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456B1 -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 Google Patents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456B1
KR101579456B1 KR1020140015661A KR20140015661A KR101579456B1 KR 101579456 B1 KR101579456 B1 KR 101579456B1 KR 1020140015661 A KR1020140015661 A KR 1020140015661A KR 20140015661 A KR20140015661 A KR 20140015661A KR 101579456 B1 KR101579456 B1 KR 101579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lc
battery
contact
pie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410A (ko
Inventor
정대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1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4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64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ith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EDLC 및 전지가 삽입될 수 있는 상측 EDLC및 전지출입구를 형성하고 있고 전압을 측정하는 상측 전압측정편이 결합되는 요실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의 음극판과 접촉되는 상측접점체를 구비하여 상측접점편이 EDLC 및 전지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고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에 의해 상측접점체가 음극판과 접촉시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EDLC 및 전지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며 EDLC 및 전지가 삽입될 수 있는 하측 EDLC 및 전지출입구가 형성되고 전압을 측정하는 하측 전압측정편이 결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의 양극판과 접촉되도록 지지판 하측부에 결합되는 하측접점체를 구비하여 하측접점체가 EDLC 및 전지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된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 제공한다.

Description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CHARGE AND DISCHARGE SYSTEM FOR EDLC AND BATTERY}
본 발명은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판의 하측부에 결합된 하측접점편의 삽입공으로 EDLC 및 전지의 양극판에 형성된 양극돌출편을 삽입한 다음 EDLC 및 전지 몸통을 지지대에 지지시키고 지지판의 지지체에 결합된 레버를 하향으로 재치면 연결체가 탄성부재와 함께 하강하는 동시에 지지판의 승강공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측접점편이 하강하여 EDLC 및 전지의 음극판에 형성된 음극돌출편과 접촉되면서 충전 및 방전을 시키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EDLC 및 전지가 삽입될 수 있는 상측 EDLC및 전지출입구를 형성하고 있고 전압을 측정하는 상측 전압측정편이 결합되는 요실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의 음극판과 접촉되는 상측접점체를 구비하여 상측접점편이 EDLC 및 전지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고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에 의해 상측접점체가 음극판과 접촉시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EDLC 및 전지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며 EDLC 및 전지가 삽입될 수 있는 하측 EDLC 및 전지출입구가 형성되고 전압을 측정하는 하측 전압측정편이 결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의 양극판과 접촉되도록 지지판 하측부에 결합되는 하측접점체를 구비하여 하측접점체가 EDLC 및 전지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된 것으로 상측접점체의 저면과 하측접점체의 표면이 EDLC및 전지의 음극돌출편과 양극돌출편과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EDLC 및 전지의 음극판과 양극판에 직접 넓은 면적으로 접촉을 하면서 EDLC 및 전지의 충,방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충,방전중 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충,방전을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에 의해 충,방전중 EDLC 및 전지의 음극판에 형성된 음극돌출편을 가압봉이 가압을 하면서 협지를 하기 때문에 EDLC 및 전지에 뒤틀림이나 유동이 발생치 않아 보다 안정적인 충,방전을 할 수 있고 상,하측접점체의 저면과 표면으로 형성되는 상,하측너얼링부에 의해 양호한 접촉 저항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신속,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충,방전을 할 수 있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즉, 상기 종래의 충,방전장치는, 지지판(1)의 하측부에 결합된 하측접점편(8)의 삽입공(9)으로 EDLC 및 전지(11)의 양극판(14)에 형성된 양극돌출편(14')을 삽입한 다음 EDLC 및 전지(11) 몸통을 지지대(10)에 지지시키고 지지판(1)의 지지체(3)에 결합된 레버(4)를 하향으로 재치면 연결체(5)가 탄성부재(6)와 함께 하강하는 동시에 지지판(1)의 승강공(2)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측접점편(7)이 하강하여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에 형성된 음극돌출편(12')과 접촉되면서 충전 및 방전을 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상측접점편(7)이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에 돌출형성된 음극돌출편(12')과 적은 면적으로 접촉을 하면서 충,방전을 시켰기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충,방전 도중 열이 발생하게 되면 EDLC 및 전지(11)의 성능이 떨어져 생산에 지장이 있었다.
또한, 상기 EDLC 및 전지(11)를 충,방전중 탄성부재(6)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접점편(7)과 EDLC 및 전지(11)의 음극돌출편(12')사이에 뒤틀림이 발생되면서 균일하게 면 접촉을 유지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선 접촉을 하거나 나아가서 음극돌출편(12')이 상측접점편(7)으로 부터 이탈되는 등의 작업 사고가 종종 발생하여 생산량에 상당한 차질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접점체의 저면과 하측접점체의 표면이 EDLC및 전지의 음극돌출편과 양극돌출편과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EDLC 및 전지의 음극판과 양극판에 직접 넓은 면적으로 접촉을 하면서 EDLC 및 전지의 충,방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충,방전중 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충,방전을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에 의해 충,방전중 EDLC 및 전지의 음극판에 형성된 음극돌출편을 가압봉이 가압을 하면서 협지를 하기 때문에 EDLC 및 전지에 뒤틀림이나 유동이 발생치 않아 보다 안정적인 충,방전을 할 수 있고 상,하측접점체의 저면과 표면으로 형성되는 상,하측너얼링부에 의해 양호한 접촉 저항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신속,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충,방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판의 하측부에 결합된 하측접점편의 삽입공으로 EDLC 및 전지의 양극판에 형성된 양극돌출편을 삽입한 다음 EDLC 및 전지 몸통을 지지대에 지지시키고 지지판의 지지체에 결합된 레버를 하향으로 재치면 연결체가 탄성부재와 함께 하강하는 동시에 지지판의 승강공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측접점편이 하강하여 EDLC 및 전지의 음극판에 형성된 음극돌출편과 접촉되면서 충전 및 방전을 시키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EDLC 및 전지가 삽입될 수 있는 상측 EDLC 및 전지출입구를 형성하고 있고 전압을 측정하는 상측 전압측정편이 결합되는 요실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의 음극판과 접촉되는 상측접점체를 구비하여 상측접점편이 EDLC 및 전지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고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에 의해 상측접점체가 음극판과 접촉시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EDLC 및 전지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며 EDLC 및 전지가 삽입될 수 있는 하측 EDLC 및 전지출입구가 형성되고 전압을 측정하는 하측 전압측정편이 결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의 양극판과 접촉되도록 지지판 하측부에 결합되는 하측접점체를 구비하여 하측접점체가 EDLC 및 전지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측접점체의 저면과 하측접점체의 표면이 EDLC 및 전지의 음극돌출편과 양극돌출편과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EDLC 및 전지의 음극판과 양극판에 직접 넓은 면적으로 접촉을 하면서 EDLC 및 전지의 충,방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충,방전중 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충,방전을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에 의해 충,방전중 EDLC 및 전지의 음극판에 형성된 음극돌출편을 가압봉이 가압을 하면서 협지를 하기 때문에 EDLC 및 전지에 뒤틀림이나 유동이 발생치 않아 보다 안정적인 충,방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하측접점체의 저면과 표면으로 형성되는 상,하측너얼링부에 의해 양호한 접촉 저항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신속,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충,방전을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EDLC 및 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전류 공급 과정과 전압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판(1)의 하측부에 결합된 하측접점편(8)의 삽입공(9)으로 EDLC 및 전지(11)의 양극판(14)에 형성된 양극돌출편(14')을 삽입한 다음 EDLC 및 전지(11) 몸통을 지지대(10)에 지지시키고 지지판(1)의 지지체(3)에 결합된 레버(4)를 하향으로 재치면 연결체(5)가 탄성부재(6)와 함께 하강하는 동시에 지지판(1)의 승강공(2)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측접점편(7)이 하강하여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에 형성된 음극돌출편(12')과 접촉되면서 충전 및 방전을 시키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접점편(7)이 EDLC 및 전지(11)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EDLC 및 전지(11)가 삽입될 수 있는 상측 EDLC 및 전지출입구(112)가 형성되고 전압을 측정하는 상측 전압측정편(121)이 결합되는 요실(113)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과 접촉되는 상측접점체(111)와,
상기 상측접점체(111)가 음극판(12)과 접촉시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EDLC 및 전지(11)를 협지하기 위한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과,
상기 하측접점체(131)가 EDLC 및 전지(11)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EDLC 및 전지(11)가 삽입될 수 있는 하측 EDLC 및 전지출입구(133)가 형성되고 전압을 측정하는 하측 전압측정편(122)이 결합되는 안착홈(134)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11)의 양극판(14)과 접촉되고 지지판(1) 하측부에 결합되는 하측접점체(131)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상측접점체(11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상측연결편(102)을 연결하고 있고 중앙에는 통공(116)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측접점체(111)의 상면과 접촉되어 다수개의 체결볼트(115)로 체결되는 전원공급편(101)을 연결시켰다.
또한, 상기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은 지지판(1)에 장착된 지지체(3)의 레버(4)와 연결된 연결체(146)의 탄성부재(145) 내부로 내장되는 가압관(144)과,
상기 가압관(144)의 내부로 내장되어 EDLC 및 전지(11)의 음극돌출편(12')과 접촉하면서 압지하는 가압봉(143)과,
상기 가압봉(143)을 안내하기 위해 전원공급편(101)의 결합공(103)으로 결합되는 출몰공(142)이 형성된 압지편(141)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측접점체(111)와 EDLC 및 전지(11) 음극판(12) 간의 양호한 접촉 저항을 위해 상측접점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측 너얼링부(114)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하측접점체(131)와 EDLC 및 전지(11) 양극판(14) 간의 양호한 접촉 저항을 위해 하측접점체(131)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측 너얼링부(135)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상측접점체(111)와 전원공급체(101)는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어 지므로 제작비 절감 및 원재료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측접점체(111)에 EDLC 및 전지(11)가 출입할 수 있는 상측 EDLC 및 전지출입구(112)와 상측 전압측정편(121)이 결합되는 요실(113) 그리고 중앙의 통공(116)등을 가공한 다음 상기 전원공급체(101) 역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측연결편(102)과 중앙의 결합공(103)을 가공하여 이들을 다수개의 체결볼트(115)로 체결시키면 견고한 조립체가 된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로서, 본 발명의 상측접점체(111) 및 하측접점체(131)를 종래 충,방전 장치의 지지판(1)상에 장착하게 되고 지지판(1)에 형성된 승강공(2)을 따라 상,하측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EDLC 및 전지(11)에 충,방전을 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외부의 EDLC 및 전지(11)를 상측접점체(111)와 하측접점체(131)사이로 삽입하게 되는바, EDLC 및 전지(11)의 상측부에 형성된 음극돌출편(12')은 상측접점체(111) 상측에 형성된 상측 EDLC 및 전지출입구(112)를 통해서 상측접점체(111) 중앙에 형성된 통공(116)하측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EDLC 및 전지(11)의 하측부에 형성된 양극돌출편(14')은 하측접점체(131) 상측에 형성된 하측 EDLC 및 전지출입구(133)를 통해서 하측접점체(131) 중앙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EDLC 및 전지(11)의 음극돌출편(12') 및 양극돌출편(14')이 상측접점체(111)와 하측접점체(131) 사이에 위치되면 레버(4)를 하강시키는 작용에 의해 연결체(146)와 가압관(144)이 하강하게 되고 가압관(144)내부의 가압봉(143)도 하강하면서 압지편(141)내부로 삽입된 다음 압지편(141) 하측부에 형성된 출몰공(142)을 통해 하강하면서 압지편(141)과 상측접점체(111) 및 상측 연결편(102)과 연결된 전원공급편(101)도 하강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강한 가압봉(143)은 상측접점체(111)의 통공(116)을 통과하여 EDLC 및 전지(11)의 음극돌출편(12')상면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지하여 접촉을 하게 되고 연결체(146)와 가압관(144)사이로 탄설된 탄성부재(145)의 탄력에 의해 음극돌출편(12')의 상면을 지속적으로 압지할 수 있게 되므로 EDLC 및 전지(11)에 뒤틀림이나 유동이 발생치 않아 보다 안정적인 충,방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의 가압봉(143)에 의해 압지된 안정된 상태에서 전원공급편(101)과 연결된 상측 연결편(102)을 통해 외부의 (-)전류가 상측접점체(111)로 인가되는 동시에 상측접점체(111)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으로 인가되어진다.
또한, 상기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의 가압봉(143)에 의해 압지된 안정된 상태에서 하측접점편(131)과 연결된 하측 연결편(132)을 통해 외부의 (+)전류가 하측접점체 (131)로 인가되는 동시에 하측접점체(131)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EDLC 및 전지(11)의 양극판(14)으로 인가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하측접점체(111)(131)의 저면과 표면이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 및 양극판(14)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을 하면서 충,방전을 하게 되므로 충,방전중 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충,방전을 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측접점체(111)의 저면에는 상측 너얼링부(114)를, 하측접점체(131)의 표면에는 하측 너얼링부(135)를 형성시켜 놓았기 때문에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 및 양극판(14) 간의 양호한 접촉 저항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의 전류 공급 과정과 전압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상측접점체(111)에 형성된 요실 (113)에는 상측 전압측정편(121)을 결합시킴으로서 충,방전중인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 (12)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하측접점체(131)에 형성된 안착홈(134)에는 하측 전압측정편(122)을 결합시킴으로서 충,방전중인 EDLC 및 전지(11)의 양극판(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충,방전장치에 의해 충,방전이 완료되면 레버(4)를 원위치로 재쳐 상측 이동을 시키면 전술한 바와 역순으로 원위치가 되어지므로 충,방전이 완료된 EDLC 및 전지(11)를 탈거한 후 새로운 다음 EDLC 및 전지(11)를 삽입하여 충,방전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101-전원공급편 102-상측 연결편
103-결합공 111-상측접점체
112-상측 EDLC 및 전지출입구 113-요실
114-상측 너얼링부 115-체결볼트
116-통공 121-상측 전압측정편
122-하측 전압측정편 131-하측접점체
132-하측 연결편 133-하측 EDLC 및 전지출입구
134-안착홈 135-하측 너얼링부
141-압지편 142-출몰공
143-가압봉 144-가압관
145-탄성부재 146-연결체

Claims (5)

  1. 지지판(1)의 하측부에 결합된 하측접점편(8)의 삽입공(9)으로 EDLC 및 전지(11)의 양극판(14)에 형성된 양극돌출편(14')을 삽입한 다음 EDLC 및 전지(11) 몸통을 지지대(10)에 지지시키고 지지판(1)의 지지체(3)에 결합된 레버(4)를 하향으로 재치면 연결체(5)가 탄성부재(6)와 함께 하강하는 동시에 지지판(1)의 승강공(2)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측접점편(7)이 하강하여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에 형성된 음극돌출편(12')과 접촉되면서 충전 및 방전을 시키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접점편(7)이 EDLC 및 전지(11)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EDLC 및 전지(11)가 삽입될 수 있는 상측 EDLC 및 전지출입구(112)가 형성되고 전압을 측정하는 상측 전압측정편(121)이 결합되는 요실(113)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11)의 음극판(12)과 접촉되는 상측접점체(111)와,
    상기 상측접점체(111)가 음극판(12)과 접촉시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EDLC 및 전지(11)를 협지하기 위한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과,
    EDLC 및 전지(11)의 (+)극에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EDLC 및 전지(11)가 삽입될 수 있는 하측 EDLC 및 전지출입구(133)가 형성되고 전압을 측정하는 하측 전압측정편(122)이 결합되는 안착홈(134)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면부가 EDLC 및 전지(11)의 양극판(14)과 접촉되고 지지판(1) 하측부에 결합되는 하측접점체(131)와,
    상기 상측접점체(111)와 EDLC 및 전지(11) 음극판(12) 간의 양호한 접촉 저항을 위해 상측접점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측 너얼링부(114)와,
    상기 하측접점체(131)와 EDLC 및 전지(11) 양극판(14) 간의 양호한 접촉 저항을 위해 하측접점체(131)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측 너얼링부(1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접점체(11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상측연결편(102)을 연결하고 있고 중앙에는 통공(116)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측접점체(111)의 상면과 접촉되어 다수개의 체결볼트(115)로 체결되는 전원공급편(101)을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DLC 및 전지의 협지수단은 지지판(1)에 장착된 지지체(3)의 레버(4)와 연결된 연결체(146)의 탄성부재(145) 내부로 내장되는 가압관(144)과,
    상기 가압관(144)의 내부로 내장되어 EDLC 및 전지(11)의 음극돌출편(12')과 접촉하면서 압지하는 가압봉(143)과,
    상기 가압봉(143)을 안내하기 위해 전원공급편(101)의 결합공(103)으로 결합되는 출몰공(142)이 형성된 압지편(141)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DLC 및 전지의 충,방전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40015661A 2014-02-10 2014-02-10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KR101579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61A KR101579456B1 (ko) 2014-02-10 2014-02-10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61A KR101579456B1 (ko) 2014-02-10 2014-02-10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10A KR20150094410A (ko) 2015-08-19
KR101579456B1 true KR101579456B1 (ko) 2015-12-22

Family

ID=5405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661A KR101579456B1 (ko) 2014-02-10 2014-02-10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745B1 (ko) * 2019-07-03 2020-01-13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모듈 체결 장치
KR102387606B1 (ko) * 2021-09-06 2022-04-18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원통형 셀의 충방전용 통전 지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531A (ja) * 2000-04-05 2001-10-19 Nec Machinery Corp 充放電装置
KR200462789Y1 (ko) 2011-03-23 2012-10-02 세향산업 주식회사 2차전지 충방전장치의 전극 접속단자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0090A (ja) * 1995-03-10 1996-09-27 Ee C Ii:Kk 電池パック充放電器
KR101032701B1 (ko) * 2009-07-02 2011-05-09 (주)에이치엔티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531A (ja) * 2000-04-05 2001-10-19 Nec Machinery Corp 充放電装置
KR200462789Y1 (ko) 2011-03-23 2012-10-02 세향산업 주식회사 2차전지 충방전장치의 전극 접속단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10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941B1 (ko) 리튬폴리머전지의 충,방전 지그
TWI535897B (zh) 電解加工裝置
JP2010177379A (ja) 太陽電池用測定治具
KR101579456B1 (ko) Edlc 및 전지의 충,방전 장치
CN210534287U (zh) 一种用于汽车锂电池测试试验箱
CN108417920B (zh) 一种动力电池化成负压设备
KR101031538B1 (ko)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지그
KR101242096B1 (ko) 전지용 충방전 지그
CN106841706B (zh) 一种离子源测试夹具
CN212229132U (zh) 电芯短路检测装置
CN209001055U (zh) 一种快速装夹的锂电池化成装置
JP2013218966A (ja) 二次電池の拘束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拘束方法
CN205539245U (zh) 用于充电器测试线的充电器高压测试机构
CN106353688A (zh) 一种电池测试仪
CN109273774A (zh) 一种快速装夹的锂电池化成装置
KR102553471B1 (ko) 배터리 셀 가압 장치
CN202078965U (zh) 焦化电捕焦油器电晕极同心度调整装置
CN204216165U (zh) 电池固定夹具
CN211286444U (zh) 一种阻燃塑木地板安装结构
CN208939111U (zh) 一种电池化成工艺的优化装置
KR101828632B1 (ko) 전극 탭 평탄 장치 및 전극 탭 평탄화 방법
KR101565111B1 (ko) 솔라셀 스트링 인두기 및 솔라셀 스트링 인두기가 포함된 솔더링 장치
CN206096395U (zh) 一种电池测试仪
CN102825455B (zh) 断路器灭弧栅片装配压紧装置
CN209896200U (zh) 一种锂电池生产用外皮包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