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113B1 -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 Google Patents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113B1
KR101032113B1 KR1020090022313A KR20090022313A KR101032113B1 KR 101032113 B1 KR101032113 B1 KR 101032113B1 KR 1020090022313 A KR1020090022313 A KR 1020090022313A KR 20090022313 A KR20090022313 A KR 20090022313A KR 101032113 B1 KR101032113 B1 KR 10103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fixing
fixed
fram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122A (ko
Inventor
임상수
임거수
임동수
Original Assignee
임상수
임동수
임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수, 임동수, 임거수 filed Critical 임상수
Priority to KR102009002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1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3Squa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의 중심을 낮추고 어깨높이의 변화를 적게 하며 보행연습이나 주행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뒷바퀴와 하나의 앞바퀴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뒷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사람이 다리를 굽히게 어깨를 걸어주는 어깨 걸이구를 구비하며, 상기 사람의 허리를 양측에서 받쳐주는 허리 받침구를 구비하고, 상기 앞바퀴를 회전시키는 방향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사람이 뒷바퀴 사이에서 어깨 걸이구에 어깨를 걸으면 자연스럽게 다리가 굽혀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허리 받침구를 이용하여 허리를 받친 상태에서 3개의 바퀴를 밀면서 걷거나 뛰도록 함으로써 저 자세로 주행하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저 자세, 운동, 연습, 무릎 굽힘

Description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Low posture running exerciser}
본 발명은 몸의 중심을 낮추고 어깨높이의 변화를 적게 하며 보행연습이나 주행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어려서부터 중력을 이기며 일어서는 것을 배우고, 균형을 잡아가며 걸어가는 것을 배우게 되며, 걷기 위해서는 몸을 앞으로 쓰러뜨려 앞으로 나아가고 한발을 앞에 내디뎌 균형을 잡고, 뒷발로 몸을 들어 중심을 앞발 위로 넘기게 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사람은 걷거나 뛸 때 몸의 상하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상하 운동은 상당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걷거나 뛸 때 힘이 드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빠르게 걷거나 뛰기 위해서는 다리를 굽혀 지면을 밀어주는 힘을 강하게 해 주어야 하고, 다리를 굽힌 상태로 지면을 박차게 되면 다리가 펴지면서 자연스럽게 몸은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다시 다른 쪽 다리를 굽혀 지면을 박차게 되면서 걷거나 뛰게 된다.
또한 순발력을 필요로 하는 운동선수는 서 있을 경우 곧바로 움직이지 못하고, 반드시 다리를 굽히는 예비동작을 취한 후 다리를 펼쳐 원하는 방향으로 몸을 이동하게 되므로, 다리를 편 상태로 서있게 되면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약 10cm 정도 몸을 낮추게 되고, 이와 같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리를 굽히는 동작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는 약 0.14초의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결국 순발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이 같이 사람이 걷거나 뛰기 위해서는 다리를 굽히고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며, 특히 걷거나 뛸 때 몸이 상하 운동을 하게 되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와 함께 순발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평상시 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몸을 상하 운동시키지 않고 걷거나 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대한 힘은 덜 들게 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를 굽힌 채로 걷거나 뛸 수 있도록 연습시키는 저 자세 주 보행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다리를 굽힌 채로 걷거나 뛸 수 있도록 연습을 함으로써 평상시 다리를 굽힌 채로 몸을 상하 이동시키지 않고 걷도록 하여 힘을 덜 들이고 걷도록 하는 한편 순발력을 요구하는 운동을 할 때 무릎을 굽히는 예비동작을 취하지 않아 빠른 순발력을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뒷바퀴와 하나의 앞바퀴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뒷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사람이 다리를 굽히게 어깨를 걸어주는 어 깨 걸이구를 구비하며, 상기 사람의 허리를 양측에서 받쳐주는 허리 받침구를 구비하고, 상기 앞바퀴를 회전시키는 방향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사람이 뒷바퀴 사이에서 어깨 걸이구에 어깨를 걸으면 자연스럽게 다리가 굽혀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허리 받침구를 이용하여 허리를 받친 상태에서 3개의 바퀴를 밀면서 걷거나 뛰도록 함으로써 저 자세로 주행하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어깨 걸이구에 어깨를 끼우고 허리를 받친 상태에서 3개의 바퀴를 밀면서 걷거나 뛰게 하는 것으로, 상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상하 움직임을 방지하며 걷거나 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리를 굽힌 상태로 걸을 수 있어 힘들이지 않고 걸을 수 있으며, 다리를 굽힌 상태로 뛸 수 있어 순발력 있는 움직임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몸을 상하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걸을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항시 다리를 굽힌 상태로 뛸 수 있는 초기동작을 갖추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순발력을 필요로 하는 운동을 할 때 초기 움직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발 자전거와 같이 2개의 뒷바퀴와 1개의 앞바퀴가 회전되게 결합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과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어깨에 걸어주는 어깨 걸이구가 구비된 어깨 걸음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어깨 걸음장치의 하측으로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과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허리를 받쳐주는 허리 받침구가 구비된 허리 받침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사람이 뒷바퀴 사이에 서서 어깨 걸이구에 어깨를 끼워주되 상기 어깨 걸이구의 높낮이와 전후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어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허리 받침구를 이용하여 양측에서 허리를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허리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한 후 걷거나 달리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다리를 굽힌 채로 지면을 박차게 되나 다리를 상측으로 펴지 못하고 앞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다리를 굽힌 채로 걷거나 달리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어깨 걸이구에 어깨를 끼운 상태에서 몸을 상측으로 들어주게 되면, 프레임과 바퀴 등을 모두 들어주어야 하므로 쉽게 들어줄 수 없고, 바퀴를 전방으로 굴릴 수 있는 상태 즉 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전방으로 펼쳐주고 다시 굽혔다가 펼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리를 굽힌 상태의 주행이나 보행이 가능하도록 연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3발 자전거와 같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ㄷ자 형태를 갖는 프레임(10)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후방에는 뒷바퀴(20)를 설치하는 한편 프레임(10)의 중앙 전방으로 앞바퀴(30)를 설치하고, 상기 앞바퀴(30)는 핸들축(31)을 이용하여 방향 조절이 이루어지게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상 측으로 어깨 걸음장치(100)를 설치하는 한편 그 하측으로 허리 받침장치(200)를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양측 후방으로 뒷바퀴(20)가 회전 되게 결합되고, 중앙 전방에는 앞바퀴(30)가 회전 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으로는 어깨 걸음장치(100)를 결합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11)(12)이 형성되는 한편 후방에는 허리 받침장치(200)를 결합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13)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한다.
본 발명의 어깨 걸음장치(100)는 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1)에 끼워지는 수직바(110)를 구비하되 상기 수직바(110)의 상측은 고정바(120)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프레임(12)에 나사봉(130)을 체결하되 상기 나사봉(130)은 조절핸들(131)에 의해 회전되게 하며, 상기 고정바(120)에는 내측 방향으로 수평 고정구(140)를 고정시키되 상기 수평 고정구(140)에는 고정봉(150)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고정봉(150)의 선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전후 고정구(160)를 설치하며, 상기 전후 고정구(160)에는 슬라이드봉(170)이 끼워지게 하되 상기 슬라이드봉(170)의 선단에는 어깨 걸이구(180)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핸들(131)을 회전시킴에 따라 어깨 걸음장치(100)가 상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과 수직바(110) 사이에는 고정레버(111)를 결합시켜 수직바(110)가 움직이는 것을 조절하게 하며, 수평 고정구(140)와 고정봉(150) 사이 그리고 전후 고정구(160)와 슬라이브봉(170) 사이에도 고정레버(141)(161)를 결합시켜 고정봉(150)과 슬라이드봉(170)의 신축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어깨 걸이구(180)는 대략 ㄷ자 형태를 갖고, 어깨가 끼워져 겨드랑이와 어깨 위에 받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허리 받침장치(200)는 프레임(10)의 후방 상측으로 고정된 수직 프레임(13)에
Figure 112009015840843-pat00001
자 형태의 고정파이프(210)를 결합시키되 고정레버(211)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게 하고, 상기 고정파이프(210)에는 허리 받침구(220)를 끼우되 상기 허리 받침구(220)의 좌우 이동은 고정레버(2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전방 중앙에 결합된 핸들축(3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한 후 조절레버(32)를 설치하고, 상기 조절레버(32)와 연동되는 연동레버(33)는 핸들축(31)의 하측에 결합시키되 상기 연동레버(33)는 프레임(10)에 고정된 각도조절판(35)을 물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절레버(32)의 반대편에 브레이크 레버(32a)를 설치하여 정지할 때 브레이크 레버(32a)를 사용하도록 한다.
즉 핸들축(31)에 결합된 조절레버(32)를 잡으면 연동레버(33)가 풀려 핸들축(31)이 자유로 이동하게 되고, 조절레버(32)를 놓으면 연동되는 연동레버(33)가 각도 조절판(35)을 잡아주게 되므로, 핸들축(31)은 연동레버(33)에 의해 각도조절판(35)에 고정되게 되므로, 핸들축(31)이 회전되지 않게 되며,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레버(32a)를 이용하여 잡아주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뒷바퀴(20)와 앞바퀴(30)의 구조 및 체결 방식은 공지의 장치이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정레버는 원터치 방식으로 풀어주거나 조여 주게 되는 것이며, 조절레버(32)와 연동레 버(33) 또한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와 같은 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조절핸들(131)을 이용하여 어깨 걸음장치(100)의 고정바(120)를 상하 이동시켜가며 사용하는 사람의 어깨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상기 조절핸들(131)은 나사봉(130)을 회전시키게 되어 조절핸들(1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바(120)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고정바(120)의 높이가 맞추어지면 고정레버(111)를 작동시켜 수직바(110)가 수직 프레임(11)으로 빠지지 않고 고정되게 하고, 전후 고정구(160)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어깨 걸이구(180)가 놓이도록 한 후 다시 고정레버(141)를 작동시켜 고정봉(150)이 수평 고정구(140)에서 더 이상 빠지지 않게 고정되게 하며, 다시 슬라이드봉(170)을 빼내어 어깨 걸이구(180)가 사용자에게 맞도록 한 후 고정레버(161)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봉(17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즉 조절핸들(131)을 돌리는 동작과, 고정봉(150)을 수평 고정구(140)에서 빼내는 거리, 슬라이드봉(170)을 전후 고정구(160)에서 빼내고 밀어 넣는 동작에 의해 최종적으로 어깨 걸이구(180)의 높이와 폭이 조절되게 되며, 고정레버(111)(141)(161)는 풀을 경우 수직바(110)와 고정봉(150)및 슬라이드봉(16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고정레버(111)(141)(161)를 잠글 경우 수직바(110)와 고정봉(150)및 슬라이드봉(17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된 조작에 의해 자기의 키와 어깨 넓이 등에 맞추어 다 리를 굽히고 달리거나 걸을 수 있는 최적의 위치로 어깨 걸이구(18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같이 어깨 걸이구(180)에 어깨를 걸을 수 있도록 한 후에는 수직 프레임(13)에서 고정파이프(2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레버(211)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파이프(210)에 끼워진 허리 받침구(220)의 위치를 이동시켜 허리 받침구(220)가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허리 받침구(220)는 고정레버(221)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허리받침구(220)는 고정레버(211)(221)를 풀고 허리 받침구(22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고정 파이프(210)의 높이를 조절한 후 고정레버(211)(221)를 조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허리 받침구(220)가 허리를 받치게 되어 걷거나 뛸 때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린 상태로 어깨 걸이구(180)에 어깨를 걸어주고, 허리 받침구(220)로 허리를 받치도록 한 상태에서 구부린 다리로 지면을 밀치면서 전방으로 다리를 이동시키게 되고, 다시 구부러진 다리를 박차게 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걷거나 뛸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항시 다리를 구부린 상태로 걷거나 뛰게 되고, 앞바퀴(30)와 뒷바퀴(20)를 이용하여 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어깨 걸이구(180)가 걸려 있어 걷거나 뛸 때 몸이 상하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허리 받침구(220)에 의해 허리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도 방지하기 때문에 몸 중심을 낮추고 몸의 상하운동을 줄이면서 다리를 구부린 채로 걷거나 뛸 수 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걷거나 뛰는 운동을 할 때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조절레버(32)를 잡아 이와 연동되는 연동레버(33)의 동작을 제어하되 원하는 방향으로 핸들축(31)을 돌린 후 연동레버(33)를 각도 조절판(35)에 고정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브레이크 레버(32a)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조절레버(32)를 잡게 되면 연동레버(33)가 벌어져 핸들축(31)은 각도조절판(35)과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고, 조절레버(32)를 놓게 되면 연동레버(33)가 좁혀지면서 각도조절판(35)을 물어주게 되므로, 핸들축(31)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걷거나 뛸 때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조절레버(32)를 잡아 연동레버(33)를 벌린 상태에서 핸들축(31)을 돌려주면 되고, 방향 전환을 하지 않을 경우는 조절레버(32)를 놓아 연동레버(33)가 각도조절판(35)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핸들축(31)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리를 구부린 채로 걷거나 뛰게 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똑 바로 선 상태에서 몸을 상하 움직이며 걷거나 뛰게 되는 기존 습관에서 벗어나, 언제든지 순발력 있게 움직일 수 있는 한편 걷는데 힘들이지 않고 걸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장시간 연습을 하게 되면 다리를 구부린 채로 걷거나 뛰는데 도움이 되는 근육의 발달이 이루어져 발명을 사용하지 않고도 허리를 펴고 좌우로 흔들지 않으며, 몸을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도 빠르고 힘들이지 않게 걷거나 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깨 걸음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허리 받침장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어깨 걸이구 높이 조절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어깨 걸이구 폭 조절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어깨 걸이구 높이 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핸들 축 회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연동레버 조작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12,13 : 수직 프레임
20 : 뒷바퀴 30 : 앞바퀴
31 : 핸들축 32 : 조절레버
33 : 연동레버 35 : 각도조절판
100 : 어깨 걸음장치 110 : 수직바
120 : 고정바 130 : 나사봉
140 : 수평 고정구 150 : 고정봉
160 : 전후 고정구 170 : 슬라이드봉
180 : 어깨 걸이구 200 : 허리 받침장치
210 : 고정 파이프 220 : 허리 받침구

Claims (5)

  1. 양측 후방으로 2개의 뒷바퀴(20)가 회전되게 결합되고, 중앙 전방으로 1개의 앞바퀴(30)가 회전되게 결합된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어깨 걸이구(180)를 상하 방향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다리를 굽힌 상태에서 어깨와 겨드랑이에 끼워지게 하는 어깨 걸음장치(100)를 설치하고,
    상기 어깨 걸음장치(100)의 하측으로 프레임(10)의 양측에는 허리 받침구(220)를 상하 방향과 좌우로 이동시켜 허리를 받쳐주는 허리 받침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앞바퀴(30)가 결합된 핸들축(31)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어깨 걸음장치(100)는 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1)에 끼워져 고정레버(111)로 고정되는 수직바(110)를 구비하되 상기 수직바(110)의 상측은 고정바(120)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프레임(12)에 나사봉(130)을 체결하되 상기 나사봉(130)은 조절핸들(131)에 의해 회전되게 하며, 상기 고정바(120)에는 내측 방향으로 수평 고정구(140)를 고정시키되 상기 수평 고정구(140)에는 고정레버(141)로 고정되는 고정봉(150)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고정봉(150)의 선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전후 고정구(160)를 설치하며, 상기 전후 고정 구(160)에는 고정레버(161)로 고정되는 슬라이드봉(170)이 끼워지게 하되 상기 슬라이드봉(170)의 선단에는 어깨 걸이구(18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어깨 걸이구(180)는 ㄷ자 형태를 갖고 겨드랑이에 끼워지는 동시에 어깨의 상측에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허리 받침장치(200)는 프레임(10)의 후방 상측으로 고정된 수직 프레임(13)에 끼워져 고정레버(211)로 고정되는
    Figure 112009015840843-pat00002
    자 형태의 고정파이프(210)를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파이프(210)에는 허리 받침구(220)를 끼워 좌우 이동되게 하되 허리 받침구(220)는 고정레버(221)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전방 중앙에 결합된 핸들축(3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한 후 조절레버(32)를 설치하고, 상기 조절레버(32)와 연동되는 연동레버(33)는 핸들축(31)의 하측에 결합시키되 상기 연동레버(33)는 프레임(10)에 고정된 각도조절판(35)을 고정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KR1020090022313A 2009-03-16 2009-03-16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KR10103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313A KR101032113B1 (ko) 2009-03-16 2009-03-16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313A KR101032113B1 (ko) 2009-03-16 2009-03-16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122A KR20100104122A (ko) 2010-09-29
KR101032113B1 true KR101032113B1 (ko) 2011-05-02

Family

ID=4300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313A KR101032113B1 (ko) 2009-03-16 2009-03-16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2473A1 (en) * 2016-03-31 2017-10-05 University Of Main System Board Of Trustees Stylized adaptive mobilit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9605C1 (ru) * 2019-07-31 2019-12-18 Константин Зорьевич Пономарев Трехколесный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электробеговел для людей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RU194979U1 (ru) * 2019-07-31 2020-01-09 Константин Зорьевич Пономарев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беговел для лечения и реабилитации
RU2714145C1 (ru) * 2019-07-31 2020-02-12 Константин Зорьевич Пономарев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беговел для лечения и реабилитации
RU2712344C1 (ru) * 2019-07-31 2020-01-28 Константин Зорьевич Пономарев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велосипед для лечения и реабилитации
CN111773041A (zh) * 2020-07-20 2020-10-16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老年护理用行走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183A (ja) 1997-02-04 1998-08-18 Sony Corp 歩行補助装置と歩行補助方法
JP2005074030A (ja) 2003-09-01 2005-03-24 Kiyoshi Takaura 歩行訓練用歩行器
KR20070003548A (ko) * 2005-06-30 2007-01-05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보행보조기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8-04-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183A (ja) 1997-02-04 1998-08-18 Sony Corp 歩行補助装置と歩行補助方法
JP2005074030A (ja) 2003-09-01 2005-03-24 Kiyoshi Takaura 歩行訓練用歩行器
KR20070003548A (ko) * 2005-06-30 2007-01-05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보행보조기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8-04-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2473A1 (en) * 2016-03-31 2017-10-05 University Of Main System Board Of Trustees Stylized adaptive mobility device
US10667979B2 (en) 2016-03-31 2020-06-02 University Of Maine System Board Of Trustees Stylized adaptive mobili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122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13B1 (ko) 저 자세 보 주행 연습기
US10143884B2 (en) Curved treadmill
KR101720874B1 (ko)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JP5925395B2 (ja) 移動型訓練装置
TW201630637A (zh) 划船運動裝置及其使用方法
JP2006218287A (ja) 収容可能なアームを備えたエリプティカルエクササイズ機器
CN202682686U (zh) 一种组合式康复锻练机
JP2013116146A (ja) 腕振り機能付き歩行器
US20210113413A1 (en) Apparatus to aid walking
US20220233914A1 (en) Pelvis training device
US20110195827A1 (en) Dynamic lower-body contour trainer and exercise machine
KR101410686B1 (ko) 복합운동기구
KR101018283B1 (ko)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2008237785A5 (ko)
GB2382035A (en) Exercise swing
CN209952130U (zh) 肢体训练器
KR101018286B1 (ko) 지각 기반 운동형 보행운동기구
KR101099244B1 (ko) 전신 운동기구
JP2004181195A (ja) 走歩等室内訓練用運動器具
JP2009045233A (ja) トレーニング方法及び装置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KR20140031593A (ko)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KR102434901B1 (ko) 노젓기
JP5080165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