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237B1 -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 Google Patents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237B1
KR101026237B1 KR1020080134018A KR20080134018A KR101026237B1 KR 101026237 B1 KR101026237 B1 KR 101026237B1 KR 1020080134018 A KR1020080134018 A KR 1020080134018A KR 20080134018 A KR20080134018 A KR 20080134018A KR 101026237 B1 KR101026237 B1 KR 10102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oes
yarn fiber
polyest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091A (ko
Inventor
백남오
전면근
김용오
Original Assignee
전면근
에코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면근, 에코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면근
Priority to KR102008013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23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D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yarn) 섬유 코팅에 사용되는 Non PVC 컴파운드 조성물 및 그 적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체 접촉시 무해하며, 환경호르몬(내분비 교란물질)이나 소각시에 다이옥신 등의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신발 부품 인솔용으로 사용할 시 탁월한 항균작용과 방취효과가 있으며, 통기성이 뛰어나 장시간 신발을 착용할 때 땀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위생적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 에틸렌계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부, 항균방취제 1 내지 10 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5 내지 15 중량부, 활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 UV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무독성 무기안료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 폴리올레핀, 항균방취제, 산화방지제, UV안정제

Description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Ester yarn fiber coating Non PVC compound composition for shoes and insole material}
본 발명의 Non PVC 컴파운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를 코팅하는데 사용되는 Non PVC 컴파운드 조성물과 그 조성물이 사용된 얀 섬유로 제조되는 인솔 소재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친환경 및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환경과 생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국내외 세계적인 신발메이커 및 스포츠웨어 메이커는 친환경 무독성 소재 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던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로는 내수성, 내산성, 난연성 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l Chloride)을 주로 사용하였다.
폴리염화비닐은 가공시 유동성이 나빠 가소제의 첨가가 필수적이고, 고온에서 가공되기 때문에 열 또는 광에 의한 분해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위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가공시 중금속 계열의 열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를 필수적으로 첨가하게 된다. 열과 광에 의해 수지 내 C-Cl 결합이 분해되어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 생성되고, 디히드로할로게네이션 반응을 거쳐 분자사슬이 불포화되며, 이로 인한 수지 분해에 의해 흑화(黑化)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과 광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열안정화제는 수지의 가공 중 또는 가공 후에 수지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화합물로서, PVC 수지의 경우 카드뮴, 바륨, 아연, 납, 주석 등이 사용되고, 산화방지제로서는 아민계, 페놀계,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계 화합물은 많은 나라에서 규제를 받고 있으며, 특히 PVC와 같은 염소를 함유하는 산업제품은 폐기 처리시 발생되는 다이옥신의 생성이 인체뿐 아니라 환경적 측면에서도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할 뿐 아니라 환경오염규제에도 저촉되는 문제가 있는 PVC 계열의 코팅 조성물은 신발용으로는 그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던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한 코팅용 조성물과 비교할 때, 가공성과 경제성이 유지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신발용 얀 섬유 코팅 Non PVC 조성물과 그것이 적용된 인솔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탁월한 항균작용과 방취효과가 있으며, 통기성이 뛰어나 장시간 신발을 착용할 때 땀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위생적인 장점을 갖는 특성이 있 는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Non PVC 조성물과 그것이 적용된 인솔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계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부, 항균방취제 1 내지 10 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5 내지 15 중량부, 활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 UV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무독성 무기안료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 Non PVC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수지 및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방취제는 제오라이트항균제 이거나, 제오라이트항균제에 은나노, 옥나노, 황토나노, 숯나노, 톨루마이트나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화이트카본 및 탄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제는 스테아르산 아연, 올레아미드, 에루카아미드 및 베헨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방지제는 펜타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티-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네이트), 3,5-디-티-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 옥타데실, 트리스(2,4-디-티-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1,2-비스(3,5-디-티-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모일)히드라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UV안정제는 벤조페논,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2-2-히드록시-3'-티-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코트리아졸]) 및 9[2(2'-히드록시-3',5'-디-티-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독성 무기안료는 6대 중금속(납, 수은, 카드늄, 6가크롬, 비소, 코발트)과 아조그룹 및 폴리페닐계를 포함하지 않는 무기안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면, 본 발명의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층을 포함하는 신발용 인솔(insole)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발용 인솔(insole) 소재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층의 상부와 하부에 EVA 스펀지를 적재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얀 섬유는 가공성, 내후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은 항균작용과 방취효과가 탁월하며, 통기성이 뛰어나 장시간 신발을 착용할 때 땀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로 인해 위생적인 장점을 갖는 특성이 있어 특히 신발 인솔용 부품소재로 뛰어난 특성이 있으며, 기존 신발용 인솔은 EVA 스펀지 소재 위에 일반 섬유를 접착제로 접합시킨 형태이나, 본 발명의 조성물로 코팅된 얀 섬유는 신발 인솔용 EVA 스펀지와 열융착이 일어나므로 신발 인솔 제조시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탁월한 소재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계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부, 항균방취제 1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5 내지 15 중량부, 활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 UV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무독성 무기안료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00 중량부가 혼합되어 다른 구성성분 혼합량의 기준이 된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용융지수(Melt Index, ASTM D1238, g/10min)가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용융지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 코팅을 하면 토출량이 적어 압출기에 심한 부하가 걸리게 되고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코팅이 고르게 되지 않아 코팅 얀 섬유의 표면이 거칠게 된다. 또한, 용융지수가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성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점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얀 섬유 표면에 일정한 코팅을 할 수가 없고 코팅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에 냉각 및 와인더 공정시에 단사가 발생하는 빈도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폴리올레핀의 용융점(Melting Point)은 100 내지 150℃가 바람직한데, 용융점이 100℃ 미만일 경우에는 압출온도가 낮아 폴리에스터 얀 섬유에 대한 접착력이 떨어지고, 150℃ 초과일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열에 대한 변화가 크며, 안료가 변색되는 증상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폴리올레핀의 경도(Shore A 경도계로 측정)는 6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한데, 경도가 60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로 코팅된 얀 섬유를 이용하여 신발 인솔을 제작할 때, EVA 스펀지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시키므로 프레스의 열에 의해 코팅 얀 섬유의 형태 변화가 발생 할 수 있으며, 100 초과일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얀 섬유 표면이 너무 딱딱하여 신발 인솔 소재가 지녀야 할 부드러운 감촉을 저해하고, 표면이 너무 매끄러워서 신발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접착성 보강수지로 쓰여 코팅용 조성물에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2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되고,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수지 및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폴리올렌핀계 수지와 상용 혼화성이 좋아야하며, 용융지수 및 용융점을 고려해서 선택해야 하는데, 전술한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용융지수나 용윰점의 차이가 크게 되면 코팅용 조성물의 항균 방취제 및 충진제의 고른 분산이나, 수지의 알로이(Alloy)성 및 압출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전술한 항균방취제는 1 내지 10중량부가 혼합되며, 제오라이트계항균제, 은나노, 옥나노, 황토나노, 숯나노 및 토르마린나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반드시 제오라이트계항균제가 포함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항균과 방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1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면 항균방취 효과가 떨어지고, 10 중량부 이상을 사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증대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경제성을 감소시킬 뿐이다.
전술한 충진제는 코팅용 조성물의 멜트팩추어 현상을 감소시켜 원활한 코팅성을 부여하고, 조성물의 콤프레션셋팅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경제성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1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되며, 탄산칼슘, 탈크, 화이트카본 및 탄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면 조성물의 멜트팩추어 현상이 심하여 코팅성이 나빠지며, 콤프레션셋팅 현상 방지효과가 떨어진다. 40 중량부 이상 사용하면 조성물의 비중이 높아져 신발 소재로써 부적합한 요소를 제공하게 되며, EVA 스펀지와의 접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며, 코팅 얀 섬유의 인장과 신율을 떨어뜨리며 표면의 매끄러움도 저해한다.
전술한 폴리에틸렌왁스는 5 내지 15 중량부가 혼합되며, 분자량이 600 내지 800인 왁스 또는 1800 내지 2200인 왁스를 사용한다. 이 폴리에틸렌왁스는 압출기 호퍼에서 항균방취제 및 충진제등의 분말상이 수지 성분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성물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활제는 0.5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되며, 스테아르산 아연, 올레아미드, 에루카아미드 및 베헨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데, 압출시 스크류와 혼합물 사이에 마찰계수를 줄여 실린더나 스크류에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활제는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폴리에스터 얀과 코팅용 조성물간에 접착력이 저하된다.
전술한 산화방지제는 0.1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되며, 펜타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티-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네이트), 3,5-디-티-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 옥타데실, 트리스(2,4-디-티-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1,2-비스(3,5-디-티-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모일)히드라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태양광선으로부터 혼합물의 변색 및 노화를 방지시켜 내후성 및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UV안정제는 0.2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며, 벤조페논,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2-2-히드록시-3'-티-부틸-5'-메 틸페닐)-5-클로로벤코트리아졸]) 및 9[2(2'-히드록시-3',5'-디-티-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코팅용 조성물의 물성변화를 차단하여 안정화시키고, 코팅용 조성물의 변색 및 노화를 방지하여 내후성 및 내광성을 향상시켜준다.
전술한 무독성 무기안료는 0.2 내지 5 중량부가 혼합되며, 신발 소재에 사용이 금지된 6대 중금속 (납, 수은, 카드늄, 6가크롬, 비소, 코발트)과 아조그룹, 포르마린 및 폴리페닐기가 검출되지 않는 등 NIKE 24개 항목을 만족하는 안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인솔의 Color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은 수지상태로 제조되어 보관되다가 사용시에는 가열하여 사용되는데 전술한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한 수지의 제조방법은 믹서기를 이용하여 폴리올레핀 성분 표면에 분말상태의 나머지 성분의 조성물이 고르게 도포 되도록 혼합하고, 나머지 조성물이 도포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압출 하면서 폴리에틸렌과 나머지 성분의 조성물이 용융혼합되며, 압출되어 나오는 수지를 0.1 내지 0.3 밀리미터 직경의 크기로 펠레타이징(Pelletizing)하여 펠렛 형태로 형성된 수지를 냉수 냉풍건조한다.
전술한 압출기의 호퍼 온도는 상온이고, 실린더의 온도는 140 내지 180℃이 며, 다이의 온도는 160 내지 200℃이고, 싱글스크류타입의 익스트루더(Single Screw Type Extruder)는 L/D=36/1이상이며, 투윈 스크류타입의 익스트루더(Twin Screw Type Extruder)는 L/D=26/1이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층을 포함하는 신발용 인솔(insole) 소재의 제조가 가능한데, 상기 신발용 인솔(insole) 소재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층의 상부와 하부에 EVA 스펀지를 적재한 구조를 가진다.
전술한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 Non PVC 조성물로 코팅된 얀 섬유를 이용하여 신발 인솔(insole)을 제조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코팅된 얀 섬유와 신발 인솔 기재인 EVA 스펀지를 각각 위 아래로 적재한 것을 Press Mold에 넣어 일정한 압력과 온도, 시간을 주어 열융착 성형 시킨 후 Mold의 형태에 맞게 컷팅하여 제조한다. 이때 압력과 온도, 시간은 각각의 EVA 스폰지 종류와 신발인솔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나 본 발명의 조성물로 코팅된 얀 섬유는 인솔의 기재로 사용되는 EVA 스폰지 보다 내열성 이나 내압성이 강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조성물의 함량비에 따나 나타나는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 45 중량부, 제오라이트 2 중량부, 옥나노 5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7 중량부, 폴리아미드 0.5 중량부, 펜타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티-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네이트) 0.2 중량부, 벤조페논 0.5 중량부, 티탄옥사이드 0.3중량부를 혼합하여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옥텐공중합체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40 중량부, 제오라이트 3 중량부, 황토나노 5 중량부, 탈크 15 중량부, 폴리에틸렌 왁스 10 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펜타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티-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네이트) 0.5 중량부 및 벤조페논 1.0 중량부, 티탄옥사이드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 2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로 제조된 수지의 물성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8089063019-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항목에 따라 전체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범위의 물성은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를 코팅하기에 가장 알맞은 물성이다.

Claims (11)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계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부, 항균방취제 1 내지 10 중량부, 충진제 10내지 40 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5 내지 15 중량부, 활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 UV안정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무독성 무기안료 0.2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수지 및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균방취제는 제오라이트항균제이거나, 제오라이트항균제에 은나노, 옥나노, 황토나노, 숯나노, 톨루마이트나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화이트카본 및 탄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스테아르산아연, 올레아미드, 에루카아미드 및 베헨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펜타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티-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네이트), 3,5-디-티-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 옥타데실, 트리스(2,4-디-티-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1,2-비스(3,5-디-티-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모일)히드라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안정제는 벤조페논,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세바케이트), ([2-2-히드록시-3'-티-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코트리아졸]) 및 9[2(2'-히드록시-3',5'-디-티-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독성 무기안료는 6대 중금속(납, 수은, 카드늄, 6가크롬, 비소, 코발 트)과 아조그룹 및 폴리페닐계를 포함하지 않는 무기안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
  10. 청구항 1의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용 Non PVC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층을 포함하는 신발용 인솔(insole) 소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신발용 인솔(insole) 소재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층의 상부와 하부에 EVA 스펀지를 적재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인솔(insole) 소재.
KR1020080134018A 2008-12-26 2008-12-26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KR10102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18A KR101026237B1 (ko) 2008-12-26 2008-12-26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18A KR101026237B1 (ko) 2008-12-26 2008-12-26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091A KR20100076091A (ko) 2010-07-06
KR101026237B1 true KR101026237B1 (ko) 2011-03-31

Family

ID=4263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18A KR101026237B1 (ko) 2008-12-26 2008-12-26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821B1 (ko) 2020-03-02 2021-08-12 전면근 공기 부양식 구조물 제조에 사용되는 직물 원단 코팅용 케탈로이 변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부양식 구조물 제조에 사용되는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CN111363265A (zh) * 2020-03-10 2020-07-03 浙江和和塑胶有限公司 一种环保耐油pvc雨鞋及其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876B1 (ko) * 2001-03-29 2003-03-10 유피씨(주)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US20050204477A1 (en) * 2004-03-22 2005-09-22 Casella Victor M Fabric treatment for stain release
KR20080081170A (ko) * 2005-12-15 2008-09-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직물 함침을 위한 폴리올레핀 수성 분산액
KR100888808B1 (ko) * 2008-08-04 2009-03-13 에코얀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876B1 (ko) * 2001-03-29 2003-03-10 유피씨(주)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US20050204477A1 (en) * 2004-03-22 2005-09-22 Casella Victor M Fabric treatment for stain release
KR20080081170A (ko) * 2005-12-15 2008-09-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직물 함침을 위한 폴리올레핀 수성 분산액
KR100888808B1 (ko) * 2008-08-04 2009-03-13 에코얀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091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392A (zh) 树脂组合物、熔融成形物、多层结构体及制造树脂组合物的方法
JP2006524735A (ja) 抗菌性樹脂加硫ゴム物品及び未加硫組成物
KR101214983B1 (ko)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53715A (zh) 用于膜、纤维和模制品的聚烯烃组合物
KR101816875B1 (ko) 폴리프로필렌 친환경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8808B1 (ko) 폴리에스터 얀 섬유 코팅용 조성물
KR101239843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1026237B1 (ko) 신발용 폴리에스테르 얀 섬유 코팅 넌-피브이씨 컴파운드 조성물과 인솔 소재
CN101240088A (zh) 弹性体组合物、其制造方法及使用该组合物的消字工具
CN113278211A (zh) 一种聚乙烯母粒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00080172A (ja) マスターバッチ樹脂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9009069A2 (en) Polyvinyl chloride elastomers
KR20160036157A (ko)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조성물을 코팅한 섬유벨트제품의 제조방법
JP2006524740A (ja) 抗菌性未加硫ゴム組成物及び抗菌性加硫ゴム物品
US4356284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vinylidene fluoride and chlorinated polyethylene
JP6905880B2 (ja) クロロスルホン化ポリエチレンゴム引布
JP589551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4072948B2 (ja)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
JP3159322B2 (ja) 抗菌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604483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体
JPH0721091B2 (ja) 抗菌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2235939B1 (ko) 백색도가 향상된 발포제가 적용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23274B2 (ja) 抗菌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3868893B2 (ja) 樹脂組成物及び農業用フイルム
CN1068354C (zh) 含添加剂的树脂组合物和成型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