연결된 n개의 부하 내의 각 부하간 n-1개의 연결 접점마다 하나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하나의 N형 부전원 장치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조절할 개별 전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개별 전류에 대한 조절치를 결정하는 단계;
    (c2) 상기 선택된 개별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n-1개의 P형 부전원 장치 및 상기 n-1개의 N형 부전원 장치 중 동작할 하나 이상의 부전원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결정된 조절치에 근거하여,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부전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1)는,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를 감지하거나,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대한 온도 또는 발열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부하 각각에 흐르는 개별 전류 중 상기 조절할 개별 전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KR1020080080816A 2008-08-19 2008-08-19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033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16A KR101033141B1 (ko) 2008-08-19 2008-08-19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16A KR101033141B1 (ko) 2008-08-19 2008-08-19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40A KR20100022240A (ko) 2010-03-02
KR101033141B1 true KR101033141B1 (ko) 2011-05-11

Family

ID=4217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816A KR101033141B1 (ko) 2008-08-19 2008-08-19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1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453A (ja) * 1995-02-01 1996-08-20 Mazd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電源制御装置
JP2003235178A (ja) 2002-02-05 2003-08-22 Yamaha Corp 電池出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453A (ja) * 1995-02-01 1996-08-20 Mazd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電源制御装置
JP2003235178A (ja) 2002-02-05 2003-08-22 Yamaha Corp 電池出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40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95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solar cells or slices in a panel system
EP2579688B1 (en) Constant-current led driver circuit and output voltage adjustable circuit and method thereof
CN102893525B (zh) 对电压驱动型元件进行驱动的驱动装置
US7737669B2 (en) Hierarchical control for an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EP254698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power converters
KR101943882B1 (ko) Mmc 컨버터의 서브모듈 제어기용 전원장치
KR101725087B1 (ko) Mmc 컨버터의 서브모듈용 전원제어장치
CN105814780A (zh) 控制功率电子开关的接通和关断的补偿电路、整流单元和功率转换器
JP2018206848A (ja) 駆動回路及び発光装置
JP2015023766A (ja) 電源切替回路
KR20170060111A (ko) 전동기 구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
US20130119883A1 (en) Buck convert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rrent for at least one led
KR101033141B1 (ko) 다수 부하에 대한 개별 전류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0540264B1 (ko) 전력용 스위칭 반도체 소자를 적용한 전력 절감기
JP5979252B2 (ja) 電源装置
US8842447B2 (en) DC power supply with low power loss
JP6511854B2 (ja) 電流制御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JP2013182377A (ja) 定電流電源装置
KR101792540B1 (ko) Mmc 컨버터의 서브모듈용 전원제어장치
US10637358B2 (en) Current control circuit
JP6299629B2 (ja) 出力電流制御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
JP2019050665A (ja) 電源装置及び電圧調整回路
KR102413856B1 (ko) 전력 변환 장치
JP5851928B2 (ja) 半導体スイッチ及び半導体スイッチの制御方法
CN109690443B (zh) 具有动态相位管理的多相位功率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