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470B1 -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 Google Patents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470B1
KR101030470B1 KR1020100139092A KR20100139092A KR101030470B1 KR 101030470 B1 KR101030470 B1 KR 101030470B1 KR 1020100139092 A KR1020100139092 A KR 1020100139092A KR 20100139092 A KR20100139092 A KR 20100139092A KR 101030470 B1 KR101030470 B1 KR 101030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rope
holding member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치민
Original Assignee
탁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치민 filed Critical 탁치민
Priority to KR102010013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를 가압하여 승강기 등의 장치를 제동시키기 위한 로프 제동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프를 가압하는 홀딩부재가 상기 로프의 이동방향을 따라 쐐기와 같은 형태로 박히며 로프를 더욱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동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하 개방형 내부 수용부 및 이의 후방 내벽에 배치된 라이닝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라이닝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이 사이를 지나는 로프에 대해 비(非)가압되게 배치되는 후단부 대응라이닝을 갖는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의 대응라이닝을 상기 하우징의 라이닝 측으로 전진 동작케 하는 진퇴수단;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 전방 내벽에 배치되는 상향 경사형 제1활주부와 하향 경사형 제2활주부; 상기 홀딩부재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와 각각 맞닿는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 상기 각 활주부와 각 대응활주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가 상하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게 안내하는 중계수단; 및 상기 진퇴수단의 진퇴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진퇴수단을 통해 최초 가압된 상태의 로프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상기 각 대응활주부가 상기 각 활주부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의 대응라이닝이 상기 라이닝 측으로 더 전진 동작하게 되어 로프에 대한 최종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퇴수단에 의해 로프를 최초 가압하게 된 홀딩부재가 활주부 및 대응활주부로 인하여 로프를 최종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동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닝과 대응라이닝의 마주하는 면이 로프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제동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특히 로프에 대한 단계적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ROPE BRAKING UNIT}
본 발명은 로프를 가압하여 승강기 등의 장치를 제동시키기 위한 로프 제동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프를 가압하는 홀딩부재가 상기 로프의 이동방향을 따라 쐐기와 같은 형태로 박히며 로프를 더욱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동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에 관한 것이다.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74990호(2007.11.02.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면에 수직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프를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있어서,
소정 각도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라이닝 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방 이동되는 로프와 접촉시 마찰력에 의하여 소정 거리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로프를 더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형성된 제 1 브레이크 라이닝과,
소정 각도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라이닝 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방 이동되는 로프와 접촉시 마찰력에 의하여 소정 거리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로프를 더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형성된 제 2 브레이크 라이닝과,
상기 제 1 브레이크 라이닝 및 제 2 브레이크 라이닝 중 하나를 타 브레이크 라이닝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구동수단과,
상기 수평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로프에 제동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제 1 브레이크 라이닝 및 제 2 브레이크 라이닝이 상호 가까워지게 하고 로프의 제동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 1 브레이크 라이닝 및 제 2 브레이크 라이닝이 상호 멀어지게 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로프와 브레이크 라이닝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양 라이닝 중 하나를 로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로프를 더 강하게 제동하게 함으로써, 급제동을 방지하고 로프에 확실한 제동력을 점진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라이닝 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로프와 라이닝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로프를 점진적으로 더 강하게 제동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제동 시 경사진 라이닝 면에 의해 로프가 꺾이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심한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며, 로프의 꺾인 부분이 라이닝의 모서리와 맞닿게 됨으로써 로프가 쉽게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동 시 라이닝이 일측 모서리부터 타측 모서리까지 순차적으로 로프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라이닝이 로프에 최초 접촉된 상태(즉, 로프에 대한 가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프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非) 제동 시 제 2 브레이크 라이닝이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비된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은 경사진 라이닝 면이 로프의 압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동력이 저하되거나 원활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은,
상하 개방형 내부 수용부 및 이의 후방 내벽에 배치된 라이닝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라이닝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이 사이를 지나는 로프에 대해 비(非)가압되게 배치되는 후단부 대응라이닝을 갖는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의 대응라이닝을 상기 하우징의 라이닝 측으로 전진 동작케 하는 진퇴수단;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 전방 내벽에 배치되는 상향 경사형 제1활주부와 하향 경사형 제2활주부;
상기 홀딩부재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와 각각 맞닿는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
상기 각 활주부와 각 대응활주부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가 상하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게 안내하는 중계수단; 및
상기 진퇴수단의 진퇴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진퇴수단을 통해 최초 가압된 상태의 로프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상기 각 대응활주부가 상기 각 활주부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의 대응라이닝이 상기 라이닝 측으로 더 전진 동작하게 되어 로프에 대한 최종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라이닝과 상기 홀딩부재의 대응라이닝은 각 마주하는 면이 나란한 수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와 상기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는 각각 한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퇴수단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딩부재에 개재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한 후퇴 동작 및 이의 정지 상태 유지를 담당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바디와 상기 하우징에 개재되고 상기 바디의 후퇴 정지 시 가압되어 있다가 정지 상태 해제 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는 탄성스프링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수단은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롤러형 가이드,
상기 홀딩부재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바(bar)형 대응가이드, 그리고
상기 대응가이드 양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응가이드의 상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스텝 동작형 제동유닛은,
진퇴수단에 의해 로프를 최초 가압하게 된 홀딩부재가 활주부 및 대응활주부로 인하여 로프를 최종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동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닝과 대응라이닝의 마주하는 면이 로프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제동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특히 로프에 대한 단계적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2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320) 측을 전방, 커버(120) 측을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이하, '제동유닛'이라고 함)은 크게 하우징(100), 홀딩부재(200), 진퇴수단(300), 제1 및 제2 활주부(400, 500),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600, 700), 중계수단(80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00)은
"ㄷ"형상의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 후단부(後端部)에 결합되는 커버(120),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 양측에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120)의 전단부(前端部)에는 라이닝(121)이 결합되는데,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하 개방형 내부 수용부(111) 및 이의 후방 내벽에 배치되는 라이닝(121)이 구비된다.
상기 홀딩부재(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라이닝(121)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라이닝(121)과의 사이를 지나는 로프(R)에 대해 비(非)가압되게 배치되는 후단부 대응라이닝(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라이닝(121)과 상기 대응라이닝(210)은 평판(平板)형태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하우징(100)의 커버(120) 및 상기 홀딩부재(200)에 볼트결합되며,
이때 상기 라이닝(121)과 상기 대응라이닝(210)은 상호 마주하는 면이 로프(R)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퇴수단(300)은
상기 홀딩부재(200)의 대응라이닝(210)을 상기 하우징(100)의 라이닝(121) 측으로 전진 동작케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프레임(110)과 상기 홀딩부재(200)에 개재(介在)되는 바디(310),
상기 바디(310)에 대한 후퇴 동작 및 이의 정지 상태 유지를 담당하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320), 그리고
상기 바디(310)와 상기 하우징(100)에 개재되고 상기 바디(310)의 후퇴 정지 시 가압되어 있다가 정지 상태 해제 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는 탄성스프링(3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디(310)에는 전단부에 상기 액추에이터(320) 연결용 결합부(311)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탄성스프링(330)을 위한 장착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11) 후방에는 후술될 중계수단(800)의 대응가이드(8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슬릿(313)이 형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320)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이의 로드(321) 단부가 상기 바디(310)의 결합부(311)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퇴수단(300)의 진퇴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로프(R) 또는 이에 연결된 승강기 등의 속도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액추에이터(320) 로드(321)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400, 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부(111) 전방 내벽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 직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각 빗변이 상반(相反)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600, 700)는
상기 홀딩부재(200)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 하향 및 상향 경사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400, 500)에 맞닿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동유닛은 상기 각 대응활주부(600, 700)가 상기 진퇴수단(300)을 통해 최초 가압된 상태의 로프(R)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상기 각 활주부(400, 500)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200)의 대응라이닝(210)이 상기 라이닝(121) 측으로 더 전진 동작하게 함으로써, 로프(R)에 대한 최종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400, 500)는 상호 겹쳐진 일체형 구조를 갖되,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11)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600, 700)는 상호 겹쳐진 일체형 구조를 갖되,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홀딩부재(200)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상기 각 활주부(400, 500)와 상기 각 대응활주부(600, 700)가 상호 맞물리어,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400, 500)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600, 700)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각 활주부(400, 500) 및 상기 각 대응활주부(600, 700)는 각각 상기 하우징(100) 및 상기 홀딩부재(200)에 볼트결합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각 활주부(400, 500) 및 상기 각 대응활주부(600, 700)는 각각 상기 하우징(100) 및 상기 홀딩부재(200)에 용접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중계수단(800)은
상기 홀딩부재(200)와 상기 진퇴수단(300)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각 활주부(400, 500)와 상기 각 대응활주부(600, 700)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200)가 상하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게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310)의 슬릿(313) 후단부에 배치되는 롤러형 가이드(810),
상기 홀딩부재(200)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810)를 따라 이동되는 바(bar)형 대응가이드(820), 그리고
상기 대응가이드(820) 양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응가이드(820)의 상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8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830)는 각각 후방 나사부(831a, 832a)를 갖되 상기 나사부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200)의 상단부(上端部) 및 하단부(下端部)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중계너트(831, 832)와, 상기 대응가이드(82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중계너트(831)에 체결되는 상부볼트(833)와, 상기 대응가이드(82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중계너트(832)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하부볼트(834)로 이루어져, 상기 대응가이드(820)를 상기 홀딩부재(200)로부터 이격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응가이드(820)는 상기 홀딩부재(200)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810)를 두고 상기 바디(310)의 슬릿(313)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810)가 상기 대응가이드(820)의 후면 또는 상기 홀딩부재(200)의 전면(前面)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홀딩부재(200)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200)가 과도하게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830)의 상부 중계너트(831) 또는 하부 중계너트(832)가 상기 가이드(810)에 걸리게 됨으로써, 결국 상기 스토퍼(830)에 의해 상기 대응가이드(820) 및 상기 홀딩부재(200)의 상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동유닛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동유닛은 상방 이동하는 로프(R)와 하방 이동하는 로프(R)를 동일한 과정으로 제동함으로써, 이하에서는 하방 이동하는 로프(R)의 제동과정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a는 제동유닛이 작동되기 전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320)에 유압이 작용하여 상기 로드(321) 및 상기 바디(310)가 후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도 4와 동일한 상태로서, 이때에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20)의 유압이 해제되면, 가압되어 있던 상기 탄성스프링(330)이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라이닝(121) 측으로 전진 동작하게 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R)가 상기 라이닝(121) 및 대응라이닝(210)에 접촉하여 최초 가압된 상태가 된다.
이후, 로프(R)와 접촉하게 된 상기 홀딩부재(200)는 로프(R)가 이동하려는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대응활주부(600)가 상기 제1활주부(400)를 타고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200)의 대응라이닝(210)이 로프(R)를 더욱 가압하여 최종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로프(R)의 제동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20)에 다시 유압이 작용하여 상기 로드(321) 및 이에 결합된 상기 바디(310)와 상기 가이드(810)를 후퇴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810)는 상기 대응가이드(820) 후면에 접촉하여 상기 대응가이드(820) 및 상기 홀딩부재(200)를 상기 액추에이터(320) 측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이때 상기 제1대응활주부(600)가 상기 제1활주부(400)를 타고 상측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200)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프레임 111 ; 수용부
120 ; 커버 121 ; 라이닝
130 ; 브래킷
200 ; 홀딩부재
210 ; 대응라이닝
300 ; 진퇴수단
310 ; 바디
311 ; 결합부 312 ; 장착부 313 ; 슬릿
320 ; 액추에이터
321 ; 로드
330 ; 탄성스프링
400, 500 ; 제1 및 제2 활주부
600, 700 ;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
800 ; 중계수단
810 ; 가이드 820 ; 대응가이드 830 ; 스토퍼

Claims (5)

  1. 상하 개방형 내부 수용부(111) 및 이의 후방 내벽에 배치된 라이닝(121)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라이닝(121)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이 사이를 지나는 로프(R)에 대해 비(非)가압되게 배치되는 후단부 대응라이닝(210)을 갖는 홀딩부재(200);
    상기 홀딩부재(200)의 대응라이닝(210)을 상기 하우징(100)의 라이닝(121) 측으로 전진 동작케 하는 진퇴수단(300);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부(111) 전방 내벽에 배치되는 상향 경사형 제1활주부(400)와 하향 경사형 제2활주부(500);
    상기 홀딩부재(200)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400, 500)와 각각 맞닿는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600, 700);
    상기 각 활주부(400, 500)와 각 대응활주부(600, 700)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재(200)가 상하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게 안내하는 중계수단(800); 및
    상기 진퇴수단(300)의 진퇴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진퇴수단(300)을 통해 최초 가압된 상태의 로프(R)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상기 각 대응활주부(600, 700)가 상기 각 활주부(400, 500)를 타고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200)의 대응라이닝(210)이 상기 라이닝(121) 측으로 더 전진 동작하게 되어 로프(R)에 대한 최종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라이닝(121)과 상기 홀딩부재(200)의 대응라이닝(210)은 각 마주하는 면이 나란한 수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활주부(400, 500)와 상기 제1 및 제2 대응활주부(600, 700)는 각각 한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수단(300)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홀딩부재(200)에 개재되는 바디(310),
    상기 바디(310)에 대한 후퇴 동작 및 이의 정지 상태 유지를 담당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320), 그리고
    상기 바디(310)와 상기 하우징(100)에 개재되고 상기 바디(310)의 후퇴 정지 시 가압되어 있다가 정지 상태 해제 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는 탄성스프링(33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수단(800)은
    상기 바디(310)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롤러형 가이드(810),
    상기 홀딩부재(200)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810)를 따라 이동되는 바(bar)형 대응가이드(820), 그리고
    상기 대응가이드(820) 양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응가이드(820)의 상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8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KR1020100139092A 2010-12-30 2010-12-30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KR10103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92A KR101030470B1 (ko) 2010-12-30 2010-12-30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92A KR101030470B1 (ko) 2010-12-30 2010-12-30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470B1 true KR101030470B1 (ko) 2011-04-25

Family

ID=4405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092A KR101030470B1 (ko) 2010-12-30 2010-12-30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9310A (zh) * 2017-02-15 2017-05-10 韩伍林 夹绳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946A (ko) * 2003-04-29 2003-12-11 최용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20040087033A (ko) * 2003-04-04 2004-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0774990B1 (ko) 2006-05-12 2007-11-09 주식회사 메이저텍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033A (ko) * 2003-04-04 2004-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20030093946A (ko) * 2003-04-29 2003-12-11 최용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100774990B1 (ko) 2006-05-12 2007-11-09 주식회사 메이저텍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9310A (zh) * 2017-02-15 2017-05-10 韩伍林 夹绳器
CN106629310B (zh) * 2017-02-15 2019-05-21 韩伍林 夹绳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145B1 (ko) 엘리베이터용 안전 브레이크
CN103459291B (zh) 电梯装置
US8991561B2 (en) Elevator braking equipment
MX341637B (es) Dispositivo de freno con actuacion electromecanica.
CA2892539C (en) Catching device for a trave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CN101980911A (zh) 恒力轨道夹钳
JP6211362B2 (ja) 軌道走行式機械の非常ブレーキ装置
KR101691685B1 (ko) 수직방향 수축가능한 레일 클램프
KR20070049534A (ko) 점진식 양방향 안전 기어
CN105480890B (zh) 锁盘器及其制动方法
DE102014004356A1 (de) Bremsein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r Aufzuganlage
JP2009523677A5 (ko)
WO2012110273A1 (de) Reibungsbremse für aufzüge mit verbesserten dämpfungseigenschaften
KR101030470B1 (ko) 투스텝 동작형 로프 제동유닛
US11840425B2 (en)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KR1016985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JP6646101B2 (ja) 荷役機械用制動装置
JP2006188306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ブレーキ装置
US11891275B2 (en) Brake device, e.g. with a wedge-shaped brake element, for braking a travelling body that can be moved in a guided manner along a guide rail in a movement direction
KR20190069884A (ko) 캘리퍼 장치
KR10068203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CN206478144U (zh) 锁盘器专用底座
CN108137274B (zh) 升降机系统的组件、升降机系统和制动升降机轿厢的方法
KR101231300B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보조제동장치
KR200403531Y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