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026U -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 Google Patents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026U
KR19980047026U KR2019960060182U KR19960060182U KR19980047026U KR 19980047026 U KR19980047026 U KR 19980047026U KR 2019960060182 U KR2019960060182 U KR 2019960060182U KR 19960060182 U KR19960060182 U KR 19960060182U KR 19980047026 U KR19980047026 U KR 199800470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hole
fixing
detachab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길
야문환
Original Assignee
강수길
야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길, 야문환 filed Critical 강수길
Priority to KR2019960060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026U/ko
Publication of KR19980047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02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톱밥을 분쇄하는 분리식 톱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형의 판체이고 다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며 이 통공(12) 사이의 외측으로 이등변 삼각형상의 고정키이(14)가 다수개 형성된 회전판(10)과, 상기 회전판(10)의 고정키이(14)에 하측으로 개방된 키이홈(26)에 끼워지고 통공(12)에 일치되는 끼움공(24)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톱날부(28)가 형성된 분리형톱날(20)과, 상기 분리형톱날(20)의 외측면에서 키이홈(26)이 고정키이(14)에 끼워지고 끼움공(24)에 일치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분리형톱날(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판(40)과, 상기 간격조절판(40)의 관통공(42), 분리형톱날(20)의 끼움공(24) 및 회전판(10)의 통공(12)으로 관통하여 각 부분을 결합하는 고정볼트(50) 및 너트(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인바, 톱날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의 손실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단가를 저감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본 고안은 톱밥을 분쇄하여 대량 생산하는 분쇄용톱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형의 회전판에 네개로 분리된 분리형톱날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이 분리형톱날의 외측으로 다수개 형성된 날고정부의 하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된 고정요홈에 한 개씩 분리되는 분리형치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분리형치가 파손되는 경우에 새로운 분리형치로 교환하므로써 모든 톱날을 폐기하는 단점을 해소하도록 하는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이나 이 원목을 가공한 합판 등과 같이 목재를 이용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동 및 전기톱 등을 사용하여 목재를 절단하고 가공하여 그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일반적인 톱은 목재를 절단하는 것이 주 목적이므로 톱날을 하나만을 사용하여 목재를 절단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목재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방법중에 우사 혹은 돈사에서 톱밥을 이용하여 바닥재로 사용하거나 그 이외에 톱밥을 이용한 방법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문적으로 톱밥을 생산하여 톱밥을 제조하는 톱밥 분쇄용 기계가 사용되어 대량으로 톱밥을 생산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톱밥 분쇄용기계에는 직경이 비교적 크고, 외주면에 톱날이 매우 많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톱날을 측면으로 수십개 씩 측면으로 서로 겹쳐서 중심부에 샤프트로 끼운후에 수십개의 회전톱을 일시에 회전시켜 이 톱날에 원목으로 강제적으로 공급하므로써 수 많은 톱날로 원목을 분쇄하여 대량의 톱밥을 생산하도록 하는 구성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톱밥 분쇄용 톱날은 회전형상의 원판의 외주면에 톱날치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 수십개의 톱날 회전판을 사용하는 도중에 원목과 톱날의 마찰로 인해 톱날이 부러지는 경우에는 톱날이 부러진 톱날 원판 전체를 교환하기 위해 이 기계장치의 조립 상태를 해제하여 톱날이 부러진 톱날원판을 모두 새로운 톱날원판으로 교환하여야 하고 조립한 후에 재차 사용하는 과정을 반족하므로써 교체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기계를 신속하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톱날 원판 전체를 교환하므로써 부품의 손실이 커지게 되어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원형의 회전판에 네개로 분리된 분리형톱날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이 분리형톱날의 외측으로 다수개 형성된 날고정부의 하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된 고정요홈에 한 개씩 분리되는 분리형치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분리형치가 파손되는 경우에 새로운 분리형치로 교환하므로써 모든 톱날을 폐기하는 단점을 해소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생산단가를 저감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원형의 판체이고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 사이의 외측으로 이등변 삼각형상의 고정키이가 다수개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고정키이에 하측으로 개방된 키이홈이 끼워지고 통공에 일치되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톱날부가 형성된 분리형톱날과, 상기 분리형톱날의 외측면에서 키이홈이 고정키이에 끼워지고 끼움공에 일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분리형톱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판과, 상기 간격조절판의 관통공, 분리형톱날의 끼움공 및 회전판의 통공으로 관통하여 각 부분을 결합하는 고정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이중 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을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의 조립 상태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치가 분리형톱날의 날고정부에서 분리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치가 분리형톱날의 날고정부에서 결합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판12 : 통공
14 : 고정키이20 : 분리형톱날
22 : 고정요홈24 : 끼움공
26 : 키이홈28 : 날고정부
29 : 접촉면30 : 분리형치
32 : 치면40 : 누름판
42 : 관통공44 : 키이홈
50 : 고정볼트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의 구성은, 원형의 판체이고 다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며 이 통공(12) 사이의 외측으로 이등변 삼각형상의 고정키이(14)가 다수개 형성된 회전판(10)과, 상기 회전판(10)의 고정키이(14)에 하측으로 개방된 키이홈(26)이 끼워지고 통공(12)에 일치되는 끼움공(24)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톱날부(28)가 형성된 분리형톱날(20)과, 상기 분리형톱날(20)의 외측면에서 키이홈(26)이 고정키이(14)에 끼워지고 끼움공(24)에 일치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분리형톱날(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판(40)과, 상기 간격조절판(40)의 관통공(42), 분리형톱날(20)의 끼움공(24) 및 회전판(10)의 통공(12)으로 관통하여 각 부분을 결합하는 고정볼트(50) 및 너트(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톱날(20)의 톱날부(28)의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고정요홈(22)을 형성하고, 이 고정요홈(22)에 분리식으로 장착 혹은 분리되며 경사져 있는 치면(32)을 갖는 분리형치(30)를 설치하여 납땜으로 재차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치(30)의 치면(32)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이유는 분리형치(30)가 분리형톱날(20)의 톱날부(28)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하여 목재를 분쇄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에 분리형톱날(20)을 네개씩 결합시킨 후에 이러한 상태의 회전판(10)을 소형, 중형, 대형 등의 톱밥 분쇄용 기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갯수를 선택하여 양측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면, 회전판(10)의 고정키이(14)에 분리형톱날(20)의 키이홈(26)과 분리형톱날(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조절판(40)의 키이홈(44)을 끼워서 고정시킨후에 고정볼트(50)를 간격조절판(40)의 관통공(42), 분리형톱날(20)의 끼움공(24) 및 회전판(10)의 통공(12)으로 끼워서 너트(60)로 체결하므로서 각 부분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톱날(20)의 고정요홈(22)에 분리형치(30)를 끼워서 접촉면(29)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분리형치(30)의 양측면을 톱날부(28)에 납땜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리형톱날(20)이 네개씩 고정된 회전판(10)을 측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친후에 샤프트로 끼워서 서로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이렇게 구성된 분쇄용 기계를 구동시켜 원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대량으로 생산하도록 하며, 본 고안의 경우에 분리형치(30)가 고정요홈(22)에 끼워져서 하중을 받게되므로 분리형치(30)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그리고, 톱밥을 분쇄하다가 분리형치(30)가 만약 파손된 경우에는 납땜부분을 제거하고 새로운 분리형치(30)를 고정요홈(22)에 끼워서 고정시켜 납땜하여 새롭게 사용하도록 하며, 분리형톱날(20)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회전판(10)에 네 개씩 고정된 분리형톱날(20)중에 파손된 분리형톱날(20) 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교환하도록 하기 때문에 파손의 정도에 따라 이단계의 과정을 거쳐 교환하므로써 조립 작업이 간단해지고,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을 사용하게 되면, 원형의 회전판에 네개로 분리된 분리형톱날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이 분리형톱날의 외측으로 다수개 형성된 날고정부의 하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된 고정요홈에 한 개씩 분리되는 분리형치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분리형치 혹은 분리형톱날이 파손되는 경우에 새로운 분리형치 또는 분리형톱날을 교환하므로써 모든 톱날을 폐기하는 단점을 해소하여 톱밥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톱밥의 생산단가를 저감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원형의 판체이고 다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며 이 통공(12) 사이의 외측으로 이등변 삼각형상의 고정키이(14)가 다수개 형성된 회전판(10)과, 상기 회전판(10)의 고정키이(14)에 하측으로 개방된 키이홈(26)에 끼워지고 통공(12)에 일치되는 끼움공(24)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톱날부(28)가 형성된 분리형톱날(20)과, 상기 분리형톱날(20)의 외측면에서 키이홈(26)이 고정키이(14)에 끼워지고 끼움공(24)에 일치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분리형톱날(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판(40)과, 상기 간격조절판(40)의 관통공(42), 분리형톱날(20)의 끼움공(24) 및 회전판(10)의 통공(12)으로 관통하여 각 부분을 결합하는 고정볼트(50) 및 너트(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톱날(20)의 톱날부(28)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고정요홈(22)을 형성하고, 이 고정요홈(22)에 분리식으로 장착 혹은 분리되고, 경사져 있는 치면(32)을 갖는 분리형치(30)를 설치하여 납땜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KR2019960060182U 1996-12-28 1996-12-28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KR199800470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82U KR19980047026U (ko) 1996-12-28 1996-12-28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82U KR19980047026U (ko) 1996-12-28 1996-12-28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26U true KR19980047026U (ko) 1998-09-25

Family

ID=5399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182U KR19980047026U (ko) 1996-12-28 1996-12-28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02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97B1 (ko) * 2007-04-12 2007-09-19 주식회사 포스벨 생활쓰레기 분리 및 파봉용 톱날형 디스크 스크린
KR101167065B1 (ko) * 2010-05-26 2012-07-27 (주)명우분체시스템 분쇄장치용 분쇄날
KR20200140080A (ko) * 2019-06-05 2020-12-15 장경호 목공재단용 커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97B1 (ko) * 2007-04-12 2007-09-19 주식회사 포스벨 생활쓰레기 분리 및 파봉용 톱날형 디스크 스크린
KR101167065B1 (ko) * 2010-05-26 2012-07-27 (주)명우분체시스템 분쇄장치용 분쇄날
KR20200140080A (ko) * 2019-06-05 2020-12-15 장경호 목공재단용 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8044A (en) Wood chipper
JP4357299B2 (ja) チッパー用ナイフアセンブリー
US6089482A (en) Blade assembly for paper shredders
JP2000141122A (ja) 回転切削工具用の切削インサ―ト
RO118527B1 (ro) Dispozitiv de prindere a cutitului
KR100259549B1 (ko) 인덱스가능한 쐐기형 지지부재 및 인서트를 갖는 다중 배향 밀링 커터
KR19980047026U (ko) 이중분리식 톱밥분쇄용 톱날
JPH0417122B2 (ko)
CA2468200C (en) Chipping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cutting angle
KR100387079B1 (ko) 목재파쇄기용 파쇄드럼
CA1286954C (en) Circular saw blade
CN210875673U (zh) 一种碎枝机的刀盘组件
US4355673A (en) Cutter for wood chippers
JP3662545B2 (ja) 切断刃交換装置と交換方法
KR200151827Y1 (ko) 톱밥제조기용 절단팁드럼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절단팁
KR200248137Y1 (ko) 목재파쇄기용 파쇄드럼
CN219648726U (zh) 一种驱动端螺杆可转位车刀
JPH0211141Y2 (ko)
JPS6186116A (ja) 多刃フライスカツタ−
SU1544557A1 (ru) Дисковый инструмент
RU2200086C1 (ru) Дисковая пил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узкого пропила
JP2885593B2 (ja) Icリードフレームのタイバーカット金型
KR200257272Y1 (ko) 목재파쇄장치
KR950004291Y1 (ko) 목분제조기용 소재분쇄장치
KR200238872Y1 (ko) 톱밥 제조기용 팁 커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