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066B1 -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066B1
KR101030066B1 KR1020090029423A KR20090029423A KR101030066B1 KR 101030066 B1 KR101030066 B1 KR 101030066B1 KR 1020090029423 A KR1020090029423 A KR 1020090029423A KR 20090029423 A KR20090029423 A KR 20090029423A KR 101030066 B1 KR101030066 B1 KR 101030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exposure
unit
photograph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053A (ko
Inventor
배영주
황병식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90029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0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03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setting of both shutter and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360 degree surveillance camera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GPS information or vehicle data, e.g. vehicle speed, gyro, steering ang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merged images, e.g. merging camera image with stored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촬영 중인 지역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에 대한 복수개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일괄적으로 자동 제어해 줌으로써 작업자는 매우 편리하게 파노라마 사진 제작을 위한 최선의 영상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고, 복수 개 카메라의 일괄적인 제어를 통해 모두 동일한 적정노출 상태에서 분할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자연스러운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할 수 있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은 차량을 포함한 이동수단의 속도에 근거한 촬영 제어신호와, 촬영 지역의 조도에 근거한 노출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촬영 제어신호와 노출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 개 카메라의 촬영 조작과 노출 설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신호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29423
파노라마 사진, 조도, 노출, 촬영

Description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The camera control system for producing the panorama of a map information}
본 발명은 자동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정보가 기록된 실제의 지형, 지물 사진을 파노라마 형태로 제작하여 전자 지도와 매핑함으로써 인터넷, 컴퓨터, 네비게이터, 휴대폰과 같은 전자 정보 단말기 상으로 제공되는 지리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제작 과정에 있어서, 촬영 지역의 조도에 따른 카메라 적정노출을 자동으로 제어하되, 복수 개의 카메라가 모두 일괄적으로 동일한 적정노출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감도로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는 파노라마 사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컴퓨터, 네비게이터, 휴대폰과 같은 전자 정보 단말기의 발달과 보급 확대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지역의 지리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상기 단말기에 접속하여 도로나 지형, 지물 등 해당 지역과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제공되는 상기 지리 정보는 2D 로 구현되어 표시해주고 있어 사용자가 해당 지역과 관련된 지형, 지물을 시각적으로 정확히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로, 지형, 지물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역의 실제 사진을 함께 표시해주는 지리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개발 및 시도되고 있다.
상술한 지리 정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진 촬영 작업, 위치 정보 부여 작업 및 사진 연결 작업이 필요하다.
먼저, 사진 촬영 작업 및 위치 정보 부여 작업은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형, 지물 및 도로를 사진으로 촬영한 후, 촬영을 통해 획득한 사진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연계되도록 하여 해당 사진의 좌표값 및 방위각과 같은 위치 정보를 부여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특히, 상기 촬영 작업은 통상적으로 360°전방위로 향하고 있는 적어도 4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분할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지점의 360°전방위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진 연결 작업이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하여 각 지점마다 분할 촬영하여 획득한 다수 개의 사진을 도로변에 위치한 순서대로 파노라마 사진으로 연결하면서 편집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상기 사진 연결 작업을 통해 구성된 각각의 파노라마 사진은 GPS 코드로 연결할 수 있는 디지털 지도와 매핑함으로써 실제 영 상의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해 진다.
특히, 상기 사진 연결 작업을 통해 구성된 파노라마 사진은 목적하는 지역의 360°전방위 풍경은 물론 도로변을 따라 위치한 다양한 지형/지물의 사진을 연속적으로 제공해 주게 된다. 이 때, 여러 장으로 분할 촬영하여 획득한 사진을 연결하여 완성한 파노라마 사진은 실제 풍경과 같이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리 정보 파노라마 제작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를 살펴보면, 조리개를 통해 피사체의 조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조도에 따라 해당 카메라 조리개의 개방직경과 셔터의 개방시간을 자동 조절하여 적정 감도의 사진을 획득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분할 촬영을 위해 전방위로 설치된 다수 개의 카메라가 각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촬영을 수행하여 해당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경우, 각 방위마다 피사체의 조도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사진은 제각기 다른 감도를 지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감도로 출력된 사진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하게 되면 각 영상 프레임의 밝기에 심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감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완성된 파노라마 사진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 카메라의 개별적인 자동노출 제어에 따라 불균일한 감도의 파노라마 사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촬영자가 상기 다수 개 카메라의 노출을 수동으로 조절할 경우 촬영을 위한 장소 이동에 따라 해당 지역의 조도가 바뀔 시 마다 적정 노출을 위한 카메라 제어가 필요하게 되어 사진 촬영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정 노출을 위한 카메라 노출의 수동제어는 촬영자의 경험과 숙달정도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자의 경험 부족 또는 조작 미숙으로 양호하지 못한 사진을 얻게 될우 해당 지역의 재촬영이 요구되어 파노라마 사진 제작을 위한 비용과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현장 촬영 과정을 위하여, 차량에 승차한 촬영자의 수동적인 촬영 조작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해당 지역의 파노라마 사진 자료를 촬영 및 축적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촬영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촬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파노라마는 보통 몇 장으로 분할 촬영한 인화를 이어 붙여 만든다. 따라서 연속적이고 끊김없는 파노라마의 제작을 위하여는 차량에서 사진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일정 간격마다 정확히 대상의 영상을 얻어내야 한다. 예를 들어 10m 간격의 연속 프레임을 놓치지 않고 획득해야 하는 경우라면, 차량의 속도가 20m/s 인 경우 초당 2 프레임 즉, 0.5초당 1 프레임으로 영상을 촬영해야 10m 마다 1 프레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완벽한 파노라마를 제작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사람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촬영을 하면, 대상 인지 후 촬영 버튼을 누르기까지의 사람의 반응 속도 및 차량의 속도에 의하여 누락되는 프레임이 발생하여 완전한 파노라마를 제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차량을 이용한 현장 촬영을 위하여는 최소한 2 명의 인원(운전자와 촬영자)이 절대 필요하며, 차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힘든 것이 도로의 상황인 만큼 속도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힘든 촬영자는 결국 필요한 프레임 수보다 더 많은 촬영을 하게 되어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에는 차량에 탑승한 촬영자가 이동중 보이는 주요 지형, 지물을 파악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통하여 지도 제작에 필요한 프레임을 획득해 나갔다. 따라서, 놓치게 되는 위치 정보 프레임들이 발생하게 되고, 해당 지역을 빼놓지 않고 방문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도 힘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촬영 중인 지역의 조도에 따른 카메라 적정노출을 자동으로 제어해 줌으로써 작업자는 매우 편리하게 촬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숙련된 경험이나 전문지식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최적의 촬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 촬영을 실시하는 복수 개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동일한 노출상태 하에서 촬영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분할 영상 프레임을 연결하여 완성되는 파노라마 사진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의 촬영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속도에 비례한 프레임 수로 자동 촬영시 매 촬영 순간마다 적정노출을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간격마다 획득하는 영상의 촬영 노출 값이 정확하게 되어 완전하고 정확한 파노마라 사진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은 차량을 포함한 이동수단의 속도에 근거한 촬영 제어신호와, 촬영 지역의 조도에 근거한 노출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촬영 제어신호와 노출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 개 카메라의 촬영 조작과 노출 설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신호 수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촬영 지역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조도 측정부; 상기 조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노광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노광치에 매칭되는 카메라 적정노출 제어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노출정보 저장부; 상기 이동수단의 주행 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소정의 구형파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주행 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펄스 검출부; 한 개의 프레임이 촬영되는 단위거리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조도 측정부로 입력된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노출정보 저장부를 검색하는 연산을 통해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노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펄스 검출부를 통하여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기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단위거리에 근거한 연산을 통해 촬영 제어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수행부는, 차량을 포함한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목적 지역마다 분할 촬영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상기 제어신호 수행부로부터 입력된 촬영 제어신호를 분배하고 분배된 신호들을 동기화시켜 출력함으로써, 복수 개의 촬영 제어신호가 상호 간에 시간차 없이 동시에 복수 개의 카메라로 각각 입력되도록 하는 촬영 제어신호 분배회로;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노출 제어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복수 개 카메라로 일괄적으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카메라가 동일한 노출 상태로 설정되도록 하는 노출 제어신호 분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현재 촬영 중인 지역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에 대한 카메라 적정노출을 자동으로 제어해 줌으로써, 작업자는 매우 편리하게 파노라마 사진 제작을 위한 최선의 영상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지역의 조도에 대한 적정노출을 구현하기 위해 산출된 노출 제어신호가 모든 카메라에게 일괄적으로 입력되어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 카메라는 모두 매 촬영시 마다 동일한 적정노출 상태에서 분할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자연스러운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지역의 조도에 따른 적정노출 제어시, 이동 수단의 속도까지 고려하여 노출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함에 따라, 작업자는 촬영 지역의 조도에 따른 카메라 적정노출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주행 속도 하에서도 선명한 정지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펄스 검출부를 통하여 산출된 차량의 주행 속도와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를 통하여, 작업자는 획득하고자 하는 단위거리당 프레임을 놓치지 않고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동 촬영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중복 촬영을 감소시키고, 필요한 프레임의 놓침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적정노출 설정과 촬영 조작의 자동제어를 통해, 노출 설정과 촬영을 위한 주정차를 줄일 수 있어 정보 수집 시간 단축, 교통 정체 해소 및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별도의 촬영자 없이도 운전자 혼자서 정차없이 주행하며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현장 촬영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제어신호 생성부(100)와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0)는 외부 변수(차량 등의 속도 및 촬영 지역의 조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획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제어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산출된 제어신호는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입력됨으로써 복수 개 카메라는 촬영조작 및 적정노출을 위한 제어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질의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하기 위한 최선의 영상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산출되는 제어신호는 복수 개 카메라의 단 위시간당 촬영 프레임수를 제어하기 위한 촬영 제어신호(131,133)와, 촬영 지역의 조도에 따른 카메라 적정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노출 제어신호(111)로 분류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특징 및 장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중 제어신호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함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생성부(100)라 함은 차량의 주행 속도에 근거한 촬영 제어신호(131,133)와, 현재 촬영 중인 장소의 조도에 적합한 노출 제어신호(111)를 생성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으로서,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용도에 구현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제어신호 생성부(100)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0)는 중앙처리부(150), 노출정보 저장부(120),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180), 동기화 회로(160), 펄스 검출부(130), 조도 측정부(110) 및 출력단자(170,17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150)는 펄스 검출부(130)가 검출한 속도 정보 및 상기 조도 측정부(110)가 측정한 조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다.
제어신호 생성부(100)의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중앙처리부(150), 펄스 검출부(130),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180) 및 동기화 회로(160)는 카메라의 단위시간당 촬영 프레임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며, 상기 중앙처리부(150), 조도 측정부(110), 노출정보 저장부(120)는 촬영 지역의 조도에 따른 카메라 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170,175)는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생성 출력되는 노출 제어신호(111) 및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세부적으로는 노출제어신호 출력단자(170)와 촬영제어신호 출력단자(17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펄스 검출부(130)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소정의 구형파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주행 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부(150)로 출력해 주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른 펄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 기술로서, 구동기어 스플라인의 회전을 감지하여 차속을 산출하거나 자동차 휠의 회전축으로부터 감지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도 측정부(110)는 촬영 지역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노출계로서, 구체적으로는 태양으로부터 상기 조도 측정부(110)로 유입되는 광량 즉, 피사체가 받고 있는 광량을 측정하는 입사식 노출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촬영 시스템을 통해 제작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은 다수 개의 카메라가 각각 분할 촬영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각 영 상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완성되는 그 특성상,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반사식 노출계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각 촬영 지역에는 다양한 피사체(지형,지물)들이 위치해 있는데, 상기 피사체는 각각 다양한 밝기와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반사식 노출계는 상기와 같이 피사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반사광 및 색상에 영향을 받아 적정 노출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다수 개의 카메라가 각 지점을 이동하며 연속적으로 분할 촬영함으로써 획득되는 영상 프레임들이 동일한 조도 하에 위치하는 피사체임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밝기로 표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해당하는 영상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하면, 상기 파노라마 사진의 각 영역에 표현된 밝기의 차이로 인해 파노라마 사진의 감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하고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촬영 시스템은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도 측정부(110)를 입사식 노출계로 구성하였다. 입사식 노출계는 피사체를 향해 비쳐지는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피사체의 색상이나 반사정도 등 피사체의 상황에 관계없이 일정한 노출값을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조도 하에 위치하는 피사체라면 그 반사광이나 색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노출의 영상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획득해 나갈 수 있게 되고, 해당 영상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완성한 파노라마 사진 역시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의 자연스러운 영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도 측정부(110)는 기본적으로 촬영 지역에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를 통하여 감지된 광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와 상기 ADC 로부터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를 중앙처리부(150)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광부는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 센서와, 상기 광 센서를 내부 빈 공간에 수용하며 뒤덮고 있는 반원 형태의 플라스틱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광 센서의 측정오차를 줄이고 정확한 노출값을 산출하기 위하여는, 수광부로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수광부로 유입되는 빛은 광 센서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반원 형태의 플라스틱 커버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플라스틱 커버는 광에 포함된 색상, 자외선 및 적외선과 같이 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플라스틱 커버는 광 센서의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자외선/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센서는 광전소자를 이용하여 빛의 세기를 전류의 흐름으로 바꾸고, 이 전류흐름에 변화가 발생하면 전압의 변화로 나타나게 되어 입사되는 광량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광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적정 노출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광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조도 측정부(110)에 구비된 출력단자를 통해 중앙처리부(150)로 입력된다. 촬영 지역의 조도 정보를 담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은 중앙처리부(150)는 노출정보 저장부(120)를 참조하여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노출 제어신호(111)를 생성한 후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조도 측정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조도 정보와 노출정보 저장부(120)를 통해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노출정보 저장부(120)는 조도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다양한 범위의 노광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노광치에 매칭되는 카메라 적정노출 제어정보를 테이블 형태(이하, 카메라제어 테이블)로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제어 테이블은 각 노광치에 따라 카메라의 셔터속도, 조리개 개방직경 및 이미지센서 감도(ISO)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담겨있다.
따라서, 중앙처리부(150)는 조도 측정부(110)로부터 특정 노광치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노출정보 저장부(120)를 검색하여 상기 노광치에 할당되어 있는 카메라 노출정보 즉, 카메라의 셔터속도, 조리개 개방직경 및 이미지센서 감도(ISO)를 추출한 후, 이에 해당하는 노출 제어신호(111)를 생성하여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출력하게 된다.
예컨데, 현재 촬영 중인 지역에서 조도 측정부(110)가 측정한 광량 즉, 노광치(EV)는 "8" 이고, 노출정보 저장부(120)에는 노광치 "8" 에 대하여 "셔터속도 1/80, 조리개값 5.0, ISO 감도 400" 의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조도 측정부(110)로부터 노광치 "8" 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은 중앙처리부(150)는 주어진 광량에 대한 카메라 적정노출을 구현하기 위하여 노출정보 저장부(120)를 검색하게 된다.
노출정보 저장부(120)의 검색 과정을 통해 노광치 "8" 에 할당되어 있는 "셔터속도 1/80, 조리개값 5.0, ISO 감도 400" 이라는 카메라 제어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노출 제어신호(111)를 발생시킨다.
상기 중앙처리부(150)의 비교 연산 처리을 통해 생성된 노출 제어신호(111)는 제어신호 생성부(100)의 일측에 구비된 노출제어신호 출력단자(170)를 통하여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 수행부(200)는 일측에 구비된 노출제어신호 입력단자(230)를 통하여 상기 노출 제어신호(111)를 입력받아 카메라의 셔터속도, 조리개의 개방직경 및 ISO 감도를 상기 노출 제어신호(111)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정보는 단지 촬영 지역의 조도 정보만을 조건으로 하여 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측정된 노광치라는 단일 조건이 입력되면 해당 조건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카메라 제어 정보(셔터속도, 조리개값, IOS 감도)를 검색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도 정보라는 조건 이외에 펄스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되는 속도 정보 역시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설정하기 위한 또 하나의 조건으로 사용하여 카메라 노출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도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적정 노출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측정된 조도에 대한 카메라 적정노출은 "셔터속도, 조리개값 및 IOS 감도" 을 이용한 무수히 많은 조합으로 동일한 밝기의 사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컨데, 두 장의 사진이 동일한 밝기의 사진이라 하더라도 한 장은 셔터속도를 빠르게 하고 부족하게 되는 빛의 양만큼 조리개를 넓혀주거나 감도를 올려줌으로써 만들어 지고, 다른 한장은 셔터속도를 느리게 하고 빛이 충분히 확보된 만큼 조리개의 개방직경을 좁혀주거나 감도를 낮추는 조합을 통해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지리 정보 제공을 위한 파노라마 사진에 표현되는 물체(지형,지물 등)는 지리 정보의 시각적 제공이라는 특성상 선명한 정적 상태로 표시되어야 하고, 이 경우 카메라 노출 제어 요소 중 셔터속도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촬영 과정을 살펴보면,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복수 개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각 지역을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분할 촬영을 실시하며 영상 프레임을 획득해 나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 중인 차량에 탑재된 채 촬영을 실시하는 바, 피사체는 상대적으로 동적인 물체로 인식되고, 특히 차량이 고속 주행일 경우 동적 피사체의 움직임을 끊어서 정지 상태처럼 촬영하기 위하여는 매우 빠른 속도의 셔터 스피드가 요구된다.
또한, 차량은 도로의 교통 상황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주행을 하게 되고, 이 에 따라 상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에 맺히는 피사체 역시 고속에서 저속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속도 범위로 움직이는 동적 대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해당 속도에서 정지 상태의 영상 프렘임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차량 속도 변화에 따른 셔터 스피드의 조절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바, 본 발명에 따른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은 조도 측정부(110)로부터 감지된 조도에 따른 적정노출의 구현을 위해 카메라의 셔터속도, 조리개값 및 IOS 감도를 제어하되, 해당 속도에서 정지상태의 영상 프레임을 연출할 수 있는 셔터속도를 우선적으로 검색한 후, 검색된 셔터속도 하에서 적정노출을 구현하기 위한 나머지 노출 제어 요소 즉, 조리개값 및 IOS 감도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조도정보와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적정노출과 선명한 정지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출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조도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노광치 및 상기 펄스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되는 주행 속도 두 가지를 기준으로 하여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데이터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노출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은, 동일한 노광치라 하더라도 주행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셔터속도 정보가 우선적으로 설정되어 있고, 다음으로 특정 노광치와 셔터속도 하에서 적정노출을 구현하기 위한 조리개값 및 IOS 감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부(150)는 펄스 검출부(130)로부터 특정 속도 정보를, 조도 측정부(110)로부터 특정 조도 정보(즉, 노광치)를 입력받으면, 노출정보 저장부(120)를 검색하여 상기 속도에서 정지 상태의 영상 프레임을 얻기 위한 셔터속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셔터속도와 상기 노광치 하에서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구현하기 위한 조리개 개방직경 및 이미지센서 감도(ISO)를 추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노출 제어신호(111)를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전송하게 된다.
예컨데, 현재 촬영 중인 지역에서 조도 측정부(110)가 감지한 노광치(EV)는 "8" 이고, 현재 촬영 이동 중인 차량의 속도가 "30m/s" 라면, 상기 조도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입력받게 되는 중앙처리부(150)는 다음과 같은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특정 노출 제어신호(111)를 생성 출력하게 된다.
또한, 노출정보 저장부(120)에는 차량 속도 "30m/s"에 대해 최선의 정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셔터속도는 "1/80"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셔터속도 "1/80"과 노광치 "8" 하에서 카메라 적정노출을 구현하기 위한 조리개값과 ISO 감도는 각각 "5.0", "400" 의 데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상기와 같은 경우, 속도 정보 "30m/s" 과 조도 정보 "8" 을 입력받은 중앙처리부(150)는 상기 노출정보 저장부(120)를 검색하는 연산 처리를 통해, 셔터속도 "1/80"을 먼저 산출하고 다음으로, 노광치 "8" 과 셔터속도 "1/80" 하에서 적정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개값 "5.0" 및 ISO 감도 "400" 의 노출 제어신호(111)를 생성 출력함으로써 복수 개 카메라를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다양한 조도와 주행 속도 하에서도 선명한 정지영상 프레임의 획득은 물론 카메라의 적정노출 제어까지 모두 자동으로 손쉽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펄스 검출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속도 정보를 통해 카메라의 단위시간당 촬영 프레임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펄스 검출부(130)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중앙처리부(150)로 입력되어 차량의 실질적인 주행 속도가 산출되며,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50)는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180)와 연결되어 있다.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180)라 함은 다음과 같다.
파노라마는 보통 몇 장으로 분할 촬영한 사진을 이어 붙여 완성되는데 연속적이고 끊김이 없이 작업자가 원하는 파노라마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단위거리마다 빼놓지 않고 연속적으로 대상물을 촬영해야 한다. 상기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180)는 1 프레임이 촬영되는 단위거리를 작업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외부 입력키에 해당한다.
즉,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180)는 1프레임/10M, 1프레임/20M, 1프레임/30M 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작업자가 희망하는 단위거리를 선택하면 해당 신호는 중앙 연자자로 입력된다.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발생하기 위한 중앙처리부(150)의 기능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속적이고 끊김없는 파노라마의 제작을 위하여는 차량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일정 간격마다 정확히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얻어내야 한다. 예를 들어, 10m 간격의 연속 프레임을 놓치지 않고 획득해야 하는 경우라면, 차량의 속도가 20m/s 인 경우 초당 2 프레임 즉, 0.5초당 1 프레임으로 대상을 촬영해야 10m 마다 1 프레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어 끊김이 없는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이 가능해 진다.
상기 중앙처리부(150)는, 상기 펄스 검출부(130)를 통해 획득한 차량의 주행속도와 상기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180)를 통해 입력된 단위거리에 근거한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주기적으로 출력해냄으로써, 작업자가 선택한 단위거리당 프레임을 놓치지 않고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된 단위거리와 입력된 주행속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되야 할 촬영 제어신호(131,133)에 관한 데이터 정보는 중앙처리부(150)에 단위거리 별로 2비트(bit)로 저장하고, 각각의 조건(입력된 단위거리, 차량속도)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처리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 제어신호 데이터 정보를 통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가 선택한 단위거리당 프레임을 얻기 위한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중앙처리부(150)의 연산 과정을 거쳐 출력되는 촬영 제어신호(131,133)는 카메라에 내장된 전자 장치에 의하여 대상물의 초점을 감광면에 자동적으로 합치시키도록 하는 자동초점 신호(131)와 카메라의 셔터(Shutter)를 제어하여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캡쳐(Capture) 신호(133)로 구성된다.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된 두 개의 제어신호(자동초점 신호, 캡쳐 신호) 는 각각 독립된 신호로서, 상기 두 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정확한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출력되는 신호 상호 간의 딜레이를 제거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앙처리부(150)의 출력단 전방에는 상기 자동초점 신호(131)와 캡쳐 신호(133)를 제어함으로써 두 가지 신호가 상기 카메라에 동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기화 회로(160)가 구비된다.
동기화된 자동초점 신호(131)와 캡쳐 신호(133)는 동기화 회로(160)의 출력부 측에 구비된 촬영제어 신호 출력단자를 통하여 제어신호 수행부(200)로 전송된다.
또한, 펄스 검출부(130)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일반적으로 12V 의 자동차 전원에 의하여 출력되고 따라서 상기 펄스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150)로 입력하기 위하여는 5V 정도의 전압으로 낮추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과정은 펄스 검출부(13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을 레벨 시프터(Level Shifer;14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시프터(140)를 거쳐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중앙처리부(150)로 입력되어 차량의 실질적인 주행 속도가 산출된다.
또한, 중앙처리부(150)는 외부 전원(19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전원(190)으로는 자동차 전원을 사용하면 무난하다. 자동차 전원은 일반적으로 12V 의 전원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중앙처리부(150)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압의 레벨을 낮춰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 전 압은 중앙처리부(150)와 자동차 전원 사이에 연결된 레벨 시프터(195)를 거쳐 중앙처리부(15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수행부(200)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입력되는 노출 제어신호(111) 및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통해 카메라의 노출설정과 촬영조작이 이루어지는 제어신호 수행부(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수행부(200)는 일측에 구비된 입력단자(230,240)를 통하여 입력받은 노출 제어신호(111)와 촬영 제어신호(131,133)에 따라 카메라의 적정 노출을 설정하고, 실질적인 촬영 조작을 발생시키는 시스템 구성을 지칭한다.
상기 제어신호 수행부(200)는 다수 개의 카메라(261,262,263), 노출제어신호 분배회로(210) 및 촬영제어신호 분배회로(220) 및 입력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단자는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생성 출력되는 노출 제어신호(111) 및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각각 수신을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세부적으로는 노출제어신호 입력단자(230)와 촬영제어신호 입력단자(240)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단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카메라(261,262,263)는 노출 제어신호(111) 및 촬영 제어신호(131,133)에 따른 노출 설정 및 촬영 조작을 자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자 지도를 위한 파노라마 제작을 위하여는 촬영 지역의 360°전방위 영상 프레임을 획득해야 하기 때문에,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4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동서남북의 4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통해 다수 개의 카메라가 일괄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고, 노출 제어신호(111)를 통해 적정노출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촬영 제어신호(131,133)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 작동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촬영 시스템은 차량 등과 같은 이동 수단에 복수 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각 지역의 영상 프레임을 자동으로 획득해 나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바, 단일의 카메라가 아닌 복수 개의 카메라에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전송하며 단위거리마다 360°전방위로 대상물을 놓치지 않고 영상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하여는,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된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시간차 없이 동시에 복수 개 카메라로 각각 전송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신호 수행부(200)는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촬영 제어신호(131,133)는 먼저 촬영제어신호 분배회로(220)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촬영제어신호 분배회로(220)는 입력되는 촬영 제어신호(131,133)를 차량 등에 설치된 카메라의 개수 만큼 분배하고 분배된 신호들을 동기화시켜 출력함으로써, 복수 개의 촬영 제어신호(131,133)가 상호 간에 시간차 없이 동시에 복수 개의 카메라로 각각 입력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노출 제어신호(111)에 의한 카메라의 노출 설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촬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제어신호 수행부(200)의 구성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자연스러운 밝기를 나타내는 파노라마 사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차량에 설치된 다수 개 카메라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한 사진을 연결함으로써 완성되는 파노라마 사진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감도를 지니며 자연스러운 상태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수 개 카메라(261,262,263)가 일괄적으로 동일한 노출값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제어신호 수행부(200)는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인가된 노출 제어신호(111)에 따라 모든 카메라가 일괄적으로 동일한 노출값을 갖도록 설정해 줌으로써, 분할 촬영되는 모든 영상 프레임이 균일한 감도를 지닐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카메라의 적정노출 제어를 위한 본 발명의 자동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261,262,263)가 각각 개별적으로 적정 노출을 설정하며 분할 촬영을 실시할 경우 발생하는 파노라마 사진의 감도 불균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신호 생성부(100)가 현재 촬영 중인 장소에 대한 적정 노출 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산출된 노출 제어신호(111)에 따라 모든 카메라가 일괄적으로 동일한 노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신호 수행부(200)는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산출된 노출 제어신호(111)에 따라 모든 카메라가 일괄 적으로 동일한 적정 노출로 설정될 수 있도록 노출제어신호 분배회로(21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노출 제어신호(111)는 먼저 노출제어신호 분배회로(210)로 입력되며, 상기 노출제어신호 분배회로(210)는 입력되는 노출 제어신호(111)를 차량 등에 설치된 카메라의 개수 만큼 분배하고 분배된 신호들을 동기화시켜 각각의 카메라에 전송하게 된다.
동일한 적정노출 정보를 담고 있는 제어신호가 일괄적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로 각각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카메라는 모두 동일한 적정노출 상태로 설정되고, 작업자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통해 분할 촬영을 실시하더라도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프레임은 동일한 감도를 지니게 되어 자연스러운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리 정보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자동 촬영 시스템은 수동 촬영 스위치(250)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어신호 생성부(100)로부터 발생된 촬영 제어신호(131,133)에 의한 자동 촬영 외에, 작업자가 원하는 상황에는 임의적인 수동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동 촬영 스위치(250)의 조작을 통하여 발생된 촬영 제어신호(131,133)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자동 초점 신호(131)와 캡쳐 신호(1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신호는 촬영제어신호 분배회로(220)를 거쳐 동시에 복수 개의 카메라로 입력되어 카메라의 촬영 조작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리 정보 파노라마 제작을 위 한 자동 촬영 시스템은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속도에 비례한 프레임 수로 자동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파노라마 사진을 완성하기 위한 사진을 빠짐없이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자동 촬영 과정에서 매 촬영 순간마다 적정노출을 일괄적으로 제어해줌으로써 일정 간격마다 획득하는 영상의 촬영 노출 값이 정확하게 되어 균일한 밝기로 자연스럽게 연출된 파노마라 사진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데,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어 시스템은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해주는 노출제어신호 분배회로(210)와 촬영제어신호 분배회로(220)를 각각 별도 구성하였으나, 이들(210,220)을 하나의 신호 분배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신호 분배회로는 입력되는 신호를 촬영 제어신호와 노출 제어신호로 구분하여 다수 개의 카메라로 일괄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중 제어신호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수행부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촬영을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어신호 생성부 110 : 조도 측정부
120 : 노출정보 저장부 130 : 펄스 검출부
140, 195 : 레벨 시프터 150 : 중앙처리부
160 : 동기화 회로 170 : 노출제어신호 출력단자
175 : 촬영제어신호 출력단자 180 :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
200 : 제어신호 수행부 210 : 노출제어신호 분배회로
220 : 촬영제어신호 분배회로 261,262,263 : 카메라
250 : 수동 촬영 스위치

Claims (7)

  1.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으로서,
    차량을 포함한 이동수단의 속도에 근거한 촬영 제어신호와, 촬영 지역의 조도에 근거한 노출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촬영 제어신호와 노출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 개 카메라의 촬영 조작과 노출 설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신호 수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촬영 지역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조도 측정부;
    상기 조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노광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노광치에 매칭되는 카메라 적정노출 제어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노출정보 저장부;
    상기 이동수단의 주행 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소정의 구형파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주행 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펄스 검출부;
    한 개의 프레임이 촬영되는 단위거리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조도 측정부로 입력되는 노광치에 근거하여 상기 노출정보 저장부를 검색하는 연산을 통해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노출 제어신호를 출력하 고, 상기 펄스 검출부를 통하여 입력된 펄스 신호와 상기 단위거리 선택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단위거리에 근거한 연산을 통해 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수행부는,
    차량을 포함한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목적 지역마다 분할 촬영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촬영 제어신호를 분배하고 분배된 신호들을 동기화시켜 출력함으로써, 복수 개의 촬영 제어신호가 상호 간에 시간차 없이 동시에 복수 개의 카메라로 각각 입력되도록 하는 촬영제어신호 분배회로;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노출 제어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복수 개 카메라로 일괄적으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카메라가 동일한 노출 상태로 설정되도록 하는 노출제어신호 분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측정부는 입사식 노출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적정노출 제어정보는 각 노광치에 따른 카메라의 셔터속도, 조리개 개방직경 및 이미지센서 감도(IS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정보 저장부는,
    상기 펄스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속도에서 피사체를 정지 상태처럼 촬영하기 위한 셔터속도 제어정보; 및
    상기 조도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노광치에서 카메라 적정노출을 제어하기 위한 노출 제어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펄스 검출부로부터 특정 속도 정보를, 조도 측정부로부터 특정 노광치를 입력받으면, 상기 노출정보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속도에서 정지 상태의 영상 프레임을 얻기 위한 셔터속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셔터속도와 상기 노광치 하에서 카메라의 적정노출을 구현하기 위한 조리개 개방직경을 포함한 카메라 적정노출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노출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촬영 제어신호는 자동초점 신호 및 캡쳐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단 전방에는 상기 자동초점 신호와 캡쳐 신호를 동기화시켜 상기 자동초점 신호와 캡쳐 신호가 카메라에 동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기화 회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펄스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전압을 낮춰주기 위한 레벨 시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산출되는 노출 제어신호와 촬영 제어신호를 상 기 제어신호 수행부로 각각 출력하기 위한 노출제어신호 출력단자; 및 촬영제어신호 출력단자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신호 수행부의 일측에는
    상기 노출 제어신호와 촬영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노출제어신호 입력단자; 및 촬영제어신호 입력단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090029423A 2009-04-06 2009-04-06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KR10103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23A KR101030066B1 (ko) 2009-04-06 2009-04-06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23A KR101030066B1 (ko) 2009-04-06 2009-04-06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053A KR20100111053A (ko) 2010-10-14
KR101030066B1 true KR101030066B1 (ko) 2011-04-19

Family

ID=4313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423A KR101030066B1 (ko) 2009-04-06 2009-04-06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737A (ko) * 2012-10-23 2014-05-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카메라 영상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WO2022211534A1 (ko) * 2021-03-31 2022-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조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70B1 (ko) * 2011-12-02 2018-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밝기조절 카메라 모듈
KR101296601B1 (ko) * 2012-03-23 2013-08-1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16148B1 (ko) * 2012-05-30 2013-10-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630681B1 (ko) * 2016-10-1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캡처 이미지 생성 방법
KR102519662B1 (ko) * 2017-07-31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획득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CN113844390B (zh) * 2021-09-30 2023-09-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360全景影像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102448795B1 (ko) * 2021-11-09 2022-09-29 주식회사 우진기전 지능형 영상처리 및 데이터 관리장치를 이용한 열차 유지보수 예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505A (ja) * 1993-10-13 1995-04-25 Canon Inc 複眼撮像装置
KR20090099938A (ko) * 2008-03-19 2009-09-23 배영주 지리 정보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자동 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505A (ja) * 1993-10-13 1995-04-25 Canon Inc 複眼撮像装置
KR20090099938A (ko) * 2008-03-19 2009-09-23 배영주 지리 정보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자동 촬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737A (ko) * 2012-10-23 2014-05-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카메라 영상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896890B1 (ko) * 2012-10-23 2018-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카메라 영상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WO2022211534A1 (ko) * 2021-03-31 2022-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조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053A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066B1 (ko)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복수 개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CN107087107B (zh) 基于双摄像头的图像处理装置及方法
CN101637019B (zh) 提供范围映射的多镜头照相机
EP32483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technology depth map acquisition and fusion
CN103595979B (zh) 图像处理设备、图像拍摄设备及图像处理方法
US7536095B2 (en) Autofocus device and method
US8339477B2 (en) Digital camera capable of detecting name of captured landmark and method thereof
JP4178009B2 (ja) 撮影システム
JP2010521005A (ja) 改善された焦点調節機能を備えたマルチレンズカメラ
US20130155293A1 (en)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providing composition of image pickup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0523015A (ja) 多様なモードにおいて操作可能なマルチレンズカメラ
CN102754426A (zh) 通过亮度和运动选择拍摄条件
US20170163918A1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CN103384309A (zh) 图像拍摄装置及控制方法
CN104284074A (zh) 成像方法和成像设备
CN106254754A (zh) 拍摄装置、图像处理装置、拍摄装置的控制方法
JP2006279546A (ja) 電子カメラ、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20150134960A (ko) 촬영 구도 추천 방법, 및 장치
US9215340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296601B1 (ko) 지리 정보 파노라마 사진의 제작을 위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0636202B (zh) 全景相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3259974B (zh) 进行特写拍摄的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926274B1 (ko) 지리 정보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자동 촬영 시스템
JP200904262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CN104735353A (zh) 一种拍摄全景照片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