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907B1 -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 Google Patents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907B1
KR101032907B1 KR1020090073581A KR20090073581A KR101032907B1 KR 101032907 B1 KR101032907 B1 KR 101032907B1 KR 1020090073581 A KR1020090073581 A KR 1020090073581A KR 20090073581 A KR20090073581 A KR 20090073581A KR 101032907 B1 KR101032907 B1 KR 10103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vacuum circuit
stopper
vacuu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069A (ko
Inventor
송재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종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종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9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유닛이 진공 차단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잭을 케이스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패널에 결합시켜야만 동작하며 진공 차단기의 구속을 해지시키도록 구성하여 작업자의 부주위 등으로 진공 차단기가 밀려날 경우, 차단기의 단자가 커넥터에 의도하지 않게 결합하게 됨으로서 접지수단으로 많은 양의 전류를 흘려보내어 수리중인 작업자가 감전되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진공 차단기, 대차, 고정유닛, 컨트롤잭, 컨트롤소켓, 스토퍼

Description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fixing unit for 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유닛이 진공 차단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잭을 케이스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패널에 결합시켜야만 동작하며 진공 차단기의 구속을 해지시키도록 함으로서 진공 차단기의 단자가 커넥터에 의도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는 전력 공급 및 분배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진공 차단기는 케이스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대차를 타고 전, 후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뒤쪽 벽면에는 상기 차단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전기를 도통시키는 커넥터들이 장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앞쪽 벽면 하단에는 접지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수단은 기기를 점검 및 수리하는 작업자들이 충전전류에 의해 안전사고를 당하 지 않도록 배전반의 부하측에 잔류하는 충전전류를 대지로 접지시켜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제작된 진공 차단기를 커넥터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고려해 진공 차단기의 단자가 커넥터에 결합되기 전, 진공 차단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케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콘센트에 먼저 결합시킨 다음, 진공 차단기를 전진 이동시켜 진공 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를 케이스의 앞쪽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하기 전, 진공 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함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위 등으로 차단기가 밀려날 경우에는 차단기의 단자가 커넥터에 의도하지 않게 결합하게 됨으로서 접지수단으로 많은 양의 전류를 흘려보내게 되어 자칫, 수리중인 작업자가 감전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유닛이 진공 차단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잭을 케이스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패널에 결합시켜야만 동작하며 진공 차단기의 구속을 해지시키도록 함으로서 진공 차단기의 단자가 커넥터에 의도하지 않 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진공 차단기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 설치되는 컨트롤소켓과, 상기 진공 차단기에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소켓에 결합되는 컨트롤잭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진공 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잭이 상기 컨트롤소켓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동작하며 상기 진공 차단기의 구속을 해지시키는 고정유닛이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컨트롤소켓의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컨트롤소켓에 결합되는 컨트롤잭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밀려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일단에 구비되며,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밀림압력으로 중앙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 동작하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진공 차단기를 이동시키는 대차에 걸려지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레버의 틸팅 동작에 따라 당겨지며 상기 스토퍼를 하강 동작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스토퍼 아래에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은 진공 차단기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진공 차단기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잭을 케이스 벽면에 설치된 컨트롤소켓에 결합시켜야만 고정부재의 구속이 해지되도록 함으로서 진공 차단기의 단자가 커넥터에 의도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줄여줄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공 차단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잭을 케이스 벽면에 설치된 컨트롤소켓에 결합시킨 이후에, 진공 차단기의 단자가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진공 차단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고정유닛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컨트롤잭을 컨트롤소켓에 결합시켜야만 동작하며 진공 차단기의 구속을 해지토록 함으로서 진공 차단기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으로 인한 단자와 커넥터간의 결합으로 감전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차단기 고정부재를 구현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10)는 사각박스 타입으로 전방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로 개폐 가능하게 제작된 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케이스(12)의 바닥면에 대차(16)를 설치하고, 상기 대차(16)에 상기 진공 차단기(10)를 얹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대차(16)의 구동에 따라 진공 차단기(10)가 케이스(12)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2)의 벽면(W) 외부에는 접지수단(18)이 설치된다. 상기 접지수단(18)은 회동축(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20)의 구동에 따라 틸팅 동작하며 접지 및 접지해지 동작을 수행하며 충전전류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2)의 벽면(W)에는 차단기(10)의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인 커넥터(14)가 구비되고, 또한 케이스(14)의 벽면 일측 상단에는 컨트롤소켓(22)이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소켓(22)에는 상기 진공 차단기(10)와 케이블(26)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잭(24)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진공 차단기(10)에는 고정유닛(3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유닛(30)은 진공 차단기(10)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컨트롤잭(24)을 컨트롤소켓(22)에 결합하기 전,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진공 차단기(10)가 밀려남으로서 커넥터(14)에 차단기(10)의 단자(11)가 의도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컨트롤잭(24)이 컨트롤소켓(22)에 결합될 때에만 동작하며 진공 차단기(10)의 구속을 해지시킬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2와 도 3은 상기한 고정유닛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고정유닛(30)은 롤러(32)와, 레버(36), 그리고 와이어(42) 및 스토퍼(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롤러(32)는 컨트롤소켓(22)의 앞쪽 일측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컨트롤소켓(22)의 체결구멍(23)으로 컨트롤잭(24)이 삽입될 때, 상기 컨트롤잭(24)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밀려나며 레버(36)를 밀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레버(36)를 틸팅 동작시키도록 한다.
상기 레버(36)는 컨트롤소켓(22)의 측면에 걸림대(37)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36)의 일단에는 상기 롤러(32)를 지지하는 브라켓(34)이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축(38)이 수직으로 결합 구성되며, 상기 레버(36)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의 벽면(W)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8)을 관통한 상태에서 와이어(42)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레버(36)는 전술한 롤러(32)의 밀림압력에 따라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해서 한쪽방향(도 4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며 와이어(42)를 당겨주게 된다.
상기 와이어(42)는 케이스(12)의 구멍(28)을 관통한 레버(36)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40)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케이스(10)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44)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레버(36)의 틸팅 동작에 따라 당겨지며 상기 스토퍼(44)를 하강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스토퍼(44)는 케이스(10)의 바닥면(G) 위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진공 차단기(10)를 이동시키는 대차(16)에 걸려지며 진공 차단기(10)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전술한 와이어(42)의 당김 동작에 따라 바닥면(G) 아래로 하강하 며 대차(16)에서 분리되어 진공 차단기(10)의 구속을 해지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스토퍼(44)의 아래에는 고정대(46)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44)와 고정대(46) 사이에는 스프링(48)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48)은 와이어(42)의 당김 동작으로 하강 동작한 스토퍼(44)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컨트롤잭(24)의 결합이 완료되어 롤러(32)가 컨트롤잭(24)의 측면에서 분리되면 텐션력을 발휘하여 상기 스토퍼(44)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42)는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며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해서 레버(36)를 반대방향으로 틸팅 동작시켜 롤러(32)를 처음상태를 복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의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진공 차단기(10)의 단자(11)를 커넥터(14)에 결합할 때에는 진공 차단기(10)와 케이블(26)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잭(24)을 케이스(12)의 벽면(W)에 구비되어 있는 컨트롤소켓(22)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선행하여야 하는 데, 이때에는 고정유닛(30)이 진공 차단기(10)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컨트롤잭(24)과 컨트롤소켓(22)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동하여 동작하며 진공 차단기(10)의 구속을 자동으로 해지시키게 된다.
즉,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컨크롤잭(24)을 컨트롤소켓(22)의 체결구멍(23)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고정유닛(30)의 롤러(32)는 상기 컨트롤잭(24)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에 따라 레버(36)는 회전축(38)을 기점으로 해서 한쪽방향(도 4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레버(36)의 홀더(40)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42)는 레버(36)의 틸팅 동작에 따라 당겨지며 진공 차단기(10)의 대차(16)에 걸려져 있는 스토퍼(44)를 케이스(12) 바닥면(G) 아래로 하강시키게 됨으로서 진공 차단기(10)의 구속을 해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 없이 진공 차단기(10)의 단자(11)를 케이스(12)의 커넥터(14)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컨트롤소켓(22)에 컨트롤잭(24)이 결합되고 나면, 롤러(32)는 상기 컨트롤잭(24)의 측면에서 벗어나게 되는 데, 이때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스토퍼(44)와 고정대(4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48)의 텐션력에 의해 스토퍼(44)는 처음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와이어(42)를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며, 이에 따라 롤러(32)를 지지하고 있는 레버(36) 역시 회전축(38)을 기점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32)를 처음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동작을 통해 처음 상태로 복귀한 롤러(32)는 컨트롤소켓(22)에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잭(24)의 후면 일측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컨트롤잭(24)이 컨트롤소켓(22)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케이스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유닛의 일부 구성품들의 평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 차단기 12: 케이스
14: 커넥터 16: 대차
22: 컨트롤패널 24: 컨트롤잭
30: 고정유닛 32: 롤러
36: 레버 38: 회전축
42: 와이어 44: 스토퍼
48: 스프링

Claims (1)

  1. 내부에 진공 차단기(1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의 벽면(W)에 설치되는 컨트롤소켓(22)과;
    상기 진공 차단기(10)에 케이블(26)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소켓(22)에 결합되는 컨트롤잭(24)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2)에는 상기 진공 차단기(10)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잭(24)이 상기 컨트롤소켓(2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동작하며 상기 진공 차단기(10)의 구속을 해지시키는 고정유닛(3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닛(30)은;
    상기 컨트롤소켓(22)의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컨트롤소켓(22)에 결합되는 컨트롤잭(24)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밀려나는 롤러(32)와;
    상기 롤러(32)를 지지하는 브라켓(34)이 일단에 구비되며, 타단은 상기 케이스(12)의 벽면(W)에 형성된 구멍(28)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32)의 밀림압력으로 중앙에 결합된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틸팅 동작하는 레버(36)와;
    상기 케이스(12)의 바닥면(G)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진공 차단기(10)를 이동시키는 대차(16)에 걸려지는 스토퍼(44)와;
    상기 스토퍼(4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36)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레버(36)의 틸팅 동작에 따라 당겨지며 상기 스토퍼(44)를 하강 동작시키는 와이어(42)와;
    상기 스토퍼(44) 아래에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는 고정대(46) 및 ;
    상기 고정대(46)와 스토퍼(44)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4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8)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KR1020090073581A 2009-08-11 2009-08-11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KR101032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581A KR101032907B1 (ko) 2009-08-11 2009-08-11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581A KR101032907B1 (ko) 2009-08-11 2009-08-11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069A KR20110016069A (ko) 2011-02-17
KR101032907B1 true KR101032907B1 (ko) 2011-05-06

Family

ID=4377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581A KR101032907B1 (ko) 2009-08-11 2009-08-11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5085A (zh) * 2011-12-02 2012-07-04 江苏西门控电器有限公司 直流开关柜断路器小车摇进联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83B1 (ko) 2007-12-06 2008-06-27 해종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83B1 (ko) 2007-12-06 2008-06-27 해종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5085A (zh) * 2011-12-02 2012-07-04 江苏西门控电器有限公司 直流开关柜断路器小车摇进联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069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407B2 (ja) 回路遮断器のプラグ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068757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658541B1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CN103280727A (zh) 一种电动底盘车
JP2012191685A (ja) 引出形回路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及び引出形回路遮断器並びに配電盤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KR20110081687A (ko)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JP5477953B2 (ja) 自動車用充電ケーブルのコンセントプラグ
KR101032907B1 (ko) 진공 차단기 고정유닛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WO2014106912A1 (ja) 真空遮断器
KR100841983B1 (ko) 진공 차단기 연동장치
CN202872229U (zh) 一种中置柜的二次插头锁紧联锁装置
CN203301023U (zh) 一种电动底盘车
JP5538651B2 (ja) 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KR100952655B1 (ko) 진공 차단기의 포지션별 동작 제어장치
CN201805169U (zh) 上进线验电接地手车
KR100942224B1 (ko) 진공 차단기의 포지션별 동작 제어장치
CN210723923U (zh) 一种带有程序锁的底盘车及开关柜
KR101251604B1 (ko)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308708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JP2009011070A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494793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102509967A (zh) 漏电保护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