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312U -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312U
KR20010000312U KR2019990010097U KR19990010097U KR20010000312U KR 20010000312 U KR20010000312 U KR 20010000312U KR 2019990010097 U KR2019990010097 U KR 2019990010097U KR 19990010097 U KR19990010097 U KR 19990010097U KR 20010000312 U KR20010000312 U KR 200100003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blade
cutting
cutting drum
insert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3515Y1 (ko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영 filed Critical 박재영
Priority to KR2019990010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515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컷팅드럼(1) 표면둘레로 고정홈(101)을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칼날(2)(2')이 고정되도록 하는것에 있어서, 컷팅드럼(1)의 각 고정홈(101) 바닥면에 2개가 한조로 되면서 각기 칼날(2)(2')이 끼워지는 삽입홈(102)(103)을 등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삽입홈(102)(103)에 끼워지는 칼날(2)(2')의 칼등이 삽입홈(102)(10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칼날(2)(2') 외측으로는 고정구(3)를 안착시킨 다음 중앙의 관통공(304)으로 삽입되는 보울트(4)를 삽입홈(102)(103) 사이의 나사공(104)에 체결시켜 칼날(2)(2')이 가압고정되도록 하면서 고정구(3)의 상단 경사부(302)를 컷팅드럼(1) 외주로 돌출되는 칼날(2)(2')의 컷팅날부(201) 경사면(202)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수명이 오래가는 칼날(2)(2')을 얻을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컷팅능률도 높일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Ablade fixing structure of a cutting drum for a wood chipper}
본 고안은 칼날의 수명이 오래가게 하고 컷팅능률도 높게할수 있는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부 고정구조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도 컷팅드럼에 칼날을 고정하기 위해서 컷팅드럼 표면 둘레에 고정홈을 일정한 각도로 여러개 형성한 후 각 고정홈에 다수개의 칼날을 등 간격으로 배열하면서 직접 보울트로 결합하거나 아니면 고정홈에 고정되는 칼집에 칼날을 삽입 고정하되, 칼날의 컷팅날부만이 컷팅드럼 외주연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목재를 컷팅할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칼날의 컷팅날부만를 컷팅드럼 외주연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목재를 컷팅하면 컷팅날부에는 상당한 컷팅날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돌출된 칼날의 컷팅날부가 부러지는 경우가 잦은 문제점이 있었고 또 이렇게 부러진 칼날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톱밥제조기의 구동을 정지시켜야 하는데 이는 톱밥제조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중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이 종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컷팅드럼 외주로 돌출되는 칼날의 컷팅날부를 지지할수있는 구조를 개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컷팅드럼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컷팅드럼 측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일부분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칼날이 고정된 상태의 칼날고정부 평면 예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컷팅드럼 101 : 고정홈
102,103 : 삽입홈 104 : 나사공
2,2' : 칼날 201 : 컷팅날부
202 : 경사면 3 : 고정구
301 : 고정접촉면 302 : 경사부
303 : 경사돌조 304 : 관통공
4 : 보울트
컷팅드럼(1) 표면둘레로 고정홈(101)을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칼날(2)(2')이 고정되도록 하는것에 있어서, 컷팅드럼(1)의 각 고정홈(101) 바닥면에 2개가 한조로 되면서 각기 칼날(2)(2')이 끼워지는 삽입홈(102)(103)을 등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삽입홈(102)(103)에 끼워지는 칼날(2)(2')의 칼등이 삽입홈(102)(10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칼날(2)(2') 외측으로는 고정구(3)를 안착시킨 다음 중앙의 관통공(304)으로 삽입되는 보울트(4)를 삽입홈(102) (103) 사이의 나사공(104)에 체결시켜 칼날(2)(2')이 가압고정 되도록 하면서 고정구(3)의 상단 경사부(302)를 컷팅드럼(1) 외주로 돌출되는 칼날(2)(2')의 컷팅날부 (201) 경사면(202)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칼날(2)(2')의 컷팅날부(201)를 지지할수 있도록 하여서된 것이며,
또한 상기의 고정구(3)는 상단의 경사부(302)양측에 경사돌조(303)를 형성하여 칼날(2)(2')의 컷팅날부(201) 경사면(202)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서 된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컷팅드럼(1)의 고정홈(101) 바닥면에 여러개의 삽입홈(102)(103)을 직접 형성하여 칼날(2)(2')을 끼울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칼날(2)(2') 고정용 칼집등이 필요없게되고, 또 삽입홈(102)(103)에 끼워지는 칼 날(2)(2')의 칼등이 삽입홈(102)(103) 외측으로 조금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홈(101) 바닥면에 보울트(4) 체결되면서 칼날(2)(2')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구(3)의 고정접촉면(301)이 칼날(2)(2')의 칼등에만 접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3)의 고정접촉면(301)이 칼날(2)(2')의 칼등에만 접촉되므로서 칼등의 고정 접촉면적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인해 칼날(2)(2')을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할수 있으며 그리고 컷팅드럼(1)외주로 돌출되는 칼날(2)(2')의 컷팅날부(201)배면을 고정구(3)의 경사부(302) 또는 경사돌조(303)로 지지케 하므로서 목재 컷팅시에 컷팅드럼(1)의 회전 역 방향으로 작용하는 컷팅날부하에 의해 컷팅날부 (201)가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컷팅드럼(1)외주로 돌출되는 칼날(2)(2')의 컷팅날부(201)를 보호할수 있으므로 수명이 오래가는 칼날(2)(2')을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고 상기와같이 칼날(2)(2')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서 톱밥제조시에 톱밥제조기를 정지없이 연속적으로 가동시킬수 있어 톱밥제조의 능률도 높일수 있는 효과를 낳게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컷팅드럼(1) 표면둘레로 고정홈(101)을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칼날(2)(2')이 고정되도록 하는것에 있어서, 컷팅드럼(1)의 각 고정홈(101) 바닥면에 2개가 한조로 되면서 각기 칼날(2)(2')이 끼워지는 삽입홈(102)(103)을 등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삽입홈(102)(103)에 끼워지는 칼날(2)(2')의 칼등이 삽입홈(102)(10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칼날(2)(2') 외측으로는 고정구(3)를 안착시킨 다음 중앙의 관통공(304)으로 삽입되는 보울트(4)를 삽입홈 (102)(103)사이의 나사공(104)에 체결시켜 칼날(2)(2')이 가압고정 되도록 하면서 고정구(3)의 상단 경사부(302)를 컷팅드럼(1)외주로 돌출되는 칼날(2)(2')의 컷팅날부(201) 경사면(202)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서된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구(3)는 상단의 경사부(302)양측에 경사돌조(303)를 형성하여 칼날(2)(2')의 컷팅브(201) 경사면(202)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서 된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KR2019990010097U 1999-06-08 1999-06-08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KR200263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97U KR200263515Y1 (ko) 1999-06-08 1999-06-08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97U KR200263515Y1 (ko) 1999-06-08 1999-06-08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12U true KR20010000312U (ko) 2001-01-05
KR200263515Y1 KR200263515Y1 (ko) 2002-02-06

Family

ID=5476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097U KR200263515Y1 (ko) 1999-06-08 1999-06-08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5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079B1 (ko) * 2000-11-04 2003-06-18 (주)풍림환경특장 목재파쇄기용 파쇄드럼
KR100969952B1 (ko) * 2007-12-28 2010-07-15 전제선 톱밥 제조장치용 바이트
KR101028870B1 (ko) * 2008-03-06 2011-04-12 최금진 목재분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079B1 (ko) * 2000-11-04 2003-06-18 (주)풍림환경특장 목재파쇄기용 파쇄드럼
KR100969952B1 (ko) * 2007-12-28 2010-07-15 전제선 톱밥 제조장치용 바이트
KR101028870B1 (ko) * 2008-03-06 2011-04-12 최금진 목재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515Y1 (ko)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0040A1 (en) Cutting Insert Having a Corner Recess
KR200190856Y1 (ko) 손톱깍기
SE9704111D0 (sv) Rolling cone bit with gage and off-gage cutter elements positioned to separate sidewall and bottom hole cutting duty
US4754789A (en) Three-edged woodworking tool for a woodworking machine
KR200263515Y1 (ko) 톱밥제조기용 컷팅드럼의 칼날 고정구조
JPH0349687B2 (ko)
JP2519155B2 (ja) エンドミル
KR200388855Y1 (ko) 톱밥제조기용 칼날 고정 유니트
JPH09234383A (ja) 剪断式破砕機用回転刃
KR200208938Y1 (ko) 톱밥제조기의 칼날 고정장치
JPH09155622A (ja) フライスカッタ
KR200203410Y1 (ko) 떡성형기용 떡절단기
KR19990033998U (ko) 톱밥제조기의 절삭 칼날부 구조
CN219563450U (zh) 一种链锯链条的链片
CN215471298U (zh) 剃须刀具及剃须刀
JPS6186116A (ja) 多刃フライスカツタ−
KR200154839Y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폴리겐 밀러용 고정 스프링
USD435418S (en) Double-ended dual blade utility knife
KR200352044Y1 (ko) 작두를 겸비한 칼과 도마
CN102387884A (zh) 用于粗加工和精加工双重目的的切削刀片
KR200306462Y1 (ko) 탄성력이 있는 볼트와 너트
KR200146359Y1 (ko) 톱밥 제조기용 톱날장치
SU1646770A1 (ru) П та дл нажимных винтов станочны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KR19980047026U (ko)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KR200215515Y1 (ko) 목재 파쇄기용 칼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