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965B1 -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965B1
KR101032965B1 KR1020110001518A KR20110001518A KR101032965B1 KR 101032965 B1 KR101032965 B1 KR 101032965B1 KR 1020110001518 A KR1020110001518 A KR 1020110001518A KR 20110001518 A KR20110001518 A KR 20110001518A KR 101032965 B1 KR101032965 B1 KR 10103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vegetable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균
Original Assignee
최승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균 filed Critical 최승균
Priority to KR102011000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65B1/ko
Priority to CN201210002860XA priority patent/CN102581980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필요한 화학 제품의 남용을 줄이고 식물성 잔재물이 보유한 성질과 수지를 결합하여, 보다 친환경적이고 안정된 물성의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또다른 화학 제품을 혼합하거나 첨가하는 방식이 아닌, 식물성 잔재물 고유의 성질이 수지와 최고의 혼련을 이루도록 최적의 건조 방식을 실현하여 공정을 줄임으로써, 안정된 신소재를 저렴하게 대량으로 생산 및 공급하여 실용화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식물성 잔재물 표면의 수분까지 흡입 가능하게 집진하도록, 건조는 200℃ 이상 250℃ 이하의 온도로 진행되며, 6m 이상의 스크류 방식의 건조대를 3단에서 6단으로 배열한 지그재그 방식의 층 단계별 건조 방식에 의해, 상기 식물성 잔재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방식으로 뒤집어 주고, 상기 식물성 잔재물에 균일하게 열을 분산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에 의해 건조된 55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 단계에 의해 혼합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성형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공랭식 공법으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냉각시킨 후, 분쇄기에 의해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RESIN COMPOSITION FOR MOLDING POLYPROPYLENE-VEGETABLE VEMNA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진공 성형 등 성형 가공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올레핀은 우수한 물성을 지니고 있지만, 압출이나 사출, 진공 성형시 기계적 강성이 떨어지므로 식물 섬유를 용융 혼합하는 방법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식물 섬유를 용융 혼합한 플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단독 성형물보다 인장 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과 식물 섬유로 이루어진 성형 가공용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이 떨어지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이 꾸준히 제안되어 왔다.
종래에, 폴리올레핀-식물 섬유계 조성물에 로진계 물질이나 석유 수지 및 가소제 또는 합성 고무나 무기 충진제를 첨가하면 식물 섬유의 분산성이 개량되어 성형물의 기계적 특성 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로진계 물질이나 석유 수지 및 가소제 또는 합성 고무나 무기 충진제 등의 여러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성형물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성형물의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을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교환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제시되어 있으나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올레핀이 고가이므로 조성물 및 성형물의 가격 역시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변성 폴리올레핀의 혼합량이 적거나 식물 섬유를 완전히 건조하지 못할 경우에는, 인장 강도, 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불안정한 물성을 지니게 되는 단점이 있고, 변성 폴리올레핀의 혼합량이 많아질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지만 조성물이나 성형물의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식물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화기와 우레탄 반응을 일으켜 수지와의 고온 혼련시에 식물 섬유의 분해를 억제하며, 혼련 중 식물 섬유의 부서짐을 감소시키고 분산성을 높이는 활제 역활을 하고, 식물 섬유와 베이스 수지 사이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기계적 특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식물 섬유에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표면 처리하는 과정의 공정이 추가되고, 표면 처리하는 공정의 추가에 의해 원가 상승 요인이 불가피하며, 표면 처리의 복잡성으로 인한 시간 소요가 증대됨으로써, 대량 생산에 용이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져 현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완전한 수분 제거 없이 표면 처리만으로 제품화하면, 수분과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물성 변화의 예측이 불안정하여 안정된 물성을 갖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필요한 화학 제품의 남용을 줄이고 식물성 잔재물이 보유한 성질과 수지를 결합하여, 보다 친환경적이고 안정된 물성의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추가적인 화학 제품을 혼합하거나 첨가하는 방식이 아닌, 식물성 잔재물 고유의 성질이 수지와 최고의 혼련을 이루도록 최적의 건조 방식을 실현하여 공정을 줄임으로써, 안정된 신소재를 저렴하게 대량으로 생산 및 공급하여 실용화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용 또는 압출용으로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식물성 잔재물 표면의 수분까지 흡입 가능하게 집진하도록, 건조는 200℃ 이상 250℃ 이하의 온도로 진행되며, 6m 이상의 스크류 방식의 건조대를 3단에서 6단으로 배열한 지그재그 방식의 층 단계별 건조 방식에 의해, 상기 식물성 잔재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방식으로 뒤집어 주고, 상기 식물성 잔재물에 균일하게 열을 분산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에 의해 건조된 55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 단계에 의해 혼합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성형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공랭식 공법으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냉각시킨 후, 분쇄기에 의해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Coupling agent)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Internal Lubricant)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성형용으로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식물성 잔재물 표면의 수분까지 흡입 가능하게 집진하도록, 건조는 200℃ 이상 250℃ 이하의 온도로 진행되며, 6m 이상의 스크류 방식의 건조대를 3단에서 6단으로 배열한 지그재그 방식의 층 단계별 건조 방식에 의해, 상기 식물성 잔재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방식으로 뒤집어 주고, 상기 식물성 잔재물에 균일하게 열을 분산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에 의해 건조된 20 ~ 40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 단계에 의해 혼합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성형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공랭식 공법으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냉각시킨 후, 분쇄기에 의해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성 잔재물은 왕겨, 목분, 미강, 죽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55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20 ~ 40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성 잔재물은 왕겨, 목분, 미강, 죽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에 비해 불필요한 화학 제품의 남용을 줄이고 식물성 잔재물이 보유한 성질과 수지를 결합하여, 보다 친환경적이고 안정된 물성의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적인 화학 제품을 혼합하거나 첨가하는 방식이 아닌, 식물성 잔재물 고유의 성질이 수지와 최고의 혼련을 이루도록 최적의 건조 방식과 종래의 수냉식이 아닌 컨베이어를 이용한 공냉식 공법으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여 공정을 줄임으로써, 안정된 신소재를 저렴하게 대량으로 생산 및 공급하여 실용화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잔재물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용한 공랭식 공법으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용이나 압출용, 또는 진공 성형용으로 컴파운딩되는 폴리프로필렌 - 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55% 이상 중량부의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과,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Coupling agent)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Internal Lubricant)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성 잔재물은 55 ~ 60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식물성 잔재물로는 왕겨, 목분, 미강, 죽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달청이나 지식 경제부에서 식물성 잔재물을 합성 목재로 분류시키는 기준이 51% 이상 중량부로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55% 이상 중량부의 식물성 잔재물을 사용하며, 이와 같이 55% 이상 중량부의 식물성 잔재물을 사용할 경우, 선 팽창 계수 등의 물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잔재물의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폴리프로필렌의 사용량은 줄어들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55% 중량부의 식물성 잔재물을 사용할 경우, 폴리프로필렌은 30 ~ 35 중량부를 사용하며, 60% 중량부의 식물성 잔재물을 사용할 경우, 폴리프로필렌은 25 ~ 30 중량부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무수말레인산을 붙힌(grafted) 것으로서 유기물과 무기물을 결합시켜서 서로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주고, 내부활제는 변성 지방산 에스테르 혼합물로서 수지의 폴리머 분자간 마찰을 감소시켜 충진제와 식물성 잔재물을 원활하게 분산시켜주며 수지의 용융점을 낮춰주어 성형 가공성과 생산량을 증진시키고 수지의 표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산화 방지제는 플라스틱과 산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켜서 플라스틱이 분해되어 고유물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해주고, 탄산 칼슘 및 탈크 등의 무기질 첨가재는 원가를 낮추어주면서 기계적/열적 물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 이외에 난연화를 위해 난연제 또는 난연조제를 첨가함으로써, 난연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 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왕겨와 같은 식물성 잔재물이 통상 190℃ 이상의 고열에 노출되는 경우, 식물성 잔재물 내에 존재하는 식용 오일 성분과 불포화 지방산, 조회분, 팔미틱산 등의 각종 휘발 성분이 용융 수지 내에서 기화하여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킨다. 즉, 탄화 현상으로 인해 수지와 혼합하게 되면 생산 공정에 기계적 물성의 저하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발생하며, 완제품에 심한 수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화 현상이 없도록 건조 기술을 개발하여 식물성 잔재물 고유의 성분을 유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완제품 제조시 우수한 물성(비중의 안정화)을 지니게 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사진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방법에 사용되는 3단의 층 단계별 건조 장치에 관한 사진이다.
상기 건조 기술과 관련하여, 기존의 건조 방법으로는 190℃ 이하에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의 식물성 잔재물을 건조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190℃ 이상에서, 열 매체유를 적용하여 다량의 식물성 잔재물을 계속해서 교반(?拌)하며 건조하는 기술이 있지만, 이러한 기존의 건조 방법은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성 잔재물의 수분 함유율이 0 ~ 1% 사이의 함수율에 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건조 방법을 보완한 건조 장치에 의해 건조가 행해진다. 사진을 참조하면, 6m 이상의 스크류 방식의 건조대를 3단에서 6단층의 지그재그 방식의 층 단계별 건조 방식에 의해, 상기 식물성 잔재물을 스크류 방식으로 뒤집어 주고, 상기 식물성 잔재물에 균일하게 열을 분산시켜 건조시킨 후, 식물성 잔재물 표면의 수분까지 흡입 가능하다. 또한, 건조시킨 55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를 혼합하고, 성형을 통한 수냉식이 아닌 컨베이어 이용한 공랭식 공법으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한다.
본 사진에 따르면, 각 층별로 6m 길이의 3단의 층에 의한 건조 과정에 의해, 양호한 수분 함수율(예를 들면, 수분의 함유율이 0 ~ 1% 사이)에 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호한 수분 함수율을 가짐으로써, 완제품의 제조시 기존의 방식보다 훨씬 우수한 물성을 지닌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용한 공랭식 공법으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1)에 의해 금형이 이루어지며, 컨베이어(2)를 통해 이동하면서, 대형 선풍기 등에 의해 수냉식이 아닌 공랭식 공법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이 냉각된다. 컨베이어(2)를 통해 냉각되면서 이동된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분쇄기(3)에 의해 절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자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왕겨-폴리프로필렌을 시료로 사용한, 각종 시험 항목의 시험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재질과 종래의 혼합 폴리프로필렌은 0.80 ~ 1.09의 비중으로 오차 범위가 약 0.3의 변형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비중은 1.105 ~ 1.108의 비중으로 오차 범위가 약 0.003의 비중 차이로 오차가 거의 없어, 기타(열팽창 계수, 인장 강도, 인장 탄성률, 경도, 충격당도, 하중 변형 온도, 굴곡 강도, 굴곡 탄성률, 열변형 온도 등) 실험에서도 오차 범위가 현저히 안정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항목 단 위 시험 결과 시험 방법
경도(Type : D) - 73 ASTM D 2240:2005
굴곡 강도 MPa 34.8
(시험속도:10㎜/min)
ASTM D 790:2007
굴곡 탄성률 MPa 2070
(시험속도:10㎜/min)
비중 - 1.108 ASTM D 792:2008
충격 강도
: Izod, (23±2)℃
J/m 22.1 ASTM D 256:2006
하중 변형 온도
: 1.8 mPa
66 KS M ISO 75-2:2008
인장 강도 MPa 19.8
(시험속도:10㎜/min)
ASTM D 638:2008
인장 탄성률 MPa 2460
(시험속도:10㎜/min)
응용지수(230/2.16) g/10min 11 ASTM D 1238 : 2010
비카트 연화온도 86 KS M ISO 306:2007
선팽창 계수




㎛/(m·℃)




169.0
(온도측정구간 :
(-30 ~ 160)℃
승온속도 : 5℃/min
선팽창계수 측정구간 : Alpha(-15 ~ 150)℃
Force : 0.05N
ASTM E 831:2005




Figure 112011001158270-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폐자원인 식물성 잔재물을 산업 제품에 활용할 수 있고, 활용한 산업 제품은 수거되어 100% 재활용되며, 산업 자재, 즉 생활 용품, 건축용 내외장재 제품, 토목용 제품, 전자 제품, 자동차 용품, 장난감 및 완구 등 기존의 원가를 현저히 낮추고 성형 가공의 실용화를 극대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친화적인 수지 조성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하다.

Claims (10)

  1. 사출용 또는 압출용으로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식물성 잔재물 표면의 수분까지 흡입 가능하게 집진하도록, 건조는 200℃ 이상 250℃ 이하의 온도로 진행되며, 6m 이상의 스크류 방식의 건조대를 3단에서 6단으로 배열한 지그재그 방식의 층 단계별 건조 방식에 의해, 상기 식물성 잔재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방식으로 뒤집어 주고, 상기 식물성 잔재물에 균일하게 열을 분산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에 의해 건조된 55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 단계에 의해 혼합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성형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공랭식 공법으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냉각시킨 후, 분쇄기에 의해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Coupling agent)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Internal Lubricant)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진공 성형용으로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식물성 잔재물 표면의 수분까지 흡입 가능하게 집진하도록, 건조는 200℃ 이상 250℃ 이하의 온도로 진행되며, 6m 이상의 스크류 방식의 건조대를 3단에서 6단으로 배열한 지그재그 방식의 층 단계별 건조 방식에 의해, 상기 식물성 잔재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방식으로 뒤집어 주고, 상기 식물성 잔재물에 균일하게 열을 분산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에 의해 건조된 20 ~ 40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 단계에 의해 혼합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성형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동시키면서 냉각시키는 공랭식 공법으로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냉각시킨 후, 분쇄기에 의해 상기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잔재물은 왕겨, 목분, 미강, 죽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55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8. 제 3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20 ~ 40 이상 중량부의 상기 식물성 잔재물과, 30 ~ 35 중량부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잔량의 첨가재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재는 1 ~ 3 중량부의 상용화제와, 2 ~ 3.5 중량부의 내부활제와, 0.15 ~ 0.25 중량부의 산화 방지제와, 8 ~ 12 중량부의 무기질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잔재물은 왕겨, 목분, 미강, 죽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KR1020110001518A 2011-01-06 2011-01-06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18A KR101032965B1 (ko) 2011-01-06 2011-01-06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201210002860XA CN102581980A (zh) 2011-01-06 2012-01-06 聚丙烯-植物性残渣成型用树脂组成物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18A KR101032965B1 (ko) 2011-01-06 2011-01-06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965B1 true KR101032965B1 (ko) 2011-05-09

Family

ID=4436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518A KR101032965B1 (ko) 2011-01-06 2011-01-06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2965B1 (ko)
CN (1) CN1025819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1288A (zh) * 2013-06-07 2013-10-02 黄明星 环保成型材的制造方法
KR20170002043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에이유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8483A (ja) * 1997-08-08 1999-03-02 Ain Kosan Kk 木質合成シートの成形方法
JP3117195B2 (ja) * 1997-01-14 2000-12-11 難波プレス工業株式会社 高剛性、高熱変形温度特性を有する木質繊維系複合材製品の製造方法
JP2006007727A (ja) 2004-06-29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木粉樹脂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17767Y (zh) * 1995-01-04 1996-01-17 黄庆源 连续式螺旋密封干燥机
CN1648158A (zh) * 2004-12-24 2005-08-03 华南理工大学 一种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294001A (zh) * 2007-04-25 2008-10-29 中山市森朗环保装饰建材有限公司 一种木塑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1220209A (zh) * 2007-12-14 2008-07-16 广州华工百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棉杆与塑料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1245156A (zh) * 2008-02-28 2008-08-20 戴福寿 竹塑复合材料
CN101580640B (zh) * 2009-06-23 2011-12-07 福建师范大学 一种经热处理的植物纤维和塑料共混制备木塑复合材料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195B2 (ja) * 1997-01-14 2000-12-11 難波プレス工業株式会社 高剛性、高熱変形温度特性を有する木質繊維系複合材製品の製造方法
JPH1158483A (ja) * 1997-08-08 1999-03-02 Ain Kosan Kk 木質合成シートの成形方法
JP2006007727A (ja) 2004-06-29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木粉樹脂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1288A (zh) * 2013-06-07 2013-10-02 黄明星 环保成型材的制造方法
KR20170002043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에이유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1699727B1 (ko) * 2015-06-29 2017-01-25 주식회사 에이유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81980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598B1 (ko) 천연 분말을 이용한 사출형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천연 분말을 이용한 사출형 복합재료
KR102181876B1 (ko) 이차전지 폐분리막을 이용한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005489B1 (ko)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CN1125128C (zh) 丙烯基树脂组合物
CN1832992A (zh) 核化热塑性弹性体组合物和相关方法
KR20120057976A (ko) 고열전도성 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2280191B (zh) 一种耐水性优异的聚丙烯复合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189323A (zh) 一种高性能木塑复合墙板及其制备方法
CN111621123A (zh) 一种低翘曲pet/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563667A (zh) 复配填充保险杠用轻量化改性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032965B1 (ko) 폴리프로필렌-식물성 잔재물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7644A (ko)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PT103898A (pt) Materiais compósitos de cortiça com polímero (cpc) e processo para obtenção dos mesmos.
CN109721786B (zh) 一种聚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212229A (zh) 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571056B (zh) 一种高热变形温度聚丙烯纳米复合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825526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CN106674742A (zh) 一种薄壁化汽车保险杠用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504846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
KR2021008270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11004476B (zh) 一种工程塑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573484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마스터배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S59227936A (ja) 複合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102482344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2391576B1 (ko) 열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