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850B1 -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 Google Patents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850B1
KR101026850B1 KR1020080068742A KR20080068742A KR101026850B1 KR 101026850 B1 KR101026850 B1 KR 101026850B1 KR 1020080068742 A KR1020080068742 A KR 1020080068742A KR 20080068742 A KR20080068742 A KR 20080068742A KR 101026850 B1 KR101026850 B1 KR 10102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x
side wall
box bod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261A (ko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주)조은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포장 filed Critical (주)조은포장
Priority to KR102008006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8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류나 육류 등을 일정 단위로 보관하거나 패키지(package) 하기 위해서 흔히 사용되었던 기존의 단열 포장용 스티로폼 상자를 대체하여 공급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단열효과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생선류나 육류의 식품이 보관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자의 하부를 이루는 사각 형태의 바닥판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서 상자의 가로방향측 및 세로방향측 측벽이 수직 상향으로 접혀져 상자의 측벽이 사각의 틀을 이루되 그 사방의 측벽들 내부에는 일정 용적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골판지 재질의 상자 본체; 상자 본체의 사방 측벽 내면에 덧대어지되 그 높이가 상자 본체의 측벽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상자 본체의 측벽 상단보다 일정 구간 높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자 본체의 사방 측벽을 내측에서 보강하는 골판지 재질의 측벽 패드; 사각의 판 형상으로 상자 본체의 바닥판 상에 깔려 측벽 패드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바닥판을 보강하는 바닥 패드; 및 상자 본체에 대응하는 면적의 상부판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서 가로방향측 및 세로방향측 측벽이 수직 하향으로 접혀져 사각의 틀을 이루되 상자 본체의 상부에 조립시 그 사방의 측벽 하단은 상자 본체의 측벽 상단에 얹혀지는 한편 그 사방의 측벽들이 측벽 패드가 이루는 상부의 테두리 부분을 포위하는 골판지 재질의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포장용 상자, 단열, 박스, 골판지, 패드

Description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Boxes}
본 발명은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류나 육류 등을 일정 단위로 보관하거나 패키지(package) 하기 위해서 흔히 사용되었던 기존의 단열 포장용 스티로폼 상자를 대체하여 공급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단열효과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류나 고기류 등과 같이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할 상품들은 스티로폼 상자 또는 나무 상자 등에 보관되어 유통이 이루어지는데, 나무 상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열 성능이 우수한 스티로폼 상자가 더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여름철과 같이 식품의 부패가 쉬운 환경에서는 스티로폼 상자나 나무 상자 등의 내부에 얼음 등과 같은 냉매를 채우는 방식을 통해서 상품의 신선도가 더욱 오래 지속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쇼핑 산업이 다각화해짐에 따라서 상품의 유통과정도 크게 변화되어 상품을 주문하게 되면 택배 업체 등을 통해서 각 가정에까지 상품이 배달되고 있다. 이때, 생선류나 고기류 등의 상품은 주로 스티로폼 상자에 담겨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주지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의 경우에는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 등 다른 재활용품에 비하여 재활용 가치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정일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그 공급단가가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주로 생선류나 고기류 등의 식품을 담기 위한 포장용 상자의 재질을 재활용이 더욱 용이하고 환경 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공급단가를 줄일 수 있되 우수한 단열성능을 지닌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되는 생선류나 고기류 등의 식품의 신선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냉매공간이 마련된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선류나 고기류 등의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상자가 비록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유통과정 등에서 외부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그 견고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생선류나 육류의 식품이 보관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자의 하부를 이루는 사각 형태의 바닥판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서 상자의 가로방향측 및 세로방향측 측벽이 수직 상향으로 접혀져 상자의 측벽이 사각의 틀을 이루되 그 사방의 측벽들 내부에는 일정 용적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골판지 재질의 상자 본체; 상자 본체의 사방 측벽 내면에 덧대어지되 그 높이가 상자 본체의 측벽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상자 본체의 측벽 상단보다 일정 구간 높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자 본체의 사방 측벽을 내측에서 보강하는 골판지 재질의 측벽 패드; 사각의 판 형상으로 상자 본체의 바닥판 상에 깔려 측벽 패드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바닥판을 보강하는 바닥 패드; 및 상자 본체에 대응하는 면적의 상부판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서 가로방향측 및 세로방향측 측벽이 수직 하향으로 접혀져 사각의 틀을 이루되 상자 본체의 상부에 조립시 그 사방의 측벽 하단은 상자 본체의 측벽 상단에 얹혀지는 한편 그 사방의 측벽들이 측벽 패드가 이루는 상부의 테두리 부분을 포위하는 골판지 재질의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상자 본체 및 뚜껑의 가로방향측과 세로방향측 각각에 위치된 측벽들은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떨어져 벽간 공간이 확보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상자 본체 및 뚜껑 각각의 세로방향측 측벽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벽간 공간에는 상자 본체의 가로방향측 측 벽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조립날개편이 끼워지는 한편 세로방향측 측벽의 벽간 공간의 양측에서 끼워진 조립날개편끼리는 상호 조립되어 양측의 가로방향측 측벽 사이 간격이 유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본체 및 뚜껑 각각의 세로방향측 측벽을 이루는 내벽의 끝단에는 본체 및 뚜껑 각각의 가로방향측 측벽과 세로방향측 측벽의 상호 조립시 그 코너 부분이 긴밀이 조립되게 하기 위한 마감편이 돌출형성되는 한편 본체 및 뚜껑 각각의 가로방향 측벽을 이루는 내벽 끝단부에는 마감편이 끼워지기 위한 마감편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측벽 패드는 한쪽 가로방향측 패드와 한쪽 세로방향측 패드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가로방향측 패드와 세로방향측 패드가 경계되는 선 상이 접혀 가로방향측 패드와 세로방향측 패드가 상호 직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측벽 패드는 이중의 벽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떨어져 벽간 공간이 확보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뚜껑의 가로방향측 측벽 또는 세로방향측 측벽을 이루는 내벽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크기의 상부 패드 설치홈이 형성되는 한편 뚜껑의 내측에는 상부 패드 설치홈에 끼워져 지탱되게 뚜껑의 내부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 판 형태의 상부 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상부 패드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상부 패드는 뚜껑의 상부판 하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서 상부 패드와 뚜껑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에는 냉매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는 기존에 생선류나 고기류 등의 식품을 보관하거나 상품으로 포장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었던 스티로폼 상자를 대체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자원의 재활용 측면이나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훨씬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는 기존의 스티로폼 상자에 비하여 그 공급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는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견고하게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뚜껑 내측에는 냉매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구성 및 사용상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저면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서 구성된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는 크게 상자의 하부몸체를 이루는 부분과 그 하부몸체에 조립되는 상부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구분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의 구성품을 더욱 세분하면, 내부에 일정 용적의 수납공간(110)이 갖춰지도록 사각 판 형태의 바닥판(210)의 사방에 일정 높이를 가지는 측벽(220,230)이 상향 설치된 상자 본체(200), 상자 본체(200)의 상부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의 상부판(310) 하측 사방에 일정 높이의 측벽(320,330)을 갖춰 상자 본체(200)의 상부를 덮는 뚜껑(300), 상자 본체(200)의 사방 테두리에 일정 높이로 마련된 측벽(220,230)들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뚜껑(300)이 상자 본체(200)에 안정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자 본체(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측벽 패드(400) 및 상자 본체(200)의 바닥 판(210) 상에 설치되어 사방에 위치된 측벽 패드(400)의 각 벽 간의 간격이 유지되어 사각의 형태로 되도록 하기 위한 사각 판 형태의 바닥 패드(500)를 포함하여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의 구성이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의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은 그 높이 및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방식에 의해서 제작된다. 즉,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은 일명 톰슨(도무송이라고도 함)이라 불리는 프레스 기계를 이용하여 골판지 원단을 가공하여 전개된 형태로 우선 형성된다. 그 후, 상자 본체(200)의 경우에는 사각 형태의 바닥판(210)을 기준으로 그 사방에 위치된 부분을 상향으로 접어 가로방향측 측벽(220) 및 세로방향측 측벽(230)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뚜껑(300)의 경우에는 사각 형태의 상부판(310)을 기준으로 그 사방에 위치된 부분을 하향으로 접어 가로방향측 측벽(320) 및 세로방향측 측벽(330)이 형성되도록 조립과정을 통해서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을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의 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상자 본체(200)와 뚜껑(300)은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인 만큼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의 각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자 본체(200)의 제작을 위해 도시된 전개도 및 뚜껑(300)의 제작을 위해 도시된 전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을 구성하는 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본 체(200) 및 뚜껑(300)의 구성이 한정되는 것인 아님을 분명하게 밝혀둔다.
또한,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전개도 상에서 상자 본체(200)의 전개도와 뚜껑(300)의 전개도에서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의 높이가 되는 가로방향측 측벽(220,320) 및 가로방향측 측벽(230,330)을 이루는 부분의 폭만이 다르게 설정되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와 같은 전개도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의 차이점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 본체(200)는 전개도 상 중앙에 위치된 사각 판 형태의 바닥판(210) 형성부분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는 각각 가로방향측 측벽(220) 및 세로방향측 측벽(230)의 형성을 위한 측벽 형성부분이 접혀 수직 상으로 세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측벽 형성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222,232)의 형성을 위한 부분과 외벽(224,234)의 형성을 위한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 상에서는 내벽(222,232)의 형성을 위한 부분과 외벽(224,234)의 형성을 위한 부분 사이에 이점 쇄선으로 접는 선이 표시된 것이다. 즉, 전개도 상에서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곧 접는 선이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자 본체(200)의 전개도 상에서 내벽(222,232) 형성부분과 외벽(224,234) 형성 부분 사이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접는 선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가로방향측 측벽(220)의 내벽(222)과 외벽(224) 사이 및 세로방향측 측벽(230)의 내벽(232)과 외벽(234) 사이에 각각 도 3 및 도 4 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간 공간(226,236)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가로방향측 측벽(220)의 형성을 위한 내벽 형성부분 및 외벽 형성부분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각각 세로방향측 측벽(230)의 절반 길이 정도의 길이를 갖는 조립날개편(240)이 형성된다. 물론, 가로방향측 측벽(220)의 형성을 위한 부분과 조립날개편(240)이 서로 경계되는 위치에도 해당 부분을 작업자가 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는 선이 도면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조립날개편(240)의 끝단에는 상자 본체(200)의 조립시 서로 마주하게 될 조립날개편(240)끼리 상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가로방향측 측벽(220)으로부터 연장된 조립날개편(240)의 끝단에는 조립홈(240a)이 형성되는 한편 타측의 가로방향측 측벽(220)으로부터 연장된 조립날개편(240)의 끝단에는 조립돌기(24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자 본체(200)의 세로방향측 측벽(230) 중 내벽(232)의 형성을 위한 부분의 양쪽 끝단에는 가로방향측 측벽(220) 및 세로방향측 측벽(230)이 상호 조립되는 과정에서 그 내측 코너 부분이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감편(250)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세로방향측 측벽(230)의 내벽(232) 끝단에 마련된 마감편(250)이 가로방향측 측벽(220)의 내벽(222)에 긴밀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내벽(222)과 조립날개편(240)이 경계되는 위치 상에는 마감편 끼움홈(252)이 일정 구간 절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2 에 상자 본체(200)의 내부 코너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측 측벽(230)의 내벽 양단에 일정 크기로 돌출형성된 마감편(250)이 가로방향측 측벽(220)의 내벽 끝단과 조립날개편(240)이 경계되는 부분에 형성된 마감편 끼움홈(252)에 끼워져 가로방향측 측벽(220)과 세로방향측 측벽(230) 간의 조립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300)은 도 7 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도 상 중앙에 위치된 사각 판 형태의 상부판(310) 형성부분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는 각각 가로방향측 측벽(320) 및 세로방향측 측벽(330)의 형성을 위한 측벽 형성부분이 접혀 수직 상으로 세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가로방향측 측벽(320) 및 세로방향측 측벽(330) 형성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322,332)의 형성을 위한 부분과 외벽(324,334)의 형성을 위한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 상에서는 내벽(322,332)의 형성을 위한 부분과 외벽(324,334)의 형성을 위한 부분 사이에 이점 쇄선으로 접는 선이 표시된 것이다. 즉, 전개도 상에서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곧 접는 선이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300)의 전개도 상에서 내벽(322,332) 형성부분과 외벽(324,334) 형성부분 사이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접는 선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내벽(322)과 외벽(324) 사이 및 세로방향측 측벽(330)의 내벽(332)과 외벽(334) 사이에 각각 도 3 및 도 4 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간 공간(326,336)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형성을 위한 내벽(332) 형성부분 및 외벽(334) 형성부분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각각 세로방향측 측벽(330)의 절반 길이 정 도의 길이를 갖는 조립날개편(340)이 형성된다. 물론,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형성을 위한 부분과 조립날개편(340)의 형성을 위한 부분이 서로 경계되는 위치에도 해당 부분을 작업자가 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는 선이 도면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조립날개편(340)의 끝단에는 뚜껑(300)의 조립시 서로 마주하게 될 조립날개편(340)과 상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가로방향측 측벽(320) 형성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조립날개편(340)의 끝단에는 조립홈(340a)이 형성되는 한편 타측의 가로방향측 측벽(320) 형성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조립날개편(340) 형성부분의 끝단에는 조립돌기(34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뚜껑(300)의 세로방향측 측벽(330) 중 내벽(332)의 형성을 위한 부분의 양쪽 끝단에는 가로방향측 측벽(320) 및 세로방향측 측벽(330)이 상호 조립되는 과정에서 그 내측 코너 부분이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감편(350)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세로방향측 측벽(330)의 내벽(332) 형성부분 끝단에 마련된 마감편(350)이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내벽(322)에 긴밀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내벽(322)과 조립날개편(340)이 경계되는 위치 상에는 마감편 끼움홈(352)이 일정 구간 절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5 에 뚜껑(300)의 내부 코너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측 측벽(330)의 내벽 양단에 일정 크기로 돌출형성된 마감편(350)이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내벽 끝단과 조립날개편(340)이 경계되는 부분에 형성된 마감편 끼움홈(352)에 끼워져 가로방향측 측벽(320)과 세로방향측 측벽(330) 간의 조립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된다.
특히, 뚜껑(300)의 경우에는 후설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처럼 그 내부에 별도의 상부 패드(6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 패드 설치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드 설치홈(360)은 도면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내벽(322)을 이루는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크기로 절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의 경우에는 뚜껑(300)의 내측에 상부 패드(600)가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도 7 에 도시된 뚜껑(300)의 전개도에서는 상부 패드 설치홈(360)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30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로방향측 측벽(320) 상에는 별도의 상부 패드 설치홈(360)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겅(30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내벽(332) 상에 사각 형태의 상부 패드 설치홈(36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300)이 적용된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의 단면도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의 가로방향측 측벽(320) 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상부 패드 설치홈(360)이 형성되는 한편 양쪽에 위치된 가로방향측 측벽(320)의 상부 간에는 사각의 판 형태로 형성된 상부 패드(6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패드(600)는 뚜껑(300)의 상부 판(310) 하부에 밀착되는 형태보다는 상부판(310) 하부로부터 일정 간격이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상부 패드(60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양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300)의 가로방향측 측벽(320) 상에 구비된 상부 패드 설치홈(360)에 걸리도록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편(61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패드(600)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620)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 통공(620)은 상부 패드(600) 상측의 공간과 하측의 공간 사이에서 내부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의 내부에 보관되는 생선류나 고기류 등의 식품이 더욱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냉매(700)가 전술한 상부 패드(600)의 상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냉매(700)로는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 주머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상자 본체(200)의 사방에 마련된 가로방향측 측벽(220) 및 세로방향측 측벽(230)을 보강하는 한편 뚜껑(300)의 장착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하기 위한 측벽 패드(400)의 조립을 위한 전개도의 한 예를 보인 것이다.
측벽 패드(400)의 경우에도 전술한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톰슨 기계 등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될 수 있다. 물론, 도 11 에 도시된 전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벽 패드(400)를 제작하기 위한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벽 패드(400)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패드(400)는 내벽(412,422)과 외벽(414,424)으로 구분된 이중벽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전개도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접는 선이 프레스 가공 과정 등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벽 패드(400)의 내벽(412,422)과 외벽(414,424) 사이를 경계하는 선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접는 선이 형성됨에 따라서 측벽 패드(400)의 내벽(412,422)과 외벽(414,424) 사이에는 벽간 공간(216,226)이 확보된다.
한편, 측벽 패드(400)의 내벽(412,422)을 이루는 부분은 외벽(414,424)을 이루는 부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내벽(412,422)과 외벽(414,424)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은 상태로 상자 본체(200)의 내측에 끼우는 과정에서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특히, 측벽 패드(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의 가로방향측 패드(410)와 그와 이웃하는 어느 한쪽의 세로방향측 패드(42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조립시 작업자가 더욱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측 패드(410)와 세로방향측 패드(420)가 경계되는 부분에 도면상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접는 선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자용 종이 상자(100)의 조립시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측벽 패드(400)를 가로방향측 패드(410)와 세로방향측 패드(420)가 직각의 형태가 되도록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벽 패드(400)의 높이는 상자 본체(200)에 조립시켰을 경우 상자본체(200)의 측벽(220,230)의 높이보다 일정 높이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된다. 이는 측벽 패드(400)가 상자 본체(200)의 측벽(220,230)을 보강하는 기능 이외에도 상자 본체(200)에 대하여 뚜껑(300)을 덮었을 경우 뚜껑(300)이 더욱 안정되게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자 본체(200)의 측벽(220,230)들이 이루는 측벽 상단(260)에 비하여 한 쌍의 측벽 패드(400)가 조합되어 이루는 테두리의 상부구간(S)이 일정 높이 노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자 본체(200)에 대하여 뚜껑(300)을 덮을 경우 뚜껑(300)의 측벽(320,330) 내면 일정 구간이 측벽 패드(400)의 테두리 상부구간(S)을 포위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자 본체(200) 내부에는 2쌍의 측벽 패드(400)가 조립되어 사방의 측벽 내측을 보강하게 될 뿐만 아니라 뚜껑(300)이 더욱 안정된 상태로 조립되게 한다.
바닥 패드(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 패드(400)들이 조립되었을 경우 그 내측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닥 패드(500)는 상자 본체(200)의 바닥판(210) 상면에 안치되어 그 사방의 외곽 테두리는 측벽 패드(400)들의 하부 내면에 접촉되어 측벽 패드(40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은 물론 상자 본체(200)의 바닥판(210)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는 기존의 스티로폼 상자를 대체하여 생선류나 육류 등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할 식품 등의 보관 및 패키지 하는데 사용되면, 그 사용된 후의 빈 상자를 재활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훨씬 유리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 상자를 사용했던 경우에 비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자 본체(200) 및 뚜껑(300)의 측벽을 이루는 부분뿐만 아니라 측벽 패드(400)를 이루는 부분이 내벽과 외벽으로 구분되는 이중의 벽으로 구성되는 한편 그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벽간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서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의 내부와 외부의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생선류나 고기류 등 내부에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더욱 신선도가 유지되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부 패드(600)의 상부에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 주머니 등 냉매(700)를 넣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100)로써 기존의 스티로폼 상자를 대체하게 되면 상자의 공급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환경 호르몬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사시도.
도 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4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자 본체의 전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전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상부 패드의 저면 사시도.
도 9 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10 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에 냉매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벽 패드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110. 수납공간
200. 상자 본체 210. 바닥판
220. 가로방향측 측벽 230. 세로방향측 측벽
222,232. 내벽 224,234. 외벽
226,236. 벽간 공간 240. 조립날개편
250. 마감편 252. 마감편 끼움홈
300. 뚜껑 310. 상부판
320. 가로방향측 측벽 330. 세로방향측 측벽
322,332. 내벽 324,334. 외벽
326,336. 벽간 공간 340. 조립날개편
350. 마감편 352. 마감편 끼움홈
360. 상부 패드 설치홈 400. 측벽 패드
410. 가로방향측 패드 420. 세로방향측 패드
500. 바닥 패드 600. 상부 패드
610. 걸림편 620. 통공
700. 냉매

Claims (10)

  1. 내부에 생선류나 고기류의 식품이 보관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자의 하부를 이루는 사각 형태의 바닥판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서 상자의 가로방향측 및 세로방향측 측벽이 수직 상향으로 접혀져 상자의 측벽이 사각의 틀을 이루되 그 사방의 측벽들 내부에는 일정 용적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골판지 재질의 상자 본체;
    상기 상자 본체의 사방 측벽 내면에 덧대어지되 그 높이가 상기 상자 본체의 측벽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상기 상자 본체의 측벽 상단보다 일정 구간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자 본체의 사방 측벽을 내측에서 보강하는 골판지 재질의 측벽 패드;
    사각의 판 형상으로 상기 상자 본체의 바닥판 상에 깔려 상기 측벽 패드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바닥판을 보강하는 바닥 패드;
    상기 상자 본체에 대응하는 면적의 상부판을 기준으로 그 외곽 사방에서 가로방향측 및 세로방향측 측벽이 수직 하향으로 접혀져 사각의 틀을 이루되 상기 상자 본체의 상부에 조립시 그 사방의 측벽 하단은 상기 상자 본체의 측벽 상단에 얹혀지는 한편 그 사방의 측벽들이 상기 측벽 패드가 이루는 상부의 테두리 부분을 포위하는 골판지 재질의 뚜껑;
    상기 상자 본체와 뚜껑의 가로방향측과 세로방향측 각각에 위치된 측벽이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내벽과 외벽 사이가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 벽간 공간;
    상기 뚜껑의 가로방향측 측벽 또는 세로방향측 측벽의 내벽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 패드 설치홈; 및
    상기 뚜껑의 내부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 패드 설치홈에 대응하는 테두리 상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편이 상기 상부 패드 설치홈에 끼워진 채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부 패드;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 및 뚜껑 각각의 세로방향측 측벽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벽간 공간에는 상기 상자 본체의 가로방향측 측벽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조립날개편이 끼워지는 한편 상기 세로방향측 측벽의 벽간 공간의 양측에서 끼워진 조립날개편끼리는 상호 조립되어 상기 양측의 가로방향측 측벽 사이 간격이 유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뚜껑 각각의 세로방향측 측벽을 이루는 내벽의 끝단에는 상기 본체 및 뚜껑 각각의 가로방향측 측벽과 세로방향측 측벽의 상호 조립시 그 코너 부분이 긴밀이 조립되게 하기 위한 마감편이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 및 뚜껑 각각의 가로방향 측벽을 이루는 내벽 끝단부에는 상기 마감편이 끼워지기 위한 마감편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패드는 한쪽 가로방향측 패드와 한쪽 세로방향 측 패드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방향측 패드와 세로방향측 패드가 경계되는 선 상이 접혀 상기 가로방향측 패드와 세로방향측 패드가 상호 직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패드는 이중의 벽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떨어져 벽간 공간이 확보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드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드는 뚜껑의 상부판 하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드와 뚜껑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에는 냉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KR1020080068742A 2008-07-15 2008-07-15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KR10102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42A KR101026850B1 (ko) 2008-07-15 2008-07-15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42A KR101026850B1 (ko) 2008-07-15 2008-07-15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61A KR20100008261A (ko) 2010-01-25
KR101026850B1 true KR101026850B1 (ko) 2011-04-04

Family

ID=4181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742A KR101026850B1 (ko) 2008-07-15 2008-07-15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8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502A (ko) 2018-05-11 2019-11-20 김영수 이중 단열 상자
KR102065038B1 (ko) * 2019-08-14 2020-01-10 (주) 씨밀렉스코리아 보냉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WO2021145590A1 (ko) * 2020-01-14 2021-07-22 송민화 다층구조에 의한 보온 기능을 높인 포장박스
KR20230156548A (ko) 2022-05-06 2023-11-14 김영수 조립식 단열 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738B1 (ko) * 2014-02-17 2014-11-05 이재석 포장용 상자
CN107878878A (zh) * 2017-12-12 2018-04-06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胶、钉连接的重型瓦楞纸包装箱
KR102643001B1 (ko) * 2021-08-20 2024-03-11 이승은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102466462B1 (ko) * 2022-03-23 2022-11-1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네트웍스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403A (ja) * 2001-08-17 2002-04-10 Daiwa Shiko Kk 印籠形式の包装箱における封止機構
JP2003191948A (ja) * 2001-12-27 2003-07-09 White House:Kk 蓋付き箱
JP2005280743A (ja) * 2004-03-29 2005-10-13 Rengo Co Ltd 保冷包装箱
KR200415294Y1 (ko) 2006-02-07 2006-05-03 비알코리아주식회사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403A (ja) * 2001-08-17 2002-04-10 Daiwa Shiko Kk 印籠形式の包装箱における封止機構
JP2003191948A (ja) * 2001-12-27 2003-07-09 White House:Kk 蓋付き箱
JP2005280743A (ja) * 2004-03-29 2005-10-13 Rengo Co Ltd 保冷包装箱
KR200415294Y1 (ko) 2006-02-07 2006-05-03 비알코리아주식회사 포장용 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502A (ko) 2018-05-11 2019-11-20 김영수 이중 단열 상자
KR102065038B1 (ko) * 2019-08-14 2020-01-10 (주) 씨밀렉스코리아 보냉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WO2021145590A1 (ko) * 2020-01-14 2021-07-22 송민화 다층구조에 의한 보온 기능을 높인 포장박스
KR20230156548A (ko) 2022-05-06 2023-11-14 김영수 조립식 단열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61A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850B1 (ko)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JP6955776B2 (ja) 容器装置
US20160347531A1 (en) Insulated package system, insert panels therefor, and method of assembly
JP5648582B2 (ja) 包装箱
KR20190039582A (ko) 담배용 팩
CN103237732B (zh) 集装箱
JP5412628B2 (ja) 農産物用コンテナ及びその内容器
KR200478361Y1 (ko) 완충재가 구비된 포장상자
KR100947909B1 (ko) 이중 포장상자
KR20100057386A (ko) 포장용 방수 상자
KR102420062B1 (ko) 냉동식품 배송용 골판지 포장박스
KR102547830B1 (ko) 보냉 기능을 갖는 조립식 종이박스
KR200448345Y1 (ko) 과일용 포장박스
EP3601095B1 (en) Insulating container
KR20110119886A (ko) 포장용 박스
KR20110003359U (ko) 포장용 상자
KR200444570Y1 (ko) 간지 일체형 포장상자
KR200464830Y1 (ko) 농산물 포장상자
KR200481918Y1 (ko) 포장 박스용 코너 보강대
CN210455929U (zh) 一种整体运输包装箱
JP2000344227A (ja) 紙製保温保冷ケース
JPH09240755A (ja) 紙製断熱箱
KR200475295Y1 (ko) 피자 박스
CN220949029U (zh) 一种用于冷链的保温板天地盖纸箱
KR20100050233A (ko) 포장용 방수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