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793B1 -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793B1
KR101025793B1 KR1020090054418A KR20090054418A KR101025793B1 KR 101025793 B1 KR101025793 B1 KR 101025793B1 KR 1020090054418 A KR1020090054418 A KR 1020090054418A KR 20090054418 A KR20090054418 A KR 20090054418A KR 101025793 B1 KR101025793 B1 KR 10102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reader module
barcode reader
cas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189A (ko
Inventor
이장원
임태운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5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793B1/ko
Priority to CN201080026782.6A priority patent/CN102804614B/zh
Priority to PCT/KR2010/003916 priority patent/WO2010147408A2/ko
Priority to EP10789735.7A priority patent/EP2445114B1/en
Priority to US13/378,510 priority patent/US8814049B2/en
Publication of KR2010013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는, 상호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로 구성되는 단말기 케이스;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코드 리더모듈; 전면 케이스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키패드부; 및 후면 케이스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방아쇠와, 방아쇠의 당김 동작에 의해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스위치를 갖는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 바코드, 스위치

Description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BAR-CODE READER MODUL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 등을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정보단말기라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즉, '모바일 단말기'는 PDA,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쓰인다.
특히, 산업용 PDA는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용 PDA는 상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Bar-Code)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기(Bar-Code Reader), 신용카드 등의 결제를 위한 카 드 결제기 등의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를 말한다.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는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 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바코드 판독기는 서로 굵기가 다른 막대선(bar)을 조합시켜 코드로 만든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장치로서, 상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의 강약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 신호에 기초하여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한다. 슈퍼마켓 등의 상점에서 고객이 상품을 구입할 때 바코드 판독기로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 바로 판매 자료로 만드는 광경을 흔히 볼 수 있다. 바코드는 자료입력이 정확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므로 상품의 생산관리에서부터 판매관리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며, 특히 유통분야에서는 혁명을 일으켰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바코드 판독기는 산업용 PDA에 하나의 모듈(이하 '바코드 리더모듈'이라 함)로 구비될 수 있는데, 종래의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산업용 PDA는 바 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가 산업용 PDA의 전면 케이스의 일 영역에 위치한 키패드의 다양한 버튼 키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산업용 PDA는, 상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산업용 PDA를 파지한 후 다수의 버튼 키들이 조밀하게 조합된 키패드에서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 키를 찾아서 산업용 PDA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이나 다른 손의 검지손가락 등으로 눌러주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즉, 종래의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산업용 PDA는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코드 리더모듈;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스위치를 갖는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아쇠는 상기 후면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방아쇠를 덮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에 결합되는 방아쇠 덮개; 및 상기 방아쇠 덮개와 상기 방아쇠 사이에 배치되는 연성 재질의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아쇠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당김부; 상기 후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동작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당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위치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방아쇠의 당김시 상기 방아쇠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방아쇠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방아쇠 덮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측면을 덮는 형상을 따르되, 상기 방아쇠의 당김시 상기 방아쇠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방아쇠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스위치 가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위치 가압부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측면을 덮는 제1 부분; 상기 방아쇠의 상기 스위치 가압부의 단부를 에워싸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의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3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다른 부분들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선이 수용되는 홈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에는 상기 방아쇠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 인접한 상기 후면 케이스의 부분은 오목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의 동작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바코드용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코드용 스피커의 둘레를 에워싸는 가이드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투시창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투시창에 인접한 상기 후면 케이스의 부분은 경사진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과 상기 동작스위치는 상기 메인 PCB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아쇠 덮개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스위치는 돔 스위치(Dome Switch)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키패드부; 및 상기 전면 케이스에서 상기 키패드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면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방아쇠의 당김 동작에 의해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방아쇠를 당겨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상호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11)와 후면 케이스(12)로 구성되는 단말기 케이스(10)와,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코드 리더모듈(40, Bar-Code Reader Module)과,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바코드 리더모듈(40)을 포함한 각종 내장부품들이 장착되는 메인 PCB(90, Printed Circuit Board)와, 전면 케이스(11)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키패드부(20)와, 전면 케이스(11)의 다른 영역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30)와, 후면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방아쇠(15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40)을 구동시키는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50)과, 바코드 리더모듈(40)의 동작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바코드용 스피커(6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산업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반용 PDA는 물론, 휴대폰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 케이스(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다수의 내장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단말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각종 내장부품들을 장착하거나 내장부품들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11)와 후면 케이스(12)로 구성된다. 전면 케이스(11)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전면을 형성하고, 후면 케이 스(12)는 단말기 케이스(10)의 후면을 형성한다. 이때, 전면 케이스(11)와 후면 케이스(12)의 결합은 상호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볼트 결합 방식이 적용된다. 한편, 후면 케이스(12)의 하단부에는 배터리(B)가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1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코드 리더모듈(40)은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메인 PCB(90)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 바코드 리더모듈(40)은 후면 케이스(12)와 메인 PCB(9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서 그 상단 영역에 배치되고 모듈 브라켓(41)에 의해 메인 PCB(90)의 후면에 장착되어 메인 PCB(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코드 리더모듈(40)은 상용화된 제품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바코드 리더모듈(40)은 후면 케이스(12)에 마련된 투시창(15)을 통해 인식 대상인 바코드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의 강약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 신호에 기초하여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한다. 이에 투시창(15)은 바코드 리더모듈(40)에 의해 조사되는 빛과 바코드가 인쇄된 매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투과될 있도록 광 투과성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바코드 리더모듈(40)의 장착 위치는 투시창(15)의 형성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투시창(15)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에 갖다대기 편리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 타입(Bar-Type) 모바일 단말기(100)임을 감안하여 후면 케이스(12)의 상단부에 투시창(15)이 마련되며, 투시창(15)에 인접한 후면 케이스(12)의 부분(19)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 에 안정적으로 갖다댈 수 있도록 경사진 평면 형상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바코드 리더모듈(40)의 장착 위치 및 투시창(15)의 형성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PCB(9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전면 케이스(11)와 후면 케이스(12)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메인 PCB(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리더모듈(40)을 포함한 각종 내장부품들이 장착되는 부분을 제공한다. 예컨대, 메인 PCB(9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을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70),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미도시), 저장 매체인 메모리 카드(91), W-CDMA 휴대전화용 사용자 식별 카드인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93)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PCB(90)에 장착된 내장부품들은 컨트롤러(미도시)와 메인 PCB(9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메인 PCB(90)에 장착된 내장부품들은 물론 후술할 키패드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제어하는 등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등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펌웨어(Firmwar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키패드부(20)는 전면 케이스(1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된다. 키패드부(2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각종 정보 및 조작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 다수의 문자/숫자 키(21), 다수의 기능 키(22), 내비게이션 키(23) 등을 포함한다. 키패드부(20)의 다양한 키들(21,22,23)은 누름 방식(버튼 방식)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면 케이스(11)와 메인 PCB(90) 사이에서 키패드부(20)와 인접한 위치에는 키패드부(20)의 다양한 키들(21,22,23)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돔 스위치(Dome Switch)들이 장착된 키패드용 PCB(95)가 마련된다. 키패드용 PCB(95)는 플랙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메인 PCB(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내비게이션 키(23)의 경우 최근 각종 단말기 제품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는 터치 방식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터치 방식'이란 노트북 등에 채용되고 있는 '터치 패드 방식'과 애플사의 아이팟 제품에 채용되어 유명해진 '터치휠 방식'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가벼운 터치만으로 메뉴 등을 선택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는 전면 케이스(11)의 상부 영역에서 키패드부(20)와 인접하게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30)는 각종 이미지를 포함한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평판 표시 장치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메인 PCB(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다르게, 디스플레이부(30)의 표시면에는 각종 정보 및 조작 명령 등을 디스플레이부(30)의 표시면 상에서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의 표시면 상에 터치 패널이 더 마련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키패드부(2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50)은, 건(GUN) 타입 구동 구조로, 후면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방아쇠(150)와, 방아쇠(150)의 당김 동작에 의해 바코드 리더모듈(40)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스위치(450)와,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방아쇠(150)를 덮도록 후면 케이스(12)에 결합되는 방아쇠 덮개(350)와, 방아쇠 덮개(350)와 방아쇠(150) 사이에 개재되는 연성 재질의 실링 부재(250)를 포함한다.
방아쇠(15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도록 후면 케이스(12)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당김부(151)와, 후면 케이스(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153)와, 동작스위치(450)를 가압하도록 당김부(15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위치 가압부(155)를 포함한다. 방아쇠(150)는 통상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김부(151)는 후면 케이스(12)에 관통 형성된 개구(16)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바코드 리더모듈(40)을 동작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의 검지손가락 등에 의해 당겨진다. 이때, 당김부(151)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16)에 인접한 후면 케이스(12)의 부분(13)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데, 이는 방아쇠(150)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회동부(153)는 당김부(1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는 회동축(153a)이 형성된다. 이때, 회동축(153a)은 후면 케이스(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방아쇠 결합구(12a)에 후크 방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방아쇠(150)의 당김시 방아쇠(15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한다.
스위치 가압부(155)는 당김부(151)로부터 메인 PCB(90) 쪽으로 연장되며 방아쇠 덮개(350)에 형성된 관통홀(351)을 통해 동작스위치(450)를 가압하도록 돌출된 봉 형상을 갖는다. 스위치 가압부(155)는 방아쇠(15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실링 부재(250)를 매개로 동작스위치(450)를 접촉 가압한다.
동작스위치(4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150)의 스위치 가압부(15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메인 PCB(90)의 후면에 실장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방아쇠(150)가 당겨져 방아쇠(150)의 스위치 가압부(155)가 동작스위치(450)를 가압하면, 동작스위치(450)는 바코드 리더모듈(40)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메인 PCB(90)를 통해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되고, 이에 컨트롤러는 상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모듈(40)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스위치(450)는 돔 스위치(Dome Switch)로 마련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돔 스위치 외에도 방아쇠(150)의 당김 동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등을 포함하여 그 어떠한 것도 적용 가능하다.
방아쇠 덮개(3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방아쇠(150)를 덮도록 후면 케이스(12)의 내측면에 볼트(355)로 결합된다. 방아쇠 덮개(350)는 볼트(355)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부(353)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는다. 방아쇠 덮개(350)는 동작스위 치(45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방아쇠(150)의 스위치 가압부(155)가 관통되도록 관통홀(351)이 형성된다. 방아쇠 덮개(350)는 통상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아쇠 덮개(350)는 후술할 실링 부재(25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우징 또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실링 부재(25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 덮개(350)와 방아쇠(150) 사이에 배치되는 연성 재질의 부재로, 기본적으로 방아쇠 덮개(350)의 내측면을 덮는 형상을 따르되, 방아쇠(150)의 당김시 방아쇠(150)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아쇠(150)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방아쇠(150)의 스위치 가압부(15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방아쇠 덮개(35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 가압부(155)를 에워싸는 형상을 갖는다. 즉, 실링 부재(250)는 방아쇠 덮개(350)의 내부에 수용되어 방아쇠 덮개(35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방아쇠(150)에 탄성바이어스를 부여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250)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 부재(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 덮개(350)의 내측면을 덮는 제1 부분(251)과, 방아쇠(150)의 스위치 가압부(155)의 단부를 에워싸는 제2 부분(252)과, 제2 부분(252)의 둘레를 따라 후면 케이스(12) 쪽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부분(253)과, 제1 부분(251)으로부터 절곡되어 제3 부분(253)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254)을 포함한다. 실링 부재(25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아쇠(150)의 당김시 제2 부분(252), 제3 부분(253) 및 제4 부분(254)에 의해 한정되는 함몰 공간(S)이 압축되는 형태로 변형되고, 변형된 실링 부재(250)는 방아 쇠(150)의 당김 해제시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실링 부재(250)는 방아쇠(150)에 탄성바이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실링 부재(250)는 그 형상의 변형 및 복귀 작용으로 방아쇠(150)의 당김시 방아쇠(150)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아쇠(150)를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한편, 제3 부분(253)은 다른 부분들(251,252,254)보다 큰 두께를 갖는데, 이는 방아쇠(150)에 안정적이면서도 충분한 탄성바이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링 부재(250)는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후면 케이스(1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후면 케이스(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선(12b)이 수용되는 홈선(255)이 형성된다. 홈선(255)은 실링 부재(25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형태로 실링 부재(25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링 부재(25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방아쇠(150)의 둘레를 밀폐시킴으로써 후면 케이스(12)에 관통 형성된 개구(16)와 방아쇠(150) 사이의 틈새로 들어오는 수분이 메인 PCB(90)까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고, 방아쇠(150)의 당김시 방아쇠(150)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아쇠(150)를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방아쇠(150)의 클릭감 혹은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실링 부재(250)는 동작스위치(450)를 가압하는 방아쇠(150)의 스위치 가압부(155)가 동작스위치(450)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스위치 가압부(155)의 단부를 에워쌈으로써 동작스위치(450)를 보호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코드용 스피커(6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메인 PCB(90)의 후면에 실장된다. 바코드용 스피커(60)는 전화 통화시 통화음을 발생 시키는 통화용 스피커(80, 도 5 참조)와 별도로 마련되며, 통화용 스피커(80)보다 큰 출력을 갖는다. 바코드용 스피커(60)는 바코드 리더모듈(40)에 의해 상품 등에 인쇄된 바코드에 대한 판독 동작이 진행될 때, 판독 동작의 성공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판독 동작의 성공시 발생하는 신호음과 판독 동작의 실패시 발생하는 신호음은 다르게 설정되거나, 판독 동작의 성공시에만 신호음이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후면 케이스(12)는 바코드용 스피커(60)에서 발생하는 신호음이 외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바코드용 스피커(60)의 둘레를 에워싸는 가이드 격벽(14)이 형성되고, 바코드용 스피커(6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스피커공(18)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후면 케이스(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방아쇠(150)의 당김 동작에 의해 바코드 리더모듈(40)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모바일 단말기(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방아쇠(150)를 당겨 바코드 리더모듈(40)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모바일 단말기(100)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모듈(40)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링 부재(250)를 방아쇠 덮개(350)와 방아쇠(15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후면 케이스(12)에 관통 형성된 개구(16)와 방아쇠(150) 사이의 틈새로 들어오는 수분이 메인 PCB(90)까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방아쇠(150)의 당김시 방아 쇠(150)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아쇠(150)를 탄성바이어스 시켜 방아쇠(150)의 클릭감 혹은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바일 단말기
10 : 단말기 케이스
11 : 전면 케이스
12 : 후면 케이스
20 : 키패드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바코드 리더모듈
50 :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
150 : 방아쇠
250 : 실링 부재
350 : 방아쇠 덮개
450 : 동작스위치
60 : 바코드용 스피커
70 : 무선통신모듈
80 : 통화용 스피커
90 : 메인 PCB
95 : 키패드용 PCB

Claims (15)

  1. 상호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코드 리더모듈;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스위치를 갖는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아쇠는 상기 후면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 구동유닛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방아쇠를 덮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에 결합되는 방아쇠 덮개; 및
    상기 방아쇠 덮개와 상기 방아쇠 사이에 배치되는 연성 재질의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당김부;
    상기 후면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동작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상기 당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위치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방아쇠의 당김시 상기 방아쇠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방아쇠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방아쇠 덮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측면을 덮는 형상을 따르되, 상기 방아쇠의 당김시 상기 방아쇠의 당김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방아쇠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스위치 가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위치 가압부를 에워싸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방아쇠 덮개의 내측면을 덮는 제1 부분;
    상기 방아쇠의 상기 스위치 가압부의 단부를 에워싸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의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3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선이 수용되는 홈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에는 상기 방아쇠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 인접한 상기 후면 케이스의 부분은 오목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의 동작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바코드용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코드용 스피커의 둘레를 에워싸는 가이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투시창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투시창에 인접한 상기 후면 케이스의 부분은 경사진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을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리더모듈과 상기 동작스위치는 상기 메인 PCB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아쇠 덮개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스위치는 돔 스위치(Dome Switch)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키패드부; 및
    상기 전면 케이스에서 상기 키패드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1020090054418A 2009-06-18 2009-06-18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101025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18A KR101025793B1 (ko) 2009-06-18 2009-06-18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CN201080026782.6A CN102804614B (zh) 2009-06-18 2010-06-17 具有信息辨识模块的移动终端机
PCT/KR2010/003916 WO2010147408A2 (ko) 2009-06-18 2010-06-17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EP10789735.7A EP2445114B1 (en) 2009-06-18 2010-06-17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US13/378,510 US8814049B2 (en) 2009-06-18 2010-06-17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18A KR101025793B1 (ko) 2009-06-18 2009-06-18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189A KR20100136189A (ko) 2010-12-28
KR101025793B1 true KR101025793B1 (ko) 2011-04-04

Family

ID=4351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418A KR101025793B1 (ko) 2009-06-18 2009-06-18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468A (ko) 2019-07-30 2021-02-09 김도현 쇼핑벨 - 바코드인식 기능, 제품 검색과 제품 추천 기능, qr코드 생성 및 결제 기능, 진동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쇼핑 서비스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110A (ja) 2001-04-11 2002-10-25 Denso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9009536A (ja) * 2007-05-31 2009-01-15 Denso Wave Inc 携帯情報端末
JP2009063802A (ja) 2007-09-06 2009-03-26 Denso Wave Inc 携帯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110A (ja) 2001-04-11 2002-10-25 Denso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9009536A (ja) * 2007-05-31 2009-01-15 Denso Wave Inc 携帯情報端末
JP2009063802A (ja) 2007-09-06 2009-03-26 Denso Wave Inc 携帯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189A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049B2 (en)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US9160393B2 (en) Mobile terminal
KR101027052B1 (ko) 모바일 단말기
KR1015455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529916B1 (ko) 휴대 단말기
US8383966B2 (e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ulti-character keycap
US6784874B1 (en) Push-button switch membe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push-button switch member and payment system us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105094225A (zh) 移动终端
KR1019176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901610B1 (ko) 이동 단말기
JP2007207107A (ja) 携帯端末装置
KR102225444B1 (ko) 올인원 키오스크
JP2013541265A (ja) モバイル端末機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13170A (ko)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0851361B1 (ko) 모바일 단말기
KR101025793B1 (ko) 바코드 리더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JP2007004501A (ja) 電子機器
US20020110465A1 (en) Construction of touch screen
KR101088048B1 (ko)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918987B1 (ko) 이동 단말기
JP4797785B2 (ja) 携帯電子機器、設定変更方法、および設定変更プログラム
CN110392136B (zh) 移动终端及其显示控制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20060078769A (ko) 바코드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 상거래 방법
CN212112488U (zh) 手持终端及其物理组件
KR100777053B1 (ko)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