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464B1 -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 Google Patents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464B1
KR101030464B1 KR1020100138933A KR20100138933A KR101030464B1 KR 101030464 B1 KR101030464 B1 KR 101030464B1 KR 1020100138933 A KR1020100138933 A KR 1020100138933A KR 20100138933 A KR20100138933 A KR 20100138933A KR 101030464 B1 KR101030464 B1 KR 10103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base
main bod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길
이현국
Original Assignee
효성기연산업 주식회사
이현국
장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기연산업 주식회사, 이현국, 장충길 filed Critical 효성기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 driving or driven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D2260/402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 F05D2260/402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through belt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4/00Endless belt power transmission system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사용 중 모터와 팬을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 벨트의 사용감에 따른 가변길이를 실시간 측정하고 이로부터 벨트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팬과 벨트 연결된 모터를 고정 지지하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벨트의 장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 고정용 이동베이스와; 벨트의 장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와 이동베이스를 연결하며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스프링; 및 벨트의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베이스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시 벨트의 장력에 의하여 이동베이스가 벨트 쪽으로 후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퇴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Fan motor base}
본 발명은 팬과 벨트 연결되는 구동모터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중 모터와 팬을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냉난방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이하 '공조기'라 약칭함)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현장에는 공기의 효과적인 순환을 위해 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송풍기가 설치되는데, 구동모터와 송풍기 팬은 각 풀리 상에 결합되는 벨트를 통해 동력전달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의 풀리와 송풍기 팬의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는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항상 적정의 장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팬 구동용 모터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모터베이스는, 바닥(4)에 고정되는 하판(5)과, 이 하판(5)에 벨트(3)의 장력방향으로 설치 결합되며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는 가이드봉(6)과, 이 가이드봉(6)을 관통시키며 가이드봉(6)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한 안내고정구(7)를 하단에 구비하는 상판(8)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8) 위에 팬 구동용 모터(2)가 설치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고정구(7)의 전후에 배치되어 가이드봉(6)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9)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종래 모터베이스는 팬(1)과 모터(2)를 연결하고 있는 벨트(3)가 느슨한 상태를 이루게 되면, 고정너트(9)를 풀고 모터(2)가 설치된 상판(8)을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고정너트(9)를 다시 조여 벨트(3)를 다시 긴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모터베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종래 모터베이스는, 사용 중 모터 진동에 의하여 나사 결합상태를 이루는 고정너트가 안내고정구로부터 느슨하게 풀리게 되어 긴장상태로 조정된 벨트가 다시 느슨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 모터베이스는, 벨트를 긴장시키는 장력조절작업이 오로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터가 설치된 상판을 너무 당겨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벨트의 장력상태가 적정 수준보다 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벨트의 마모를 가속시켜 그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며, 혹은 상판을 조금만 당겨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벨트의 장력상태가 적정 수준보다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벨트의 모터의 구동력이 팬을 향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만약 고정너트가 고정위치를 유지하여 모터가 정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장시간 구동 중인 벨트는 온도 상승에 의하거나 혹은 마모현상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상태가 느슨해지는 과정(정확하게는 벨트의 내경이 커지는 현상)을 거치게 되는데, 이처럼 종래 모터베이스는 구동 중인 벨트에 대해서는 모터와 송풍기 구동을 완전히 정지시키지 않은 이상 벨트의 장력조절을 수행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모터베이스는, 구동 중인 벨트의 장력상태 즉, 벨트의 온도 상승 혹은 마모현상에 의하여 효율적인 팬의 구동이 불가할 정도로 벨트가 과도하게 느슨해진 상태를 작업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없어 벨트의 장력조절시기 혹은 교체시기를 놓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그 목적은 탄성부재를 이용한 벨트의 긴장된 장력상태를 유지하되, 구동 중인 벨트가 온도상승 또는 마모로 인하여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더라도 항상 동일한 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일정한 장력을 확보하기 위한 탄성부재의 사용감에 많아져 탄성부재에 장력변화(장력약화)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이를 보상시켜 항상 균일한 벨트의 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의 교체 및 변경 작업 시 벨트의 종류(길이차이)가 달라진다 하더라도 일정한 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구동 중인 벨트의 상태를 주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구동 중인 벨트의 마모 정도에 따른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팬과 벨트 연결된 모터를 고정 지지하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벨트의 장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 고정용 이동베이스;
벨트의 장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와 이동베이스를 연결하며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스프링; 및
벨트의 마모에 의한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베이스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시 벨트의 장력에 의하여 이동베이스가 벨트 쪽으로 후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퇴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장력조절수단은, 일측에 핸들을 구비하며 스프링의 장력방향과 나란하게 본체에 축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이동베이스와 연결된 스프링의 반대쪽 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으로 전후 이동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퇴 차단수단은, 본체의 가이드용 슬롯을 관통한 이동베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래칫과;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일 방향 지지하는 래칫기어부를 형성된 지지블록; 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터베이스는, 상기 이동베이스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여 벨트의 가변길이를 표시하여 주는 벨트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상태표시수단은, 본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대향하며 전진하는 이동베이스의 일측 감지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수신된 거리 값을 변환하여 표시수단을 향해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표시구동부와; 상기 표시구동부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이동베이스의 이동거리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벨트의 장력방향과 반대되는 장력을 갖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벨트의 긴장된 장력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동시 후퇴 차단수단을 이용하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되더라도 벨트의 가변길이에 대응하는 팬과 모터의 사이거리를 정격으로 유지하여 항상 균일한 벨트의 장력상태를 유지하여 송풍기 팬을 향해 모터출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모터와 팬을 연결하는 종류(길이 차)가 다른 벨트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도 스프링의 장력조절수단을 조절하여 모터가 설치된 이동베이스의 위치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한 모터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후퇴 차단수단을 통하여 스프링의 장력방향을 향하여 이동베이스를 점진적으로 일 방향 이동되는 이동베이스의 이동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표시하여 주는 벨트상태표시수단을 이용하여, 마모현상에 의한 벨트의 가변길이를 측정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서, 벨트의 교체시기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벨트가 끊어져 벨트와 연결된 장치(공조기 등)가 일시 정지되거나 오작동 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모터베이스의 일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베이스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베이스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장력조절수단을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와 이동베이스 간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상태표시수단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부분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는, 송퐁기 팬(1)과 벨트(3) 연결된 모터(2)를 고정 지지하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10)와, 벨트(3)의 장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모터 고정용 이동베이스(20)와, 벨트(3)의 장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도록 본체(10)와 이동베이스(20)를 연결하는 스프링(30), 및 스프링(30)의 장력을 극복하는 벨트(3)의 장력에 의하여 이동베이스(20)가 벨트(3)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퇴 차단수단(50)을 포함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본체(10)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판(11)과, 이 하판(11)으로부터 이격된 상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2)에는 상면에 이동베이스(20)가 올려지며, 올려진 이동베이스(20)의 하단 일부를 내부로 수용하게 가이드용 슬롯(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용 슬롯(121)은 벨트(3)의 장력방향과 나란한 길이를 갖는다.
즉, 모터(2)가 고정되는 이동베이스(20)는 본체(1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가이드용 슬롯(121)을 따라 전후방향(벨트의 장력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용 슬롯(121)을 대향하는 하판(11)에는 벨트(3)의 장력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이드봉(110)이 설치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용 슬롯(121)을 관통한 이동베이스(20)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봉(121)에 안내되는 가이더(210)를 더 설치 구성하여, 이동베이스(20)의 안정된 전후방향(벨트의 장력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면에 올려진 이동베이스(20)의 하단을 가이드용 슬롯(121)을 통하여 상판(12)과 하판(11)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으로 삽입시키고, 이렇게 외부로부터 격리된 상판(12)과 하판(11)의 내부공간에 이동베이스(20)의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배치함으로서,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이동베이스(20)의 슬라이드 결합구조에 기밀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이동베이스(20)를 연결하는 스프링(3)에는 장력조절수단(40)이 구비된다.
즉, 스프링 장력조절수단(40)은, 일측에 핸들(411)이 구비되고 스프링(3)의 장력방향과 나란하게 본체(10)에 축 설치되는 스크류(41)와; 상기 스크류(41)에 결합되어 스크류(41)의 회전과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며 스프링(3)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동블록(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42)은 스크류(41)와 나사 결합되어 스크류(41)의 회전과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는 이동몸체(421)와, 이 이동몸체(4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스프링(3)의 일측이 연결되는 지지부(4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력조절수단(40)을 구비하는 스프링(3)은 상기 이동블록(42)과 이동베이스(20)에 양쪽 단이 설치 결합되어 소정의 장력을 통해 반대쪽 벨트(3)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다가 그 사용감이 오래될수록 약해지는 스프링(3)의 장력을 보상시키기 위해 핸들(411)을 돌려 스크류(41)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스프링(3)이 연결된 이동블록(42)이 전진이동하게 되어 스프링(3)의 장력을 높이게 된다.
또, 이러한 장력조절수단(40)은, 최초 설치 혹은 교체 설치되는 벨트(3)의 종류(길이)가 달라지는 이유로, 설치되는 벨트(3)가 갖는 길이와 대응하게 모터(2)와 팬(1) 사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동베이스(2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이동베이스(20)에 연결된 스프링(3)의 장력이 약해진 것을 재차 조정하여 긴장상태로 보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후퇴 차단수단(50)은, 외부로 기밀을 확보할 수 있게 본체(10)의 상판(12)과 하판(11)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동베이스(20)의 하단과 본체(10)의 하판(11)을 연결하며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후퇴 차단수단(50)은 벨트(3)의 사용감에 따른 길이변화(늘어남)에 대응하여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하여 이동베이스(20)를 점진적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동시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 벨트(3)의 장력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차단하는 일 방향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즉, 후퇴 차단수단(50)은, 본체(10)의 가이드용 슬롯(121)을 관통한 이동베이스(20)의 하단에 형성된 래칫(51)과; 본체(51)의 하판(11)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51)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일 방향 지지하는 래칫기어부(521)를 형성된 지지블록(5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후퇴 차단수단(50)은 장시간 구동 중인 벨트(3)가 느슨해지면서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하여 이동베이스(20)는 점차적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와 함께 래칫기어부(521)에 걸림 지지된 래칫(51)이 점차적(1피치(P)씩 이동)으로 전진하여, 벨트(3)의 사용감에 따른 느슨해짐(길이변화)에 대응하여 팬(1)과 모터(2)의 고정 간격을 점진적으로 가변시키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느슨해진 벨트(3)를 계속해서 일정한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30)의 장력이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벨트(3)의 장력방향으로 이동베이스(20)가 일시적으로 끌어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감에 의한 스프링(30)의 장력이 약화되더라도 래칫(51)과 래칫기어부(521)에 의한 일 방향 지지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됨으로서, 벨트(3)의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팬(1)과 모터(2)의 간격을 점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역방향(후방)으로의 이동을 차단시킴으로서, 스프링(30)의 장력약화를 자동 보상시키고 이로 인하여 벨트(3)의 장력을 항상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모터베이스에는 벨트(3)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벨트상태표시수단(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상태표시수단(60)은 장시간 구동 중인 벨트(3)의 길이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로부터 벨트(3)의 교체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3)가 과도하게 늘어나게 되는 주된 이유는 벨트(3)의 마모현상에서 기인되는데, 일반적으로 범포(canvas)의 상하부에 고무와 면직물을 교대로 적층 가압시켜 제작되는 벨트구조는 마모되어 늘어난 가변길이가 대략 20 mm 일 경우를 한계로 하게 된다. 즉, 여기서 벨트(3)의 길이변화는, 마모에 의한 벨트(3)의 내경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벨트상태표시수단(60)은, 본체(10)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대향하며 전진 이동하는 이동베이스(20)의 일측 감지단의 이격거리(D)를 측정하는 거리센서(61)와; 상기 거리센서(61)로부터 수신된 거리 값을 변환하여 표시수단(63)을 향해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표시구동부(62)와; 상기 표시구동부(62)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이동베이스(20)의 이동거리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마모된 벨트(3)의 길이가 변화되더라도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하여 벨트(3)의 장력은 항상 일정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표시수단(63)은 예를 들어, 공조기와 같은 장치 본체 등 작업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표시수단(63)은 램프, 부저, 디스플레이부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61)는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 혹은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속식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터베이스의 바람직한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최초 모터(2)와 팬(1)을 연결하는 벨트(3)의 설치 시, 차후 벨트(3)의 늘어남을 감안하여 후퇴 차단수단(50) 즉, 래칫(51)이 래칫기어부(52)의 제일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스프링 장력조절수단(40)의 핸들(411)을 미세 회전시켜 스크류(41)를 회전시키고, 이와 연동하는 이동블록(4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시키며 벨트(3)의 정격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후, 스크류(41)에 체결된 고정너트(43)를 조여 이동블록(41)의 설정위치를 견고히 유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터베이스의 벨트 구동 중 그 작용을 살펴보면,
구동 중인 벨트(3)의 온도상승 혹은 벨트(3)의 마모현상에 의하여 벨트(3)가 늘어나 느슨하게 되면, 이동베이스(20)의 반대쪽에 설치된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하여 항상 벨트(3)의 긴장된 장력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3)의 느슨해지는 현상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 스프링(30)의 장력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베이스(20)는 하단에 형성된 래칫(15)이 래칫기어부(521)의 전방쪽 다음 칸으로 1피치(P) 이동하여 걸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베이스(20)는 상기 후퇴 차단수단(50)인 래칫기어부(521)의 1피치(P) 간격만큼의 스프링(30)의 탄성범위를 허용하고, 벨트(3)의 사용감이 진행됨에 따라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스프링(30)의 장력방향으로 계속해서 1피치(P)씩 이동하며 이동베이스(20)의 위치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벨트(3)의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스프링(30)쪽으로 이동된 이동베이스(2)의 위치는 거리센서(61)에 의하여 실시간 측정되고, 이렇게 측정된 거리 값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실시간 출력된다.
만약 이렇게 거리센서(61)를 통하여 이동베이스(20)의 전진 이동 거리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벨트의 한계 길이변화, 예를 들어 20 mm)에 도달하게 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이동한 거리를 출력하는 동시 램프, 부저를 통하여 주위 작업자에게 벨트(3)의 교체 시점을 미리 인지하여 주도록 한다.
이처럼, 이동베이스(20)의 전진 이동한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출력하는 벨트상태표시수단(60)을 통하여, 작업자는 벨트(3) 및 스프링(30)의 사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이로부터 스프링(30)의 장력조절수단(40)을 높여 벨트(3)의 장력상태를 재조정한다거나 혹은 벨트(3)의 마모 상태가 한계시점인 경우에는 벨트(3)를 교체시점을 정확히 확인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팬 (2) : 모터
(3) : 벨트 (10) : 본체
(11) : 하판 (12) : 상판
(20) : 이동베이스 (30) : 스프링
(40) : 스프링 장력조절수단 (41) : 스크류
(42) : 이동블록 (50) : 후퇴 차단수단
(51) : 래칫 (52) : 지지브록
(521) : 래칫기어부 (60) : 벨트상태표시수단
(61) : 거리센서 (63) : 표시수단

Claims (6)

  1. 팬과 벨트 연결된 모터를 고정 지지하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로부터 벨트의 장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 고정용 이동베이스(20);
    벨트의 장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10)와 이동베이스(20)를 연결하며 장력조절수단(40)을 구비하는 스프링(30); 및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용 슬롯(121)을 관통한 이동베이스(20)의 저면에 형성된 래칫(51)과,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51)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일 방향 지지하는 래칫기어부(521)를 형성된 지지블록(52)으로 구성되어, 벨트의 마모에 의한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베이스(20)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벨트(3)의 장력에 의하여 이동베이스(20)가 벨트(3) 쪽으로 후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퇴 차단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력조절수단(40)은,
    일측에 핸들(411)을 구비하며 스프링(30)의 장력방향과 나란하게 본체(10)에 축 설치되는 스크류(41)와;
    상기 이동베이스(20)와 연결된 스프링(30)의 반대쪽 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41)에 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으로 전후 이동하는 이동블록(4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20)가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여 벨트의 가변길이를 표시하여 주는 벨트상태표시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상태표시수단(60)은,
    본체(10)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대향하며 전진하는 이동베이스(20)의 일측 감지단의 이격거리(D)를 측정하는 거리센서(61)와;
    상기 거리센서(61)로부터 수신된 거리 값을 변환하여 표시수단(63)을 향해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표시구동부(62)와;
    상기 표시구동부(62)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이동베이스(20)의 이동거리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6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63)은, 램프, 부저, 디스플레이부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팬 구동용 모터 베이스.
KR1020100138933A 2010-12-30 2010-12-30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KR10103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33A KR101030464B1 (ko) 2010-12-30 2010-12-30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33A KR101030464B1 (ko) 2010-12-30 2010-12-30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464B1 true KR101030464B1 (ko) 2011-04-19

Family

ID=4405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933A KR101030464B1 (ko) 2010-12-30 2010-12-30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6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422A1 (ko) * 2013-04-09 2014-10-1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자동 장력조절장치
KR20160013598A (ko)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영상 진단장비의 선회암 회전장치
CN107957107A (zh) * 2017-11-01 2018-04-24 曾河锦 一种冶金炼钢用厂房内空气快速循环设备
KR101970661B1 (ko) * 2018-04-11 2019-04-19 손남주 후드용 능동식 댐퍼 장치
CN112271863A (zh) * 2020-10-10 2021-01-26 中山西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焚烧炉渣电机调节器
US20210404539A1 (en) * 2020-06-29 2021-12-30 E&C Finfan, Inc. Belt drive automatic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KR20230084760A (ko) * 2021-12-06 2023-06-13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의 베이스 기판 거리 변화를 통한 구동체인 길이 변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655764B1 (ko) 2023-11-13 2024-04-08 주식회사 두원콤프레샤 중력식 벨트 장력 자동 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84B1 (ko) * 2002-11-0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풀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84B1 (ko) * 2002-11-0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풀리 고정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422A1 (ko) * 2013-04-09 2014-10-1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자동 장력조절장치
KR101486361B1 (ko) * 2013-04-09 2015-01-27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자동 장력조절장치
KR20160013598A (ko)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영상 진단장비의 선회암 회전장치
KR101631667B1 (ko) * 2014-07-28 2016-06-17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영상 진단장비의 선회암 회전장치
CN107957107A (zh) * 2017-11-01 2018-04-24 曾河锦 一种冶金炼钢用厂房内空气快速循环设备
CN107957107B (zh) * 2017-11-01 2020-08-07 内蒙古禄源联动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冶金炼钢用厂房内空气快速循环设备
KR101970661B1 (ko) * 2018-04-11 2019-04-19 손남주 후드용 능동식 댐퍼 장치
US20210404539A1 (en) * 2020-06-29 2021-12-30 E&C Finfan, Inc. Belt drive automatic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CN112271863A (zh) * 2020-10-10 2021-01-26 中山西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焚烧炉渣电机调节器
KR20230084760A (ko) * 2021-12-06 2023-06-13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의 베이스 기판 거리 변화를 통한 구동체인 길이 변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612483B1 (ko) 2021-12-06 2023-12-12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의 베이스 기판 거리 변화를 통한 구동체인 길이 변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655764B1 (ko) 2023-11-13 2024-04-08 주식회사 두원콤프레샤 중력식 벨트 장력 자동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64B1 (ko)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US9731906B2 (en) Conveyor belt scraping device
RU200913318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резинового полос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518452B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CN207034106U (zh) 皮带自涨紧传送装置
JP6478319B2 (ja) 電動張線装置
US7195230B2 (en) Optical fibre feed arrangement
US20040063529A1 (en) Guide system for tensioning a belt and a method of regulating belt tension
JP3205555U (ja) ベルト張力緊張装置
CN205263116U (zh) 一种皮带张力测量调节装置及皮带传动机构
KR20140122878A (ko) 대형 프린터 인쇄용 롤 원단 자동공급 조절장치
KR101332841B1 (ko) 풀리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1504120B1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GB2254342A (en) Friction false-twisting unit with a drive motor
CN214465891U (zh) 调整装置
KR100659033B1 (ko) 벨트의 자동장력조절 및 교체시기 표시기능을 갖는공기조화기
KR102173706B1 (ko) 스프링 내구성 시험장치
CN208229329U (zh) 一种穿线机的拉线装置
CN211363463U (zh) 一种橡筋机送料机构中的检测装置
CN109205192B (zh) 一种用于皮带传输机的驱动皮带调试装置
CN104236997A (zh) 橡胶测试拉伸工具
CN103454084B (zh) 灯具内齿轮盘的旋转性能测试装置
US10422618B2 (en) Sizing tool for belt
KR100313016B1 (ko) 자동차의슬라이드형스위치내구성시험장치
CN110294260A (zh) 一种方便拆装传送带的机械传输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