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448B1 -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448B1
KR101029448B1 KR1020090070551A KR20090070551A KR101029448B1 KR 101029448 B1 KR101029448 B1 KR 101029448B1 KR 1020090070551 A KR1020090070551 A KR 1020090070551A KR 20090070551 A KR20090070551 A KR 20090070551A KR 101029448 B1 KR101029448 B1 KR 10102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hip navigation
visibility
information
vis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715A (ko
Inventor
구자원
박한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102009007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4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65G63/04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 B65G63/045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 또는 컨테이너 베이(container bay)의 번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container end point)를 계산하는 엔드 포인트 계산부와,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정보를 계산하는 가시 정보 계산부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위치 정보,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 가시 정보

Description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visibility information of Ship Navig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항해의 가시 거리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예를 들어, CADRA)을 이용하여, 가시 정보의 계산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긋고, 베이(BAY) 또는 티얼(TIER)를 찾는다. 이후, 프로그램(예를 들어, EXCEL)을 이용하여, 트림(trim), 흘수(draft)를 입력하고, 가항범위에 속하는 탑 포인트(top point)를 입력하면, 선박 항해 가시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여러 탑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입력함에 따라, 번거롭고, 입력 시 잦은 실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선박 항해 가시 정보와 가시 기준 거리의 관계를 자동으로 판단하지 못하여, 이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시, CADRA 및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므로, 통합된 하나의 프로그램이 아닌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이 불가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 및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를 입력 받으면,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자동으로 계산함에 따라,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기설정된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구별 인자 표시를 표기함에 따라, 선박 항해 가시 거리와 가시 기준 거리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합된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함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 또는 컨테이너 베이(container bay)의 번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 트(container end point)를 계산하는 엔드 포인트 계산부와, 상기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정보를 계산하는 가시 정보 계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방법은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와, 컨테이너 베이(container bay)의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container end point)를 계산하고, 상기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 및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를 입력 받으면,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자동으로 계산함에 따라,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음으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고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기설정된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구별 인자 표시를 표기함에 따라, 선박 항해 가시 거리와 가시 기준 거 리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합된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함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101)는 입력부(103),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05), 데이터 계산부(105)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입력부(103)는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 또는 컨테이너 베이(container bay)의 번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는 가시 기준 거리, 코닝 위치(conning position), 워터 브레이크 위치(water break position), 트림 범위(trim range), 흘수선 범위(draught range) 또는 흘수선(draf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시 기준 거리는 예를 들어, 선박 길이의 2배 또는 500m일 수 있다.
컨테이너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05)는 베이(BAY), 로우(ROW), 및 티 얼(TIER) 별로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 위치 정보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의 x좌표(XMAX) 및 z좌표(ZMAX)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계산부(107)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엔드 포인트 계산부(109) 및 가시 정보 계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포인트 계산부(109)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container end point)를 계산한다. 여기서, 로딩된 컨테이너 위치 정보는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가시 라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가시 라인은 코닝 위치와 워터 브레이크 위치를 직선으로 연결한 선일 수 있다.
또한, 엔드 포인트 계산부(109)는 입력 데이터 및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엔드 포인트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음으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고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가시 정보 계산부(111)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정보를 계산한다. 여기서, 선박 항해 가시 정보는 가시 라인 상부의 컨테이너 엔트 포인트 각각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 거리 또는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기설정된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 구별 인자 표시를 포함한다. 이때, 선박 항해 가시 거리는 컨테이너 엔트 포인트와 코닝 위치를 연결하고, 연결된 선을 연장하여 흘수와 만나는 지점부터 선박의 선수끝단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구별 인자 표시는 예를 들어, “*”일 수 있고,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기설정된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선박 항해 가시 거리 옆에 위치하여 표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13)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부(113)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플롯(plot)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으로, 사용자가 엔드 포인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113)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확인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방법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4내지 도 9는 단계별 수행 및 해당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먼저,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가시 라 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201).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301)를 통하여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3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내의 데이터 트리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표시부(303), 계산 결과를 텍스트(text), 테이블(table) 또는 그래픽(graphic)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표시부(305) 및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의 입력부(401)를 통하여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는 가시 기준 거리, 코닝 위치(conning position), 워터 브레이크 위치(water break position), 트림 범위(trim range), 흘수선 범위(draught range) 또는 흘수선(draf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시 기준 거리는 예를 들어, 선박 길이의 2배 또는 500m 중 작은 값일 수 있고, 흘수선은 예를 들어, 13.5m일 수 있으며, 가시 기준 거리 및 흘수선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코닝 위치는 코닝 위치의 x좌표(x-coordinate) 및 z좌표(z-coordinate)를 포함할 수 있고, 워터 브레이크 위치도 워터 브레이크 위치의 x좌표(x-coordinate) 및 z좌표(z-coordinate)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림 범위의 데이터는 최소값(min), 최대값(max), 계산 단위(setp)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트림 범위의 데이터가 -4.0, -1, 0, 1인 경우, 트림(TRIM)이 -4.0m 부터 -1.0까지 1m 단위 즉, -4.0m, -3.0m, -2.0m, -1.0m의 단위로 선박 항해 가시 정보를 계산하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흘수선 범위의 데이터 또한, 최소값(min), 최대값(max), 계산 단위(setp)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림 범위(trim range) 및 흘수선 범위(draught range)는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 중 트림 범위(trim range), 흘수선 범위(draught range), 코닝 위치(conning position) 및 워터 브레이크 위치(water break position)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되, 가시 기준 거리, 흘수선(draft)는 자동으로 설정하여 데이터의 입력을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로딩한다(203).
여기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로딩된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표시부(501)에 테이블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딩된 컨테이너 위치 정보는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가시 라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이어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에 대응 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container end point)를 계산한다(205).
구체적으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의 입력부(601)를 통하여 기설정된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 중 선택된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는 40ft 컨테이너 기준인 경우, 예를 들어, 1부터 4 간격으로 설정되어1, 5, 9, 13, 17, …일 수 있으나, 40ft 컨테이너 및 20ft 컨테이너 기준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1, 5, 9, 13, 17, 21, 23, 25, 29, 33, 37, 39, 41, 45일 수 있다. 여기서, 1, 5, 9, 13, 17, 21, 25, 29, 33, 37, 41, 45는 40ft 컨테이너 기준에 의한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이고, 23, 39는 20ft 컨테이너 기준에 의한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이다.
이후,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수신된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계산하고,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의 리스트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표시부(701)에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의 리스트를 플롯(plot)화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표시부(801)에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코닝 위치와 워터 브레이크 위치를 직선으로 연결한 가시 라 인(803)의 상부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805)들을 플롯(plot)화할 수 있다.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의 리스트를 플롯(plot)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으로, 사용자가 엔드 포인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 정보를 계산한다(207).
구체적으로,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확인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 정보를 계산한다.
이후,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계산한 선박 항해 가시 정보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표시부(901)에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 항해 가시 정보는 베이(bay) 또는 티어(tier) 별로 계산한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거리 또는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기설정된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 구별 인자 표시를 포함한다. 이때, 구별 인자 표시는 예를 들어, “*”일 수 있고,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기설정된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선박 항해 가시 거리 옆에 위치하여 표기될 수 있다.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구별 인자 표시를 표기함에 따라, 사용자는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 할 수 있다.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는 통합된 하나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NAPA)을 이용하여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함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단계별 수행 및 해당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5)

  1.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 또는 컨테이너 베이(container bay)의 번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컨테이너(container)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컨테이너 베이의 번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container end point)를 계산하는 엔드 포인트 계산부; 및
    상기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정보를 계산하는 가시 정보 계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라인(visibility line)을 결정하는 입력 데이터는 가시 기준 거리, 코닝 위치(conning position), 워터 브레이크 위치(water break position), 트림 범위(trim range), 흘수선 범위(draught range) 또는 흘수선(draf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정보는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거 리 또는 상기 선박 항해 가시 거리가 기설정된 상기 가시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 구별 인자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컨테이너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가시 라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확인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컨테이너 엔드 포인트에 대한 선박 항해 가시(visibility)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KR1020090070551A 2009-07-31 2009-07-31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2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551A KR101029448B1 (ko) 2009-07-31 2009-07-31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551A KR101029448B1 (ko) 2009-07-31 2009-07-31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715A KR20110012715A (ko) 2011-02-09
KR101029448B1 true KR101029448B1 (ko) 2011-04-14

Family

ID=4377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551A KR101029448B1 (ko) 2009-07-31 2009-07-31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4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21B1 (ko) 2003-12-31 200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21B1 (ko) 2003-12-31 200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715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9285B2 (ja) 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KR101647743B1 (ko) 시계열 그래픽 표시를 이용한 선박 충돌회피 안내시스템
US9079100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208697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10599332B2 (en) Cursor control for aircraft display device
US10955258B2 (en) Route selection for navigation devices and applications
CN103605524A (zh) 一种在移动终端分屏运行程序的方法及装置
CN105930038A (zh) 一种停靠栏图标的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20060129A1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in
CN103350977B (zh) 一种存取货时自动提升货叉至正确存取货高度的方法及装置
BR112014024514B1 (pt) Dispositivo de display
US20180274929A1 (en) Moving bod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029448B1 (ko) 선박 항해의 가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02632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election of advanced approach procedures
JP6057937B2 (ja) ゲームオブジェクト制御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オブジェクト制御方法
US20140365931A1 (en) Mouse curs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15012674A (ja) 充電装置
US20150338228A1 (en) Route planning method and route planning system
JP2011095917A (ja) プロジェクト進捗管理装置
US10139235B2 (en) Data processing de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assisting formulation of bunkering plan of ship
JP3370225B2 (ja) 情報処理装置
US10258891B2 (en)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0271683A (zh) 飞行控制系统
JP6654040B2 (ja) 作業指示システム
CN111832773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