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802B1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802B1
KR101032802B1 KR1020057003793A KR20057003793A KR101032802B1 KR 101032802 B1 KR101032802 B1 KR 101032802B1 KR 1020057003793 A KR1020057003793 A KR 1020057003793A KR 20057003793 A KR20057003793 A KR 20057003793A KR 101032802 B1 KR101032802 B1 KR 101032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roadcast
signal
secondary display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308A (ko
Inventor
코이치 고토
신지 타카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2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튜너(22a)로부터의 신호가 1차 디스플레이(2)에 대해 출력된다. 튜너(22b)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압축되고, 암호화의 처리를 받고 나서 무선 LAN으로 2차 디스플레이(3)에 송신되고, 2차 디스플레이(3)의 LCD(46)에 표시된다. 디지털 튜너(23)의 출력이 1차 디스플레이(2)에 표시된다. 48OI의 영상 신호가 2차 디스플레이(3)에 대해 송신된다. 인터넷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디코드 처리가 이루어지고, 1차 디스플레이(2)에 대해 보내진다. 2차 디스플레이(3)에 대해 디코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압축된 상태로, 송출되고, 2차 디스플레이(3)에 있어서 복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57003793
수신 장치, 송수신 장치, 텔레비전, 컨텐츠

Description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및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한 컨텐츠의 시청을 행하는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에 고속으로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수단인 브로드밴드가 급속하게 대두하고 있다. 브로드밴드의 구체적인 예는, CATV(cable television)를 사용한 케이블 인터넷,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등이다. 또한, 스트리밍 비디오의 부호화 방식으로서,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4), Windows(등록상표) Media Player, RealVideo 등이 제안되고, 그들의 개발이 진전되고 있다. 그 결과, 가정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는, 방송 전파를 통하여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 이외에,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제공되는 스트리밍 컨텐츠도 시청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에는, 텔레비전 방송과 인터넷 단말을 조합시킨 상품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브로드밴드 대응은 아니고,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었다.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및 스트리밍 컨텐츠의 양쪽을 시청 가능하게 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시청을 위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1차 디스플레이에 더하여 2차 디스플 레이가 사용된다.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서, 대형의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별도로 소형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보조 입출력 장치를 마련하고, 디스플레이 본체와 보조 입출력 장치가 무선으로 접속된 구성이 특개20O1-2039O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특개2001-2039O8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는, 보조 입출력 장치가 스크린상에 터치 패널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고, 수신 텔레비전 방송으로부터 분리된 전자 방송프로그램표를 보조 입출력 장치상에 표시하고, 소망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소망하는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을 행하는 조작을 보조 입출력 장치의 터치 패널을 통하여 행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2차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1차 디스플레이에서 시청하는 컨텐츠와 2차 디스플레이에서 시청하는 컨텐츠의 전환을 자유롭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전환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데 있다. 또한, 2차 디스플레이에 대해 컨텐츠를 1차측에서부터 송신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보호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2차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컨텐츠의 시청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선택 장치 또는 리모트 커맨더의 기능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2개의 디스플레이가 전환, 각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전환 등의 조작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차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방송 및 인터넷의 쌍방을 수신, 시청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및 이 텔레비전 수신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2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압축 부호화하여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의 경우에는 디지털 압축되어 있는 신호를 복호하여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복호된 아날로그 신호를 재부호화하여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하고, 인터넷 수신의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복호하지 않고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도록 한 수신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방송 및 인터넷의 쌍방을 수신, 시청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및 이 텔레비전 수신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2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압축 부호화하여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의 경우에는 디지털 압축되어 있는 신호를 복호하여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복호된 아날로그 신호를 재부호화하여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하고, 인터넷 수신의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복호하지 않고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는 수신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화면의 표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대략 선도.
도 4는 메뉴 표시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표시예를 도시한 대략 선도.
도 5는 메뉴 표시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표시예를 도시한 대략 선도.
도 6은 메뉴 표시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표시예를 도시한 대략 선도.
도 7은 인덱스 표시의 설명을 위한 대략 선도.
도 8은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때, 2개의 튜너를 제어하여 1차 디스플레이와 2차 디스플레이간의 표시를 교체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설명에 이용하는 대략 선도.
도 9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할 때에, 1차 디스플레이와 2차 디스플레이간의 표시를 교체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설명에 이용하는 대략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1차 디스플레이 3 : 2차 디스플레이
4 : 받침대 5 : 미디어 리시버
11 : 액세스포인트 22a : 메인 튜너
22b : 서브 튜너 23 : 디지털 튜너
28 : 시스템 컨트롤러 43 : 시스템 컨트롤러
46 : LCD 47 : 터치 패널
51a : 표시·센서부 51b : 센서부
52 : 손가락 54 : 메뉴 표시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이 본 발명이 적용된 표시 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2가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대형의 표시 패널을 갖는 제 1의 표시부(이하, 1차 디스플레이라고 적절히 칭한다)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3이 소형의 제 2의 디스플레이(이하, 2차 디스플레이라고 적절히 칭한다)를 나타낸다. 2차 디스플레이(3)는, 소형 예를 들면 7인치의 LCD에 터치 패널이 적층된 구성으로 되고, 받침대(4)상에 놓여져, 필요에 따라 유저가 휴대운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2차 디스플레이(3)는 LCD,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1차 디스플레이측과의 통신, 압축/신장 처리, 시스템 제어 등을 위한 구성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1차 디스플레이(2)에 대해 미디어 리시버(5)를 통하여 표시하여야 할 영상 신호가 공급된다. 영상 신호는, 방송 신호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이다. 방송 신호는 안테나(6)에서 수신되고, 스트리밍 데이터는 스위치(7)에서 분기되어,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미디어 리시버(5)에 공급된다. 스위치(7)의 다른 분기에 대해 퍼스널 컴퓨터(8)가 접속되어 있다.
인터넷(10)을 통하여 전송된 스트리밍 데이터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MODEM(modulator-demodulator)(9)의 WAN(Wide Area Network)측에 입력되고, MODEM(9)의 LAN측에 스위치(7)가 접속된다. ADSL은 브로드밴드 접속의 일예이고, 그밖에 CATV, FTTH 등을 사용한 브로드밴드 접속을 통하여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IP(Internet Protocol) 스트리밍 방송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얻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은, 영상 컨텐츠에 음성 데이터가 부수되어 있다.
미디어 리시버(5)는, 1차 디스플레이(2) 및 2차 디스플레이(3)의 각각에 대해 별도의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2개의 튜너를 갖는다. 미디어 리시버(5)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하여 2차 디스플레이(3)에 대해 영상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2차 디스플레이(3)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1)에 대해, 리모트 콘트롤 신호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의 무선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 예를 들면 802.11a의 규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규격은 5.2G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최대로 54Mbps의 전송 속도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1차 디스플레이(2) 및 2차 디스플레이(3)로 이루어지는 표시 시스템의 일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1차 디스플레이(2)는, 예를 들면 3O인치 이상의 비교적 대형의 표시 패널(21)과 그 구동부(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미디어 리시버(5)에는 지상파 수신용의 메인 튜너(22a) 및 서브 튜너(22b)가 포함된다. 참조 부호 23은, BS(broadcasting Satellite) 및 110° CS(Communication Satellite) 수신용의 디지털 튜너이다.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튜너(22a 및 22b)에는 UHF/VHF 안테나의 출력이 공급되고, 디지털 튜너(23)에는 BS/11O° CS 수신용의 파라볼라 안테나의 출력이 공급된다. 한 실시 형태로서는 메인 튜너(22a)가 1차 디스플레이(2)를 위해 사용되고, 서브 튜너(22b)가 2차 디스플레이(3)를 위해 사용된다.
메인 튜너(22a) 및 서브 튜너(22b)의 각각 영상 신호가 AV 스위치(24)에 공급된다. AV 스위치(24)의 출력 영상 신호가 화상 처리부(25) 및 신호 처리부(32)에 대해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25)는 해상도를 보다 높이는 등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화상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부(25)의 출력 신호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인, DVI(Digital Visual Interface)(26)를 통하여 1차 디스플레이(2)의 표시 패널(21)에 대해 입력된다. DVI(26)의 전단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표시 패널(21)의 화질 조정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21)에 대해 디지털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에, 방송 컨텐츠의 부정한 카피를 방지하는 카피 방지 신호도 출력된다. 예를 들면 HDCP(High band with Digital Content Protection)를 카피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튜너(23)의 출력 신호가 비디오 디코더(27)에 대해 입력된다. 예를 들면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의 복호가 비디오 디코더(27)에 의해 이루어진다. 비디오 디코더(27)로부터의 HD(HIgh Definition) 영상 신호가 화상 처리부(25)에 공급되고, DVI(26)를 통하여 표시 패널(21)에 대해 입력된다.
비디오 디코더(27)는, SD(Standard Definition) 영상 신호 예를 들면 480I(유효 라인 수가 48O개의 인터레이스 신호)를 신호 처리부(32)에 대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참조 부호 28은, 1차 디스플레이(2) 및 미디어 리시버(5)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러이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28)는 메인 튜너(22a) 및 서브 튜너(22b)의 양자의 선국 상태를 각각 제어하고, 제어를 위해 각 튜너의 현재의 선국 상태의 정보를 갖고 있다.
인터넷을 통하여 수취한 스트리밍 데이터 및 홈페이지 등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컨텐츠의 데이터가 LAN(31)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32)에 대해 공급된다. 신호 처리부(32)는 2개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33 및 34)가 버스 예를 들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35)에 접속되고, CPU로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36)가 브리지(37)를 통하여 PCI(35)에 접속된다.
신호 처리부(32)는, 입력된 스트리밍 데이터의 복호(예를 들면 MPEG4, Windows(등록상표) Media Player, RealVideo 등의 부호화의 복호)를 행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가 화상 처리부(25)에 공급되고, 1차 디스플레이(2)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1차 디스플레이(2)에서는 메인 튜너(22a) 및 디지털 튜너(23)의 각각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수취한 HTML 컨텐츠 및 스트리밍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2)는, 서브 튜너(22b) 및 디지털 튜너(23)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암호화하고, 또한, 암호화한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 하고,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하여 2차 디스플레이(3)에 송출한다.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수신한 스트리밍 컨텐츠를 2차 디스플레이(3)에서 표시할 때에는, 신호 처리부(32)에서는 복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스트리밍 압축 포맷으로 압축된 상태로, 즉, 스루로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하여 2차 디스플레이(3)에 대해 송출한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11)에서 수신된 2차 디스플레이(3)로부터의 리모트 콘트롤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1차 디스플레이측의 시스템 컨트롤러(28)에 대해 송출한다. 이 경우, 스트리밍 컨텐츠의 복호 처리는, 2차 디스플레이(3)에서 이루어진다.
2차 디스플레이(3)는, 액세스 포인트(11)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송수신기(41)를 가지며, 송수신기(41)에 대해 신호 처리부(42)가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42)는, 2차 디스플레이(3)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러(43)와 DSP(44)가 PCI(45)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42)에 대해, 표시 패널 예를 들면 LCD(46)와, LCD(46)의 화면에 적층된 투명한 터치 패널(47)과, 스피커(48)와, 메모리 카드(4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으로서의 배터리(50)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50)는, 예를 들면 받침대(도 1 참조) 내에 수납된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의 전원으로 충전된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42)는 액세스 포인트(11)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영상 신호를 복호하고,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 신호를 LCD(46)에 표시한다. 또한, 터치 패널(47)의 조작으로 발생한 리모트 콘트롤 신호, 커맨드 등을 1차 디스플레이(2)측에 송신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49)에 격납되어 있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복호하고, LCD(46)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표시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메인 튜너(22a)에서 복조된 베이스밴드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화상 처리부(25)에서 화질 개선의 처리 및 인터레이스·프로그레시브 변환의 처리를 받은 후에 DVI(26)를 통하여 표시 패널(21)에 대해 출력된다.
또한, 서브 튜너(22b)에서 복조된 베이스밴드 아날로그 신호는, 신호 처리부(32)에 공급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나서 MPEG2, MPEG4 등의 디지털 압축 포맷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 영상 신호가 암호화의 처리를 받고 나서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하여 무선 LAN으로 2차 디스플레이(3)에 대해 송신된다. 2차 디스플레이(3)의 신호 처리부(42)에서 암호화의 복호 및 신장 처리를 받고, LCD(46)에서 표시된다.
입력 소스가 디지털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디지털 튜너(23)에 디지털 방송 신호가 입력되고, 디지털 튜너(23)의 디지털 프런트 엔드 블록에서 복조된 후에 비디오 디코더(27)에서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복호된다.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화상 처리부(25) 및 DVI(26)를 통하여 표시 패널(21)에 표시된다.
비디오 디코더(27)로부터 출력되는 SD 신호 예를 들면 480I의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32)에 보내지고, 신호 처리부(32)에 의해 디지털 압축 포맷으로 압축되고, 암호화된다. 그리고,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11)로부터 2차 디스플레이(3)에 대해 송신된다. 또한, 입력 소스가 HD 신호인 경우에는, SD 신호 예를 들면 480I의 영상 신호로 다운 컨버트하고 나서 신호 처리부(32)에 대해 보낸다. 다운 컨버트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행하는 처리이다.
입력 소스가 인터넷으로부터의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에는, LAN(31)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신호 처리부(32)에 있어서, 스트리밍 압축 포맷(MPEG4, Windows(등록상표) Media Player, RealVideo 등)에 따라 스트리밍 디코드 처리가 이루어지고, 화상처리부(25) 및 DVI(26)를 통하여 표시 패널(21)에 대해 보내진다.
또한, 2차 디스플레이(3)에서 스트리밍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32)에서 디코드 처리를 받지 않고, 스트리밍 압축 포맷으로 압축된 상태로, 무선 LAN에 의해 2차 디스플레이(3)에 대해 송출된다. 그리고, 2차 디스플레이(3)의 신호 처리부(42)에 의해 스트리밍 압축의 복호 처리가 이루어지고, LCD(46)에 복호된 영상이 표시됨과 함께, 복호된 음성이 스피커(48)에 의해 재생된다. 이 처리에 의해 스트리밍 컨텐츠의 복호 및 재부호화의 처리에 의한 컨텐츠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하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저작권 보호가 이루어진다. 최초에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컨텐츠에 관해서는, 그 컨텐츠가 아날로그 카피를 제한하는 것이라면, 2차 디스플레이(3)에 송출하기 전에 신호 처리부(32)에 있어서 디지털 압축하고, 또한, 컨텐츠 보호 대책으로서 암호화 방법 예를 들면 3DES(Data Encryption Standard),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등에 의해 암호화한다. 예를 들면 매크로 비전 방식의 카피 제한 신호가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해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카피가 제한된다.
또한, 전송계의 보호 대책으로서, 무선 LAN의 전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암호화 방법으로 전송로상의 암호화를 행한다. 예를 들면 RC4((Rivest Cipher) 4 Stream Cipher)가 무선 LAN(IEEE802.11)에 있어서 사용되고, 암호 키의 생성 알고리즘으로서 WEP(Wired Equivalent Privacy protocol)가 사용된다. WEP에서는, IV(Initial Vector)와 공통 키로부터 암호 키를 생성하고, 네트워크의 패킷이 암호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보호 대책의 제 1의 암호화와, 전송계의 보호 대책의 제 2의 암호화를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컨텐츠에 대해 행한다.
2차 디스플레이(3)측에서는, 1차측과 통신상에서 인증을 행한 다음, 무선 LAN의 송수신기(41)에서 전송로상의 암호화를 복호하고, 또한, 신호 처리부(42)에서, 컨텐츠 보호용의 암호화를 복호하도록 이루어진다. 2차 디스플레이(3)가 아날로그 녹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매크로 비전 신호를 검출함에 의해 녹화 전에 녹화 제한을 걸 수 있다. 또한, 2차 디스플레이(3)가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를 갖는 경우에는, 매크로 비전 신호를 부가한 채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함에 의해 외부의 기록 기기에 대해 마찬가지로 카피 제한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방송 신호의 컨텐츠에 관한 저작권 보호에 관해 설명한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디지털 튜너(23)가 마련되어 있는 예이다. 이 예에서는, 저작권 보호의 기능을 갖는 컨디셔널 액세스의 기구가 하나(구체적으로는, IC 카드가 1장)이고, 디지털 튜너(23)에서 암호화가 복호된 데이터가 비디오 디코더(27)를 통과하여 1차 디스플레이(2)에 출력된다. 컨디셔널 액세스의 기구는 디지털 튜너의 수에 의존한다. 다른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1차 디스플레이(2) 및 2차 디스 플레이(3)에서 동시에 시청하기 위해, 각각이 컨디셔널 액세스의 기구를 갖는 2개의 디지털 튜너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신호의 컨텐츠를 2차 디스플레이(3)로 시청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압축된 채의 신호를 2차 디스플레이(3)에 송출하지 않고, 일단 비디오 디코더(27)에서 복호한 아날로그 신호를 신호 처리부(32)에 공급하고, 신호 처리부(32)에 있어서, 가정 내의 전송에 적합한 압축 방식으로 재부호화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저작권 보호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보호를 위한 암호화와, 전송 보호를 위한 암호화의 이중 암호화를 시행하고 2차 디스플레이(3)에 송출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HD 컨텐츠인 경우에는 48OI의 SD 컨텐츠로 다운 컨버트되어 2차 디스플레이(3)에 송출되기 때문에, 가령 암호가 해독되더라도 HD 컨텐츠의 저작권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 리시버(5)(1차 디스플레이(2)) 및 2차 디스플레이(3)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높은 안전성으로서 할 수 있다.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관련 정보 예를 들면 드라마에 관한 줄거리, 출연자 등을 인터넷상의 소정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사이트에서 열람 가능하게 되어 있다. 1차 디스플레이측의 미디어 리시버(5)의 시스템 컨트롤러(28)는 메인 튜너(22a)를 제어하기 위해 메인 튜너(22a)의 현재의 선국 상태에 관한 선국 정보를 갖고 있다. 이 선국 정보가 2차 디스플레이(3)의 신호 처리부(42)의 시스템 컨트롤러(43)에 대해 송출된다.
2차 디스플레이(3)에는, 인터넷 정보의 열람 및 표시를 위한 브라우저와, 방 송프로그램 및 URL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가 탑재되어 있다. 1차 디스플레이(5)로부터 수취한 선국 정보 예를 들면 선국 채널과 현재 시각의 정보로부터 시청중 방송프로그램을 알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방송프로그램의 관련 사이트의 URL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10)을 통하여 그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시청중 방송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2차 디스플레이(3)에 표시한다. 즉, 1차 디스플레이의 대형의 표시 패널(21)에 방송프로그램을 표시하면서, 2차 디스플레이(3)의 LCD(46)에 시청중 방송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의 화면에는 관련 정보를 표시하지 않아, 관련 정보에 의해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이 방해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바로 옆의 LCD(46)에서 관련 정보를 보기 때문에 작은 문자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중에 포함되는 관련 정보의 액세스에 필요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신호에 의거하여 관련 정보의 사이트에 액세스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방송프로그램 송출시에 트리거가 되는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고, 이 데이터 신호를 검출함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련되는 사이트의 URL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시청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선택이나, 인터넷의 컨텐츠의 선택은 터치 패널(47)을 사용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의해 이루어진다. 터치 패널(47)에서는 터치 및 릴리스 조작, 즉, 1회의 조작으로 소망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다.
도 3은, 터치 패널(47)의 우측의 센서부(51b)에 손가락(52)(또는 터치 펜)이 터치한 때에 표시되는 피선택 표시 예를 들면 메뉴 표시(54)를 도시한다. 센서부(51b)에 터치한 채로 손가락(52)을 아래위로 움직이면, 손가락(52)과 거의 같은 높이의 메뉴 항목만이 하이라이트된다. 도 3에서는 메뉴 항목의 채널 리스트가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메뉴 항목의 위치에서 손가락(52)이 릴리스되면, 그 메뉴 항목이 선택된다.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 3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메뉴 표시(54)가 표시되는 경우에, 터치 패널(47)의 표시·센서부(51a)에는 2차 디스플레이(3)의 LCD(46)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52)의 위치가 센서부(51b) 위이지만, 옆에 메뉴 항목이 없는 위치의 경우에는 메뉴 항목이 하이라이트되지 않는다. 즉, 6개의 메뉴 항목이 배열된 범위 이외의 상(上) 또는 하측의 영역에 터치하였을 때는 인접하는 버튼이 없기 때문에, 어느 버튼도 하이라이트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센서부(51b)로부터 손가락을 뗀 경우에는, 선택 행위가 취소된 것이라고 판단되어 처리가 종료되고,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메뉴 표시(54)의 표시가 계속한다.
또한, 손가락(52)을 LCD(46)의 표시면과 거의 같은 크기의 표시·센서부(51a)로 비켜 놓은 경우에는 선택 행위가 취소된 것이라고 판단되어, 처리가 종료되고, 메뉴 표시(54)의 표시가 사라진다. 이 경우는, 그 후에 손가락(52)을 터치 패널(47)로부터 떼어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다.
도 4는, 「텔레비전 채널 리스트」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55)의 일예이다. 지상파, BS, CS, 입력 (비디오 1 내지 비디오 4)의 채널이 LCD(46)에 표시되고, 터치 패널(47)의 표시·센서부(51a)에 의해 소망하는 채널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의 채널 리스트는, 예를 들면 1차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리스트의 표시이다.
도 5는, 「채널 리스트」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56)의 일예이다. 이것은, 2차 디스플레이(3)에서 시청 가능한 모든 컨텐츠의 리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텔레비전 방송의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텔레비전의 채널 및 비디오 입력에 더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되는 뉴스,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수신되는 스트리밍 컨텐츠 등의 채널이 LCD(46)에 표시되고, 터치 패널(47)의 표시·센서부(51a)에 의해 소망하는 채널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의 표시(56)의 예와 같이, 2차 디스플레이(3)의 LCD(46)상에 수신 가능한 소스의 모든 리스트를 일원(一元) 표시함에 의해 텔레비전 방송 및 인터넷을 구별하지 않고, 하나의 선택 조작에 의해 소망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환언하면, 방송 컨텐츠와, 동화상이나 정지화상 등의 화상 및 음성을 포함한 네트워크 전송 컨텐츠를 끊김없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TV 리모트 콘트롤」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57)의 일예이다. LCD(46)의 화면에 리모트 콘트롤용의 버튼이 표시되고, 터치 패널(47)의 표시·센서부(51a)에 있어서, 소망하는 버튼을 누름에 의해 1차 디스플레이(2) 및 미디어 리시버(5)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모트 콘트롤용의 버튼은 텐 키, 음량 증감, 채널 전환 등의 버튼이다. 이와 같이, 2차 디스플레이(3)가 리 모트 컨트롤의 커맨더로서의 기능을 갖음에 의해 별개로 커맨더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커맨더가 가정 내에서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 디스플레이(2)의 리모트 컨트롤 이외에 녹화 기기 등의 AV 기기의 리모트 컨트롤의 모드를 준비하여도 좋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메모리 스틱(상품명)」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인터넷」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 및 「셋업」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 따른 표시가 LCD(46)상에 표시된다.
상술한 2차 디스플레이(3)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 채널 리스트의 화면, 리모트 컨트롤의 커맨더 등의 GUI용의 조작 화면은 일예이고,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한 실시 형태로서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유저의 기호에 맞추어 좋아하는 GUI용의 조작 화면을 시스템 전용의 서비스용의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네트워크 이외에 CD-ROM, DVD,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의해 좋아하는 GUI용의 조작 화면을 2차 디스플레이(3)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인스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GUI용의 조작 화면의 버젼 업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GUI용의 조작 화면을 유저의 기호에 맞추어 변경함에 의해 기기를 다시 사들이는 일 없이, 유저에 있어서 가장 이용하기 쉬운 GUI가 제공되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1차 디스플레이(2)에 의해 시청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국 조작의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디스플레이(3)에 의해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여 시청하는 컨텐츠를 지시하는 조 작이고, 다른 것은, 2차 디스플레이(3)에 표시한 리모트 컨트롤의 화면을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별개의 커맨더의 조작에 의해 선국 조작을 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 시청하고 싶은 컨텐츠를 찾기 위해, 대형의 1차 디스플레이(2)를 리모트 컨트롤의 커맨더로 제어하고, 채널의 전환을 빈번하게 행하면, 영상 및 음성이 번잡하게 전환되어, 본인 및 다른 시청자가 불쾌하다고 느끼는 일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술한 선국 조작 외에 방송프로그램 인덱스 지시의 선국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송프로그램 인덱스 지시의 선국 조작에서는 2차 디스플레이(3)에 의해 시청 가능한 채널의 컨텐츠의 내용을 일람 표시하고, 일람 표시에 의해 시청하는 채널을 결정하고, 그 후에 결정한 채널이 1차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방송프로그램 인덱스 지시의 선국 조작을 시계열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대략 선도이다. 최초에 2차 디스플레이(3)에서의 유저의 조작에 의해 방송프로그램 인덱스 지시의 커맨드를 발생하고, 커맨드를 무선 LAN을 통하여 1차 튜너(2)의 시스템 컨트롤러(28)에 대해 전송한다(스텝 S1).
시스템 컨트롤러(28)는, 서브 튜너(22b)에 대해 서브 튜너(22b)가 순차적으로 선국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서브 튜너(22b)에서 수신한 신호가 신호 처리부(32)에 공급된다. 신호 처리부(32)는 서브 튜너(22b)가 차례로 선국한 각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으로부터 1매의 정지화상을 포착한다. 포착한 정지화상(인덱스 화상이라고 칭한다)이 신호 처리부(32)에서 압축 예를 들면 추출에 의한 축소화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부호화에 따른 압축이 이루어진다. 1회의 순차 선국으로 각 채널로부터 1장씩 인덱스 화상이 포착된다. 보정된 인덱스 화상은 2회째의 순차 선국 동작에 의해 새로운 인덱스 화상이 포착될 때까지 보존된다.
1차 디스플레이측의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하여 2차 디스플레이측으로 압축 인덱스 화상이 무선으로 송신된다(스텝 S2). 2차 디스플레이(3)에서는 송수신기(41)에서 수신한 압축 인덱스 화상을 신호 처리부(42)에서 신장한다. 신장된 인덱스 화상이 LCD(46)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3×4의 12분할 화면으로서 최대 12개(즉, 12 채널)의 인덱스 화상이 표시된다. 도 7의 예에서는 제 1번째의 채널부터 도 8번째의 채널의 인덱스 화상이 LCD(46)상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유저가 인덱스 표시를 보면서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소망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인덱스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터치 패널(47)상의 위치를 터치함에 의해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이 결정된다. 도 7에서는, 제 7번째의 채널이 선택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선택 지시가 송수신기(41) 및 액세스 포인트(11)를 통과하여 무선으로 1차 디스플레이측으로 송신된다(스텝 S3).
1차 디스플레이측의 시스템 컨트롤러(28)는, 2차 디스플레이(3)로부터의 선택 지시의 신호를 수취하고, 메인 튜너(22a)가 지시된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제 7번째의 채널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튜너(22a)가 제 7번째의 채널을 수신한다. 메인 튜너(22a)의 수신 신호가 화상 처리부(25) 등에 서 처리되고, 1차 디스플레이(2)에는 제 7번째의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이 표시된다.
또한, 디지털 튜너(23)의 출력을 1차측에서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디지털 튜너(23)에 순차 선국 동작을 행하게 하고, 각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인덱스 화상을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수취한 스트리밍 컨텐츠로부터 생성한 인덱스 화상을 2차 디스플레이(3)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인덱스 화상은 정지화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시간의 동화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MPEG4 등의 동화상용의 부호로 압축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인덱스 표시에 의해, 1차 디스플레이에 의해 시청 가능한 모든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을 일원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그 중에서 희망하는 방송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1차 디스플레이측에서 채널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방송중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을 조사할 필요가 없어지고, 빈번하게 채널을 전환함에 의해 불쾌감이 생기는 일이 없어지며, 유저의 선국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은, 특히 수신 가능한 방송 채널 수가 많은 경우나,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 가능한 경우에 크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터치 패널(47)상에서 손가락(52)을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는 조작(스로의 경우), 손가락(52)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조작(캐치의 경우), 손가락(52)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고, 계속해서, 손가락(52)을 아래에서 위로 작동시키는 조작(스왑의 경우)에 의해 소망하는 표시 화상의 전환 처리의 지시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리모트 콘트롤 화면 등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 조작에 의해 이들의 표시 화상의 전환을 위한 지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로란, 2차 디스플레이(3)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을 1차 디스플레이(2)에 표시하는 처리이다. 캐치란, 1차 디스플레이(2)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을 2차 디스플레이(3)에 표시하는 처리이다. 스왑이란, 1차 디스플레이(2)의 표시와 2차 디스플레이(3)의 표시를 교체하는 처리이다. 이와 같은 표시 화상의 변경처리는, 2차 디스플레이(3)로부터의 커맨드를 1차 디스플레이(2)측에 송신하고, 메인 튜너(22a) 및 서브 튜너(22b)를 시스템 컨트롤러(28)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튜너의 제어에 의해 1차 디스플레이(2)의 표시 패널(21)과 2차 디스플레이(3)의 LCD(46)의 사이에서, 마치 컨텐츠를 쌍방향으로 교환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주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화상 표시의 교체의 처리를 실현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1차 디스플레이(2)측의 시스템 컨트롤러(28)가 메인 튜너(22a) 및 서브 튜너(22b)의 선국 상태를 제어한다. 메인 튜너(22a)의 수신 신호가 1차 디스플레이(2)에서 표시되고, 서브 튜너(22b)의 수신 신호가 2차 디스플레이(3)에서 표시된다.
2차 디스플레이(3)에 있어서, 터치 패널(47)상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스로의 커맨드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시스템 컨트롤러(28)에 주면, 시스템 컨트롤러(28)가 메인 튜너(22a)의 선국 정보를 서브 튜너(22b)의 선국 정보와 동일하게 한다. 그 결과, 2차 디스플레이(3)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이 1차 디스플레이(2)에 표시된다.
캐치의 커맨드가 2차 디스플레이(3)에서 발생하면, 시스템 컨트롤러(28)가 서브 튜너(22b)의 선국 정보를 메인 튜너(22a)의 선국 정보와 동일하게 한다. 그 결과, 1차 디스플레이(2)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이(2) 2차 디스플레이(3)에 표시된다.
또한, 스왑의 커맨드가 2차 디스플레이(3)에서 발생하면, 시스템 컨트롤러(28)가 메인 튜너(22a)의 선국 정보와 서브 튜너(22b)의 선국 정보를 교체한다. 그 결과, 1차 디스플레이(2)에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과 2차 디스플레이(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교체된다.
도 9는, 방송 컨텐츠가 아니라,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수신한 스트리밍 컨텐츠에 관해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 조작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브로드밴드 접속 및 LAN(31)을 통하여 수신된 스트리밍 컨텐츠가 스위치(SW)에 입력된다. 입력을 인터넷으로 전환하고, 스트리밍 컨텐츠를 선택하면, 우선, 인터넷으로부터의 스트리밍 신호가 스위치(SW)와 액세스 포인트(11)를 통하여 복호되지 않고 무선으로 2차 디스플레이에 전송된다. 2차 디스플레이(3)의 신호 처리부(42)에서 스트리밍 압축이 복호되고, 2차 디스플레이(3)에 의해 영상 및 음성을 시청할 수 있다.
2차 디스플레이(3)로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때에, 스로의 처리가 가능하다. 2차 디스플레이(3)에 있어서, 터치 패널(47)상의 조작 등으로 스로의 커맨드를 1차 디스플레이측의 시스템 컨트롤러(28)에 보내면, 시스템 컨트롤러(28)가 스위치(SW)를 1차측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신호 처리부(32)의 DSP(33 및 34)에 제어 신호를 보냄에 의해 수신한 스트리밍 신호의 복호 처리를 시작한다. 복호된 스트리밍 컨텐츠를 1차 디스플레이(2)에 의해 시청할 수 있다.
1차 디스플레이(2)에서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때에, 캐치의 처리가 가능하다. 2차 디스플레이(3)에 있어서 캐치의 커맨드를 발생하면, 시스템 컨트롤러(28)가 스위치(SW)를 2차측으로 전환하고, 복호하지 않은 스트리밍 신호가 무선으로 2차 디스플레이(3)에 송출된다. 2차 디스플레이(3)의 신호 처리부(42)에 의해 스트리밍 컨텐츠가 복호되고, 스트리밍 컨텐츠를 2차 디스플레이(3)로 시청할 수 있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스트리밍 컨텐츠의 입력밖에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왑을 실현할 수 있지 않다. 그러나, 2 이상의 스트리밍 컨텐츠의 입력을 갖는 구성으로 하면, 스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수취한 스트리밍 컨텐츠를 1차 디스플레이와 2차 디스플레이의 사이에서, 즉석에서 교체하여 즐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1차 디스플레이(2) 및 2차 디스플레이(3) 사이를 무선으로 한하지 않고 유선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Claims (15)

1차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방송 및 인터넷의 쌍방을 수신, 시청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및 이 텔레비전 수신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2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압축 부호화하여 상기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의 경우에는 디지털 압축되어 있는 신호를 복호하여 상기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복호된 아날로그 신호를 재부호화하여 상기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하고,
인터넷 수신의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서 수신 신호를 복호하지 않고 상기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며,
상기 2차 디스플레이는, 방송 및 인터넷으로부터 얻어지며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될 수 있는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 화상을 표시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2차 디스플레이에 송신되는 컨텐츠 신호에 대해, 송수신을 위한 암호화와 컨텐츠 보호를 위한 암호화를 2중으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서 수신중 방송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방송프로그램을 상기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취득한 상기 관련 정보를 텔레비전 수신 장치로부터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하여 2차 디스플레이에 표시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스플레이상에는, 텔레비전 방송 컨텐츠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취득한 컨텐츠의 표시와, 상기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리모트 컨트롤하기 위한 커맨더용 표시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커맨더용 표시에 의거하여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더용 표시의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더용 표시의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가 기록 매체를 통하여 인스톨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스플레이상에는, 텔레비전 방송 컨텐츠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취득한 컨텐츠의 표시와, 선택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의 표시가 이루어지고, 커맨더용 표시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더용 표시 또는 상기 선택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의 표시의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더용 표시 또는 상기 선택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 표시의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가 기록 매체를 통하여 인스톨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2 이상의 튜너와, 상기 튜너의 선국 상태를 접속하는 컨트롤러를 가지며,
상기 2차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2 이상의 튜너의 선국 상태가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발생한 커맨드에 응답하여, 1차 디스플레이와 2차 디스플레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에 대해, 취득한 인터넷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스플레이상에, 방송중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포착하고, 포착한 방송프로그램의 인덱스 화상의 일람을 분할 화면으로 표시하고,
표시된 인덱스 화상의 일람상에서 소망하는 인덱스 화상을 지시한 방송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신 장치측에서 선국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차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방송 및 인터넷의 쌍방을 수신, 시청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및 이 텔레비전 수신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2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수신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압축 부호화하여 상기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의 경우에는 디지털 압축되어 있는 신호를 복호하여 상기 1차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할 때에는 복호된 아 날로그 신호를 재부호화하여 상기 2차 디스플레이에 송출하고,
인터넷 수신의 경우에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복호하지 않고 상기 2차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방송 및 인터넷의 쌍방을 수신, 시청할 수 있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를 리모트 컨트롤하기 위한 커맨더용 표시가 가능하게 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커맨더용 표시에 의거하여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가 선택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가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고,
아날로그 방송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수신 영상 신호는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수신 영상 신호가 상기 표시 수단에 전송될 때, 디지털적 압축 부호화되어 상기 표시 수단에 전송되고,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디지털 압축 신호가 복호되어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 수단에 전송될 때, 복호 아날로그 신호가 다시 부호화되어 상기 표시 수단에 전송되며,
인터넷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수신 신호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서 복호되지 않고 상기 표시 수단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에서 수신중 방송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취득한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KR1020057003793A 2003-07-07 2004-07-06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 KR101032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1287A JP4352797B2 (ja) 2003-07-07 2003-07-07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JP-P-2003-00271287 2003-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308A KR20060027308A (ko) 2006-03-27
KR101032802B1 true KR101032802B1 (ko) 2011-05-04

Family

ID=3356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793A KR101032802B1 (ko) 2003-07-07 2004-07-06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01212B2 (ko)
EP (1) EP1643759A4 (ko)
JP (1) JP4352797B2 (ko)
KR (1) KR101032802B1 (ko)
CN (1) CN100388765C (ko)
WO (1) WO2005004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5927B2 (ja) * 2005-07-27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メニュー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593433B2 (ja) * 2005-10-13 2010-12-08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録画用モニター装置及び録画用モニター方法
US20070101380A1 (en) * 2005-10-28 2007-05-03 Szolyga Thomas H Consolidated content apparatus
KR100869507B1 (ko) * 2006-04-27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JP2008042294A (ja) * 2006-08-02 2008-02-21 Hitachi Ltd 放送受信装置
JP5265860B2 (ja) * 2006-09-05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US8607281B2 (en) 2006-09-07 2013-12-10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in multiple zon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319741B2 (en) 2006-09-07 2016-04-19 Rateze Remote Mgmt Llc Finding devi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US9233301B2 (en) 2006-09-07 2016-01-12 Rateze Remote Mgmt Llc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from multiple sourc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935733B2 (en) * 2006-09-07 2015-01-13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Data presentation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966545B2 (en) * 2006-09-07 2015-02-24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necting a legacy device into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386269B2 (en) 2006-09-07 2016-07-05 Rateze Remote Mgmt Llc Presentation of data on multiple display devices using a wireless hub
KR100765888B1 (ko) 2006-09-29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JP4888057B2 (ja) 2006-11-01 2012-02-29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000474B1 (en) 2006-12-15 2011-08-16 Quiro Holdings, Inc. Client-side protection of broadcast or multicast content for non-real-time playback
US8135947B1 (en) 2007-03-21 2012-03-13 Qurio Holdings, Inc. Interconnect device to enable compliance with rights management restrictions
US8744081B2 (en) 2007-03-22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ontent protection in a wireless digital system
US9191605B1 (en) * 2007-03-26 2015-11-17 Qurio Holdings, Inc. Remote monitoring of media content that is associated with rights management restrictions
US7895442B1 (en) 2007-06-18 2011-02-22 Qurio Holdings, Inc. Interconnect device to enable compliance with rights management restrictions
US10580459B2 (en) * 2007-08-23 2020-03-0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Dynamic media interaction using time-based metadata
US8781127B2 (en) * 2008-09-05 2014-07-15 Vixs Systems, Inc. Device with privileged memory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1510892B1 (ko) * 2008-10-17 2015-04-1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통합 멀티뷰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45188A (ko) * 2008-10-23 2010-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EP2312431B1 (en) * 2009-09-24 2015-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adjusting image-quality
US20110069043A1 (en) * 2009-09-24 2011-03-24 Jong Ha Lee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EP2485483A1 (en) * 2009-09-29 2012-08-08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9264785B2 (en) 2010-04-01 2016-02-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dia fingerprinting for content determination and retrieval
US9832441B2 (en) 2010-07-13 2017-11-2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upplemental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9814977B2 (en) 2010-07-13 2017-11-1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upplemental 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9159165B2 (en) 2010-07-13 2015-10-1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Position-dependent gaming, 3-D controller, and handheld as a remote
US8730354B2 (en) 2010-07-13 2014-05-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Overlay 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9143699B2 (en) 2010-07-13 2015-09-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Overlay non-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GB2489688A (en) * 2011-04-01 2012-10-10 Ant Software Ltd Television receiver with single demultiplexer to serve a local display and wirelessly connected display
US8929922B2 (en) 2011-06-03 2015-01-06 Airborne Media Group, Inc. Mobile device for venue-oriented communications
US9357141B2 (en) * 2011-06-15 2016-05-31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live TV production
US8959562B2 (en) * 2013-02-26 2015-02-17 Roku,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cond screen engagement
JP6051190B2 (ja) * 2014-10-20 2016-12-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操作を行うための端末装置、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テレビ操作方法
US9313552B1 (en) 2015-04-30 2016-04-12 Ecopro Ic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JP5866046B1 (ja) * 2015-05-01 2016-02-17 エコプロ アイシーティー インク 地上波放送信号中継装置及び方法
JP5866047B1 (ja) * 2015-05-01 2016-02-17 エコプロ アイシーティー インク 地上波放送信号中継装置の設置方法
JP6634732B2 (ja) 2015-08-18 2020-01-22 株式会社リコー 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73758B1 (ko) 2016-08-24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737A (ko) * 1998-04-21 1999-11-25 포만 제프리 엘 텔레비젼컴패니언장치를이용하여정보스트림의일부를선택,억세스및시청하기위한시스템및방법
US6263503B1 (en) * 1999-05-26 2001-07-17 Neal Margulis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wireless tele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198A (ja) 1992-10-26 1994-05-20 Hitachi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それを構成する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記録再生装置
US6973669B2 (en) * 1993-03-29 2005-12-06 Microsoft Corporation Pausing television programming in response to selection of hypertext link
JP3729529B2 (ja) 1994-10-28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信号送受信システム
US5557338A (en) * 1995-04-05 1996-09-1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ing received channel guide information and a secondary video signal processor for displaying secondary channel information
JPH08307728A (ja) 1995-05-02 1996-11-22 Sony Corp 電子機器、情報表示方法、リモートコマンダ、および遠隔制御方法
US6707503B1 (en) * 1995-07-27 2004-03-16 Hitachi, Ltd.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phase of sampling clocks
US5929849A (en) * 1996-05-02 1999-07-27 Phoenix Technologies, Ltd. Integration of dynamic universal resource locators with television presentations
JP3861939B2 (ja) * 1997-03-13 2006-12-2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リスト制御装置
US6020930A (en) * 1997-08-28 2000-02-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broadcast system program guide
JPH11196345A (ja) 1997-10-07 1999-07-21 Masanobu Kujirada 表示システム
JPH11191869A (ja) 1997-12-25 1999-07-13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US6460181B1 (en) * 1997-12-29 2002-10-01 Starsight Telecast, Inc. Channels and services display
US6104334A (en) * 1997-12-31 2000-08-15 Eremote, Inc. Portable internet-enabled controller and information browser for consumer devices
US6816201B1 (en) * 1998-01-13 2004-11-09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XDS enhancement system
TW475140B (en) * 1998-04-29 200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alog/digital display adapter and a computer system having the same
US6115080A (en) * 1998-06-05 2000-09-05 Sarnoff Corporation Channel selection methodology in an ATSC/NTSC television receiver
US6496122B2 (en) * 1998-06-26 2002-12-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wo distinct images
JP2000044198A (ja) * 1998-07-30 2000-02-15 Aichi Corp 作業車の格納規制装置
JP2000059704A (ja) 1998-08-07 2000-02-25 Sharp Corp 番組予約装置
US6437836B1 (en) 1998-09-21 2002-08-20 Navispace, Inc. Extended functionally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20030074672A1 (en) * 1998-09-22 2003-04-17 John Daniels Multiuser internet gateway system
US6658620B1 (en) 2000-01-11 2003-12-02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Burst and packet wireless transmission using product codes with iterative decoding
US8151306B2 (en) * 2000-01-14 2012-04-03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including home gateway and headend, either or both of which have digital video recording functionality
US6857132B1 (en) * 2000-01-14 2005-02-15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Head end multiplexer to select and transmit video-on-demand and other requested programs and services
JP2001203908A (ja) 2000-01-19 2001-07-27 Sony Corp 情報端末機器、受信装置および情報送受信方法
AU2001238604A1 (en) 2000-02-22 2001-09-03 Roy M. Mankovitz Portable electronic audio-visual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cellular networkarchitecture
JP2002111615A (ja) * 2000-10-03 2002-04-12 Sharp Corp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US6717622B2 (en) * 2001-03-30 2004-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resolution enhancement of a video image
JP2003018148A (ja) * 2001-07-05 2003-01-17 Toshiba Corp 無線データ通信装置及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US7386870B2 (en) * 2001-08-23 2008-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oadcast video channel surfing system based on internet streaming of captured live broadcast channels
JP2003134511A (ja) 2001-10-23 2003-05-09 Sharp Corp 画像送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伝送システム
JP2003244570A (ja) 2002-02-21 2003-08-29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システム
JP4266096B2 (ja) * 2002-03-26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イル保管システムとnasサーバ
US20030202006A1 (en) * 2002-04-30 2003-10-30 Callway Edward G. Set top box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to facilitate display of locally sourced display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737A (ko) * 1998-04-21 1999-11-25 포만 제프리 엘 텔레비젼컴패니언장치를이용하여정보스트림의일부를선택,억세스및시청하기위한시스템및방법
US6263503B1 (en) * 1999-05-26 2001-07-17 Neal Margulis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wireless tele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3472A1 (en) 2006-03-09
JP2005033572A (ja) 2005-02-03
JP4352797B2 (ja) 2009-10-28
US8201212B2 (en) 2012-06-12
KR20060027308A (ko) 2006-03-27
CN1701600A (zh) 2005-11-23
CN100388765C (zh) 2008-05-14
WO2005004468A1 (ja) 2005-01-13
EP1643759A4 (en) 2006-07-05
EP1643759A1 (en)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02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
KR101133824B1 (ko)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JP4125525B2 (ja) 2つの独立したチャンネルをirdを用いて視聴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278379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60046640A (ko)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수상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3609663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JP2000224504A (ja) 番組表示・選択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JP6489682B2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15486A (ja) 放送受信装置
JP4950412B2 (ja) 受信装置
JP3873942B2 (ja) 表示装置用置き台および受信装置
EP1725030A2 (en) Method of providing time shift function in audio/video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03283350A (ja) 放送受信装置
JP2016116081A (ja) 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KR100565788B1 (ko)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에 의한 방송신호 제어방법
JP2004128884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10005690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키패널 터치 스크린 구현 방법
KR20090078450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부가정보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