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709B1 -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709B1
KR101031709B1 KR1020097001755A KR20097001755A KR101031709B1 KR 101031709 B1 KR101031709 B1 KR 101031709B1 KR 1020097001755 A KR1020097001755 A KR 1020097001755A KR 20097001755 A KR20097001755 A KR 20097001755A KR 101031709 B1 KR101031709 B1 KR 10103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ransmission power
power differenc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322A (ko
Inventor
스스무 가시와세
구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송신 전력차가 제 1 캐리어와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나타내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캐리어 및 제 2 캐리어 중, 송신 전력값이 높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한 역방향 링크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및 멀티 캐리어에 의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동영상이나 게임 등의, 취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화 및 고도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고속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예컨대,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는, 상위층에서 묶여진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송신을 실현하는 방식(이른바, 멀티 캐리어)을 규정하고 있다.
멀티 캐리어의 경우, 무선 통신 단말(Access Terminal)은, 소형화나 제조 비용 삭감 등의 관점에서, 단일의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캐리어를 송신하는 구성을 일반적으로 채용한다. 그래서, 소정의 주파수 간격(1.25MHz 간격)을 갖고서 서로 인접하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임계값(MaxRLTxPwrDiff, 예를 들면, 15dB) 이내로 해야하는 것이 제공되고 있다(예컨대, 비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1: "cdma2000 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 3GPP2 C.S0024-B Version 1.0", 3GPP2, 2006년 6월
발명의 개시
상술한 바와 같이, 3GPP2는 소정의 임계값(MaxRLTxPwrDiff) 이내로 되도록 제어되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제공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기지국(Access Network) 사이의 통신 상태에 따라,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임계값 이내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단말이 제 1 캐리어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중인 제 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제 1 캐리어에 인접한 제 2 캐리어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중인 제 2 무선 기지국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제 1 캐리어를 이용한 제 1 무선 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을 증대시켜야 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이 제 2 무선 기지국에 접근함에 따라,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을 저감시킨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은 제 1 무선 기지국 및 제 2 무선 기지국과 현재 실행중의 통신을 계속하기 위해서,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임계값 이내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서로 인접하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멀티 캐리어에 의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한 역방향 링크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저감에 따라 저하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2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저감에 따라 저하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나타내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높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면, 제 1 캐리어 및 제 2 캐리어 중, 송신 전력값이 높은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함으로써, 인접 캐리어(제 1 캐리어 및 제 2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서로 인접하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제어하면서, 멀티 캐리어에 의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주기로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높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한 역방향 링크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증대에 따라 상승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2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증대에 따라 상승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나타내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낮 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면, 제 1 캐리어 및 제 2 캐리어 중, 송신 전력값이 낮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고, 또한, 송신 전력값이 낮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향상시킴으로써, 송신 전력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서로 인접하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제어하면서, 멀티 캐리어에 의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주기로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낮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와,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저감에 따라 저하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2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저감에 따라 저하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계산기(송신 전력차 계산기(22))와,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기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판정부(송신 전력차 계산기(22))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한다고 상기 송신 전력차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높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기(통신 제어기(23))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기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기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전력차 경향 판정부(송신 전력차 경향 판정부(24))를 더 구비하며, 상기 통신 제어기는, 상 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상기 전력차 경향 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높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증대에 따라 상승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2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증대에 따라 상승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계산기와,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기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판정부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한다고 상기 송신 전력차 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낮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기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기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전력차 경향 판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통신 제어기는,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상기 전력차 경향 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기 송신 전력값이 낮은 캐리어를 통한 송신에서의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기는,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와,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서로 인접하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제어하면서, 멀티 캐리어에 의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300)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방향 링크에서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어기(20)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패턴 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패턴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패턴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어기(20)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추정 곡선차의 계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캐리어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패턴 1),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캐리어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패턴 2),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캐리어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패턴 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캐리어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패턴 4),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그러나, 도면은 모식적이고, 각 치수의 비율은 실제 비율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조해서 판단되어야 한다. 또한, 상호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도면 중에서 상이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
본 실시예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300)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300)은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10)(무선 통신 단말(10a) 내지 무선 통신 단말(10c))과, 복수의 무선 기지국(100)(무선 기지국(100a) 및 무선 기지국(100b))과, 기지국 제어기(200)를 갖는 다.
각각의 무선 통신 단말(10)은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각각의 무선 기지국(100)에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역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캐리어로 분할된다. 그 후, 무선 통신 단말(10)은 상위층에서 묶여진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00)에 송신한다(멀티 캐리어).
또한, 무선 통신 단말(10)은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할당된 순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순방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순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캐리어로 분할된다. 그 후, 무선 통신 단말(10)은 상위층에서 묶여진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순방향 링크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다(멀티 캐리어).
무선 통신 단말(10a)이나 무선 통신 단말(10c)의 경우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10)이 하나의 무선 기지국(100)과 통신을 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0b)의 경우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10)은 복수의 무선 기지국(100)과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무선 기지국(100)은,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10)로부터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0)은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할당된 순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10)에 순방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단말(10)과 무선 기지국(100) 사이에서 이 루어지는 통신을 제어한다. 기지국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단말(10)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100)을 전환하는 핸드오프와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통신 시스템(300)에 있어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전력에 근거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개루프(open loop)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0)은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폐루프(closed loop) 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서, 전력 제어 정보는 무선 기지국(100)이 무선 통신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예를 들면, 신호대 간섭비(SIR))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정보이다.
또한, 통신 시스템(300)에 있어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변조 방법이나 부호화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0)은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와 오프셋값이 연관된 테이블을 갖고 있다. 무선 통신 단말(10)은, 개루프 제어나 폐루프 제어를 통해서 결정된 송신 전력에,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을 가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스템(300)에서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이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저감에 따라 저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반대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이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증대에 따라 상승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역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캐리어(캐리어 #1 내지 캐리어 #n)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는 각각 f(1) 내지 f(n)이다. 각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는 소정의 주파수 간격(예를 들면, 1.25MHz)을 두고서 서로 인접해 있다. 그 중심 주파수가 서로 인접해 있는 2개의 캐리어를 이하에서 인접 캐리어라고 한다.
(무선 통신 단말의 구성)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무선 통신 단말(10a) 내지 무선 통신 단말(10c)은 유사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것들을 무선 통신 단말(10)로 총칭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10)은 안테나(11)와, RF/IF 변환기(12)와, 전력 증폭기(13)와, 음성 입출력부(14)와, 영상 입출력부(15)와, 코덱 처리기(16)와, 베이스밴드 처리기(17)와, 조작기(18)와, 메모리(19)와, 제어기(20)를 갖는다.
안테나(11)는 무선 기지국(100)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수신 신호)를 수신한 다. 또한, 안테나(11)는 무선 기지국(100)에 대하여 신호(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RF/IF 변환기(12)는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수신 신호의 주파수(Radio Frequency(RF))를 베이스밴드 처리기(17)에 의해 취급되는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IF))로 변환한다. 또한, RF/IF 변환기(12)는 베이스밴드 처리기(17)로부터 취득한 송신 신호의 주파수(IF)를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RF)로 변환한다. 또한, RF/IF 변환기(12)는 무선 주파수(RF)로 변환된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13)에 입력한다.
전력 증폭기(13)는 RF/IF 변환기(12)로부터 취득한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11)에 입력된다.
음성 입출력부(14)는 음성을 모으는 마이크로폰(14a)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4b)를 갖는다. 마이크로폰(14a)은 모아진 음성에 근거하여 음성 신호를 코덱 처리기(16)에 입력한다. 스피커(14b)는 코덱 처리기(16)로부터 취득한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영상 입출력부(15)는 피사체를 캡쳐하는 카메라(15a)와, 문자나 영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5b)를 포함한다. 카메라(15a)는 캡쳐된 영상(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에 근거하여 영상 신호를 코덱 처리기(16)에 입력한다. 표시부(15b)는 코덱 처리기(16)로부터 취득한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5b)는 조작기(18)를 통해서 입력되는 문자 등을 표시한다.
코덱 처리기(16)는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AMR(Advanced Multi Rate Codec), 또는 ITU-T에서 규정된 G.729)에 따라서 음성 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음성 코덱 처리기(16a)와,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MPEG-4 등)에 따라서 영상 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영상 코덱 처리부(16b)를 포함한다.
음성 코덱 처리기(16a)는 음성 입출력부(14)로부터 취득한 음성 신호를 부호화한다. 또한, 음성 코덱 처리기(16a)는 베이스밴드 처리기(17)로부터 취득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한다. 영상 코덱 처리기(16b)는 영상 입출력부(15)로부터 취득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한다. 또한, 영상 코덱 처리기(16b)는 베이스밴드 처리기(17)로부터 취득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한다.
베이스밴드 처리기(17)는 소정의 변조 방식(QPSK 또는 16QAM) 등에 따라서 송신 신호를 변조하거나 수신 신호를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처리기(17)는 코덱 처리기(16)로부터 취득한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와 같은 베이스밴드 신호를 변조한다. 변조된 베이스밴드 신호(송신 신호)는 RF/IF 변환기(12)에 입력된다. 또한, 베이스밴드 처리기(17)는 RF/IF 변환기(12)로부터 취득한 수신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된 수신 신호(베이스밴드 신호)는 코덱 처리기(16)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처리기(17)는 제어기(20)에 의해서 생성된 정보를 변조한다. 변조된 정보(송신 신호)는 RF/IF 변환기(12)에 입력된다. 또한, 베이스밴드 처리기(17)는 RF/IF 변환기(12)로부터 취득한 수신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된 수신 신호는 제어기(20)에 입력된다.
조작기(18)는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키, 착신(호출)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키, 또는 발신(발호)을 위한 발신 키 등으로 구성된 키 그룹이다. 또한, 각 키를 누르면, 조작기(18)는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기(20)에 입력시킬 수 있다.
메모리(19)는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착발신의 이력, 주소록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19)는 비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인 플래쉬 메모리,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인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9)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와 오프셋값이 연관된 테이블을 갖고 있다. 예컨대,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가 9.6kbps(초기값)인 경우에는, 개루프 제어 또는 폐루프 제어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에 오프셋값이 가산되지 않는다. 반면에,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가 153.6kbps인 경우에는, 개루프 제어 또는 폐루프 제어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에 오프셋값(13dB)이 가산된다.
제어기(20)는 메모리(19)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10)(영상 입출력부(15), 코덱 처리기(16), 베이스밴드 처리기(17)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0)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0)는 송신 전력 제어기(21)와, 송신 전력차 계산기(22)와, 통신 제어기(23)를 포함한다.
송신 전력 제어기(21)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캐리어마다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송신 전력 제어기(21)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예를 들면, SIR)에 근거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개루프 제어).
또한, 송신 전력 제어기(21)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폐루프 제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제어 정보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예를 들면, SIR)에 근거하여 무선 기지국(100)이 생성하는 정보이다. 전력 제어 정보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송신 전력의 저감이나 증대를 요구한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기(21)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통신 제어기(23)가 결정하는 오프셋값을, 개루프 제어나 폐루프 제어에 의해 결정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에 가산한다.
송신 전력차 계산기(22)는 인접 캐리어 사이에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차(이하, 송신 전력차라고 함)를 계산한다. 또한, 송신 전력차 계산기(22)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인접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차(MaxRLTxPwrDiff)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신 전력차 계산기(22)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했다는 취지를 통신 제어기(23)에 통지한다.
통신 제어기(23)는, 무선 통신 단말(10)과 무선 기지국(100) 사이에서의 무선 상태(예를 들면, 지연량)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에 따라, 역방향 링크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한다. 통신 제어기(23)는 결정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변조 방식을 변경하도록 베이스밴드 처리기(17)에 지시하거나, 또는 결정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부호화 방식을 변경하도록 코덱 처리기(16)에 지시한다.
또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했다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통신 제어기(23)는 역방향 링크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함과 동시에,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변경된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제어기(23)는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하고, 또한, 저감된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또한, 통신 제어기(23)는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할 수도 있고, 또한, 증대된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인접 캐리어가 캐리어 #1 및 캐리어 #2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00a)에 송신하고,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00b)에 송신한다.
먼저, 송신 전력 제어의 메인 처리를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송신 전력 제어의 메인 처리는 소정의 주기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단계 10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을 대상으로 하는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기지국(100a)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한다.
단계 11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2를 대상으로 하는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기지국(100b)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한다.
단계 12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개루프 제어에 통해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10에서 측정한 수신 품질에 근거하여, 캐리어 #1에 의해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단계 13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개루프 제어를 통해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 신 단말(10)은, 단계 11에서 측정한 수신 품질에 근거하여, 캐리어 #2에 의해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단계 14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기지국(100a)으로부터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전력 제어 정보는 캐리어 #1에 의해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에 근거하여 무선 기지국(100a)이 생성하는 정보임을 유의한다.
단계 15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폐루프 제어를 통해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14에서 수신한 전력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단계 12에서 결정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단계 16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2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기지국(100b)으로부터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전력 제어 정보는 캐리어 #2에 의해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수신 품질에 근거하여 무선 기지국(100b)이 생성하는 정보임을 유의한다.
단계 17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폐루프 제어를 통해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16에서 수신한 전력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단계 13에서 결정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단계 18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무선 통신 단말(10)과 무선 기지국(100a) 사이에서의 무선 상태(예를 들면, 지연량)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에 따라,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한다.
단계 19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무선 통신 단말(10)과 무선 기지국(100b) 사이에서의 무선 상태(예를 들면, 지연량) 내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에 따라,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한다.
단계 20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계 18에서 결정한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캐리어 #1의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15에서 조정된 송신 전력에 오프셋값을 가산한 전력으로,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 21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계 19에서 결정한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하는 캐리어 #2의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17에서 조정된 송신 전력에 오프셋값을 가산한 전력으로,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하에,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를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1)는 송신 전력 제어의 메인 처리에 소정의 주기로 인입되는 처리임을 유의한다.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단계 30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 리어(캐리어 #1 및 캐리어 #2) 사이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차(송신 전력차)를 계산한다.
단계 31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MaxRLTxPwrDiff)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32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32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단계 33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의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32에서 변경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오프셋값을 증대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마지막으로,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2)를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1)와 마찬가지로,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2)는 송신 전력 제어의 메인 처리에 소정의 주기로 인입되는 처리임을 유의한다.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단계 40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캐리어 #1 및 캐리어 #2)에 대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차(송신 전력차)를 계산한다.
단계 41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MaxRLTxPwrDiff)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42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42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단계 43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42에서 변경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오프셋값을 저감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에 의하면,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MaxRLTxPwrDiff)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 제어기(23)는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값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킴으로써,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MaxRLTxPwrDiff)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 제어기(23)는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값이 낮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킴으로써, 송신 전력값이 낮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향상시키면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제어하면서, 멀티 캐리어에 의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 사이의 차이를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 및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이와 달리, 실시예 2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확대할 경향이 있고, 또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 및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무선 통신 단말의 구성)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에서는, 도 3과 유사한 구성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 제어기(21), 송신 전력차 계산기(22) 및 통신 제어기(23)에 부가하여, 송신 전력차 경향 판정부(24)를 포함한다.
송신 전력차 계산기(22)는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송신 전력 제어기(21)가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하는 주기)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한다.
송신 전력차 경향 판정부(24)는 소정의 주기로 송신 전력차 계산기(22)에 의해서 계산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송신 전력차 경향 판정부(24)는 시간축 상에서 변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의 경향을 나타내는 추정 곡선식(이하, 추정 곡선식이라고 함)을 인접 캐리어마다 계산한다. 계속해서, 송신 전력차 경향 판정부(24)는, 소정 시간에서의 각 추정 곡선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의 차이(이하, 추정 곡선차라고 함)가 소정 기간에 걸쳐서 추정 곡선차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접 캐리어 사이의 추정 곡선차가 소정 기간에 걸쳐서 추정 곡선차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신 전력차 경향 판정부(24)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추정 곡선차가 소정 기간에 걸쳐서 추정 곡선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취지를 통신 제어기(23)에 통지한다.
예컨대, 인접 캐리어가 캐리어 #1 및 캐리어 #2인 경우를 예로서 이용하여, 캐리어 #1 및 캐리어 #2 사이의 추정 곡선차를 계산하는 순서를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캐리어 #1의 송신 전력이 캐리어 #2의 송신 전력보다 높은 경우를 생각한다.
구체적으로, 시간 t에서의 캐리어 #1의 송신 전력을 "P#1(t)"로 설정한 경우에, 캐리어 #1의 추정 곡선식 "M#1(t)"은, α가 캐리어 #1에 대응하는 계수인 이하의 식(1)에 의해서 계산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05316413-pct00001
한편, 시간 t에서의 캐리어 #2의 송신 전력을 "P#2(t)"로 설정한 경우에, 캐리어 #2의 추정 곡선식 "M#2(t)"는, β가 캐리어 #2에 대응하는 계수인 이하의 식(2)에 의해서 계산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09005316413-pct00002
또한,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2에 있어서, 캐리어 #2의 하방 추정 곡선식 "M'#2(t)"는 이하의 식(3)에 의해서 계산된다.
[수학식 3]
Figure 112009005316413-pct00003
또한, 시간 t에서, 캐리어 #1의 추정 곡선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과 캐리어 #2의 하방 추정 곡선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 사이의 차이(추정 곡선차 "Pdiff")는 이하의 식(4)에 의해서 계산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09005316413-pct00004
계속해서, 송신 전력차 경향 판정부(24)는 식(1) 내지 식(4)에 의해서 계산된 추정 곡선차 "Pdiff"가 소정 기간 동안에 추정 곡선차 임계값(Pthresh)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추정 곡선차 "Pdiff"는, 추정 곡선식 "M#1(t)"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과 하방 추정 곡선식 "M'#2(t)"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 사이의 차이가 아니라, 단순히 추정 곡선식 "M#2(t)"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과 추정 곡선식 "M#1(t)"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 사이의 차이일 수도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통신 제어기(23)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추정 곡선차가 소정 기간 동안에 추정 곡선차 임계값을 초과했고, 또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했다는 취지를 통지한 경우, 통신 제어기(23)는 역방향 링크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함과 아울러,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해서, 변경된 데이터 레이트에 따른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나타내어진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어진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 대신에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의 경우에서와 같이, 인접 캐리어가 캐리어 #1 및 캐리어 #2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00a)에 송신하고,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00b)에 송신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캐리어 #1의 송신 전력은 캐리어 #2의 송신 전력보다 높다고 가정한다.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단계 50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1을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캐리어 #1의 추정 곡선식을 계산한다.
단계 51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2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캐리어 #2의 추정 곡선식(또는 하방 추정 곡선식)을 계산한다.
단계 52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50에서 계산된 캐리어 #1의 추정 곡선식과 단계 51에서 계산된 캐리어 #2의 추정 곡선식(또는 하방 추정 곡선식)에 근거하여, 캐리어 #1 및 캐리어 #2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기 쉬운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의 추정 곡선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과 캐리어 #2의 추정 곡선식(또는 하방 추정 곡선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 사이의 차이(추정 곡선차)를 계산한다. 계속해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추정 곡선차가 소정 기간에 걸쳐서 추정 곡선차 임계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추정 곡선차가 소정 기간에 걸쳐서 추정 곡선차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기 쉽다고 판정하여, 단계 53의 처리로 진행한다. 반대로, 추정 곡선차가 소정 기간에 걸쳐서 추정 곡선차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기 어렵다고 판정하여,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53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 및 캐리어 #2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54의 처리로 진행한다.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54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캐리어 #1 및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각각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2를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또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1을 통해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단계 55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54에서 결정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캐리어 #1 및 캐리어 #2의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에 의하면, 단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한 경우가 아니라,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기 쉬워서,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한 경우에, 통신 제어기(23)는, 각 인접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의 변경에 따라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이제, 페이딩 등의 영향으로 인한 수신 품질의 열화에 의해, 개루프 제어나 폐루프 제어를 통해서 캐리어의 송신 전력이 일시적으로 증대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일시적으로 초과하더라도, 페이딩 등의 영향이 해소되면,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 내로 떨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일시적으로 초과하는 경우에, 데이터 제어의 불필요한 실행이 방지될 수 있 다.
[실시예 3]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과 실시예 3 사이의 차이를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단말(10)은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 및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3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 뿐만 아니라 인접 캐리어 사이의 데이터 레이트차를 고려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 및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캐리어 제어의 일례)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캐리어 제어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캐리어 제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5에서는, 인접 캐리어가 캐리어 #1 및 캐리어 #2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캐리어 제어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 제어(즉, 오프셋값 제어) 외에도 핸드오프 처리도 포함하는 것임을 유의한다.
도 12(a) 내지 도 15(a)는 캐리어 제어 전의 인접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 및 송신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b) 내지 도 15(b)는 캐리어 제어 후 의 인접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 및 송신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레이트차 임계값은 제 2 레이트차 임계값보다 높다고 가정한다.
도 12(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는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보다 높고, 또한, 캐리어 #2의 송신 전력도 캐리어 #1의 송신 전력보다 높다. 또한,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로부터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차감함으로써 얻어진 값(데이터 레이트차)은, 제 1 레이트차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다.
이제, 캐리어 #1의 송신 전력과 캐리어 #2의 송신 전력 사이의 차이(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고 있어, 캐리어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고, 반면에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하는 캐리어 제어가 실행된다.
이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 뿐만 아니라, 인접 캐리어 사이의 데이터 레이트를 균일화한다.
도 13(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가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보다 낮더라도, 캐리어 #2의 송신 전력은 캐리어 #1의 송신 전력보다 높다. 또한,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로부터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차감함으로써 얻어진 값(데이터 레이트차)은, 제 2 레이트차 임계값(제 2 레이트차 임계값<제 1 레이트차 임계값)보다 작다. 데이터 레이트차는,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로부터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차감함으로써 얻어진 값이기 때문에, 도 13(a)에서 는, 데이터 레이트차가 부(負)의 값임을 유의해야 한다.
이제, 캐리어 #1의 송신 전력과 캐리어 #2의 송신 전력 사이의 차이(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도 13(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핸드오프 처리가 실행된다.
이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송신 전력과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관계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캐리어 #1을 유지하고, 송신 전력과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관계의 관점에서 비효율적인 캐리어 #2의 사용을 중지시킴으로써, 복수의 캐리어를 상위층에서 묶어서 이용하는 멀티 캐리어 통신의 전체적인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송신 전력과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관계의 관점에서 비효율적인 캐리어 #2가 사용 중지되고 있더라도, 멀티 캐리어 통신의 전체적인 통신 품질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의 해소를 우선으로 한다.
도 14(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는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와 거의 같고, 캐리어 #2의 송신 전력은 캐리어 #1의 송신 전력보다 높다. 또한,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로부터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차감함으로써 얻어진 값(데이터 레이트차)은 제 2 레이트차 임계값 이상일 뿐만 아니라, 제 1 레이트차 임계값 이하이다. 또한,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는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 임계값보다 낮다.
이제, 캐리어 #1의 송신 전력과 캐리어 #2의 송신 전력 사이의 차이(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도 14(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핸드오프 처리가 실행될 뿐만 아니라,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도록 데이터 레이트 제어가 실행된다.
이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과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관계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고, 또한 비효율적인 캐리어 #2의 사용을 중지시킴으로써, 복수의 캐리어를 상위층에서 묶어서 이용하는 멀티 캐리어 통신의 전체적인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멀티 캐리어 통신의 전체적으로는, 송신 전력과 데이터 레이트 사이의 관계의 관점에서 비효율적인 캐리어 #2의 사용을 중지시킨 후에 감소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량이,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킴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도 15(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는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와 거의 같고, 캐리어 #2의 송신 전력은 캐리어 #1의 송신 전력보다 높다.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로부터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 #1의 데이터 레이트를 차감함으로써 얻어진 값(데이터 레이트차)은, 제 2 레이트차 임계값 이상이고, 제 1 레이트차 임계값 이하이다. 또한,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는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 임계값 이상이다.
이제, 캐리어 #1의 송신 전력과 캐리어 #2의 송신 전력 사이의 차이(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캐리어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도 15(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 #2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하는 캐리어 제어가 실행된다.
이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에 나타내어진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어진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 대신에 실행된다.
도 1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단계 60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예를 들면, 캐리어 #1 및 캐리어 #2) 사이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전력에서의 차이(송신 전력차)를 계산한다.
단계 61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MaxRLTxPwrDiff)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2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 제어의 서브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 62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로부터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차감함으로써 얻어진 값을, 데이터 레이트차로서 계산한다.
단계 63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2에서 계산된 데이터 레이트차가 제 1 레이트차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접 캐리어 사이의 데이터 레이트차가 제 1 레이트차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4의 처리로 진행한다. 데이터 레이트차가 제 1 레이트차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6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64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단계 65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단계 64 및 단계 65의 처리는, 도 12에 나타내어진 제어와 마찬가지이다.
단계 66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2에서 계산된 데이터 레이트차가 제 2 레이트차 임계값(제 2 레이트차 임계값<제 1 레이트차 임계값)보다 낮은지 여 부를 판정한다. 인접 캐리어 사이의 데이터 레이트차가 제 2 레이트차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7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데이터 레이트차가 제 2 레이트차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8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67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핸드오프를 요구한다. 단계 67의 처리는 도 13에 나타내어진 제어와 마찬가지이다.
단계 68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가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 임계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가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70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가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10)은 단계 69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69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킨다(예를 들면, 메모리(19)에 저장된 테이블에서의 제 1 레벨). 단계 69의 처리는 도 15에 나타내어진 제어와 마찬가지임을 유의한다.
단계 70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높은 캐리어의 핸드오프를 요구한다.
단계 71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인접 캐리어 중, 송신 전력이 낮은 캐리 어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킨다. 단계 70 및 단계 71의 처리는 도 14에 나타내어진 제어와 마찬가지임을 유의한다.
단계 72에서, 무선 통신 단말(10)은 각 처리(단계 64, 단계 65, 단계 69 또는 단계 71)에서 변경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에 의하면, 통신 제어기(23)는 각 인접 캐리어의 송신 전력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를 고려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 및 오프셋값을 변경한다.
따라서,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를 상위층에서 묶어서 이용하는 멀티 캐리어 통신의 전체적인 통신 품질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는 설명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한다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다양한 대체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개시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송신 전력차가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관한 판정에 근거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가 제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은 2개의 캐리어의 송신 전력차가 소정의 임계값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관한 판정에 근거하여, 역방향 링크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소정의 임계값은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정해진다. 구체적으로, 2개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떨어져 있음에 따라, 2개의 캐리어는 보다 낮은 정도로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소정의 임계값은 낮은 값으로 정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10)의 동작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한다.
일국 특허 출원 제2006-180355호(2006년 6월 29일 출원)의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명세서에 온전히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서로 인접하는 인접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제어하면서, 멀티 캐리어에 의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한 역방향 링크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나타내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높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주기로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높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한 역방향 링크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나타내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낮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주기로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낮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와,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저감에 따라 저하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2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저감에 따라 저하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계산부와,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부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판정부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한다고 상기 송신 전력차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높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부는 상기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주기로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부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전력차 경향 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상기 전력차 경향 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높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저감시키는
    무선 통신 단말.
  8. 적어도, 제 1 캐리어와 소정의 주파수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 캐리어에 인접하는 제 2 캐리어를 이용한 멀티 캐리어에 의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증대에 따라 상승하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이, 상기 제 2 캐리어를 통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의 증대에 따라 상승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과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 사이의 송신 전력차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계산부와,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부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차 판정부와,
    상기 송신 전력차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차를 초과한다고 상기 송신 전력차 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낮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부는 상기 송신 전력차를 소정의 주기로 계산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소정의 주기로 상기 송신 전력차 계산부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송신 전력차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전력차 경향 판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전력차가 확대되었다고 상기 전력차 경향 판정부에 의해서 판정된 경우,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값이 낮은 쪽의 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증대시키는
    무선 통신 단말.
  10.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 1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와, 상기 제 2 캐리어의 송신 전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의 데이터 레이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단말.
KR1020097001755A 2006-06-29 2007-06-28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1031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0355A JP4641513B2 (ja) 2006-06-29 2006-06-29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JPJP-P-2006-180355 200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22A KR20090030322A (ko) 2009-03-24
KR101031709B1 true KR101031709B1 (ko) 2011-04-29

Family

ID=3884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755A KR101031709B1 (ko) 2006-06-29 2007-06-28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0495B2 (ko)
JP (1) JP4641513B2 (ko)
KR (1) KR101031709B1 (ko)
CN (1) CN101480091B (ko)
WO (1) WO2008001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9657B2 (ja) * 2006-07-28 2011-09-0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KR101088920B1 (ko) * 2006-07-28 2011-12-0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기지국
JP4829049B2 (ja) * 2006-08-30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5108450B2 (ja) * 2007-10-22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EP2267965A3 (en) 2008-03-25 2011-04-06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mode switching
JP5198993B2 (ja) * 2008-09-18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WO2010108329A1 (zh) * 2009-03-27 2010-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载波系统发射功率的控制方法和装置
CN102804871B (zh) * 2009-06-17 2016-01-2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不同频率区域中传送的信道的传送功率控制
TWI569666B (zh) 2009-10-02 2017-02-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控制一以上分量載波上傳輸的傳輸功率的方法及裝置
CN102045825A (zh) * 2009-10-14 201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lte系统上行功率的控制方法、基站、移动终端
CN101877906B (zh) * 2010-05-19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射功率的配置方法和装置
CN102281620B (zh) * 2010-06-11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码道功率配比方法和装置
KR101665568B1 (ko) * 2010-12-08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분산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07175B2 (en) 2011-01-11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76873B1 (ko) * 2011-01-11 2017-09-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출력 결정 방법 및 장치
US8688127B1 (en) 2011-03-16 2014-04-0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frequency handoff
US8725193B2 (en) * 2011-11-03 2014-05-13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A-MPR i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JP6134220B2 (ja) * 2013-07-17 2017-05-24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US9820236B2 (en) * 2015-03-27 2017-11-14 Intel IP Corporation Power compensation in multi-carrier transmitters
WO2016080884A1 (en) * 2015-06-03 2016-05-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for managing a media stream
WO2018193131A1 (en) * 2017-04-21 2018-10-25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Mitigation of overheating events at communication devices
WO2021022411A1 (zh) * 2019-08-02 2021-0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随机接入消息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043A (ja) 1997-12-27 1999-07-21 Sony Corp 送信方法、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基地局装置
WO2002027967A1 (en) 2000-09-25 2002-04-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power to base station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659A (en) * 1997-12-24 2000-11-28 Nortel Networks Limited Fast forward link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JP3461157B2 (ja) * 2000-05-29 2003-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
KR100605973B1 (ko) * 2000-06-27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링크적응 방법 및 장치
US20040081076A1 (en) * 2002-10-24 2004-04-29 Pctel,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power control
GB2396523B (en) * 2002-12-17 2006-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a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4131177B2 (ja) * 2003-02-27 2008-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局
US7356341B2 (en) 2003-12-04 2008-04-08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JP4769656B2 (ja) * 2006-07-28 2011-09-0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KR101030890B1 (ko) * 2006-07-28 2011-04-22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기지국 제어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JP4769657B2 (ja) * 2006-07-28 2011-09-0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KR101088920B1 (ko) * 2006-07-28 2011-12-0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기지국
JP4769666B2 (ja) * 2006-08-30 2011-09-0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JP4829049B2 (ja) * 2006-08-30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043A (ja) 1997-12-27 1999-07-21 Sony Corp 送信方法、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基地局装置
WO2002027967A1 (en) 2000-09-25 2002-04-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power to base station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1858A1 (fr) 2008-01-03
US8320495B2 (en) 2012-11-27
JP4641513B2 (ja) 2011-03-02
KR20090030322A (ko) 2009-03-24
JP2008011261A (ja) 2008-01-17
CN101480091B (zh) 2011-04-06
CN101480091A (zh) 2009-07-08
US20100061480A1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709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0995191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JP4960494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KR101022151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1016149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기지국
KR101030890B1 (ko) 무선 통신 방법, 기지국 제어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1044110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JP472752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制御装置
JP5064555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JP4732265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