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420Y1 -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 Google Patents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420Y1
KR200427420Y1 KR2020060017117U KR20060017117U KR200427420Y1 KR 200427420 Y1 KR200427420 Y1 KR 200427420Y1 KR 2020060017117 U KR2020060017117 U KR 2020060017117U KR 20060017117 U KR20060017117 U KR 20060017117U KR 200427420 Y1 KR200427420 Y1 KR 200427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late
plates
illegal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60017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Abstract

본 고안은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바깥 표면에 각종 그림이나 일반 또는 특정 지역을 상징하는 무늬, 로고, 캐릭터 등과 같은 미적인 아름다움을 고려한 양각 형상물이 입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성형 제작됨으로써, 이 돌출 형성된 입체 형상물에 의해 광고물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시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으며, 금속밴드와 같은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시공이 가능한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신주 및 가로등, 교통표지판, 신호등을 포함한 각종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에 설치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분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판재의 바깥 표면에는 미감을 줄 수 있는 각종 그림이나 무늬, 로고, 캐릭터 등의 컬러로 채색된 양각 형상물이 입체로 돌출 형성되어, 이 입체로 돌출 형성된 양각 형상물에 의해 표면의 불법 광고물 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를 제공한다.
광고물, 부착 방지구, 기둥, 서브 판재, 입체, 형상물, 절연소재, 코팅

Description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A preventive cover for illegality ad-pos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의 장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장착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장착상태도 및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체결구조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체결구조의 단면도,
도 14는 종래기술에 따른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둥부분 30 : 광고물 부착 방지구
31, 32 : 서브 판재 31a, 32a : 체결단
33 : 양각(입체) 형상물 34 : 고정 피스
본 고안은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깥 표면에 각종 그림이나 무늬, 로고 등 미적인 아름다움을 고려한 양각 형상물이 입체로 돌출 형성되어 제작됨으로써, 이 돌출 형성된 입체 형상물에 의해 광고물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시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으며, 금속밴드와 같은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시공이 가능한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도로의 인접한 위치에는 전신주 및 가로등, 교통표지판, 신호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종 고정구조물은 특성상 시계가 우수한 곳에 설치되며, 특히 기둥부분의 표면은 각종 인쇄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 표면에는 스티커의 부착이나 풀을 사용한 종이류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광고물과 같은 불법 부착물이 무분별하게 부착되고 있다.
더욱이,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 일정 높이에는, 사람들의 시선을 쉽게 집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손이 닿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이로 인해 선전효과를 더욱 배가할 수 있고 부착기간을 더욱 오랫동안 존속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구인/구직용 전단이나 선전용 스티커 등과 같은 불법 부착물이 무분별하게 부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불법 부착물은 고정구조물의 미관을 해치며, 특히 교통표지판의 불법 부착물은 운전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거나 도로상황에 대한 전달력을 저하시키므로 큰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불법 부착물은 많은 예산과 인력을 들여 제거하고 있기는 하나, 계속적으로 부착되는 불법 광고물을 완전히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불법 부착물은 풀 등의 접착제로 부착되기 때문에 제거 후에도 깨끗하게 청소되지 않아 많은 잔여물이 남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불법 부착물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방법 중의 하나로서, 전신주 및 가로등, 교통표지판, 신호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 표면에 광고물과 같은 불법 부착물의 무분별한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광고물 부착 방지구를 설치하고 있 다.
첨부한 도 14는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전신주 및 가로등, 교통표지판, 신호등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에 설치되는 종래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20)는 불법 광고물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접착력을 저하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금속판이나 고무를 포함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시트(21)의 표면에 엠보싱 기법이나 사출 등에 의한 다수의 돌출돌기(22)를 형성하고, 이렇게 제작된 시트(21)를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10)에 감은 상태에서 상단부 및 하단부, 중간부 등에 금속밴드(23)와 같은 체결구나 고정장치를 결합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광고물 부착 방지구(20)는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돌기(22)에 의해 불법 광고물에 대한 접착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불법 광고물이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불법 광고물이 부착되더라도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광고물 부착 방지구(20)는 표면에 형성된 돌출돌기(22)나 금속밴드(23)와 같은 고정장치 등이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20)는 광고물 부착 방지라는 기능만을 강조하여 시트(21) 자체가 아무런 미적 표현 없이 단순한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심 거리의 미관을 크게 떨어뜨린다.
또한 시트(21) 표면에 불법 부착물의 방지를 위한 코팅 처리가 되어 있으나 시트 표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어떠한 고려도 되어 있지 않으며, 표면의 거친 부위로 인해 먼지나 때가 많이 끼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금속밴드(23)가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경우 미관을 더욱 해치는 것은 물론이고, 금속밴드나 기타 고정장치 등이 기둥으로부터 탈락하거나 느슨하게 고정된 경우 어린아이나 행인들이 다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 표면에 각종 그림이나 무늬, 로고 등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고려하여 표현된 양각 형상물이 입체로 돌출 형성되어 제작됨으로써, 이 돌출 형성된 입체 형상물에 의해 광고물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시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으며, 금속밴드와 같은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시공이 가능하면서 종래와 같이 시트의 거친 부위나 금속밴드 등 체결구에 의해 어린아이나 행인들이 다칠 수 있었던 문제점이 해소될 수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신주 및 가로등, 교통표지판, 신호등을 포함한 각종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에 설치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분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판재의 바깥 표면에는 미감을 줄 수 있는 각종 그림이나 무늬, 로고, 캐릭터 등의 컬러로 채색된 양각 형상물이 입체로 돌출 형성되어, 이 입체로 돌출 형성된 양각 형상물에 의해 표면의 불법 광고물 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판재는, 서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분 전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원형관 또는 각형관 형상을 형성하도록, 원형관 또는 각형관 형상에서 상하 길이를 따라 분할된 구조로 성형 제작되어 제공되는 복수개의 서브 판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판재는 서로 만나는 측단 테두리 부분에 단차진 구조의 체결단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고, 기둥부분의 표면에서 서로 만나는 양측 체결단이 안팎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의 양측 체결단이 안팎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겹쳐진 체결단 부분을 관통하도록 시공되는 고정 피스들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의 서로 만나는 측단 테두리 부분을 따라 요부(凹部)를 반복적으로 형성시키고, 기둥부분의 표면에서 서로 만나는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을 철부(凸部)가 요부에 삽입되도록 서로 맞물린 뒤, 상기 철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을 따라 핀 로드를 삽입하여,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이 맞물린 상태로 상기 핀 로드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판재는, 서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분 전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원형관 형상을 형성하도록, 원형관 형상에서 상하 길이를 따라 분할된 반원형 구조로 성형 제작되어 제공되는 2개의 서브 판재들로 구성되고, 상기 두 서브 판재간 일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이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두 서브 판재간 타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이 소정의 체결구조로 상호간에 체결되어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두 서브 판재간 타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는 금속 인서트 부재가 삽입 설치되고, 양측 서브 판재에서 상기 금속 인서트 부재는 그 일부가 측단 테두리 부분 안쪽면에 형성한 단차홈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양측 금속 인서트 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두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이 상호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이 반원형으로 벤딩되어 이 벤딩된 부분이 상기 체결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이 훅 형상으로 벤딩 절곡되어 상기 체결홀에 훅 결합하여 걸어주 게 되는 끼움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는 절연소재로 성형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판재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부착방지 코팅층이 추가로 코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재의 일측 표면에 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홈부에 고유번호를 기재한 표찰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의 장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로서,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30)는 전신주 및 가로등, 교통표지판, 신호등과 같은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10)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둥부분(10) 표면의 상하 길이방향 소정 구간에 설치되며, 이때 설치되는 구간이 불법 광고물이 쉽게 부착될 수 있는 구간을 포함하도록 기둥부분(10)의 하단부에서 소정 높이까지 적절한 구간만큼 설치된다.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30)는 소정 길이로 길게 성형 제작되고 기둥부분(10) 주변에서 서로 연결 조립되어 기둥부분 전 둘레를 완전히 감싸는 복수개의 서브 판재(31,32)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서브 판재(31,32)들은 기둥부분(10)을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원형관 또는 각형관 형상으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 간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시한 바의 실시예는 원형 단면의 기둥부분(10)을 둘러쌀 수 있도록 원형관 형상으로 조합될 수 있는 2개의 반원형 서브 판재(31,32)들로 이루어진 광고물 부착 방지구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서브 판재의 개수가 예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부분(10)을 둘러싸도록 연결 조립될 수 있는 구조라면 서브 판재의 개수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즉, 3개 또는 4개의 서브 판재들이 기둥부분 전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원형 관 또는 각형관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 서브 판재들 간의 고정을 위한 체결구조는 서브 판재의 개수에 관계없이 도시한 예와 동일하다.
물론, 상기와 같이 기둥부분 전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여러 개의 서브 판재들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부분(10) 전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하나의 성형된 판재(30a)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판재(30a)를 기둥부분(10) 전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덮어씌운 뒤 서로 만나는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을 후술하는 체결구조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고정하게 된 다.
도 4는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을 안팎으로 서로 겹쳐놓은 상태에서 고정 피스(34)를 박아 상호 체결함으로써 판재(30a)가 고정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기둥부분 표면을 둘러싸도록 조합된 서브 판재들이 서로 간에 고정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브 판재(31,32)들 간에 경계가 되는 연결부분, 즉 전체 높이만큼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 단차진 구조의 체결단(31a,32a)이 형성되며, 양측의 서브 판재(31,32)가 연결 조합된 상태에서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의 체결단(31a,32a)은 안팎으로 서로 겹쳐져 물리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양측 서브 판재(31,32)의 체결단(31a,32a)이 안팎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는 서브 판재간의 고정, 즉 양측의 겹쳐진 체결단(31a,32a) 부분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 피스(34)를 체결단(31a,32a) 부분에 박아 서로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 피스(34)는 별도 공구를 사용하여 겹쳐진 양측 체결단(31a,32a) 부분을 관통하도록 박아서 상호 간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고정 피스(34)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겹쳐진 체결단(31a,32a) 부분을 따라 상하 일정간격으로 시공한다.
또한 상기한 단차진 구조의 체결단을 형성하지 않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30a)의 측단 테두리 부분을 단순히 서로 겹쳐 놓은 상태에서 고정 피스(34)로 박아 체결하는 구조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첨부한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장착상태도 및 분리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요부(凹部)(35a)를 반복적으로 형성시키고, 상호 체결되는 양측의 측단 테두리 부분을 철부(凸部)(35b)가 요부(35a)에 삽입되도록 서로 맞물린 뒤, 상기 철부(35b)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37)을 따라 핀 로드(36)를 삽입하여, 양측의 측단 테두리 부분이 맞물린 상태로 상기 핀 로드(36)에 의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30)는 금속밴드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고정 피스(34)를 박아 조립이 가능하며, 분할된 서브 판재(31,32) 2 ~ 3개를 각 방향에서 기둥부분(10) 표면에 밀착시킨 후 간단히 고정 피스(34)를 시공하여 조립하므로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기존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가 미관이 좋지 않았던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광고물 부착 방지구(30)의 성형 제작된 각 서브 판재(31,32)는, 바깥 표면에, 컬러로 표현되어 있으면서 각종 그림 또는 일반 무늬, 로고, 캐릭터 또는 특정 지역을 상징하는 무늬, 로고, 캐릭터 모양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고려한 양각의 형상물(33)을 입체로 형성시켜서 제작된다.
즉, 그림이나 무늬, 로고, 캐릭터 등의 컬러로 표현된 입체 형상물(33)이 서브 판재(31,32)의 바깥 표면에 양각의 조각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양각의 입체 형상물(33)은 도심이나 그 지역을 상징하는 상징물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자연이나 기타 아름다움을 표현한 임의의 형상물이 될 수 있는 바, 도심의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브 판재(31,32)의 표면에 형성된 조각 형상에 따라 적절한 색상을 컬러로 넣어 도심 거리를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판재(31,32)는 컬러로 표현된 양각의 형상물(33)이 입체감을 주는 동시에 보는 이로 하여금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는 바,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3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로 미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으며, 특히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입체 형상물(33)에 의해 광고물의 부착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고 교체가 용이하므로 적정 시점에서 새로운 디자인의 서브 판재(31,32)로 교체하여 부착하는 경우 도심 거리에 주기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사시도이며, 도 8은 체결구조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제작된 두 개의 반원형 서브 판재(31,32)로 구성되되, 두 서브 판재(31,32) 간 일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을 서로 힌지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일측의 연결부위에서 두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는 상호간 힌지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가 구비되는 바, 이 체결구조는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결합부(41a,41b)와, 양측 서브 판재(31,32)의 힌지결합부(41a,41b)를 체결하는 힌지핀(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힌지결합부(41a,41b)는 일체로 형성된 일측의 금속판 부분을 서브 판재(31,32)의 내부에 삽입시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하고, 각 서브 판재(31,32)의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하는 방법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반대쪽 타측의 연결부위에서 두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틸인리스 스틸, 스틸 등으로 제작된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를 삽입시키는데, 이 금속 인서트 부재(43)는 각 서브 판재(31,32)의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하는 방법으로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 인서트 설치되는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는 그 일부가 각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 안쪽면에 형성한 단차홈(38a,38b)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바, 일측 서브 판재(32)의 금속 인서트 부재(43b)에는 단차홈(38b)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44)을 형성하고, 타측 서브 판재(31)의 금속 인서트 부재(43a)에는 단차홈(38a) 내부로 돌출된 부분을 대략 반원형으로 벤딩시켜 끼움부(45)를 형성한다.
상기 끼움부(45)는 상기 체결홀(44)에 끼워질 때 약간 오무라진 뒤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는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탄성력이 체결홀(44)에 체결력으로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체결력에 의해 끼움부(45)가 체결홀(44)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결국, 상기 서브 판재(31,32)를 기둥부분(10)에 조립할 때에는 일측 서브 판 재(32)의 금속 인서트 부재(43b)에 형성된 체결홀(44)에 타측 서브 판재(31)의 금속 인서트 부재(43a)에 형성된 끼움부(45)를 끼워 결합하게 되며, 이때 끼움부(45)는 체결홀(44)에 끼워진 상태에서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체결홀로부터 빠지지 않고 견고히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홀(44)과 끼움부(45)가 형성된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의 돌출된 부분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홈(38a,38b)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바, 바깥에서 볼 때에는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가 가려져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8의 단면도에서 틈 부분을 강하게 눌러서 끼움부(45)를 안쪽으로 눌러주게 되면 끼움부가 체결홀(44)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두 서브 판재(31,32) 간 일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반대쪽 타측의 연결부위에서 두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스틸 등으로 제작된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를 삽입시키는데, 이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는 각 서브 판재(31,32)의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하는 방법으로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 인서트 설치되는 상기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는 그 일부가 각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 안쪽면에 형성한 단차홈(38a,38b)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바, 일측 서브 판재(32)의 금속 인서트 부재(43b)에는 단차홈(38b)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44)을 형성하고, 타측 서브 판재(31)의 금속 인서트 부재(43a)에는 단차홈(38a) 내부로 돌출된 부분을 바깥쪽으로 급격히 벤딩 절곡하여 훅 형상으로 만든 끼움부(45)를 형성한다.
결국, 상기 서브 판재(31,32)를 기둥부분(10)에 조립할 때에는 일측 서브 판재(32)의 금속 인서트 부재(43b)에 형성된 체결홀(44)에 타측 서브 판재(31)의 금속 인서트 부재(43a)에 형성된 끼움부(45)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훅 결합하여 걸어주게 되며, 이렇게 훅 결합된 끼움부(45)는 체결홀(44)로부터 빠지지 않고 견고히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홀(44)과 끼움부(45)가 형성된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의 돌출된 부분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홈(38a,38b)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바, 바깥에서 볼 때에는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가 가려져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0의 단면도에서 틈 부분을 강하게 눌러서 끼움부(45)를 안쪽으로 눌러주게 되면 끼움부가 체결홀(44)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서 서브 판재간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도면으로서, 도 11은 사시도, 도 12는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체결구조의 단면도이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두 서브 판재(31,32) 간 일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반대쪽 타측의 연결부위에서 두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스틸 등으로 제작된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를 삽입시키는데, 이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는 각 서브 판재(31,32)의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하는 방법으로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 인서트 설치되는 상기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는 그 일부가 각 서브 판재(31,32)의 측단 테두리 부분 안쪽면에 형성한 단차홈(38a,38b)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바, 일측 서브 판재(32)의 금속 인서트 부재(43b)에는 단차홈(38b)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원형의 체결홀(44)을 형성하고, 타측 서브 판재(31)의 금속 인서트 부재(43a)에는 단차홈(38a)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체결홀(44)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부(46)를 형성한다.
결국, 상기 서브 판재(31,32)를 기둥부분(10)에 조립할 때에는 일측 서브 판재(32)의 금속 인서트 부재(43b)에 형성된 체결홀(44)에 타측 서브 판재(32)의 금속 인서트 부재(43a)에 형성된 돌기부(46)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삽입하여 끼워주게 되며, 이렇게 끼워진 돌기부(46)는 체결홀(44)로부터 빠지지 않고 견고히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홀(44)과 돌기부(46)가 형성된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의 돌출 된 부분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홈(38a,38b)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바, 바깥에서 볼 때에는 금속 인서트 부재(43a,43b)가 가려져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3의 단면도에서 틈 부분을 강하게 눌러서 돌기부(46)를 안쪽으로 눌러주게 되면 돌기부가 체결홀(44)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30)에서 서브 판재(31,32)들은 제작시에 양각 형상물(33)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게 되며, 용이하게 양각 형상을 성형할 수 있으면서 색상을 넣을 수 있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서브 판재(31,32)를 발포 우레탄을 재질로 하여 반원형으로 성형 제작할 수 있는 바, 발포 우레탄을 재질로 하여, 최초 성형된 모양을 유지하면서 표면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연질인 서브 판재(31,32)를 제작하게 되면, 기둥부분(10)에 부착한 뒤 추후에 보행자가 충돌하더라도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30)에서 상기 서브 판재(31,32)들을 절연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등의 기둥을 예로 들면, 가로등의 기둥부분 안쪽에 많은 전선이 들어 있어 감전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바,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를 절연소재로 제작하게 되면, 뜻하지 않게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사회 문화의 발달로 인해 야간 조명을 위한 가로등의 설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반해, 가로등은 밤에만 필요한 등 기구로서 낮에는 불필요한 구조물이 되는 바, 본 고안의 광고물 부착 방지구를 가로등에 설치하게 되면, 도심 거리를 아름답게 하면서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가로등의 내부 전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서브 판재의 표면에 광고물 부착 방지를 위한 특수 코팅층을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고물 부착 방지용 코팅층은 서브 판재의 표면에 실리콘 재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판재(31)의 일측에는 도로명과 함께 가로등의 고유번호를 기재한 표찰(48)이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표찰(48)은 알루미늄이나 PVC 판재로 제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표찰(48)을 부착하기 위하여 서브 판재(31)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홈부(47)가 형성된다.
상기 표찰(48)은 도로명과 가로등의 고유번호가 기재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홈부(47) 안쪽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표찰을 기둥부분 표면에 소정의 접착수단 또는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용접하여 부착하는 방식이 이용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간단히 판재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부(47)에 끼워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의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는 기둥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성형하여 제작하고 바깥 표면에는 미감을 줄 수 있는 양각의 입체 형상물을 돌출 형성하여 제작한 서브 판재들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치시에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장식 커버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 의하면, 길게 성형 제작된 서브 판재들로 구성되고, 이들이 상기 기둥부분 표면에 기둥 길이방향의 소정 구간 주변을 둘러싸도록 연결 조립된 상태로 상호간 체결되어서 고정 설치되되, 상기 서브 판재들의 바깥 표면에는 각종 그림이나 무늬, 로고 등의 양각 형상물이 입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그림이나 무늬, 로고, 캐릭터 등 컬러로 표현된 양각의 형상물이 입체감을 주는 동시에 보는 이로 하여금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서브 판재들이 제작되는 바,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입체 형상물에 의해 광고물의 부착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미적인 아름다움을 고려하여 형성된 상기 양각의 형상물에 의해 도시 미관을 보다 아름답게 꾸밀 수 있게 된다.
2)금속밴드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고정 피스를 박아 조립이 가능하며, 분할된 서브 판재 2 ~ 3개를 각 방향에서 기둥 표면에 밀착시킨 후 간단히 고정 피스를 시공하여 조립하므로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다.
3)종래와 같이 거친 표면에 의해 먼지나 때가 낄 수 있었던 문제점이라든지 시트의 거친 부위나 금속밴드 등 체결구에 의해 어린아이나 행인들이 다칠 수 있었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4)절연소재로 제작되어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전신주 및 가로등, 교통표지판, 신호등을 포함한 각종 고정구조물의 기둥부분에 설치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분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판재의 바깥 표면에는 미감을 줄 수 있는 각종 그림이나 무늬, 로고, 캐릭터 등의 컬러로 채색된 양각 형상물이 입체로 돌출 형성되어, 이 입체로 돌출 형성된 양각 형상물에 의해 표면의 불법 광고물 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서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분 전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원형관 또는 각형관 형상을 형성하도록, 원형관 또는 각형관 형상에서 상하 길이를 따라 분할된 구조로 성형 제작되어 제공되는 복수개의 서브 판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서로 만나는 측단 테두리 부분에 단차진 구조의 체결단이 형성 된 구조로 제작되고, 기둥부분의 표면에서 서로 만나는 양측 체결단이 안팎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양측 체결단이 안팎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겹쳐진 체결단 부분을 관통하도록 시공되는 고정 피스들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서로 만나는 측단 테두리 부분을 따라 요부(凹部)를 반복적으로 형성시키고, 기둥부분의 표면에서 서로 만나는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을 철부(凸部)가 요부에 삽입되도록 서로 맞물린 뒤, 상기 철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을 따라 핀 로드를 삽입하여,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이 맞물린 상태로 상기 핀 로드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서로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분 전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원형관 형상을 형성하도록, 원형관 형상에서 상하 길이를 따라 분할된 반원형 구조로 성형 제작되어 제공되는 2개의 서브 판재들로 구성되고, 상기 두 서브 판재간 일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이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두 서브 판재간 타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측단 테두리 부분이 소정의 체결구조로 상호간에 체결되어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두 서브 판재간 타측의 연결부위에서 양측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에는 금속 인서트 부재가 삽입 설치되고, 양측 서브 판재에서 상기 금속 인서트 부재는 그 일부가 측단 테두리 부분 안쪽면에 형성한 단차홈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양측 금속 인서트 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두 서브 판재의 측단 테두리 부분이 상호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일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이 반원형으로 벤딩되어 이 벤딩된 부분이 상기 체결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일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이 훅 형상으로 벤딩 절곡되어 상기 체결홀에 훅 결합하여 걸어주게 되는 끼움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일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서브 판재의 금속 인서트 부재에서 상기 단차홈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11.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절연소재로 성형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13.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부착방지 코팅층이 추가로 코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14.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일측 표면에 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홈부에 고유번호를 기재한 표찰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KR2020060017117U 2006-06-26 2006-06-26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KR200427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17U KR200427420Y1 (ko) 2006-06-26 2006-06-26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17U KR200427420Y1 (ko) 2006-06-26 2006-06-26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420Y1 true KR200427420Y1 (ko) 2006-09-26

Family

ID=4177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117U KR200427420Y1 (ko) 2006-06-26 2006-06-26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42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008B1 (ko) * 2006-12-06 2007-04-16 상지이앤씨(주)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KR100750719B1 (ko) * 2007-03-26 2007-08-22 (주)우진엔지니어링 전주에 설치되는 전주번호찰
KR100870226B1 (ko) 2008-05-23 2008-11-24 박미경 배너 고정 장치
KR100948366B1 (ko) 2009-10-23 2010-03-22 (주)피앤피이십일 안전사고 예방과 관광안내 기능의 불법광고 방지물
KR200463273Y1 (ko) 2010-04-05 2012-10-31 백흥주 조립형 펜스 지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008B1 (ko) * 2006-12-06 2007-04-16 상지이앤씨(주)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KR100750719B1 (ko) * 2007-03-26 2007-08-22 (주)우진엔지니어링 전주에 설치되는 전주번호찰
KR100870226B1 (ko) 2008-05-23 2008-11-24 박미경 배너 고정 장치
KR100948366B1 (ko) 2009-10-23 2010-03-22 (주)피앤피이십일 안전사고 예방과 관광안내 기능의 불법광고 방지물
KR200463273Y1 (ko) 2010-04-05 2012-10-31 백흥주 조립형 펜스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420Y1 (ko)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구
KR101740027B1 (ko) 차량 충돌 방지판
KR100972596B1 (ko) 조립식 펜스
KR200384454Y1 (ko) 광고용 채널 고정 프레임
KR20080109190A (ko) 채광패널 시스템
KR200459793Y1 (ko) 광고용 장식구
KR200434947Y1 (ko) 광고물 부착방지장치
KR100945746B1 (ko)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판
KR200301301Y1 (ko) 교통표지판 고정밴드
KR200363139Y1 (ko) 전단부착 방지패널
KR20100133326A (ko) 다리 난간 및 가드레일용 다목적 식재박스
KR100558222B1 (ko) 전주나 가로등의 광고물 부착방지장치
KR20130005412U (ko) 다리 난간 및 가드레일용 다목적 화분받침대
KR100751211B1 (ko) 불법광고물 부착금지판
KR200265302Y1 (ko) 가로등 지주의 보호 겸용 광고판
KR200411629Y1 (ko) 광고지 수용 포켓을 갖는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용 시이트
KR100841007B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판
KR200210945Y1 (ko) 광고물 부착방지용 미화보드
KR200249121Y1 (ko) 불법 광고물 방지판
US20230151631A1 (en) Pole cover assembly for a street pole, sign and other object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aesthetic appeal
KR20100064354A (ko) 안전펜스
KR100944446B1 (ko)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판
KR200406941Y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판
KR20100016870A (ko) 광고물 부착방지장치
KR200359051Y1 (ko) 광고물 부착 금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3000242;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123

Effective date: 20071130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123

Effective date: 20071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