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199B1 - 파이프 커버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7199B1 KR102077199B1 KR1020140161830A KR20140161830A KR102077199B1 KR 102077199 B1 KR102077199 B1 KR 102077199B1 KR 1020140161830 A KR1020140161830 A KR 1020140161830A KR 20140161830 A KR20140161830 A KR 20140161830A KR 102077199 B1 KR102077199 B1 KR 102077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cover
- locking
- cover
- unit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복수개의 단위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단위 커버의 양단에는 결합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되, 상기 단위 커버의 어느 일단에 마련된 상기 결합수단은 걸림턱이고, 상기 단위 커버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부이며,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기둥구조물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기 걸림턱이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기 걸림부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가 상기 기둥구조물을 감싸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각 단위 커버의 걸림턱과 걸림부를 서로 당기어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빠르게 밀착하여 조립될 수 있고, 단위 커버의 탄성을 이용하여 당겨서 끼우게 되면 쉽고 빠르게 단위 커버를 서로 결합할 수 있므며, 단위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에 다른 단위 커버에 형성된 걸림부를 1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 각 단위 커버의 걸림턱과 걸림부를 서로 당기어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빠르게 밀착하여 조립하도록 하기 위한 파이프 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가로등주, 전봇대, 신호등주, 도로 안내표지판 등의 기둥구조물에 많은 광고 전단지가 부착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래 기둥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들이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8297호('광고기능을 가지는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충격흡수대(20)를 조립함에 있어서, 축공(31a, 33a), 힌지축(22, 22a)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볼트공(12a, 11a) 볼트 너트(13a, 13b)에 의해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복잡하고 조립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격흡수대(20)를 기둥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없으므로 기둥구조물의 하부측에만 한정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기둥구조물의 중간 부분에 충격흡수대(20)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285호('2중 구조로 이루어진 가로등의 기둥')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외부기둥부재(6)는 파이프 형상으로 기둥구조물의 상부에서부터 끼워서 고정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매우 불편하며, 기둥구조물과의 밀착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삽입링(7)에 의해 외부기둥부재(6)의 일부분만 기둥구조물에 고정되므로 기둥구조물과 외부기둥부재(6) 사이에 일부 뜬 공간이 생김으로 인하여 밀착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 있다.
나아가, 기둥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으므로 기둥구조물의 하부에만 설치가능하고 기둥구조물의 중간에 고정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소비자의 기대에 부흥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 단위 커버의 걸림턱과 걸림부를 서로 당기어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빠르게 밀착하여 조립될 수 있고, 단위 커버의 탄성을 이용하여 당겨서 끼우게 되면 쉽고 빠르게 단위 커버를 서로 결합할 수 있므며, 단위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에 다른 단위 커버에 형성된 걸림부를 1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는 파이프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위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단위 커버의 양단에는 결합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되, 상기 단위 커버의 어느 일단에 마련된 상기 결합수단은 걸림턱이고, 상기 단위 커버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부이며,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기둥구조물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기 걸림턱이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기 걸림부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가 상기 기둥구조물을 감싸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커버의 어느 일단에는 상기 패널부가 배치되고, 상기 단위 커버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패널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패널부의 내측을 향하며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끝단에서 중심쪽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부 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턱이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경사부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상기 연결부가 위치한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절곡부의 내측과 맞닿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턱이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곡면부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접착부분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구조물의 외측면에는 접착수단이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의 끝단은 상기 접착수단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가 상기 기둥구조물을 감싸며 배치될 때, 상기 기둥구조물과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마감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 커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 단위 커버의 걸림턱과 걸림부를 서로 당기어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빠르게 밀착하여 조립될 수 있다.
특히, 단위 커버의 탄성을 이용하여 당겨서 끼우게 되면 쉽고 빠르게 단위 커버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둘째, 단위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에 다른 단위 커버에 형성된 걸림부를 1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다.
또한, 기둥구조물에 탄성이 있는 양면테이프를 접착하면, 기둥구조물과 단위 커버 사이에 접착되는 양면테이프의 접착력과 탄성을 이용하여 기둥구조물에 단위 커버를 2차적으로 더욱 단단히 밀착할 수 있다. 이렇게 양면테이프를 이용하면, 기둥구조물의 정해진 위치에 단위 커버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고 용이하며, 탄성이 있는 양면테이프로 인하여 단위 커버가 움직이거나 소리가 나지 않고, 더욱 더 단단히 단위 커버가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기둥구조물을 감싸며 결합된 단위 커버의 상,하단에 마감캡을 3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더욱 더 단단히 밀착할 수 있다. 이렇게 마감캡에 의해 단위 커버의 상,하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마감캡에 의해 단위 커버와 기둥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여 외관을 더욱 더 좋게 할 수 있다.
셋째, 단위 커버를 기둥구조물을 둘레를 따라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용접이나 별도의 체결수단이 불필요하고, 기둥구조물 자체에 천공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동일한 형상의 단위 커버는 알루미늄, 합성수지 사출 등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섯째, 광고 현수막 등을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 깃발을 게양할 수 있는 국기 계양대를 일체로 설치하여 도시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여섯째, 패널부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기둥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접착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착면을 줄이므로 불법 전단지의 부착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부착된 부착물의 제거도 쉽다.
또한, 요철부로 인하여 단위 커버는 반경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므로 기둥구조물의 상,하부의 지름이 달라도 단위 커버의 신축성을 인하여 기둥구조물에 밀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위 커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위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단위 커버 세 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조립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마감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마감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조립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단위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도 18의 조립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단위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1의 단위 커버에 요철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단위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단위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4의 조립도.
도 2는 도 1의 단위 커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위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단위 커버 세 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조립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마감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마감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조립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단위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도 18의 조립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단위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1의 단위 커버에 요철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단위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단위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4의 조립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커버가 설치되는 기둥구조물(100)은 가로등주, 전봇대, 휀스 기둥, 신호등주, 도로안내판, 차양 기둥 등 도시 미관 개선, 치장용을 위하여 파이프 커버가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 각 종 기둥구조물(10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 제시한 기둥구조물(100)은 지면에 대해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기둥본체(110)와, 기둥본체(110)의 하단에 하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마련된 베이스판(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150)은 원형의 판 형상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사각판 형상 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베이스판(150)은 지면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둥본체(110)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구조물(100)의 기둥본체(110)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이프 커버는 다수의 단위 커버(200)로 구성되어, 각 단위 커버(200)가 결합하여 원형 파이프 형상의 기둥본체(11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단위 커버(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널부(210)와, 각 패널부(210)를 연결하는 연결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부(210)는,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부(211)와, 외측부(211)의 양끝단에서 기둥구조물(100) 측으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2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둥본체(110)가 원형 파이프 형상임에 따라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부(211)는 일자 형태가 아니라 원호 형상이고, 외측부(211)의 양끝단에서 각각 절곡된 절곡부(213)는 외측부(21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것이 아니라 양측의 절곡부(213)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널부(210)는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위 커버(200)에 두 개의 패널부(210)가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도 4와 같이 하나의 단위 커버(200)에 세 개의 패널부(210)가 마련될 수도 있이며, 이와 같이 패널부(21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연결부(25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 패널부(210)의 절곡부(213)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250)는 원호 형상이며, 절곡부(213)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210)와 연결부(250)로 구성되는 단위 커버(200)의 어느 일단에는 패널부(210)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연결부(250)가 배치된다.
단위 커버(200)의 일단에 배치되는 패널부(210)의 절곡부(213) 중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부(213)는 다른 절곡부(213) 보다 길이가 짧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길이가 짧도록 마련된 외측에 배치된 절곡부(213) 끝단에는 걸림턱(2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214)은 패널부(210)의 내측을 향하며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부(213)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214)이 절곡부(213) 외측에서 절곡부(213) 내측을 연결하며 바깥쪽으로 볼록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213) 내측에서 하기에서 설명할 걸림부(261)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14)이 절곡부(213) 내측으로 돌출되며 배치되어 있다.
단위커버의 타단에 배치되는 연결부(250)에는 걸림턱(214)이 걸릴 수 있도록 결합부(260)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260)는 일자형태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260)의 중간 부분이 연결부(25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260)의 일단은 기둥구조물(100) 측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걸림턱(214)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261)가 결합부(26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6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262)와 안착홈부(26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262)는 결합부(26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260)가 기둥구조물(100) 측으로 배치된 끝단의 반대쪽 끝단에 경사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부(262)는 끝단에서 중심쪽으로 갈수록 연결부(250) 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부(262)는 외측면이 평면의 형태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의 형태일 수도 있다.
*안착홈부(263)는 경사부(262)의 아래에 위치하며, 연결부(250) 측으로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214)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부(263)는 경사부(262)와 연결부(2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단위 커버(200)는 기둥구조물(100)의 단면이 원형임에 따라 단위 커버(200)의 단면은 원호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 커버(200)가 기둥구조물(10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면 도 3과 같이 결합된 단위 커버(200)의 단면은 원을 따라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커버(200)의 결합 상태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위 커버(200)의 걸림턱(214)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단위 커버(200)의 걸림부(261)에 걸려 결합된다.
이때, 걸림턱(214)은 걸림부(261)의 경사부(262)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안착홈부(263)에 안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된 걸림부(261)는 걸림턱(214)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걸림부(261)의 외측면이 걸림턱(214)이 형성된 절곡부(213)의 내측과 맞닿는다.
본 명세서의 도 3에서는 네 개의 단위 커버(200)가 단면이 원 형상을 이루며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도 4와 같이 결합되는 단위 커버(20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하나의 단위 커버(200)에 세 개의 패널부(210)가 마련될 경우에는 세 개의 단위 커버(200)가 원 형상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위 커버(200)에 마련되는 패널부(210)의 개수에 따라 기둥구조물(100)을 감싸며 결합되는 단위 커버(20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이프 커버의 조립 과정을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이 기둥구조물(100)의 외측면에 접착수단(300)을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수단은 탄성이 있는 양면테이프(300)이다. 양면테이프(300)의 한쪽면에 부착된 테이프 보호막을 제거하여 기둥구조물(100)의 외측면에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기둥구조물(100)의 외측면에 서로 이격하도록 세 군데에 양면테이프(300)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양면테이프(300)의 반대쪽 면의 테이프 보호막을 제거한 다음, 도 6과 같이 하나의 단위 커버(200)를 기둥구조물(100)의 외측면에 부착한다.
그런 다음, 도 7과 같이 차례대로 단위 커버(200)를 부착하는데, 이때 하나의 단위 커버(200)의 걸림턱(214)에 인접한 다른 단위 커버(200)의 걸림부(261)가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례대로 단위 커버(200)를 부착하면, 도 8과 같이 네 개의 단위 커버(200)가 기둥구조물(1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된다. 이때, 각 단위 커버(200)에 마련된 절곡부(213)와 결합부(260)의 끝단이, 도 13과 같이 접착수단(300)에 맞닿게 되고, 걸림턱(214)과 걸림부(261)를 당기어 결합하면 절곡부(213)와 결합부(260)의 끝단이 양면테이프(300)를 강하게 눌러주면서 단위 커버(200)가 더욱 더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단위 커버(200)가 기둥구조물(100)을 감싸며 배치될 때 기둥구조물(100)과 다수의 단위 커버(200)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기둥구조물(100)을 감싸며 배치된 다수의 단위 커버(20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마감캡(400)이 설치될 수 있다.
마감캡(4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홀인 파이프 삽입부(411)가 형성된 링 형상의 캡 받침부(410)와, 캡 받침부(410)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캡 측판부(4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감캡(400)은 도 8과 같이 기둥구조물(100)을 감싸며 배치된 다수의 단위 커버(200)의 하단에 설치되고, 도 9와 같이 기둥구조물(100)을 감싸며 배치된 다수의 단위 커버(200)의 상단에 설치된다.
마감캡(400)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캡(400)은 단위 커버(200)가 설치된 상태이므로 마감캡(400)의 캡 측판부(450)와 캡 받침부(410)를 절개하여, 파이프 삽입부(411)가 벌어지도록 한 다음 다수의 단위 커버(200)의 하단에 설치한 후 절개된 부분을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단위 커버(200)를 설치하기 전에 기둥구조물(100)에 마감캡(400)의 파이프 삽입부(411)를 끼운 다음, 단위 커버(200)를 설치한 후 기둥구조물(100)에 끼워진 마감캡(400)을 다수의 단위 커버(200) 하단에 설치할 수도 있다.
기둥구조물(100)에 다수의 단위 커버(200)와 마감캡(400)이 설치된 상태를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였다.
마감캡의 다른 실시예
한편, 마감캡을 절단하여 다시 용접하기가 번거로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마감캡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4a에 따른 마감캡(400a)은 캡 측판부(450)와 캡 받침부(410)가 절개되어 있는 상태이고, 캡 측판부(450)의 절개된 부분의 양측에는 각각 철심 삽입홀(4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 측판부(450)와 캡 받침부(410)의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마감캡을 기둥구조물(100)의 외측에 끼운다. 그런 다음, 철심 삽입홀(451)에 '디귿자' 형상의 철심(490)을 삽입한 후 도 14b와 같이 철심 삽입홀(451)을 관통한 철심(490)의 양끝단을 절곡하여 고정시키면, 마감캡(400a)이 기둥구조물(100)의 단위 커버(200)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된다.
도 15에 따른 마감캡(400b)은 두 부분의 부분 마감캡(400-1, 400-2)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부분 마감캡(400-1, 400-2)의 양단에는 걸림판(4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분 마감캡(400-1, 400-2)의 어느 일단에 형성된 걸림판(455)은, 캡 측판부(450)의 캡 받침부(410)가 배치된 반대측에 연결판(453)으로 연결되어 있고, 걸림판(455)과 캡 측판부(450) 사이에는 캡 받침부(410) 측으로 절개된 절개부(454)가 형성되어 있다.
부분 마감캡(400-1, 400-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판(455)은, 캡 측판부(450)의 캡 받침부(410)가 배치된 측에 연결판(453)으로 연결되어 있고, 걸림판(455)과 캡 측판부(450) 사이에는 캡 받침부(410)가 배치된 반대측으로 절개된 절개부(4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부분 마감캡(400-1)의 걸림판(455)과 다른 하나의 부분 마감캡(400-2)의 걸림판(455)이 각 절개부(454)를 통하여 맞닿으며 결합한다.
따라서, 부분 마감캡(400-1, 400-2)을 기둥구조물(100)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각 부분 마감캡(400-1, 400-2)의 걸림판(455)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시키면, 마감캡(400b)이 기둥구조물(100)의 단위 커버(200)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된다.
마감캡의 또 다른 실시예
마감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였다.
도 16과 같이 기둥구조물(100)의 단위 커버(200) 상단에 설치되는 마감캡(400c)의 캡 측판부(4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기 계양대(457)가 마련되어 있고, 캡 받침부(410)에는 가로로 길게 현수막 걸이대(4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감캡(400)이 단위 커버(200)의 상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 17에 도시하였다.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하였다.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 중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는 다수의 단위 커버(200a)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위 커버(200a)는 패널부(210)와 연결부(250)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위 커버(200a)의 패널부(210) 중 외측부(211)에는, 도 19와 같이 요철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212)를 이루는 각각의 요부와 철부의 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반원 형상의 요부와 철부가 모여 곡면 형태의 요철부(212)를 이룬다.
이와 같이 패널부(210)에 요철부(212)가 형성되어 기둥구조물(100)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접착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착면을 줄이므로 불법 전단지의 부착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부착된 부착물의 제거도 쉽다.
또한, 요철부(212)로 인하여 단위 커버(200a)는 반경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므로 기둥구조물(100)의 상,하부의 지름이 달라도 단위 커버(200a)의 신축성을 인하여 기둥구조물(100)에 밀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였다.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 중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물(100)은 원형 파이프 형상이다.
이와 같은 원형 파이프 형상인 기둥구조물(100)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이프 커버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커버(200b)로 구성되어, 각 단위 커버(200b)가 결합하여 원형 파이프 형상의 기둥구조물(10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둥구조물(100)이 원형 파이프 형상임에 따라, 기둥구조물(10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단위 커버(200b)의 단면은 원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각 단위 커버(200b)의 단면은 원호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1과 같이 기둥구조물(100)의 지름이 커지는 경우 각 단위 커버(200b)의 단면을 따라 배치되는 원호의 길이도 커진다.
각 단위 커버(200b)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널부(210)와, 각 패널부(210)를 연결하는 연결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210)와 연결부(250)로 구성되는 단위 커버(200b)의 어느 일단에는 패널부(210)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연결부(250)가 배치된다.
단위 커버(200b)의 일단에 배치되는 패널부(210)의 절곡부(213) 중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부(213)는 다른 절곡부(213) 보다 길이가 짧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길이가 짧도록 마련된 외측에 배치된 절곡부(213) 끝단에는 걸림턱(214)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커버의 타단에 배치되는 연결부(250)에는 걸림턱(214)이 걸릴 수 있도록 결합부(260b)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260b)는 일자형태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260b)의 중간 부분이 연결부(25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260b)의 일단은 기둥구조물(100) 측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걸림턱(214)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261b)가 결합부(260b)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61b)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261b)와 안착홈부(26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61b)는 결합부(260b)의 끝단에 형성되는데, 결합부(260b)가 기둥구조물(100) 측으로 배치된 끝단의 반대쪽 끝단에 걸림부(261b)가 형성된다.이러한 걸림부(261b)는 연결부(250)가 위치한 반대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도 21과 같이 걸림부(261b)의 외측면에 걸림턱(214)이 형성된 절곡부(213)의 내측과 맞닿는다.
안착홈부(263b)는 걸림부(261b)의 아래에 위치하며, 연결부(250) 측으로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214)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부(263b)는 경사부(262)와 연결부(2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커버(200b)의 결합 상태를 도 21에 도시하였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위 커버(200b)의 걸림턱(214)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단위 커버(200b)의 걸림부(261b)에 걸려 결합된다.
이때, 걸림턱(214)은 걸림부(261b)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안착홈부(263b)에 안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된 걸림부(261b)는 걸림턱(214)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걸림부(261b)의 외측면이 걸림턱(214)이 형성된 절곡부(213)의 내측과 맞닿는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도 23과 같이 각 단위 커버(200c)의 패널부(210c)중 외측부(211)에는 요철부(2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를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하였다.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 중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물(100d)은 사각 파이프 형상이다.
이와 같은 사각 파이프 형상인 기둥구조물(100d)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이프 커버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커버(200d)로 구성되어, 각 단위 커버(200d)가 결합하여 사각 파이프 형상의 기둥구조물(100d)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파이프 형상인 기둥구조물(100d)의 각 면당 하나의 단위 커버(200d)가 배치되며, 도 25와 같이 네 개의 단위 커버(200d)가 결합하여 기둥구조물(100d)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기둥구조물(100d)이 사각 파이프 형상임에 따라 마감캡(400d)도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단위 커버(200d)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널부(210d)와, 각 패널부(210d)를 연결하는 연결부(250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기둥구조물(100d)이 사각 파이프 형상임에 따라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부(211d)는 일자 형태이고, 외측부(211d)의 양끝단에서 각각 절곡된 절곡부(213d)는 외측부(211d)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210d)와 연결부(250d)로 구성되는 단위 커버(200d)의 어느 일단에는 패널부(210d)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연결부(250d)가 배치된다.
단위 커버(200d)의 일단에 배치되는 패널부(210d)의 절곡부(213d) 중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부(213d)는 단면이 패널부(210d)로부터 원호 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패널부(210d)와 외측에 배치되는 절곡부(213d)는 완만한 곡면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외측에 배치된 절곡부(213d) 끝단에는 걸림턱(214d)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커버(200d)의 타단에 배치되는 연결부(250d)에는 걸림턱(214d)이 걸릴 수 있도록 결합부(260d)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260d)는 일자형태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260d)의 중간 부분이 연결부(250d)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260d)의 일단은 기둥구조물(100d) 측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걸림턱(214d)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261d)가 결합부(260d)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61d)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부(262d)와 안착홈부(263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면부(262d)는 결합부(260d)의 끝단에 형성되는데, 결합부결합부(260d)가 기둥구조물(100d) 측으로 배치된 끝단의 반대쪽 끝단에 곡면부(262d)가 형성된다.이러한 곡면부(262d)는 연결부(250d)가 위치한 반대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도 25과 같이 곡면부(262d)의 외측면은 걸림턱(214d)이 형성된 절곡부(213d)의 내측과 맞닿는다.
안착홈부(263d)는 곡면부(262d)의 아래에 위치하며, 연결부(250d) 측으로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214d)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부(263d)는 경사부(262)와 연결부(250d)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커버(200d)의 결합 상태를 도 25에 도시하였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위 커버(200d)의 걸림턱(214d)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단위 커버(200d)의 걸림부(261d)에 걸려 결합된다.
이때, 걸림턱(214d)은 곡면부(262d)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안착홈부(263d)에 안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된 걸림부(261d)는 걸림턱(214d)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곡면부(262d)의 외측면이 걸림턱(214d)이 형성된 절곡부(213d)의 내측과 맞닿는다.
다수의 단위 커버(200d)와 마감캡(400d)이 결합된 상태를 도 27에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파이프 커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 단위 커버(200)의 걸림턱과 걸림부(261)를 서로 당기어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100)에 빠르게 밀착하여 조립될 수 있다.
특히, 단위 커버(200)의 탄성을 이용하여 당겨서 끼우게 되면 쉽고 빠르게 단위 커버(20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둘째, 단위 커버(200)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에 다른 단위 커버(200)에 형성된 걸림부(261)를 1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기둥구조물(10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다.
또한, 기둥구조물(100)에 탄성이 있는 양면테이프(300)를 접착하면, 기둥구조물(100)과 단위 커버(200) 사이에 접착되는 양면테이프(300)의 접착력과 탄성을 이용하여 기둥구조물(100)에 단위 커버(200)를 2차적으로 더욱 단단히 밀착할 수 있다. 이렇게 양면테이프(300)를 이용하면, 기둥구조물(100)의 정해진 위치에 단위 커버(200)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고 용이하며, 탄성이 있는 양면테이프(300)로 인하여 단위 커버(200)가 움직이거나 소리가 나지 않고, 더욱 더 단단히 단위 커버(200)가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기둥구조물(100)을 감싸며 결합된 단위 커버(200)의 상,하단에 마감캡(400)을 3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더욱 더 단단히 밀착할 수 있다. 이렇게 마감캡(400)에 의해 단위 커버(200)의 상,하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마감캡(400)에 의해 단위 커버(200)와 기둥구조물(1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여 외관을 더욱 더 좋게 할 수 있다.
셋째, 단위 커버(200)를 기둥구조물(100)을 둘레를 따라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용접이나 별도의 체결수단이 불필요하고, 기둥구조물(100) 자체에 천공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동일한 형상의 단위 커버(200)는 알루미늄, 합성수지 사출 등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섯째, 광고 현수막 등을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415), 깃발을 게양할 수 있는 국기 계양대(457)를 일체로 설치하여 도시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기둥구조물 200 : 단위 커버
210 : 패널부 211 : 외측부
212 : 요철부 213 : 절곡부
250 : 연결부 260 : 결합부
261 : 걸림부 262 : 경사부
263 : 안착홈부 300 : 접착수단
400 : 마감캡 410 : 캡 받침부
450 : 캡 측판부
210 : 패널부 211 : 외측부
212 : 요철부 213 : 절곡부
250 : 연결부 260 : 결합부
261 : 걸림부 262 : 경사부
263 : 안착홈부 300 : 접착수단
400 : 마감캡 410 : 캡 받침부
450 : 캡 측판부
Claims (9)
-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양끝단에서 기둥구조물 측으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패널부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패널부의 상기 절곡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단위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단위 커버의 양단에는 결합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되,
상기 단위 커버의 어느 일단에 마련된 상기 결합수단은 걸림턱이고,
상기 단위 커버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부이며,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기둥구조물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기 걸림턱이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기 걸림부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가 상기 기둥구조물을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패널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접착부분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커버의 어느 일단에는 상기 패널부가 배치되고, 상기 단위 커버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패널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패널부의 내측을 향하며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끝단에서 중심쪽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부 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턱이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경사부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상기 연결부가 위치한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절곡부의 내측과 맞닿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턱이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곡면부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구조물의 외측면에는 접착수단이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의 끝단은 상기 접착수단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버.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가 상기 기둥구조물을 감싸며 배치될 때,
상기 기둥구조물과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다수의 상기 단위 커버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마감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1830A KR102077199B1 (ko) | 2014-11-19 | 2014-11-19 | 파이프 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1830A KR102077199B1 (ko) | 2014-11-19 | 2014-11-19 | 파이프 커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22835A Division KR101494169B1 (ko) | 2014-09-16 | 2014-09-16 | 파이프 커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2652A KR20160032652A (ko) | 2016-03-24 |
KR102077199B1 true KR102077199B1 (ko) | 2020-02-13 |
Family
ID=5565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1830A KR102077199B1 (ko) | 2014-11-19 | 2014-11-19 | 파이프 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71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5386B1 (ko) * | 2021-10-28 | 2022-10-14 | 서주영 | 기둥커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313B1 (ko) * | 2014-01-22 | 2014-03-28 | (유) 포디헤윰 | 지주용 스티커 부착 방지장치 |
-
2014
- 2014-11-19 KR KR1020140161830A patent/KR1020771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313B1 (ko) * | 2014-01-22 | 2014-03-28 | (유) 포디헤윰 | 지주용 스티커 부착 방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2652A (ko) | 2016-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253192A1 (en) | Rear Trim Ring for a Vandal Resistant Luminaire | |
KR101494169B1 (ko) | 파이프 커버 | |
KR200448480Y1 (ko) | 현수막 걸이대 | |
KR102077199B1 (ko) | 파이프 커버 | |
KR101157558B1 (ko) | 양면 분리형 투명판 프레임 | |
US20070253199A1 (en) | Vandal Resistant Luminaire | |
KR200427420Y1 (ko) |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 |
KR101292617B1 (ko) | 가설계단용 안전난간 체결장치 | |
JP2014181541A (ja) | 交標識塔の再生用カバー | |
KR102255800B1 (ko) | 플라스틱 골판지를 이용한 삼각광고대 | |
CN203574096U (zh) | 汽车顶置天线安装固定装置 | |
KR101323768B1 (ko) | 가변형 엘이디 채널 모듈 | |
KR100366710B1 (ko) | 깃대꽂이 | |
JP5519989B2 (ja) | 可倒式車止め | |
KR200411758Y1 (ko) |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 |
KR101921559B1 (ko) |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 |
KR200437123Y1 (ko) | 길이 조정이 가능한 현수막 걸이대 | |
KR200248204Y1 (ko) | 광고 깃발 고정장치 | |
KR101418203B1 (ko) | 가로등 지주 결합구조 | |
KR100969451B1 (ko) | 도로용 차선규제봉 | |
USD660986S1 (en) | Support arm and hub assembly for a fence post | |
KR20090002533A (ko) | 광고장치 | |
KR20200088608A (ko) | 가로등주 ci 안전표찰기구 | |
KR100657460B1 (ko) | 접이식 라바콘 | |
KR101008586B1 (ko) | 절연지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