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892B1 -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892B1
KR101028892B1 KR1020100123038A KR20100123038A KR101028892B1 KR 101028892 B1 KR101028892 B1 KR 101028892B1 KR 1020100123038 A KR1020100123038 A KR 1020100123038A KR 20100123038 A KR20100123038 A KR 20100123038A KR 101028892 B1 KR101028892 B1 KR 10102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able
underground
span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곤
Original Assignee
서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곤 filed Critical 서영곤
Priority to KR102010012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3개의 케이블이 1조를 이루는 1회선 케이블이 지중에 매설된 경간 내부의 여러 개의 케이블경관에 각각 포설됨에 있어서, 한번의 풀링작업을 통해 1회선 케이블이 다회선으로 동시에 풀링되어 포설됨으로써 지중경간의 케이블 포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드럼이 적재되는 선출장치에 의해 3개의 케이블이 1회선으로 구성되는 다회선을 동시에 선출하고 이들을 다회선 풀링하여 지중 케이블에 포설함으로써, 지중 관로에 설치된 여러 개의 경관 내부에 각각 3개의 케이블이 1조로 이루어지는 다회선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 능률성 향상과 함께 공사시간의 단축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풀링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더 구성하여 케이블의 풀링장력에 따라 풀링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단축 및 감소와 선로고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케이블드럼(11)이 적재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를 지중에 시공된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1맨홀(102)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1)와; 상기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2맨홀(103)에 다회선 풀링장치(20)를 설치하는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와; 상기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1)에 의해 설치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로부터 다회선 케이블(C)을 선출하여 상기 제1지중경간(101)에 인입하는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3)와;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1)에 의해 선출된 다회선 케이블(C)을 상기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로 풀링하는 다회선 케이블 풀링단계(S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underground power cable construction method of multi-circuit and multi-span}
본 발명은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케이블을 포설하여 시공함에 있어, 지중관로 2경간 이상에 케이블을 4회선 이상으로 동시에 포설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공사비용의 절감 효과 및 작업효율성의 증대와 함께 시공에 대한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시공된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관로의 경간(맨홀과 맨홀 사이에 위치되는 관로)을 연결하는 맨홀과 맨홀 간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으로, 하나의 맨홀로부터 인입되는 케이블이 지중에 시공된 경간을 통해 다른 장소에 위치되는 맨홀을 통해 인출되도록 하여 지중케이블을 시공하고 있다.
즉, 관로(1경간) 양단의 맨홀에 윈치와 케이블드럼을 각각 장치하고 1개의 관로에 단심케이블 3조(1회선)를 동시에 당겨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단심케이블 3조로 구성되는 1회선을 당겨 시공한 다음, 다시 단심케이블 3조로 구성되는 1회선을 당겨 시공하는 방법으로 다회선을 시공하게 되는 바, 지중케이블이 시공되는 맨홀이 주로 차도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 시공이 맨홀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지중케이블 시공작업시에 차선을 점용하여야 함으로써 교통통제에 의한 민원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주로 차량 통행량이 적은 심야에 작업하도록 작업시간대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어두운 환경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심야에 작업할 경우, 작업자의 능률 저하는 물론 시공품질에 대한 우려성이 나타나고, 공량 및 임금할증에 의해 공사비가 2배 가까이 증액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종래 케이블 선출장치에 구성되는 드럼이 3개로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한 번의 케이블 선출작업시에 3조로 이루어지는 1회선의 케이블만을 선출할 수 있어 부득이하게 3개의 드럼에 의해 선출되는 3조의 1회선 케이블을 선출하여 지중에 포설할 수 밖에 없어, 여러 개의 다회선이 포설되는 관로의 내부에 다회선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선출작업을 거치어 다회선을 포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지중에 설치되는 관로의 내부에는 3조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1회선이 포설되는 지중관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고, 이 여러 개의 지중관에 각각 3조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1회선을 각각 포설하여야 하는 바, 종래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경우, 하나의 지중관에 3조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1회선을 포설한 후, 다시 다른 지중관에 똑같이 3조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1회선을 포설하고 이러한 작업과정을 거쳐 여러 개의 지중관에 모두 케이블을 포설하여야 함으로써,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작업자의 능률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종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경우, 케이블을 풀링함에 있어서의 풀링장력이 풀링되는 케이블의 거리에 대비하여 각각 달라지는 바, 종래의 경우 케이블의 풀링장력을 무시한 상태로 동일 속도로 케이블을 풀링함으로써 케이블의 선로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관로 100m구간에 CNCV325㎟ 1회선을 포설할 경우 실제 포설 장력이 1,500㎏이라면 이는 CNCV325㎟ 최대허용장력(4,550㎏)의 30%에 해당되지만, 이때 발생되는 포설장력 1,500㎏은 관로내 직선구간에서의 케이블 풀링장력 600㎏ 이외에 관로내 굴곡진 부분의 어느 지점에서 케이블에 측압이 약 900㎏ 가해져 발생한 비정상적인 풀링장력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풀링속도를 감속해야 하지만, 종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에서는 이러한 것을 무시한 채 정해진 속도로 풀링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단축과 함께 감소와 선로고장의 원인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981710호인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자동화 공법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3개의 케이블드럼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는 제1, 제2, 제3 드럼적재부와, 상기 제1, 제2, 제3 드럼적재부가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전동(傳動)수단과, 상기 제1, 제2, 제3 드럼적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마찰력으로 연결된 드럼적재부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 및 상기 제1, 제2, 제3 드럼적재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에 권취된 3개의 배전케이블의 선단을 뿔형상의 유도구에 연결하고, 맨홀입구에 입구부가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수직구 내부로 주름관이 연장형성되어 있는 유도관을 설치하며, 전력구 내부의 행거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지중전력구에 윈치를 설치하며, 상기 윈치와 상기 유도구를 안내와이어로 연결하는 준비작업 단계와,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 상기 배전케이블이 연결된 뿔형상의 유도구를 상기 유도관으로 진입시키되, 상기 풀링장치의 감속수단을 동작하여 배전케이블의 이동속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며 상기 유도구를 수직구의 바닥까지 이송시키는 수직 풀링 단계 및 상기 윈치를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유도구가 행거에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통과하며 배전케이블을 행거 위로 이송시키는 수평 풀링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도, 드럼 적재부에 적재되는 드럼이 제1,2,3 드럼 적재부에 의해 3개의 드럼만이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의 풀링작업시에 3개의 케이블만이 풀링될 수 있어, 3개의 케이블이 1회선으로 구성되어 지중케이블이 시공될 수 밖에 없음으로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이 지닌 문제점은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3개 이상의 드럼이 적재되는 선출장치에 의해 3개의 케이블이 1회선으로 구성되는 다회선을 동시에 선출하고 이들을 다회선 풀링하여 지중 케이블에 포설함으로써, 지중 관로에 설치된 여러 개의 경관 내부에 각각 3개의 케이블이 1조로 이루어지는 다회선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 능률성 향상과 함께 공사시간의 단축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풀링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더 구성하여 케이블의 풀링장력에 따라 풀링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단축 및 감소와 선로고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3개 이상의 케이블드럼이 적재된 다회선 선출장치를 지중에 시공된 제1지중경간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1맨홀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제1지중경간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2맨홀에 다회선 풀링장치를 설치하는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로부터 다회선 케이블을 선출하여 상기 제1지중경간에 인입하는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와;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에 의해 선출된 다회선을 상기 제2맨홀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로 풀링하는 다회선 케이블 풀링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3개의 케이블이 1조를 이루는 1회선 케이블이 지중에 매설된 경간 내부의 여러 개의 케이블경관에 각각 포설됨에 있어서, 한번의 풀링작업을 통해 1회선 케이블이 다회선으로 동시에 풀링되어 포설됨으로써 지중경간의 케이블 포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드럼이 적재되는 선출장치에 의해 3개의 케이블이 1회선으로 구성되는 다회선을 동시에 선출하고 이들을 다회선 풀링하여 지중 케이블에 포설함으로써, 지중 관로에 설치된 여러 개의 경관 내부에 각각 3개의 케이블이 1조로 이루어지는 다회선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 능률성 향상과 함께 공사시간의 단축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풀링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더 구성하여 케이블의 풀링장력에 따라 풀링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단축 및 감소와 선로고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시공도.
도 2는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시공도.
도 3은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시공도.
도 4는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3개 이상의 케이블드럼(11)이 적재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를 지중에 시공된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1맨홀(102)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1)와, 상기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2맨홀(103)에 다회선 풀링장치(20)를 설치하는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와, 상기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1)에 의해 설치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로부터 다회선 케이블(C)을 선출하여 상기 제1지중경간(101)에 인입하는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3)와,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3)에 의해 선출된 다회선 케이블(C)을 상기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로 풀링하는 다회선 케이블 풀링단계(S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1)에 의해 제1맨홀(102)의 일측에 설치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로부터 3개의 케이블이 1조로 구성되는 1회선이 다회선으로 하여 동시에 선출되는 바, 이는 상기 제1다회선 선출장치(10)에 3개 이상의 케이블드럼(11)이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를 통해 다회선이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3)에 의해 3개의 케이블이 1조로 하여 구성되는 다회선이 상기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에 의해 상기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를 통해 풀링된다.
이에 따라, 한 번의 풀링작업을 통해 3개의 케이블이 1조를 구성하는 다회선이 동시에 선출되어 풀링됨으로써 지중 케이블의 포설작업이 빠르게 진행된다.
즉, 종래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지중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지중관에 각각 3조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1회선을 각각 포설하여야 함으로써 하나의 지중관에 3조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1회선을 포설한 후, 다시 다른 지중관에 똑같이 3조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1회선을 포설하고 이러한 작업과정을 거쳐 여러 개의 지중관에 모두 케이블을 포설하여야 함으로써,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작업자의 능률 저하를 가져왔으나,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한 번의 풀링작업에 다회선이 동시에 풀링되어 포설됨으로써 종래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이 지닌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케이블 드럼(31)이 적재된 제2다회선 선출장치(30)를 상기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1맨홀(102)의 타측에 설치하는 제2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5)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1)에 의해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과, 상기 제2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5)에 의해 설치된 제2다회선 선출장치(30)로부터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이 상기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에 의해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에 의해 동시에 풀링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다회선 케이블을 동시에 풀링하여 지중케이블을 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능률의 향상과 함께 작업시간의 단축에 의한 경제적인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지중경간(10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중경간(104)과, 이 제2지중경간(104)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3맨홀(105)에 제3다회선 선출장치(40)를 설치하는 제3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6)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1)에 의해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과, 상기 제3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6)에 의해 설치된 제3다회선 선출장치(40)로부터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이 상기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에 의해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에 의해 동시에 풀링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지중경간에 동시에 다회선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으며, 제2지중경간 이외에 도시하지 않은 여러 개의 지중경간에 다회선 케이블을 동시에 포설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은, 상기 다회선 케이블 풀링단계(S4)에는, 상기 제1지중경간(101)에 포설되는 다회선 케이블(C)의 포설장력이 설정된 포설장력보다 상승하면, 상기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20)의 풀링속도를 제어하는 풀링속도 제어단계(S7)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블을 포설하는 맨홀위치, 벽면번호, 관로구번호, 관로종류, 지중경간의 길이, 케이블 종류 및 제원에 맞도록 포설속도를 제어하도록 풀링속도를 입력하고 다회선 풀링장치(20)를 가동하면 포설작업 중에 지중경간의 길이에 따른 계산포설장력과 실제포설장력을 실시간 비교하여 풀링속도가 자동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계산된 포설장력 보다 실제 작업에서의 포설장력이 클 경우 포설속도를 1/2로, 즉 분당 10m에서 5m로 감속하거나 포설장력이 계산된 포설장력보다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포설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거나 저속 또는 수동으로 풀링함으로써, 케이블의 풀링장력에 따라 풀링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단축 및 감소와 선로고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제1다회선 선출장치(10)와, 제2다회선 선출장치(30) 및 제3다회선 선출장치(40)에 의해 선출되는 케이블(C)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C)에 대한 부호는 동일하게 적용되어 설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제1다회선 선출장치 11, 31, 41 : 케이블드럼
20 : 다회선 풀링장치 30 : 제2다회선 선출장치
40 : 제3다회선 선출장치 101 : 제1지중경간
102 : 제1맨홀 103 : 제2맨홀
104 : 제2지중경간 105 : 제3맨홀
C : 다회선 케이블
S1 :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
S2 :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
S3 :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
S4 : 다회선 케이블 풀링단계
S5 : 제2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
S6 : 제3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
S7 : 풀링속도 제어단계

Claims (4)

  1. 3개 이상의 케이블드럼(11)이 적재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를 지중에 시공된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1맨홀(102)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1)와;
    상기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2맨홀(103)에 다회선 풀링장치(20)를 설치하는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와;
    상기 제1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1)에 의해 설치된 제1다회선 선출장치(10)로부터 다회선 케이블(C)을 선출하여 상기 제1지중경간(101)에 인입하는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3)와;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3)에 의해 선출된 다회선 케이블(C)을 상기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로 풀링하는 다회선 케이블 풀링단계(S4)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케이블 드럼(31)이 적재된 제2다회선 선출장치(30)를 상기 제1지중경간(101)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1맨홀(102)의 타측에 설치하는 제2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5)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1)에 의해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과, 상기 제2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5)에 의해 설치된 제2다회선 선출장치(30)로부터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이 상기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에 의해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에 의해 동시에 풀링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중경간(10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지중경간(104)과, 이 제2지중경간(104)을 지상으로 연결하는 제3맨홀(105)에 3개 이상의 케이블 드럼(41)이 적재된 제3다회선 선출장치(40)를 설치하는 제3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6)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다회선 케이블 선출단계(S1)에 의해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과, 상기 제3다회선 선출장치 설치단계(S6)에 의해 설치된 제3다회선 선출장치(40)로부터 선출되는 다회선 케이블(C)이 상기 다회선 풀링장치 설치단계(S2)에 의해 제2맨홀(103)에 설치된 다회선 풀링장치(20)에 의해 동시에 풀링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회선 케이블 풀링단계(S4)에는, 상기 제1지중경간(101)에 포설되는 다회선 케이블(C)의 포설장력이 설정된 포설장력보다 상승하면, 상기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20)의 풀링속도를 제어하는 풀링속도 제어단계(S7)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KR1020100123038A 2010-12-03 2010-12-03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KR10102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38A KR101028892B1 (ko) 2010-12-03 2010-12-03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38A KR101028892B1 (ko) 2010-12-03 2010-12-03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892B1 true KR101028892B1 (ko) 2011-04-12

Family

ID=4405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038A KR101028892B1 (ko) 2010-12-03 2010-12-03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371A (ko) * 2017-01-20 2018-07-31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24B1 (ko) 2007-10-29 2009-12-17 (주)매크로지리정보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KR100966496B1 (ko) 2008-05-29 2010-06-29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24B1 (ko) 2007-10-29 2009-12-17 (주)매크로지리정보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KR100966496B1 (ko) 2008-05-29 2010-06-29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371A (ko) * 2017-01-20 2018-07-31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101930403B1 (ko) * 2017-01-20 2019-04-12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0660C (zh) 超长大截面电缆的机械敷设方法
KR102149524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CN112310890B (zh) 一种综合管廊电缆牵引及移位敷设系统及应用方法
CN103181043A (zh) 铺设多个连续的缆线段以形成大长度的缆线连接的方法
CN103241586A (zh) 开口电缆输送机、改造方法及电缆敷设施工新方法
KR100932524B1 (ko)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CN103474917A (zh) 一种导向非开挖敷设电力电缆牵引方法
KR101028892B1 (ko)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KR101116665B1 (ko) 지하관로의 케이블 포설 방법
KR101314638B1 (ko) 휴대용 윈치를 이용한 전력선 긴선 공법
CN101660630A (zh) 一种在受限空间中安装大口径管道就位的方法
CN104242162A (zh) 一种电动式变频高压电缆输送施工工艺
CN201608470U (zh) 用于牵引电缆的装置
KR101486212B1 (ko)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CN214850118U (zh) 一种长距离大截面高压电缆敷设的装置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CN112736775A (zh) 一种长距离大截面高压电缆敷设的方法及装置
KR102220514B1 (ko)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CN112290457A (zh) 一种碳纤维复合芯导线的施工方法
KR101104807B1 (ko) 루프방식 가선공법
JPH05328559A (ja) ケーブル布設方法
KR20100053381A (ko) 케이블 유도 지지금구
JP3137968U (ja) ケーブル布設装置
JP2004266952A (ja) ケーブルの布設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