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538B1 -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 Google Patents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538B1
KR101031538B1 KR1020090031676A KR20090031676A KR101031538B1 KR 101031538 B1 KR101031538 B1 KR 101031538B1 KR 1020090031676 A KR1020090031676 A KR 1020090031676A KR 20090031676 A KR20090031676 A KR 20090031676A KR 101031538 B1 KR101031538 B1 KR 10103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lithium polymer
discharging
polymer battery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228A (ko
Inventor
정대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090031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53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측 충,방전기구를 전측면에 결합하고 있는 받침판의 후측면에 안내공을 형성하고 이 안내공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결합한 다음 이동판에는 충,방전을 하는 후측 충,방전기구를 장착시켜서 된 것으로 단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와 양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를 한 개의 충,방전지그에서 충,방전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충,방전 작업이 가능하고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의 전극간 길이에 맞춰 이동판 및 후측 충,방전기구를 이동시켜 충,방전을 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간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를 충,방전시킬 수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를 제공한다.
받침판,안내공,이동판,후측 충,방전기구,전측 충,방전기구

Description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A CONSTRUCTION OF CONTACT PIN IN LITHIUM POLYMER BATTERY JIG}
본 발명은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측 충,방전기구를 전측면에 결합하고 있는 받침판의 후측면에 안내공을 형성하고 이 안내공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결합한 다음 이동판에는 충,방전을 하는 후측 충,방전기구를 장착시켜서 된 것으로 단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와 양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를 한 개의 충,방전지그에서 충,방전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충,방전 작업이 가능하고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의 전극간 길이에 맞춰 이동판 및 후측 충,방전기구를 이동시켜 충,방전을 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간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를 충,방전시킬 수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폴리머 전지의 전극은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극(142)이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는 단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와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극(142)이 양방향으로 형성되는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가 있다.
종래 상기 단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를 충,방전시키기 위한 지그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측 충,방전기구(130)만을 받침판(101)에 장착하여 충,방전을 시켰었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를 충,방전시키기 위한 지그는 전용지그를 이용하였었다.
즉, 상기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길이 별로 각각 독립적인 전용지그를 제작하여 길이에 맞는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들 만을 충,방전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길이에 맞는 전용지그를 찾아 설치를 하여 충,방전을 시킨 다음 또 다른 길이의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를 충,방전시키기 위해서 기존에 설치된 전용지그를 해체한 뒤 다른 전용지그를 찾아 설치를 해야 했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시의 시간 낭비가 심하였으며 여간 번거롭고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와 양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를 한 개의 충,방전지그에서 충,방전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충,방전 작업이 가능하고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의 전극간 길이에 맞춰 이동판 및 후측 충,방전기구를 이동시켜 충,방전을 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간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를 충,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측 충,방전기구를 전측면에 결합하고 있는 받침판의 후측면에 안내공을 형성하고 이 안내공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을 결합한 다음 이동판에는 충,방전을 하는 후측 충,방전기구를 장착시키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단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와 양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를 한 개의 충,방전지그에서 충,방전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충,방전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의 전극간 길이에 맞춰 이 동판 및 후측 충,방전기구를 이동시켜 충,방전을 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간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를 충,방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방향에 전극(142)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141)와 양방향에 전극 (142)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141)를 한 개의 충,방전지그에서 충,방전시킬 수 있도록 전측 충,방전기구(130)를 전측면에 결합하고 있는 받침판(101)의 후측면에 형성된 안내공(102)과,
상기 안내공(102)으로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판(103)과,
상기 이동판(103)에 장착되어 충,방전을 하는 후측 충,방전기구(120)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후측 충,방전기구(120)는 이동판(103) 표면에 받침대(112)를 고정하고 있으며 이동판(103) 양측으로 입설되는 지지대(111) 내부에는 단자(114)에 전류공급선(117)을 연결하고 있고 하측부에는 전압측정편(118)을 결합하고 있는 승강편(113)을 지지대(111) 상측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손잡이(116)의 나사봉(115)과 결합시켜 승강편(113)의 승강이 용이토록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충,방전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받침판(101)의 전측부에는 전측 충,방전기구(130)가 장착되어 있고 받침판(101)의 후측부에는 후측 충,방전기구(12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측 충,방전기구(130)는 2개가 한쌍으로 장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단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전극(142)과 접촉을 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충,방전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측 충,방전기구(130)에 의한 단방향 리튬폴리머전지(141)의 충,방전이 이루어질 경우 후측 충,방전기구(120)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측 충,방전기구(120)는 1개로 이루어져 있고 이동판(103) 상면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판(103)이 받침판(101)의 안내공(102)내에서 이동을 하면 후측 충,방전기구(120)도 이동판(103)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양방향 리튬폴리머전지(141)의 전극(142)간 거리가 길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판(103) 및 후측 충,방전기구(120)를 전측 충,방전기구 (130)로 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킨 다음 양방향 리튬폴리머전지(141)의 일측 전극 (142)은 전측 충,방전기구(130)의 받침대(112)에 얹혀 놓고 양방향 리튬폴리머전지 (141)의 타측 전극(142)은 후측 충,방전기구(120)의 받침대(112)에 얹혀 놓는다.
그리고, 상기 전,후측 충,방전기구(130)(120)의 손잡이(116)를 회전시키면 지지대(111)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나사봉(115)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아울러 나사봉(115) 끝단에 결합된 승강편(113)도 하강을 하여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양 전극(142)과 접촉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편(113)이 양 전극(142)과 접촉하는 동시에 승강편(113) 저부에 결합된 전압측정편(118)도 하강하여 양 전극(142)과 접촉하면서 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편(113)이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전극(142)와 접촉하면 승강편(113) 단자(114)에 연결된 전류공급선(117)을 통해 전류를 리튬폴리머 전지 (141)로 공급하거나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리튬폴리머전지(141)의 전극(142)간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판(103) 및 후측 충,방전기구(120)를 전측 충,방전기구 (130)로 부터 가깝게 이동시킨 다음 양방향 리튬폴리머전지(141)의 일측 전극(142)은 전측 충,방전기구(130)의 받침대(112)에 얹혀 놓고 양방향 리튬폴리머전지 (141)의 타측 전극(142)은 후측 충,방전기구(120)의 받침대(112)에 얹혀 놓는다.
그리고, 상기 전,후측 충,방전기구(130)(120)의 손잡이(116)를 회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충,방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지그는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전극(142) 방향이 단방향이거나 양방향이거나를 가리지 않고 한개의 지그 내에서 충,방전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양방향 리튬폴리머 전지(141)의 전극(142)간 거리가 길고 짧은 것을 불문하고 충,방전이 가능한 것이므로 매우 효율적인 충,방전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단방향 전극을 가진 리튬폴리머 전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양방향 전극을 가진 리튬폴리머 전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충,방전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충,방전지그에 의해 단방향 리튬폴리머전지에 충,방전을 시키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충,방전지그에 의해 양방향 리튬폴리머전지에 충,방전을 시키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충,방전지그의 후측 충,방전기구를 이동시켜 리튬폴리머 전지의 길이에 맞춰 충,방전을 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받침판 102-안내공
103-이동판 111-지지대
112-받침대 113-승강편
114-단자 115-나사봉
116-손잡이 117-전류공급선
118-전압측정편 120-후측 충,방전기구
130-전측 충,방전기구 141-리튬폴리머 전지
142-전극

Claims (2)

  1. 단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와 양방향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리튬폴리머 전지를 한 개의 충,방전지그에서 충,방전시킬 수 있도록 전측 충,방전기구를 전측면에 결합하고 있는 받침판의 후측면에 형성된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으로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어 충,방전을 하는 후측 충,방전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충,방전기구는 이동판 표면에 받침대를 고정하고 있으며 이동판 양측으로 입설되는 지지대 내부에는 단자에 전류공급선을 연결하고 있고 하측부에는 전압측정편을 결합하고 있는 승강편을 지지대 상측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손잡이의 나사봉과 결합시켜 승강편의 승강이 용이토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KR1020090031676A 2009-04-13 2009-04-13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KR10103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76A KR101031538B1 (ko) 2009-04-13 2009-04-13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76A KR101031538B1 (ko) 2009-04-13 2009-04-13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28A KR20100113228A (ko) 2010-10-21
KR101031538B1 true KR101031538B1 (ko) 2011-04-27

Family

ID=4313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676A KR101031538B1 (ko) 2009-04-13 2009-04-13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9115A (zh) * 2014-06-16 2014-09-17 毛广甫 聚合物软包电池检测夹具
US10957943B2 (en) 2017-06-29 2021-03-23 Lg Chem, Ltd. Jig device for inspecting quality of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133B1 (ko) * 2010-11-17 2014-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저항 충·방전용 지그
KR101534515B1 (ko) * 2013-05-14 2015-07-07 (주)에이치엔티 투웨이 배터리 지그
KR102227807B1 (ko) * 2017-03-21 2021-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용 지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81Y1 (ko) 2001-10-19 2002-03-18 김금수 휴대폰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장치용 지그
JP2003059543A (ja) 2001-08-08 2003-02-28 Yuasa Corp 充放電装置
KR20080068305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KR100987942B1 (ko) 2008-08-18 2010-10-18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543A (ja) 2001-08-08 2003-02-28 Yuasa Corp 充放電装置
KR200262281Y1 (ko) 2001-10-19 2002-03-18 김금수 휴대폰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장치용 지그
KR20080068305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KR100987942B1 (ko) 2008-08-18 2010-10-18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9115A (zh) * 2014-06-16 2014-09-17 毛广甫 聚合物软包电池检测夹具
CN104049115B (zh) * 2014-06-16 2017-02-01 深圳市瑞能实业股份有限公司 聚合物软包电池检测夹具
US10957943B2 (en) 2017-06-29 2021-03-23 Lg Chem, Ltd. Jig device for inspecting quality of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28A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538B1 (ko)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KR101534515B1 (ko) 투웨이 배터리 지그
KR100987942B1 (ko)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JP2009504129A5 (ko)
KR100987941B1 (ko)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CN215525885U (zh) 一种用于冲击放电电池故障或失效检测用操作平台
KR101242096B1 (ko) 전지용 충방전 지그
CN214314659U (zh) —种移动机器人用的充电机构
CN214409227U (zh) 一种用于蓄电池的测试装置
CN212625897U (zh) 电池托盘治具
CN212965338U (zh) 一种蓄电池内阻测试仪
KR100326898B1 (ko)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장치
CN2927058Y (zh) 一种检测电池用四线夹具
CN103163461A (zh) 电池短路试验装置
CN206099898U (zh) 一种新型高效太阳能电池测试装置
KR101579456B1 (ko)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CN201532979U (zh) 蓄电池组的安装架
CN209282340U (zh) 一种对圆柱型锂离子电池模组中单串电池充放电装置
CN205749816U (zh) 用于自动漏电检测台的检测夹具
CN217820494U (zh) 一种电池短路检测辅助治具
CN219799696U (zh) 一种笔记本电脑电池包放电治具
CN216747905U (zh) 虚焊检测设备和虚焊检测系统
CN218974547U (zh) 电芯开路电压检测装置
CN214617360U (zh) 一种用于电池与手机外壳粘贴的治具
CN211088442U (zh) 一种圆柱电池化成分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