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31Y1 -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31Y1
KR200403531Y1 KR20-2005-0027412U KR20050027412U KR200403531Y1 KR 200403531 Y1 KR200403531 Y1 KR 200403531Y1 KR 20050027412 U KR20050027412 U KR 20050027412U KR 200403531 Y1 KR200403531 Y1 KR 200403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air
spring
rope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임준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아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아전기
Priority to KR20-2005-0027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그 상면에 하부 라이닝이 결합되는 하부 라이닝 홀더; 상기 내측에 스프링을 개제하고 유압에 의해 스프링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스프링지지대; 상기 스프링지지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이 결합된 한쌍의 쐐기형상의 슬라이더; 및 상기 하부 라이닝 홀더 양측으로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쐐기형 슬라이더를 메인 로프에 대하여 각각 양측에서 대응하는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한쌍의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양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쌍의 슬라이더가 한쌍의 사이드커버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하부 라이닝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혀, 메인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Two Direction of Rope brake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쐐기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를 양방향 작동시켜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압력 부가요소를 단가가 저렴한 스프링을 사용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엘리베이터, 크레인 등의 장치는 케이블 또는 로프에 의해 작동된다. 특히 엘리베이터의 경우 구동 도르래에 의해 이동하는 로프에 의해 지지되고 그와 반대의 로프에는 평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평형추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도르래에 대한 마찰력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엘리베이터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여 속도의 변화율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안전과 사고 방지를 위해 엘리베이터를 필요시 제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동장치의 중요성은 점점 부각되어 승강기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제동장치를 강제로 의무화 시키는 실정이다.
그러나 제동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불안정하다거나, 또는 라이닝 등의 불균일한 마모 등의 이유로 말미암아 엘리베이터 정비로 인한 비용증가, 나아가 이용자에게는 잦은 정비로 인해 불편함을 끼치는 것 이외에 엘리베이터 내의 사람들에게 급정거로 인해 부상의 염려가 항상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라이닝에 균일한 제동력을 가하여 그 수명을 높인 제동장치가 개시되었는데, 1993년 7월 20일자로 등록된 미국 특허번호 제 5,228,540 호(발명의 명칭 : 스프링으로 슈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제동장치(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가 그것이다(도 1 참조).
상기 미국 특허번호 제 5,228,540 호의 기술내용을 보면, 평상시에는 유압이 호스(1a)를 통해 실린더(1)에 유입되어 스프링(2, 3)을 압축시키고 슈(4)에 결합되어 있는 링크(5, 6)가 스프링(2, 3)과 상호작용하여 캠 종동부(7)를 캠 면(8a, 8b)의 하단부로 이동시켜 결국 문이 열린 경우에는 스프링(2, 3)이 솔레노이드(9)에 의해 해제되고, 결국 상기와 반대의 과정을 거쳐 슈(4)가 로프(R)에 밀착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게 된다. 이 경우, 엄밀하게 말해서 로프에 밀착되는 것은 슈(4)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닝이다.
또 상기 종래기술은 라이닝이 마모되었을 때 캠면(8a, 8b) 위쪽으로 캠 종동부(7)가 이동하여 슈(4)를 로프(R)에 좀 더 가깝게 이동시켜서 비상시에는 라이닝으로 로프(R)에 밀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라이닝에 균일한 힘(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캠 종동부(7)와 캠 면(8a, 8b)을 사용하고, 그 동력원으로는 스프링(2, 3)을 사용하는 관계로,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데 매우 복잡하여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라이닝에 균일한 힘이 실질적으로 작용되지 않는다는 점과 스프링의 잦은 교체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정비가 늘어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도 2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221450 호)의 제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하면, 유압발생부의 작동에 의해 유압실린더(10)가 작동하면서 그 선단의 플런저(10a)가 밀접된 상태에 있는 가동판(11)을 밀게 되고, 가동판(11)은 그 양단이 연결부재(12)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지지판(13)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고정판(14)과 가동판(11) 사이에 있는 탄발 스프링(15)의 탄발력에 대항하면서 고정판(14) 측으로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된 가동판(11)과 고정판(14)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로프(R)는 라이닝(11a, 14a)에 의해 각각 단단히 끼워져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의 종래기술의 경우도 플런저(10a)에 의해 가동판(11)을 이동하는 로프에 직각방향으로 압력을 작용하므로 엘리베이터가 급정지되고, 라이닝(11a, 11a)의 잦은 교체로 인한 정비증가와 무엇보다도 급정거로 인하여 사람에게 부상을 초래하는 단점이 항상 존재한다.
또한, 도 3은 본 출원인이 , 2003년 11월 24일자 특허출원(10-2003-0083499)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기 위한 로프 브레이크로서, 쐐기형상의 슬라이더(20)와, 슬라이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하고 있는 동시에 슬라이더(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21)과, 슬라이더(20)를 메인 로프(R)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하기 위한 실린더(22)와, 하우징(21)을 엘리베이터 구조물 상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슬라이더(20)가 실린더(22)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메인 로프(R)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는 한 쌍의 라이닝(미도시)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져, 메인 로프(R)가 한 쌍의 라이닝에 의해 파지되어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 출원된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따르면, 성능과 안전성은 우수하지만, 고가의 유압장치인 실린더(22)가 사용되어 제조원가가 비싸짐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출원인이 2004년 10월 1일자 특허출원(10-2004-0078131)한 것으로, 도 3의 모델의 유압 힘을 스프링(S)의 힘으로 대체한 로프브레이크이며, 로프(R)에 점진적인 압력을 라이닝(31,33) 전체에 균등하게 가함으로써 라이닝(31,33)의 수명을 연장하며, 제동거리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단방향 쐐기타입으로 엘리베이터 하강 시 제동력이 약해지는 단점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쐐기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를 양방향 작동시켜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압력 부가요소를 단가가 저렴한 스프링을 사용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그 상면에 하부 라이닝이 결합되는 하부 라이닝 홀더; 상기 내측에 스프링을 개제하고 유압에 의해 스프링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스프링지지대; 상기 스프링지지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이 결합된 한쌍의 쐐기형상의 슬라이더; 및 상기 하부 라이닝 홀더 양측으로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쐐기형 슬라이더를 메인 로프에 대하여 각각 양측에서 대응하는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한쌍의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양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쌍의 슬라이더가 한쌍의 사이드커버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하부 라이닝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혀, 메인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스프링지지대와 한쌍의 슬라이더에 대한 스프링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지지대와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라이닝은 각각 대향면에 판형상의 고정부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상/하부라이닝은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 및 하부 라이닝 고정부에 각각 볼트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브래킷은 각각 원호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라이닝 고정부의 하단에는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이 원호형상으로 2-3개 형성 배열되어 있어, 브래킷이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하부라이닝 결합 볼트를 중심으로 45°∼90°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장착되어지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로프 브레이크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작동 개념도로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가 작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브래킷(108, 109)은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메인 로프(13)가 제동되기 용이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판(도시생략)에 대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체결수단은 볼트가 바람직하나 리벳 혹은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 즉 브래킷(108, 109)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구조물인 고정판(도시생략)에 체결 고정되고, 이 브래킷(108, 109) 위에는 하부 라이닝(115)이 고정되는 하부 라이닝 고정부(155)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브래킷(108. 109)은 각각 원호형상의 개구부(165)가 형성되고, 하부라이닝 고정부(147)의 하단에는 브래킷(108, 109)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170)이 원호형상으로 2∼3개 형성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브래킷(108, 109)이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의 로프 브레이크는 상기 브래킷(108, 109)에 대하여 하부라이닝 결합 볼트(163)를 중심으로 45°∼90°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브래킷(108, 109)과 하부 라이닝 홀더(147)와 결합되어지는 부분에는 제동에 의한 힘의 방향에 동축선 상에서 작용된다.
또한, 하부 라이닝 홀더(147)와 브래킷(108, 109)은 볼트(161, 163)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161, 163)가 2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통상 2∼3개의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101)는 스프링지지대(111, 113)에 체결되며,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스프링지지대(111, 113)의 중심에 복귀용 실린더(101)를 장착하였다.
상기 스프링지지대(111, 113)와 실린더(101)는 평상 시 스프링(115)의 압축력을 견뎌야 하므로 그 형상을 응력해석을 통해 설계하고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커버(131, 133)의 가이드 홈(136)은 슬라이더(121, 123) 제동 시나 복귀 시 힘을 받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보강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지지대(111, 113)는 스프링(115)을 고정하고 힘을 전달하기 함과 동시에 한쌍의 힌지축(110a, 110b)과 연결되어 슬라이더(121, 123)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스프링(115)은 엘리베이터의 허용인원수에 따라 11인용∼24인용 까지 각 인승별 요구되는 하중으로 스프링의 압축력에 대한 종류를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은 하중에서는 높은 압축력을 갖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급제동을 방지하고, 높은 하중에서는 낮은 압축력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공주거리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21, 123)는 각도를 이루어 제동에 요구되는 힘을 전달하므로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과 결합 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은 일정시기 마다 교체를 요구하므로 교체의 용이성을 위해 슬라이더(121, 123)와 상부 라이닝고정판(151, 153)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적용은 하부 라이닝(145)에도 같은 경우로 적용된다.
복귀 시 작동되는 실린더(101)는 실린더축(102)이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관통하여 너트(14)로 체결된다. 유압이 주입되면 실린더축(102)과 체결된 너트(107)가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당겨서 복귀하므로 너트(107)와 실린더축(102)의 보강이 필요하다. 또한 복귀시 가이드 축(103, 105)을 통해 복귀하므로 불균형 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제동 및 제동 해제 시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엘리베이터 제동 시
먼저, 엘리베이터가 소정 범위의 속도를 벗어난 경우, 즉 속도가 어느 한계치를 넘거나 속도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제어 하에 유압실린더(101)에 유압이 빠지면서 스프링(115)이 스프링지지대(111, 113)에 탄성력을 받아 한쌍의 스프링 가이드 축(103, 105)을 따라서 움직인다.
이에 따라 한쌍의 상부 라이닝(141, 143)을 결합하고 있는 한쌍의 슬라이더(121, 123)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 압력은 각도를 가진 압력과 수직방향의 압력으로 분산되는데 전자는 슬라이더를 소정의 각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동원으로 사용되고 후자는 슬라이더의 수직운동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더욱이, 슬라이더(121, 123)가 일정한 각도, 예컨대 35°의 기울기를 가지므로 그 힘을 선형으로 분석하면 슬라이더가 매우 세밀하게 점진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결국 엘리베이터가 큰 충격없이 안전하게 제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지지대(111, 113)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21 ,123)는 사이드커버(131, 133)의 가이드 홈(136)을 따라 하부 라이닝 고정부(147)를 향해 이동한다.
이어서 상부 라이닝(141, 143)은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 사이에 배치된 메인 로프(R)에 점진적인 형태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메인 로프(R)에 갑작스런 압력의 전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의 잦은 마모를 줄이면서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제동시킨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상기와 같은 점진적인 정지를 통해 제동됨에 따라 탑승자의 부상을 막게 된다.
이와 같이 점진적으로 정지되는 엘리베이터는 그 제동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아니며, 그 이유는 동차의 브레이크 작동시 한 번의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보다 ABS(air brake system)와 같이 브레이크를 순간적으로 여러 번 밟았을 때 제동거리를 줄일 수 있고 운전자에게 보다 안전한 이치와 같다.
이 경우,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한 유압실린더(101)의 해제는 속도 뿐 아니고 엘리베이터의 개문발차시나 기타 비상 상황시에도 제동을 위해 유압실린더(101)를 해제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당연하다.
2. 엘리베이터 제동 해제 시
스프링(115)에 의해 슬라이더(121, 123)에 압력이 가해져 상부 라이닝(141, 143)과 하부 라이닝(145) 간의 밀착으로 인해 메인 로프(R)가 제동되고 결국 메인 로프(R)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가 제동되며, 그 후, 비상상황이 해제되면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그 신호를 유압장치(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서 유체가 실린더(101)로 유입되면 실린더축(102)이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메인 로프(R)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엘리베이터의 제동이 해제된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그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준하는 모든 제동장치에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제동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후술되는 청구항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는 쐐기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비상시에 로프에 점진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고, 라이닝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급정거로 인한 인체의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로프 브레이크를 기존의 단방향 쐐기구조에서 양방향 쐐기구조로 바꿈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상승, 하강 어느 방향에서도 제동력이 나올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설치와 수리, 부품 교환시 편리성을 최대화 하고, 안전성과 기술성, 편리성이 향상되는 한편 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로프 브레이크의 사시도,
도 3은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유압식 로프 브레이크의 단면도.
도 4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스프링식 로프 브레이크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가 작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실린더 102: 실린더 축
103, 105: 가이드 축 107: 너트
108, 109: 브래킷 110a, 110b: 힌지축
111, 113: 스프링지지대 115: 스프링
121, 123: 슬라이더 131, 133: 사이드커버
136: 가이드 홈 141, 143: 상부 라이닝
145: 하부 라이닝 147: 하부 라이닝 홀더
151, 153: 상부 라이닝 고정판 155: 하부 라이닝 고정판
161, 163: 볼트 165: 개구부
170: 체결구멍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그 상면에 하부 라이닝이 결합되는 하부 라이닝 홀더;
    상기 내측에 스프링을 개제하고 유압에 의해 스프링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스프링지지대;
    상기 스프링지지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이 결합된 한쌍의 쐐기형상의 슬라이더; 및
    상기 하부 라이닝 홀더 양측으로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쐐기형 슬라이더를 메인 로프에 대하여 각각 양측에서 대응하는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한쌍의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양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쌍의 슬라이더가 한쌍의 사이드커버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하부 라이닝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혀, 메인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대와 한쌍의 슬라이더에 대한 스프링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지지대와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라이닝은 각각 대향면에 판형상의 고정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라이닝은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 및 하부 라이닝 고정부에 각각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각각 원호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라이닝 고정부의 하단에는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이 원호형상으로 2∼3개 형성 배열되어 있어, 브래킷이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하부라이닝 결합 볼트를 중심으로 45°∼90°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KR20-2005-0027412U 2005-09-23 2005-09-23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KR200403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12U KR200403531Y1 (ko) 2005-09-23 2005-09-23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12U KR200403531Y1 (ko) 2005-09-23 2005-09-23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569A Division KR100682039B1 (ko) 2005-09-23 2005-09-23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31Y1 true KR200403531Y1 (ko) 2005-12-09

Family

ID=4370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412U KR200403531Y1 (ko) 2005-09-23 2005-09-23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3281A (zh) * 2021-03-26 2021-08-10 科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连杆型防坠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3281A (zh) * 2021-03-26 2021-08-10 科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连杆型防坠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579B2 (en) Elevator car brake
KR200221450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20070049534A (ko) 점진식 양방향 안전 기어
US10167171B2 (en) Elevator with brake device in the manner of a clamp brake
US8739937B2 (en) Elevator damping element
US6021872A (en)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US11498803B2 (en) Elevator car parking brake
CN1789102B (zh) 电梯超速保护装置
EP1783087B1 (en) Double-effect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s
CN217867584U (zh) 一种曳引绳端接装置
KR10068203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KR200403531Y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
KR100615623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N213415929U (zh) 一种双向渐进式电梯安全钳
KR100682036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KR200370692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JP2001002342A (ja)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
KR200343822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KR20040082936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KR100451818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N109911738B (zh) 一种大吨位瞬时式安全钳
KR100891923B1 (ko) 공압식 로프 브레이크
KR100763830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KR200423194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KR100469942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