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001B1 -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001B1
KR102643001B1 KR1020210110496A KR20210110496A KR102643001B1 KR 102643001 B1 KR102643001 B1 KR 102643001B1 KR 1020210110496 A KR1020210110496 A KR 1020210110496A KR 20210110496 A KR20210110496 A KR 20210110496A KR 102643001 B1 KR102643001 B1 KR 10264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olded
main body
w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8049A (ko
Inventor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이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은 filed Critical 이승은
Priority to KR102021011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0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3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43Lids held in closed position by application of separate elements, e.g. clips, s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내부에 포장물을 위치시킨 후에 간편하게 접어 포장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접착제 및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덮개부를 이용하여 포장물을 감싸며 내측으로 접힌 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부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기둥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각각의 기둥부로부터 날개부를 연장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포장물을 간편하게 위치시킨 후, 상기 기둥부 및 날개부를 접어 포장물을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둥부 및 날개부가 접힘된 본체부의 상부를 감싸며 덮도록 덮개부를 구성하여 접힘된 기둥부 및 날개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며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easy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내부에 포장물을 위치시킨 후에 간편하게 접어 포장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접착제 및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덮개부를 이용하여 포장물을 감싸며 내측으로 접힌 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는 과일, 채소, 야채, 호두, 잣, 대추, 밤 등의 청과물이나 수산물, 건어물, 축산물, 육류, 생필품, 공산품, 케이크, 떡케이크 등을 수납시켜 보관 또는 운반이 편리하도록 상자 형태로 포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장용 상자는 내측에 포장물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된 다면체의 형상으로 그 평면 형상에 따라 원형과 사각형 및 다각형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된다.
한편, 상기한 포장용 상자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재질의 종이 골판지를 다면체의 전개 현상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이와 같은 전개 대지를 절곡한 후 상호 맞닿는 부위에 접착제나 스테플을 이용한 고정 방식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접착제나 스테플로 고정되는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비닐과 같은 별도의 포장이 되어 있지 않은 케이크, 떡케이크 등 음식물을 수납하여 포장하는 경우에 접착제나 스테플로부터 발산되는 유해성분으로 인해 음식물의 식품안전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10-1107495호(특) 출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에 케이크를 수용하되 상면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케이크를 포장 및 운반하는 상자에 있어서, 몸체를 합성수지재로 일체 형성하고, 상기 몸체 상판에 형성된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손잡이 양단의 힌지부를 절첩 가능하게 사출 성형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판 일측에만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출입구는, 몸체의 측판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되, 상단에 끼움공간을 형성한 내부덮개판과; 몸체의 하판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되, 상기 끼움공간에 끼울 수 있도록 상단부에 끼움편을 일체 형성하고, 상부에 개방손잡이를 절첩 가능하게 형성한 외부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포장용 상자의 측면부를 통해 포장물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케이크, 떡케이크 등과 같은 음식물을 수납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상기 포장용 상자의 측면부 일 측에 닿아 포장용 상자에 음식물이 묻거나 음식물의 형태가 훼손 및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바닥부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기둥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각각의 기둥부로부터 날개부를 연장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포장물을 간편하게 위치시킨 후, 상기 기둥부 및 날개부를 접어 포장물을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둥부 및 날개부가 접힘된 본체부의 상부를 감싸며 덮도록 덮개부를 구성하여 접힘된 기둥부 및 날개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며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육각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사각형상의 기둥부와, 상기 각각의 기둥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각각의 기둥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가 상부로 접힘 될 시, 상기 각각의 기둥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접힘토록 구성되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기둥부가 상부로 접힘 되며 상기 날개부가 내측으로 접힘된 본체부의 상부를 감싸며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날개부 및 기둥부가 펼침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되, 기 포장용 상자에는,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포장물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외주에는 상기 각각의 기둥부가 상부로 접힘 되며 상기 각각의 날개부가 내측으로 접힘 될 시, 상기 접힘된 날개부의 일 측이 끼움 되는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에는 상기 기둥부가 상부로 접힘 될 시에 기둥부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접힘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의하면, 케이크, 떡케이크 등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음식물을 수납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부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기둥부 및 날개부를 접어 포장할 수 있어 음식물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과 본체부가 맞닿는 것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이 포장용 상자에 묻거나 케이크, 떡케이크 등과 같이 디자인된 음식물의 형태가 훼손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 및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덮개부를 이용하여 접힘된 본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포장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도 덮개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후에 기둥부 및 날개부를 펼쳐 본체부로부터 간편히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구성 중 본체부의 전개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가 접힘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가 접힘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평면도 및 그 평면도의 (A ㅡ A’)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구성 중 본체부의 상부에 덮개부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구성 중 받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구성 중 받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구성 중 받침부가 본체부에 위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구성 중 본체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구성 중 본체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내부에 포장물을 위치시킨 후에 간편하게 접어 포장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접착제 및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덮개부를 이용하여 포장물을 감싸며 내측으로 접힌 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육각형상의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사각형상의 기둥부(200)와,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각각의 기둥부(20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될 시,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접힘토록 구성되는 날개부(300)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되며 상기 날개부(300)가 내측으로 접힘된 본체부(10)의 상부를 감싸며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날개부(300) 및 기둥부(200)가 펼침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덮개부(2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인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는 본체부(10) 및 덮개부(20)로 대분 구성되며, 실시 예에 따라 받침부(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 덮개부(20) 및 받침부(30)는 종래의 골판지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종이 재질이 모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는 바닥부(100), 기둥부(200) 및 날개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포장물이 위치되어 안착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부(100)의 형상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기둥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100)의 형상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6개가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도 2,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20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상부로 접힘될 시에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의 양 측 단부가 인접하는 기둥부(200)의 단부와 맞닿으며 육각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각각의 기둥부(20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될 시,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접힘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둥부(200)가 상, 하부로 접힘 및 펼침될 시에 상기 날개부(300) 또한 내측으로 접힘 및 외측으로 펼침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다수개의 기둥부(200) 및 날개부(300)가 동시에 펼침 및 접힘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바닥부(100)에 포장물을 위치시킨 후, 간편하게 접어 포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되며 상기 날개부(300)가 내측으로 접힘된 본체부(10)의 상부를 감싸며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날개부(300) 및 기둥부(200)가 펼침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부(20)는 별도의 접착제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지 않은 채 접혀 있는 날개부(300) 및 기둥부(200)가 외측 및 하부로 펼침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포장을 분리할 시에는 상기 덮개부(20)를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할 시에 상기 다수개의 기둥부(200) 및 날개부(300)가 동시에 펼쳐지며 사용자가 바닥부(100)에 위치된 포장물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 상자에는,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음식물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부(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음식물과 같은 포장물의 하부를 감싸며 포장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부(30)의 평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의 외주에는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되며 상기 각각의 날개부(300)가 내측으로 접힘 될 시, 상기 접힘된 날개부(300)의 일 측이 끼움 되는 다수개의 끼움홈(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부(30)는 안착되는 포장물의 하부를 감싸도록 외주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주에 상기 각각의 접힘된 날개부(300)의 하부 일 측이 끼움 되는 다수개의 끼움훔(33)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끼움홈(33)에 끼움 되어 날개부(300) 및 기둥부(2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끼움홈(33)에 끼움 되는 날개부(300)에 의해 본체부(1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에는 상기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될 시에 기둥부(200)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접힘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기둥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걸림부(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10)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받침부(30)의 내부에 위치되어 포장되는 포장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걸림부(210) 중 하나의 걸림부(210)를 외측으로 접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를 감싸며 구성되는 덮개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포장물의 높이가 본체부(10)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덮개부(20)를 바로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포장물의 높이가 본체부(10)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20)의 내측 상면에 음식물과 같은 포장물이 닿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210)를 외측으로 접어 상기 덮개부(20)가 걸림부(210)가 구성된 위치까지만 본체부(10)의 상부를 덮으며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의하면, 케이크, 떡케이크 등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음식물을 수납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부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기둥부 및 날개부를 접어 포장할 수 있어 음식물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과 본체부가 맞닿는 것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이 포장용 상자에 묻거나 케이크, 떡케이크 등과 같이 디자인된 음식물의 형태가 훼손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 및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덮개부를 이용하여 접힘된 본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포장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도 덮개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후에 기둥부 및 날개부를 펼쳐 본체부로부터 간편히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본체부
20 : 덮개부
30 : 받침부 33 : 끼움홈
100 : 바닥부
200 : 기둥부 210 : 걸림부
300 : 날개부

Claims (3)

  1. 육각형상의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사각형상의 기둥부(200)와,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각각의 기둥부(20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될 시,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접힘토록 구성되는 날개부(300)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되며 상기 날개부(300)가 내측으로 접힘된 본체부(10)의 상부를 감싸며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날개부(300) 및 기둥부(200)가 펼침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덮개부(20)로 구성되되,
    포장용 상자에는,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포장물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부(3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30)의 외주에는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되며 상기 각각의 날개부(300)가 내측으로 접힘 될 시, 상기 접힘된 날개부(300)의 일 측이 끼움 되는 다수개의 끼움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200)에는 상기 기둥부(200)가 상부로 접힘 될 시에 기둥부(200)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접힘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기둥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걸림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0496A 2021-08-20 2021-08-20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10264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96A KR102643001B1 (ko) 2021-08-20 2021-08-20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96A KR102643001B1 (ko) 2021-08-20 2021-08-20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049A KR20230028049A (ko) 2023-02-28
KR102643001B1 true KR102643001B1 (ko) 2024-03-11

Family

ID=8532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496A KR102643001B1 (ko) 2021-08-20 2021-08-20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0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6112A (en) * 1974-12-23 1976-06-2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wo-piece, polygonal container
KR101026850B1 (ko) * 2008-07-15 2011-04-04 (주)조은포장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049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9792A1 (en) Container apparatus
RU2010143461A (ru) Погрузочная единиц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абсорбирующих гигие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US10160568B2 (en) Pallet container
US3888348A (en) Package for tumblers and the like
US3136472A (en) Framing and containers including same
US3463378A (en) Stackable container constituted by a cardboard outer container and a plastic inner container
US6237838B1 (en) Container for a hot water heater or similar article
KR102643001B1 (ko)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GB1561225A (en) Transportation box made of plastics material
US7866481B2 (en) Container for holding an article
US3462064A (en) Containers
JP6035974B2 (ja) 包装箱
US10189600B2 (en) Pallet-free bulk bin container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20170019851A (ko) 즉석식품용 세트포장용기
KR200310459Y1 (ko) 포장상자
JP2003128154A (ja) 生花等の梱包用容器
US10633143B2 (en) Lid for a reusable plastic container
WO1989000532A1 (en) A packaging system
KR200493056Y1 (ko) 제품 지지대와 이를 포함하는 박스
JP3126472U (ja) 蓋付き容器
KR200462396Y1 (ko) 포장상자용 덮개
US20110277424A1 (en) Method of packing furniture suite for shipping
JP2011111166A (ja) 梱包材
RU2081038C1 (ru) Тара для упаковки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