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870B1 - 목재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목재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870B1
KR101028870B1 KR1020080021098A KR20080021098A KR101028870B1 KR 101028870 B1 KR101028870 B1 KR 101028870B1 KR 1020080021098 A KR1020080021098 A KR 1020080021098A KR 20080021098 A KR20080021098 A KR 20080021098A KR 101028870 B1 KR101028870 B1 KR 10102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grinding
grinding blade
protrusions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881A (ko
Inventor
최금진
Original Assignee
최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진 filed Critical 최금진
Priority to KR102008002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8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2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shav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톱밥 또는 우드칩(Wood Chip)등의 형태로 분쇄하는 데 사용하는 목재분쇄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목재 분쇄날을 갖는 회전체를 다수개의 조립체로 분할형성하고, 각 분쇄날들이 원하는 비틀림 각도를 이루며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조립하여 공급되는 목재를 제초 및 보습, 가축분뇨수분조절제, 수분흡수제, MDF(Medium Density Fiber) 혹은 칩보드(Chip Board)등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쇄할 수 있게 하고, 분쇄날의 나선형 배치를 쉽게 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체의 정비, 조립 및 교환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목재분쇄장치, 톱밥, 우드칩, 분쇄날, 나선형, 비틀림, 조립체, 회전체, 분쇄날프레임.

Description

목재분쇄장치{CRUSHER APPARATUS FOR CRUSHING WOOD}
본 발명은 목재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분쇄날을 갖는 회전체를 다수개의 조립체로 분할형성하고, 각 분쇄날들이 원하는 비틀림 각도를 이루며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조립하여 목재를 원하는 크기의 톱밥 또는 우드칩(Wood Chip)등의 형태로 분쇄할 수 있게 한 구조가 개선된 목재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에서는 시공과정에서 가설재(假設材) 등을 임시적으로 사용한 후에 해체하거나 철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해체 또는 철거된 가설재는 목재로 분리하여 톱밥 또는 우드칩 등으로 분쇄하여 농가 등에 공급되고, 농가 등에 공급된 톱밥 또는 우드칩은 제초 및 보습, 가축분뇨수분조절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목재를 톱밥 또는 작은 우드칩 등으로 분쇄하기 위해서는, 먼저, 피분쇄물(예를 들면, 목재 또는 원목 등) 자체를 목재분쇄장치에 공급하여 1차 가공에 의해 크게 분쇄한 후, 1차 분쇄된 목재를 2차 가공하여 톱밥 또는 작은 우드칩으로 분쇄해야만 함으로써 작업시간, 처리비용 등이 증가될 뿐만 아니 라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분쇄날을 갖는 회전체를 다수개의 조립체로 분할형성하고, 각 분쇄날들이 원하는 비틀림 각도를 이루며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조립하여 목재를 원하는 크기의 톱밥 또는 우드칩(Wood Chip)등의 형태로 분쇄할 수 있게 한 구조가 개선된 목재분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투입구 및 분쇄물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내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과 같이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되는 목재를 원하는 크기로 분쇄하는 다수개로 분할된 원환(圓環)상의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주벽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쇄날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들을 상기 구동축에 결합시 상기 분쇄날들이 나선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하나의 결합구조를 갖게 되는 분쇄수단을 포함하는 목재분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분쇄수단은, 내측에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갖는 축결합공과 주벽에 상기 축결합공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위치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결합홈을 가지며 다수개의 분할체로 마련되어 상기 각 분쇄날이 나선형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소정각도로 비틀림되면서 상기 구동축에 서로 밀착되게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회전체와, 상기 결합홈에 체결가능하게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 성되고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분할구획된 돌출부들을 갖는 분쇄날프레임과, 상기 분쇄날프레임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들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분할구획된 단면 구조를 이루어 상기 피분쇄물과 접하면서 피분쇄물을 분쇄되게 하는 형성된 분쇄날과, 상기 분쇄날프레임을 상기 결합홈에 수용된 상태로 체결되게 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쇄날프레임은,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각 돌출부를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형상, 상기 각 돌출부가 균일한 길이를 갖는 형상, 상기 각 돌출부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다단으로 형성한 형상 또는 상기 각 돌출부를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날을 상기 각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게 하여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상기 각 회전체들을 가압하여 밀착되게 하는 밀착부재 및 상기 모터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들이 결합된 상기 구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하는 풀리(pull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분쇄장치에 의하면, 목재를 톱밥 또는 우드칩 등의 형태로 편리하게 분쇄하여 목재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회전체의 주벽에 분쇄날 및 분쇄날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분쇄유닛을 나선형으로 배치하여 분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회전체를 다수개의 조립체로 분할형성하여 분쇄날의 나선형 배치를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회전체를 다수개의 조립체로 분할형성하여 회전체의 정비, 조립 및 교환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분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분쇄장치(100)는, 분쇄실(114) 및 배출구(116)가 연락되게 형성된 하우징(110)과, 피분쇄물(예를 들어, 목재 등)(200)을 분쇄하는 분쇄수단(120) 및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機體, 102)상에 위치되게 고정설치된다.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피분쇄물(200)을 슬라이딩 방식 등으로 이송시켜 투입되게 하는 투입구(112)가 마련된다. 투입구(112) 측으로 투입된 피분쇄물(200)은 제1,2이송부재(141, 14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체(131) 측으로 이송한다. 회전체(131) 측으로 이송된 피분쇄물(200)은 분쇄실(114)에 설치된 분쇄수단(120)의 구동에 의해 분쇄된다. 분쇄된 분쇄물(예를 들어, 톱밥 또는 우드칩(wood chip) 등)은 하우징(110)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구(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투입구(112)는 각종 건축 현장의 시공과정상에서 공사를 위해 보전적 또는 임시적으로 사용된 피분쇄물(200)을 공급받아 분쇄실(114) 내측에 설치된 분쇄유닛(130)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투입구(112)는 피분쇄물 종류에 따라 원통 형 또는 사각박스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분쇄실(114) 내에서는 투입구(112)로부터 투입된 피분쇄물(200)이 분쇄된다. 분쇄실(114)내에서 분쇄된 분쇄물(예를 들어, 톱밥 또는 우드칩(Wood Chip)은 투입구(112) 및 분쇄실(114)과 상호 연락되게 형성된 배출구(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
분쇄수단(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실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피분쇄물(200)을 분쇄하게 된다. 분쇄수단(120)은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유닛(130) 및 피분쇄물(200)을 분쇄유닛(130)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140)으로 이루어진다.
분쇄유닛(13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쇄날(133a)들이 나선형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회전체(131)와, 모터(15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 회전체(131)들을 회전시키는 구동축(132)과, 끝단부에 각 분쇄날(133a)이 구비되는 분쇄날프레임(133)과, 분쇄날프레임(133)을 결합홈(131a)에 체결하는 체결부재(134)로 이루어진다.
회전체(131)의 내측에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131d)를 갖는 축결합공(131c)이 구비된다. 회전체(131)의 외주연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결합공(131c)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마련된 고정홈(131b)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131a)이 구비된다. 회전체(131)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이상의 분할체로 마련된다. 회전체(131)는 구동축(132)상에 각 분쇄날(133a)들이 나선형을 이루어 배치되 도록 소정각도로 비틀림되면서 서로 밀착되게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분쇄날프레임(133)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소정위치에 결함홈(131a)에 체결가능하게 복수개의 체결공(133b)이 형성된다. 분쇄날프레임(133)은 'ㄷ'자형의 2날형 또는 'ㅌ'자형의 3날형 등의 분할구획된 단면구조를 이루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분쇄날프레임(133)은 초경합금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분쇄날프레임(133)의 끝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날프레임(13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분쇄날(133a)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분쇄날(133a)은 분쇄유닛(130)측으로 투입되는 피분쇄물과 접하면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쇄날(133a)은 'ㄷ'자형의 2날형 또는 'ㅌ'자형의 3날형 등의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분할구획된 단면구조를 이루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분쇄날프레임(13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33b)을 기준을 하여 각 돌출부(133c)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쇄날프레임(133)의 양측단부에는 분쇄날(133a)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고정설치된다. 이에 의해, 분쇄날(133a)들 중 어느 일측의 분쇄날(133a)이 마모되는 경우, 타측의 분쇄날(133a)로 돌려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분쇄날(133a)들은 어느 하나의 분쇄날(133a)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엇갈리는 형태를 이루어 결합홈(131a)에 체결될 수 있다. 분쇄날프레임(13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부(133c)의 길이를 각각 달리하는 다단형상으로 마련하여 분쇄날(133a)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도 10의 t1 및 t2 참조). 이 경우, 피분쇄물의 하중을 단계별로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으며, 모 터(15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피분쇄물(200)과 맞닿아 접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분쇄날프레임(133) 및 분쇄날(133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게 균일한 길이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분쇄되는 피분쇄물의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분쇄날프레임(13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부(133c)의 길이를 소정의 경사각(p)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분쇄날(133a)를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분쇄물의 하중을 순차적으로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으며, 모터(15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피분쇄물(200)과 맞닿아 접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되는 피분쇄물의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다.
체결부재(13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날(133a)이 고정설치된 분쇄날프레임(133)을 결합홈(131a)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하여 체결한다. 체결부재(134)는 결합홈(131a)에 형성된 고정홈(131b)에 끼워져 체결된다. 체결부재(134)는 육각렌치볼트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송유닛(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분쇄물(200)을 회전체(131)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2이송부재(141, 144)와, 제1,2이송부재(141, 144)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143) 및 제2구동모터(1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이송부재(141)는 회전체(131)와 인접하는 위치의 하우징(11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이송부재(141)의 외주연부에는 다수개의 제1이송치차(142)가 형성된다. 제1이송치차(142)는 톱니바퀴 형상을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 전하면서 투입구(112)로부터 투입된 피분쇄물(200)을 회전체(131)측으로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제1구동모터(143)는 제1이송부재(141)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제1이송부재(141)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1구동모터(143)는 전동식 회전조절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이송부재(144)는 제1이송부재(141)와 대향하는 위치의 하우징(11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이송부재(144)는 제1이송부재(14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이송부재(144)의 외주연부에는 다수개의 제2이송치차(145)가 형성된다. 제2이송치차(145)는 제1이송치차(14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 투입구(112)로부터 투입된 피분쇄물(200)은 톱니바퀴 형상을 갖는 제1,2이송치차(142, 145)의 회전력을 함께 전달받아 용이하게 회전체(131)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제2구동모터(146)는 제2이송부재(144)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제2이송부재(144)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2구동모터(146)는 유압식 회전조절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이송부재(144)를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 지지축(148)에는 지지스프링(147)이 끼워져 결합된다. 지지스프링(147)은 회전체(131)측으로 이송하는 피분쇄물(200) 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피분쇄물을 눌러주게 되어 외부로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이송치차(142) 및 제2이송치차(145)는 함께 구동되면서 편리하게 피분쇄물(200)을 회전체(131)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
구동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분쇄유닛(130)의 회전체(131)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하게 된다.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 터(150), 회전체(131)들이 끼워지는 구동축(132), 구동축(132)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135)와, 각 회전체(131)들이 결합된 일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지지판(136)과, 각 회전체들을 가압하는 밀착부재(137)와, 밀착부재(137)의 일측에 배치되는 밀판(138)과, 밀판(138)의 일측에 배치되는 결착판(139) 및 모터(150)의 구동력을 구동축(132)에 결합된 회전체(131)에 전달하는 풀리(pulley, 139b)로 이루어진다.
구동축(1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5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각 회전체(131)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축(132)상의 외주연부 일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31)의 결합돌기(131d)들이 비틀림되면서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체결홈(132a)이 형성된다.
지지대(135)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32)의 양단부측에 위치되게 배치되어 기체(102)상에 고정설치된다. 지지대(13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5a)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13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31)들이 결합된 일측 소정위치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지지판(136)의 내측에는 구동축(132)이 관통되게 끼워져 지지되는 축지지공(136a)이 형성된다.
밀착부재(13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36)의 일측에 위치하여 구동축(132)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진다. 밀착부재(137)는 지지판(136)의 일측에 위치하고 구동축(132)상에 끼움결함된 각 회전체(131)들을 가압하여 밀착되게 한다. 밀착부재(137)는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밀판(1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37)의 일측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밀판(138)은 밀착부재(13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판(138)의 내측에는 구동축(132)이 관통되게 끼워져 결합되는 축체결공(138a)이 형성된다. 밀판(138)에는 축체결공(138a)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결착돌기(138b)가 마련된다.
결착판(13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판(138)의 일측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결착판(139)의 내측에는 각 결착돌기(138b)들이 끼움결함되는 다수개의 결착홈(139a)이 형성된다.
풀리(139b)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50)와 연결부재(152)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구동축(132)에 결합된 회전체(131)에 전달하게 된다. 풀리(139b)는 결착판(139)의 일측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모터(150)와 회전체(131)의 중심축상에 위치한 구동축(132)은 벨트 또는 체인 등의 연결부재(152)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부의 조작명령에 따라서 제어되어 목재분쇄장치(1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분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회전체에 분쇄날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날프레임 및 분쇄날의 설치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날이 구비된 분쇄날프레임이 결합홈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 및 분쇄날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 및 분쇄날프레임이 각 단의 길이를 달리하여 다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 및 분쇄날프레임의 각 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목재분쇄장치, 102 : 기체(機體) ,
110 : 하우징, 112 : 투입구,
114 : 분쇄실, 116 : 배출구,
120 : 분쇄수단, 130 : 분쇄유닛,
131 : 회전체, 131a : 결합홈,
131b : 고정홈, 131c : 축결합공,
131d : 결합돌기, 132 : 구동축,
132a : 체결홈, 133 : 분쇄날프레임,
133a : 분쇄날, 133b : 체결공,
133c : 돌출부, 134 : 체결부재,
135 : 지지대, 135a : 베어링,
136 : 지지판, 136a : 축지지공,
137 : 밀착부재, 138 : 밀판,
138a : 축체결공, 138b : 결착돌기,
139 : 결착판, 139a : 결착홈,
139b : 풀리(pulley), 140 : 이송유닛,
141 : 제1이송부재, 142 : 제1이송치차,
143 : 제1구동모터, 144 : 제2이송부재,
145 : 제2이송치차, 146 : 제2구동모터,
147 : 지지스프링, 148 : 지지축,
150 : 모터, 152 : 연결부재,
200 : 피분쇄물(목재).

Claims (4)

  1. 삭제
  2. 목재 투입구 및 분쇄물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과 같이 구동하게 설치되어 투입되는 목재를 원하는 크기로 분쇄하는, 내측에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갖는 축 결합공과 주벽에 상기 축 결합 공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위치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결합홈들을 가지며 다수개의 분할체로 마련되어 상기 각 결합홈들이 나선형을 이루며 배치되게 소정각도로 비틀림 되면서 상기 구동축에 서로 밀착되게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게 한 다수개의 원환(圓環)상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주벽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탈착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결합홈에 체결할 수 있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분할구획된 돌출부들을 갖는 분쇄날프레임과 상기 분쇄날프레임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들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분할구획된 단면 구조를 이루어 피 분쇄물과 접하면서 피 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날과 상기 분쇄날 프레임을 상기 결합홈에 수용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분쇄수단을 포함하여 된 목재분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프레임은,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각 돌출부를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 형상, 상기 각 돌출부가 균일한 길이를 갖는 형상, 상기 각 돌출부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다단으로 형성한 형상 또는 상기 각 돌출부를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날을 상기 각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게 하여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분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상기 각 회전체들을 가압하여 밀착되게 하는 밀착부재 및 상기 모터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들이 결합된 상기 구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하는 풀리(pulley)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분쇄장치.
KR1020080021098A 2008-03-06 2008-03-06 목재분쇄장치 KR10102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098A KR101028870B1 (ko) 2008-03-06 2008-03-06 목재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098A KR101028870B1 (ko) 2008-03-06 2008-03-06 목재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881A KR20090095881A (ko) 2009-09-10
KR101028870B1 true KR101028870B1 (ko) 2011-04-12

Family

ID=4129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098A KR101028870B1 (ko) 2008-03-06 2008-03-06 목재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2311B (zh) * 2012-12-13 2015-09-30 成都工业学院 滚冲式印钞镍板粉碎机
KR101652706B1 (ko) * 2015-09-22 2016-08-31 (주)보영하이테크 조립식 커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950794B1 (ko) * 2018-07-05 2019-02-21 남궁민우 조각목재 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232Y1 (ko) 2000-03-30 2000-09-01 최주락 톱밥 제조기용 롤러캇타
KR20010000312U (ko) * 1999-06-08 2001-01-05 박재영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KR20060032572A (ko) * 2005-10-07 2006-04-17 황금수 톱밥제조기용 칼날고정장치
JP2006289840A (ja) * 2005-04-12 2006-10-26 Niho Shoji:Kk オガ粉製造装置及び同オガ粉製造装置に用いられるスパイラルカッ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12U (ko) * 1999-06-08 2001-01-05 박재영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KR200194232Y1 (ko) 2000-03-30 2000-09-01 최주락 톱밥 제조기용 롤러캇타
JP2006289840A (ja) * 2005-04-12 2006-10-26 Niho Shoji:Kk オガ粉製造装置及び同オガ粉製造装置に用いられるスパイラルカッター
KR20060032572A (ko) * 2005-10-07 2006-04-17 황금수 톱밥제조기용 칼날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881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870B1 (ko) 목재분쇄장치
US4614308A (en) Shearing machine for reducing chunks of rubber and like material to smaller pieces
US6669125B1 (en) Solids reduction processor
US3327955A (en) Pulverizing mill
CN105555407A (zh) 具有弹簧装置的用于粉碎矿石的设备和方法
JP2772738B2 (ja) 粉砕機
US5188302A (en) Hammer mill apparatus
KR100942013B1 (ko) 폐목재 분쇄장치
SU13570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льчени материалов
KR200340028Y1 (ko) 폐기물 파쇄기의 파쇄롤
KR100393384B1 (ko) 목재 파쇄장치
KR100628374B1 (ko) 왕겨 분쇄장치
KR102653925B1 (ko) 폐목재 파쇄분쇄기
KR100406504B1 (ko) 곡물 분쇄기
KR200163169Y1 (ko) 곡물 분쇄기
KR200284246Y1 (ko) 다목적 분쇄장치
US20050006507A1 (en) Solids reduction processor
CN217747380U (zh) 一种坚果壳粉碎机
KR1014326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분쇄장치
CN218872356U (zh) 一种双轴金属撕碎机
KR20070014453A (ko) 곡물 분쇄기
CN214132056U (zh) 一种轴向粉碎机
KR20220021959A (ko) 해태 분쇄기
KR200166785Y1 (ko) 두부제조용파쇄믹싱기
KR200210700Y1 (ko) 골재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