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094B1 -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094B1
KR101032094B1 KR1020100082415A KR20100082415A KR101032094B1 KR 101032094 B1 KR101032094 B1 KR 101032094B1 KR 1020100082415 A KR1020100082415 A KR 1020100082415A KR 20100082415 A KR20100082415 A KR 20100082415A KR 101032094 B1 KR101032094 B1 KR 10103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rc
coupling
holes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례
Original Assignee
영광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광산업(주) filed Critical 영광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8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04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 G09F2007/182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using channels on the rear of the sign board to be connected to the post, e.g. via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주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제1돌출판과 제1돌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1결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재; 다수개의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제2돌출판과 제2돌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는 제2결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재; 및 지주 외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끼움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An apparatus for fixing traffic signboard}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부재와 중간부재가 서로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도로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위험 사항을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 교통을 확보하고, 도로의 진행 방향이나 거리 또는 장소와 같은 위치 정보 등 도로 이용에 관련된 여러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각종 교통 표지판과 안내 표지판 및 도로 명판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교통 표지판, 안내 표지판, 도로 명판(이하 도로표지판이라 통칭함)은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제작, 설치되며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문자나 숫자 화살표 기호 또는 이들 조합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도로표지판은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인식하기 쉬워야 하고, 강풍이나 접촉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설치상태가 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지면에 견고하게 고착된 전신주나 신호등 또는 가로등과 같은 금속제 지주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착시킨 뒤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지주 상부에 현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도로표지판은 1개의 지주에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 지지되는 편주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편주식에서 도로표지판을 지주에 장착하는 고정장치는 현재 많은 형태의 것들이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도로표지판 조립체는, 지주의 둘레를 결속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 볼트 등으로 체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도로표지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로표지판 조립체에 따르면, 가로등용 지주 또는 신호등용 지주의 직경이 서로 달라 도로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지주에 맞는 크기의 결합구를 각각 사용해야 하므로 각각의 결합구의 제조를 위한 금형의 생산비 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로표지판 조립체의 공용화를 달성할 수 없게 되어 도시 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여러 가지 중간부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주에 적용가능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주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제1돌출판과 제1돌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1결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재; 다수개의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제2돌출판과 제2돌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는 제2결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재; 및 지주 외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끼움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첫째, 여러 가지 중간부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지주에 적용가능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가 제공되므로 관련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해진다.
둘째, 각각의 중간부재는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므로, 도로표지판의 설치 및 유비 보수가 쉽게 이루어진다.
셋째, 다수개의 중간부재가 연결되어 지주 외주면을 둘러싸므로, 각각의 중간부재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져 AS 비용이 절감된다.
넷째, 중간부재가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다수개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중간부재의 비틀림 강성이나 굽힘 강성이 증가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는, 지주(100)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결합홀(211)이 형성되는 제1돌출판(210)과 상기 제1돌출판(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돌기(221)가 형성되는 제1결합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재(200); 다수개의 제2결합홀(311)이 형성되는 제2돌출판(310)과 상기 제2돌출판(3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공(321)이 형성되는 제2결합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재(300); 및 상기 지주(100) 외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상기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도록 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끼움공(321)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 결합장치는 제1결합부재(200), 제2결합부재(300),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결합부재(200)는 제1돌출판(210)과 제1결합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돌출판(210)은 편평한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주(100)의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놓여진다. 제1돌출판(210)에는 다수개의 제1결합홀(211)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개의 제1결합홀(211)이 세로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중간에 위치한 제1결합홀(211)은 조립 편의를 위하여 다른 제1결합홀(211)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판(220)은 제1돌출판(210) 끝단에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높이는 제1돌출판(210)과 동일하나, 폭은 제1돌출판(210) 보다 더 좁게 이루어지며, 제1돌출판(210)과 90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제1결합판(220) 끝단에는 다수개의 끼움돌기(221)가 구비된다.
제2결합부재(300)는 제2돌출판(310)과 제2결합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돌출판(310)은 제1돌출판(210)과 마찬가지로 편평한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주(100)의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놓여진다. 제2돌출판(310)에는 다수개의 제2결합홀(311)이 형성된다.
제2결합판(320)은 제2돌출판(310) 끝단에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높이는 제2돌출판(310)과 동일하나, 폭은 제2돌출판(310) 보다 더 좁게 이루어지며, 제2돌출판(310)과 90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제2결합판(320) 일단에는 다수개의 끼움공(321)이 구비된다.
제1결합판(220)과 제2결합판(320) 사이에는 지주(100) 외주면을 둘러싸는 중간부재가 구비된다. 중간부재 일단에는 상기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도록 홀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끼움공(321)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결합판(220)과 중간부재와 제2결합판(320)이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어 지주(100) 외주면을 둘러싸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1중간부재(40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1중간부재(400)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호형판(410)과, 상기 제1호형판(410)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방형 제1홀(421)이 형성되는 제1연결판(420)과, 상기 제1호형판(410)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1돌기(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제1돌기(431)가 다수개의 제1홀(4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1중간부재(40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첫번째 제1중간부재(400)의 제1홀(421)에는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1중간부재(400)의 제1돌기(431)는 끼움공(32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1중간부재(400)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중간부재(400)는 제1호형판(410), 제1연결판(420), 제1돌기(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연결판(420)은 제1호형판(410) 일측에 구비되며, 제1돌기(430)는 제1호형판(410) 타측에 구비된다. 제1연결판(420)은 제1호형판(41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나, 폭은 제1호형판(410) 보다 더 좁게 이루어지며, 제1호형판(410) 끝단과 90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제1연결판(420) 일단에는 다수개의 장방형 제1홀(421)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섯개의 직사각형 제1홀(421)이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개의 ㄱ자형 제1돌기(430)가 다수개의 제1홀(4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1중간부재(40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1호형판(410)이 지주(100)의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각각의 제1호형판(410) 중심라인이 지주(100) 외주면과 접촉되어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외부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거나 지지하게 된다.
첫번째 제1중간부재(400)의 제1홀(421)에는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1중간부재(400)의 제1돌기(431)는 끼움공(321)에 끼워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결합판(220)과 제1중간부재(400)와 제2결합판(320)이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어 지주(100) 외주면을 둘러싸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2중간부재(50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2중간부재(500)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호형판(510)과, 상기 제2호형판(510)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ㅓ자형 제2홀(521)이 형성되는 제2연결판(520)과, 상기 제2호형판(510)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ㅓ자형 제2돌기(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제2돌기(531)가 다수개의 제2홀(5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2중간부재(50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첫번째 제2중간부재(500)의 제2홀(521)에는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2중간부재(500)의 제2돌기(531)는 끼움공(32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2중간부재(500)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중간부재(500)는 제2호형판(510), 제2연결판(520), 제2돌기(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연결판(520)은 제2호형판(510) 일측에 구비되며, 제2돌기(530)는 제2호형판(510) 타측에 구비된다. 제2연결판(520)은 제2호형판(51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나, 폭은 제2호형판(510) 보다 더 좁게 이루어지며, 제2호형판(510) 끝단과 90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제2연결판(520) 일단에는 다수개의 ㅓ자형 제2홀(521)이 형성된다.
다수개의 ㅓ자형 제2돌기(530)가 다수개의 제2홀(5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2중간부재(50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첫번째 제2중간부재(500)의 제2홀(521)에는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2중간부재(500)의 제2돌기(531)는 끼움공(321)에 끼워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결합판(220)과 제2중간부재(500)와 제2결합판(320)이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어 지주(100) 외주면을 둘러싸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3중간부재(600)와 제4중간부재(70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3중간부재(600)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제3호형판(610)과, 상기 제3호형판(610)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방형 제3홀(621)이 형성되는 제3연결판(620)과, 상기 제3호형판(610)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3돌기(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4중간부재(700)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호형판(610)과는 상이한 폭을 가지는 제4호형판(710)과, 상기 제4호형판(710)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방형 제4홀(721)이 형성되는 제4연결판(720)과, 상기 제4호형판(710)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4돌기(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제3돌기(631)가 다수개의 제4홀(7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3중간부재(600)와 제4중간부재(700)가 서로 번갈아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첫번째 제3중간부재(600)의 제3홀(621)에는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4중간부재(700)의 제4돌기(731)는 끼움공(32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3중간부재(600)와 제4중간부재(700)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중간부재(600)는 제3호형판(610), 제3연결판(620), 제3돌기(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연결판(620)은 제3호형판(610) 일측에 구비되며, 제3돌기(630)는 제3호형판(610) 타측에 구비된다. 제3연결판(620) 일단에는 다수개의 장방형 제3홀(621)이 형성된다. 제3호형판(610) 끝단에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3돌기(630)가 형성된다.
제4중간부재(700)는 제4호형판(710), 제4연결판(720), 제4B돌기(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연결판(720)은 제4호형판(710) 일측에 구비되며, 제4돌기(730)는 제4호형판(710) 타측에 구비된다. 제4연결판(720) 일단에는 다수개의 장방형 제4홀(721)이 형성된다. 제4호형판(710) 끝단에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4돌기(730)가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3돌기(630)가 다수개의 제4홀(721)에 끼워지며, 다수개의 제4돌기(730)가 다수개의 제3홀(6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3중간부재(600)와 제4중간부재(700)가 서로 번갈아 배열되어 상기 지주(1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3호형판(610)과 제4호형판(710)은 서로 상이한 폭으로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지주(100)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첫번째 제3중간부재(600)의 제3홀(621)에는 끼움돌기(221)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4중간부재(700)의 제4돌기(731)는 끼움공(32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결합판(220)과 제3중간부재(600)와 제4중간부재(700)와 제2결합판(320)이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어 지주(100) 외주면을 둘러싸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마주보는 제1돌출판(210)과 제2돌출판(310) 사이에 도로표지판이 결합된 브라켓이 끼워지며, 상기 제1결합홀(211)과 제2결합홀(311)을 관통하여 볼트(800)가 끼워져, 상기 제1돌출판(210)과 제2돌출판(310)이 브라켓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돌출판(210)과 제2돌출판(310) 사이에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브라켓은 한쌍의 돌출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일단에 끼워지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가이드부에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돌출판(210)과 제2돌출판(310)은 서로 마주보며, 제1결합홀(211)과 제2결합홀(311)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볼트(800)가 제1결합홀(211)과 제2결합홀(311)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볼트(800)와 너트를 이용하여 제1돌출판(210)과 제2돌출판(310)이 결합되며, 이에 의해 지주(100) 외주면을 둘러싸는 중간부재가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지주(100) 외주면에 접촉되어 고정되게 된다.
100 : 지주
200 : 제1결합부재, 210 : 제1돌출판, 211 : 제1결합홀, 220 : 제1결합판, 221 : 끼움돌기
300 : 제2결합부재, 310 : 제2돌출판, 311 : 제2결합홀, 320 : 제2결합판, 321 : 끼움공
400 : 제1중간부재, 410 : 제1호형판, 420 : 제1연결판, 421 : 제1홀, 430: 제1돌기
500 : 제2중간부재, 510 : 제2호형판, 520 : 제2연결판, 521 : 제2홀, 530: 제2돌기
600 : 제3중간부재, 610 : 제3호형판, 620 : 제3연결판, 621 : 제3홀, 630: 제3돌기
700 : 제4중간부재, 710 : 제4호형판, 720 : 제4연결판, 721 : 제4홀, 730: 제4돌기
800 : 볼트

Claims (5)

  1. 지주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제1돌출판과 상기 제1돌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1결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재;
    다수개의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제2돌출판과 상기 제2돌출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는 제2결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지주 외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돌출판, 제2돌출판, 및 홀이 형성되는 상기 중간부재 끝단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1중간부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1중간부재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호형판과, 상기 제1호형판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방형 제1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제1호형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1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제1돌기가 다수개의 제1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1중간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지주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첫번째 제1중간부재의 제1홀에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1중간부재의 제1돌기는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2중간부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2중간부재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호형판과, 상기 제2호형판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ㅓ자형 제2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제2호형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ㅓ자형 제2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제2돌기가 다수개의 제2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2중간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지주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첫번째 제2중간부재의 제2홀에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2중간부재의 제2돌기는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다수개의 제3중간부재와 제4중간부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3중간부재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제3호형판과, 상기 제3호형판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방형 제3홀이 형성되는 제3연결판과, 상기 제3호형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3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4중간부재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호형판과는 상이한 폭을 가지는 제4호형판과, 상기 제4호형판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방형 제4홀이 형성되는 제4연결판과, 상기 제4호형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ㄱ자형 제4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제3돌기가 다수개의 제4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3중간부재와 제4중간부재가 서로 번갈아 연결되어 상기 지주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첫번째 제3중간부재의 제3홀에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며,
    마지막 제4중간부재의 제4돌기는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5. 삭제
KR1020100082415A 2010-08-25 2010-08-25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KR10103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15A KR101032094B1 (ko) 2010-08-25 2010-08-25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15A KR101032094B1 (ko) 2010-08-25 2010-08-25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094B1 true KR101032094B1 (ko) 2011-05-02

Family

ID=4436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15A KR101032094B1 (ko) 2010-08-25 2010-08-25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13U (ja) * 1991-10-01 1993-04-23 株式会社木屋製作所 ポール用長さ調整自在多節バンド
KR20040046511A (ko) * 2002-11-27 2004-06-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00489U (ko) * 2006-10-11 2008-04-16 주식회사 성진기업 조립식 고정부재가 구비된 주정차금지표지판
KR200446511Y1 (ko) 2009-01-05 2009-11-05 김준형 표지판 고정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13U (ja) * 1991-10-01 1993-04-23 株式会社木屋製作所 ポール用長さ調整自在多節バンド
KR20040046511A (ko) * 2002-11-27 2004-06-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00489U (ko) * 2006-10-11 2008-04-16 주식회사 성진기업 조립식 고정부재가 구비된 주정차금지표지판
KR200446511Y1 (ko) 2009-01-05 2009-11-05 김준형 표지판 고정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2920B2 (ja) 標識装置
KR101681016B1 (ko) 다방향 표지판
KR101032094B1 (ko) 도로표지판 결합장치
KR20140046353A (ko) 도로명판 걸이구
KR101904897B1 (ko) 가로등 받침 조립체
CN202349921U (zh) 平板显示装置的背框以及背光系统
KR20120001923U (ko) 도로표지판 보강장치
KR101547505B1 (ko)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KR101928151B1 (ko) 결합이 용이한 표지판의 구조
KR101389689B1 (ko) 도로표지판의 지지부재
CN209804172U (zh) 一种led显示屏模组
KR200248431Y1 (ko) 도로표지판 조립체
CN102385821A (zh) 平板显示装置的、立体显示装置以及等离子显示装置
KR20140030690A (ko)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CN202626870U (zh) 一种隔离带
CN202349904U (zh) 背框以及背光系统
KR101422654B1 (ko) 표지판 구조물의 구조
KR101928152B1 (ko)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한 표지판
KR102077199B1 (ko) 파이프 커버
JP2014174373A (ja) 立看板
KR101500936B1 (ko) 조립식 간판장치
CN203502457U (zh) 一种背光支架
CN209213327U (zh) Led灯杆屏及其安装支架
CN102376226A (zh) 平板显示装置、立体显示装置以及等离子显示装置
CN215808172U (zh) 一种模块化灯杆用灯杆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