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429A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429A
KR20160141429A KR1020150077069A KR20150077069A KR20160141429A KR 20160141429 A KR20160141429 A KR 20160141429A KR 1020150077069 A KR1020150077069 A KR 1020150077069A KR 20150077069 A KR20150077069 A KR 20150077069A KR 20160141429 A KR20160141429 A KR 2016014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ectronic device
window glass
front cas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정병운
고은광
김현우
하정현
최형철
현안선
유치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429A/ko
Priority to US15/152,720 priority patent/US10152084B2/en
Publication of KR2016014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3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윈도우글래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코일, 및 상기 제 1 코일과 연결되되,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코일과 다른 높이에 형성된 제 2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NFC 안테나의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NFC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의 강도가 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NFC 안테나의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타입(glass type), 와치 타입(watch type)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디자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한정된 공간에 필요한 전자 소자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최적화된 설계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NFC 안테나의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NFC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의 강도가 강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윈도우글래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코일, 및 상기 제 1 코일과 연결되되,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코일과 다른 높이에 형성된 제 2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영역(Outer Are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은 루프 형상이며 상기 루프 형상의 제1,2 코일은 적어도 일회의 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홀(Conductive Ho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코일에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회로기판(PCB)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 홀은 상기 회로기판과 적어도 일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와 회로기판을 연결해주는 연성 회로기판(FPC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적어도 일 부분이 연성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dge Area)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스피커 외곽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1 코일이 위치하는 면과 수직인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를 보호하기 위한 스피커 격벽(speaker housing)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스피커 격벽의 측면을 감쌀(enfold)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면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해주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와, 상기 제 1,2 코일에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인쇄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後面)측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금속 재질로 구성된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前面)측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의 후면(後面)측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영역이 금속재질로 구성된 배터리 커버, 및 적어도 일부 구성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마련된 제1 코일과,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바디의 전면측으로 자기장을 방사하되,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제1 코일과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안테나에 인가된 전류는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이 상호 인접된 영역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윈도우글래스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일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은 루프 형상이며, 상기 루프 형상의 제1,2 코일은 적어도 일회의 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NFC 안테나의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NFC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의 강도가 강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도니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 및 분해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아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들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 2 코일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방출되는 자기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 리어 케이스(202) 및 배터리 커버(2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소자가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모듈(252), 근접센서(241), 카메라 모듈(2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에는 마이크(222), 측면 입력부(23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모듈(252), 근접센서(241), 카메라 모듈(2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전면 입력부(231)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입력부(231)는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입력부(231)는 터치키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입력부(231)에 푸시키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 전면에 전면 입력부(231)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200)는 단말기 본체에 대한 입력조작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술할 후면 입력모듈(233)를 통하여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되는 측면 입력부(232)는 스피커(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 모듈(2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카메라(2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들(221, 2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시(223)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223)는 카메라 모듈(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스피커(2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스피커(252')는 전면의 스피커(2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91)가 장착된다. 배터리(291)는 전원공급부(190)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배터리(291)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입력모듈(233)가 배치된다. 후면 입력모듈(233)는 사용자 입력부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된다. 후면 입력모듈(233)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입력모듈(233)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스피커(252, 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면 입력모듈(233)는 푸시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하, 상기 후면 입력모듈(233)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10)가 윈도우글래스(273)와 디스플레이 모듈(249)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273) 및 디스플레이 모듈(249)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273)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273)의 일면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터치 감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턴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터치 감지 패턴은 윈도우글래스(273)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턴은 윈도우글래스(273)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압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화시킬 수 있다. 윈도우 글래스(273)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나 유리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49)은 윈도우글래스(273)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49)은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49)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회로기판(PCB, 281)이 내장된다. 회로기판(281)은 프론트 케이스(201) 또는 리어 케이스(202)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가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들(201, 20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281)은 이동 단말기(2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제어부로서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회로기판(281)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된다. 회로기판(281)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28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서브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이들의 적어도 일부가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공간적으로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리어 케이스(202)에는 배터리(291)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292)가 형성되며, 배터리 커버(203)는 배터리 수용부(292)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2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291)가 착탈 가능한 상기 구조와 달리, 배터리(291)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착탈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 커버(203)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후면측에 위치하며, 배터리 커버(203)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는 가장자리 영역과 중심 영역의 재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201)의 가장자리 영역은 몰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201)의 중심 영역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커버(203)가 전자 디바이스(20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즉, 배터리 커버(203)가 전자 디바이스(200)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프론트 케이스(201)의 가장자리 영역을 감쌀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 배터리 커버(203)가 전자 디바이스(200)의 측면을 감싸며 배터리 커버(203)의 측면은 몰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곡면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밴드부(130)를 포함하며,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본체부(101)와 탈부착될 수 있다.
밴드부(130)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경우 곡면 형태로 형성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착용이 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전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에 밴드기판(185),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안테나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밴드기판(185)은 휘어지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한다. 밴드기판(185)은 단단한 소재의 기판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플렉서블 기판이 개재될 수도 있고, 밴드기판(185)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기판(185)은 밴드부(130)에 실장된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무선통신부(110) 등을 제어하는 IC(183)가 실장되고, IC(183)는 본체부(101)와 연결된 경우 본체부(101)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안테나(117) 등은 밴드기판(185)과 별도로 밴드부(130)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밴드기판(185)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밴드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밴드기판(18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양 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밴드기판(18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되어 있더라도, 밴드부(130)의 단부가 본체부(101)와 연결되거나, 밴드부(1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분리된 밴드기판(185)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의 밴드기판(185)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광출력부(254) 및 IC(183)가 위치하고, 외장 배터리(191)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타측의 밴드기판(185)에는 마이크(122), 안테나(117), IC(183) 및 내장 배터리(19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더 많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밴드부(130) 단부에 밴드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32)이 위치하며, 본 실시예에서 슬릿(132)은 밴드부(130)의 양 단부에 하나씩 형성되며 슬릿(132)에 의해 밴드부(130)의 양 단부는 2개의 분할단부(133)로 구획된다. 상기 슬릿(132)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할단부(133)의 개수도 증가한다.
밴드부(130)가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분할단부(133)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단부(133)는 밴드부(130)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로 휘어질 수 있으며, 슬릿(132)에 의해 구획된 분할단부(133)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밴드부(130)의 단부, 즉 분할단부(133)의 측면에서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홀(134)을 더 포함한다. 본체부(101)와 체결을 위해 힌지핀(139)이 상기 체결홀(134)에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상기 힌지핀(139)이 관통하는 힌지홀(101b)을 포함한다.
밴드부(130)를 관통하는 힌지핀(139)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134)과 힌지홀(10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접속링(18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링(188)은 밴드부(130)의 체결홀(134) 내측에 구비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접속링(188)의 단부는 밴드부(130)에 실장된 밴드기판(185)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는 전면에 시간 눈금과 시간을 가리키는 시침 초침등을 포함하는 시계 문자판(102)이 위치하고, 상기 밴드부(130)와 상기 힌지핀(139)을 통해 결합되는 밴드 체결부(101a)를 양측에 포함한다. 밴드 체결부(101a)는 밴드부(130)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밴드부(130) 체결돌기와 상기 밴드부(130) 체결돌기에 형성된 힌지홀(101b)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이 삽입되어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통상의 손목시계 기능만 하는 시계본체일 수 있다. 통상의 시계도 시계의 줄을 교체할 수 있도록 밴드 체결부(101a)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체결부(101a)의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밴드부(130)를 교체할 수 있는 바, 통상의 본체부(101)에도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를 체결할 수 있다.
별도의 전자부품가 실장되지 않은 본체부(101)의 경우라도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을 위해 배터리(192)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2)는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에만 이용할 수 있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의 구동 및 디스플레이부(151)가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3)의 구동은 밴드부(130)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실장된 본체부(10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53), 제어를 위한 회로부(184)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192)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되지 않은 카메라(121)와 같은 구성이 본체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3)는 윈도우글래스(125)와 디스플레이 모듈(151)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125) 및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통상의 시계로 이용할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해 출력할 때에만 불투명/반투명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전면에 윈도우 글래스(125)를 더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1) 자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 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힌지홀(101b) 내측에도 접속링(188)이 구비되어 상기 접속링(188)을 통해 본체부(101) 내부의 회로부(184)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연결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1)에는 디스플레이 기능만 구비된 경우 밴드부(130)를 연결하면 밴드부(130)에 구비된 안테나(117)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를 통해 음향정보도 함께 출력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단부를 통해 본체부(101)와 연결하는 것 이외에 힌지핀(139)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전자 디바이스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카드 또는 버스 카드 등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요금 결제기에 근접시키면, 모바일 근거리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출입 승인기에 근접 시키면, 출입의 승인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등의 카드는 애플릿(applet) 형태로 보안 모듈에 탑재되고, 보안 모듈은 탑재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학번 또는 사번), 출입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스마트 포스터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URI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일반 제어 타입인 경우, 제어 내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윈도우글래스(125)는 본체부(101)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125)의 일면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터치 감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턴은 윈도우글래스(125)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턴은 윈도우글래스(125)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압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화시킬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125)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나 유리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윈도우글라스(125)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일면에 프레임(104)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04)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지지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프레임(104)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4)은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4)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일면뿐만 아니라 일면과 연장되는 면들을 보호해줄 수 있다. 즉, 프레임(104)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감쌀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하부면에는 차폐도료층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프레임(104) 사이에 차폐도료층이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폐도료층은 산화철 및/또는 페라이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도료층은 안테나 방사를 방해하는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차폐도료층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즉, 차폐도료층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가장자리 영역을 감쌀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104)의 일면에 배터리(192)를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192)는 후술할 본체부(101)에 의하여 프레임(104)의 일면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192)가 착탈 가능한 상기 구조와 달리, 배터리(192)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착탈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01)는 윈도우글래스(125), 디스플레이 모듈(151), 프레임(104), 및/또는 배터리(192)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즉, 본체부(101)는 윈도우 글래스(125), 디스플레이 모듈(151), 프레임(104), 및/또는 배터리(192) 등을 내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체부(101)는 몰드 및/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1)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윈도우글래스(273)와 프론트 케이스(201)를 준비할 수 있다(S10).
다음으로,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의 가장자리 영역(edge area)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S20). 상세하게,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 하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273)의 가장자리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영역(outer area)일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윈도우글래스(273)에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코일(313)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도선을 진동 가열하고 가열된 도선이 윈도우글래스(273)에 접하면 윈도우글래스(273)는 융용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융용된 부분에 들어가 융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코일(327)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스피커(252) 외곽 영역(outer area)을 따라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S30). 상세하게, 제 2 코일(327)은 프론트 케이스(201) 상부면의 스피커(252) 외곽 영역을 따라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스피커(252)는 주변이 격벽으로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노이즈가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코일(327)을 외곽 영역에 인쇄하여도 신호를 전달하는데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코일(327) 또한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코일(327)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도선을 진동 가열하고 가열된 도선이 프론트케이스(201)에 접하면 프론트 케이스(201)는 융용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은 융용된 부분에 들어가 융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윈도우글래스(273)와 프론트 케이스(201)를 결합하여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을 연결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도전 홀(Conductive Hole, 28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제 1 코일(313)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되며, 제 2 코일(327)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회로기판(281)과도 적어도 일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안테나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1 코일(313) 및/또는 제 2 코일(327)이 적어도 두 턴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 및/또는 제 2 코일(327)이 적어도 두 턴 이상 형성되면, 제 1 코일(313) 및/또는 제 2 코일(327)은 더 강한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이 적어도 두 턴 이상 형성되기 위하여 윈도우글래스(273) 가장자리 영역에 충분한 면적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이 한 턴 형성될 경우보다 디스플레이 모듈(249)이 윈도우글래스(273)에 비하여 더 작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이 전자 디바이스(200)의 두께 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그라운드 커플링에 의해 더 강한 자기장을 발산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프론트 케이스(201)가 중심 프레임(267)과 엣지 프레임(259)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프레임(267)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중심 프레임(267)은 후면에 배터리(29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전면에 디스플레이 모듈(249)을 지지할 수 있다. 중심 프레임(267)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59)은 중심 프레임(267)의 측면과 전면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59)은 윈도우글래스(273)를 지지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59)은 몰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엣지 프레임(259)는 중심 프레임(267)에 비해 더 쉽게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 후면에 위치하며 제 2 코일(327)은 엣지 프레임(259)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이 위치하는 영역과 마주보는 엣지 프레임(259)의 영역은 제 1 코일(313)의 공간 확보를 위해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 2 코일(313)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글래스(273)의 일측 모서리에만 위치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코일(313)의 영역과 유사한 디스플레이 모듈(249) 외곽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1 코일(313)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연성 회로기판(FPCB, 277)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코일(313)의 도전 홀(284)과 연결되는 일 부분의 반대측에서 연성 회로기판(277)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회로기판(277)은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급전(power feed)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스피커(252)의 일변에 카메라(221)가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스피커(252)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 2 코일(327)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카메라(221) 주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코일(327)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카메라(221)와 스피커(252) 주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코일(327)은 스피커(252)와 카메라(221)를 둘러싸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코일(327)은 스피커(252)와 카메라(221)를 제외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2 코일(327)이 스피커(252)가 아닌 다른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코일(327)의 루프 면적이 넓어져 더 큰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윈도우글래스(273)와 디스플레이 모듈(249)을 준비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S120). 제 1 코일(313)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윈도우글래스(273)에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코일(327) 또한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49)에 인쇄될 수 있다(S130). 상세하게, 제 2 코일(327)은 디스플레이 모듈(249) 후면 하단부에 인쇄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윈도우글래스(273)와 디스플레이 모듈(249)를 결합하여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을 연결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도전 홀(28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제 1 코일(313)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되며, 제 2 코일(327)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후술할 연성 회로기판(277)과도 적어도 두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적어도 두 부분이 연성 회로기판(277)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회로기판(277)은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급전(power feed)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1 코일(313)이 윈도우글래스(273) 후면에 위치하며 제 2 코일(327)은 디스플레이 모듈(249)의 후면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이 위치하는 영역과 마주보는 엣지 프레임(259)의 영역은 제 1 코일(313)의 공간 확보를 위해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2 코일(327)이 디스플레이 모듈(249)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코일(327)은 디스플레이 모듈(249)의 스피커나 카메라에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코일(327)이 노이즈로부터 방해를 덜 받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 및 분해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윈도우글래스(273)와 프론트 케이스(201)을 준비할 수 있다(S210).
다음으로,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S220). 상세하게,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 하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윈도우글래스(273)에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코일(327)은 제 1 코일(313)이 인쇄된 면과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엣지 프레임(259)에 인쇄될 수 있다(S230). 다시 말해, 제 2 코일(327)의 루프 형상과 제 1 코일(313)의 루프 형상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이 위치하는 영역과 마주보는 엣지 프레임(259)의 영역은 제 1 코일(313)의 공간 확보를 위해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은 도 1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디바이스(200)의 두께 방향의 면을 기준으로 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윈도우글래스(273)와 프론트 케이스(201)를 결합하여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을 연결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도전 홀(28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제 1 코일(313)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되며, 제 2 코일(327)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회로기판(281)과도 적어도 두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코일(327)은 공간의 제약이 적어지기 때문에 루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200)의 안테나가 더 많은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프론트 케이스(201) 및 회로기판(281)을 준비할 수 있다(S310).
다음으로, 제 1 코일(313)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S320). 상세하게, 제 1 코일(313)은 엣지 프레임(259) 상부면의 프론트 케이스(201)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코일(313)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 부분에 위치한 도전 홀(284)에 적어도 일 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전 홀(284)을 회로기판(281)의 적어도 일면에 도금할 수 있다(S330). 상세하게, 도전 홀(284)의 적어도 두 부분의 돌출부를 회로기판(281)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킨 후 도금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제 1 코일(313)과 후술할 제 2 코일(327)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기판(281)의 일 영역에 제 2 코일(327)을 인쇄할 수 있다(S340). 상세하게, 회로기판(281)과 도전 홀(284)이 접하는 적어도 두 부분을 양 끝단으로 하여 제 2 코일(327)을 인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 1 코일(313)은 엣지 프레임(259)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59)와 윈도우글래스(273) 사이에 제 1 코일(313)이 삽입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엣지 프레임(259)의 제 1 코일(313) 주변 영역이 함몰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은 회로기판(281)의 적어도 일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심 프레임(267)과 회로기판(281)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2 코일(327)이 회로기판(281) 내에 인쇄되기 때문에 제 2 코일(327)의 설치에 따른 공간의 낭비가 줄어들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윈도우글래스(273)와 프론트 케이스를 준비할 수 있다(S410).
다음으로,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S420). 상세하게,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273) 하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윈도우글래스(273)에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코일(327)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스피커 격벽(269)에 인쇄될 수 있다(S430). 상세하게, 제 2 코일(327)은 프론트 케이스의 스피커를 보호해주는 스피커 격벽(269)의 측면을 감싸며 인쇄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연속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도전 홀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2 코일(327)이 적어도 두 턴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이 적어도 두 턴 이상 형성되면, 제 2 코일(327)은 더 강한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코일(327)은 스피커 격벽(269)에 위치하기 때문에 복수회 턴을 하여도 공간 확보에 문제가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 2 코일(327)이 스피커 격벽(269)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코일(327)을 설치할 공간이 넓어질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평면도들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125)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윈도우글래스(273)에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은 본체부(101) 중 밴드부(도 6의 130)와 연결되는 상부 또는 하부 연결영역에 인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코일(327)의 양 끝단은 본체부(101)의 중심영역에 위치하고 루프형상은 상부 또는 하부 연결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도전 홀(284)에 의해 윈도우글래스(125)와 본체부(101)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제 1 코일(313)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되며, 제 2 코일(327)의 적어도 두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홀(284)은 회로부(도 6의 184)와도 적어도 두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코일(313)은 윈도우글래스(125)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은 적어도 하나의 턴을 가지는 루프 형상으로 윈도우글래스(273)에 인쇄될 수 있다. 제 1 코일(313)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은 본체부(101)의 중심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코일(327)은 본체부(101)의 중심영역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제 2 코일(327)의 인쇄 방식은 상술한 인쇄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두께 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은 그라운드 커플링에 의해 더 강한 자기장을 발산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 2 코일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이 마주보는 영역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코일(313)은 시계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며, 제 2 코일(327)은 시계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기존 전자 디바이스는 제 1 코일(313)에 전류가 흐를 때 영상 이론(Images Theory)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와 전류(Eddy current)가 생성될 수 있다. 와 전류는 그라운드 전류일 수 있다. 와 전류는 제 1 코일(313)의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와 전류는 제 1 코일(313)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와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제 1 코일(313)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양보다 방사되는 전체 자기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제 1 코일(313)의 전류 방향과 반대로 전류가 흐르는 제 2 코일(327)이 더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와 전류가 제 1 코일(313)과 같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코일(313)과 제 2 코일(327)에 의해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실선으로 나타낸 제 1 코일(313)의 전류 방향과 점선으로 나타낸 그라운드 전류의 방향이 같고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제 2 코일(327)의 전류 방향과 반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방출되는 자기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도 3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코일이 존재하지 않은 기존의 전자 디바이스는 방사되는 자기장의 중심부에 넓은 널 포인트(null point)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널 포인트는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없거나 아주 적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코일이 추가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널 포인트가 상당부분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접지 커플링 전류와 제 1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여 전자 디바이스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더 많아짐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전면부에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전자 디바이스(200)를 사용하고 있다가도 편리하게 카드 리더기에 태깅(tagging)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2의 (b)를 참조하면, 기존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후면부에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전자 디바이스(200)를 사용하고 있다가 카드 리더기에 태깅(tagging)하려면 손목이 카드 리더기를 향해야 하므로 불편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윈도우글래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코일; 및
    상기 제 1 코일과 연결되되, 전자 디바이스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코일과 다른 높이에 형성된 제 2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영역(Outer Area)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은 루프 형상이며,
    상기 루프 형상의 제1,2 코일은 적어도 일회의 턴을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홀(Conductive Hole)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코일에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회로기판(PCB)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 홀은,
    상기 회로기판과 적어도 일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와 회로기판을 연결해주는 연성 회로기판(FPC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적어도 일 부분이 연성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dge Area)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스피커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1 코일이 위치하는 면과 수직인 면 상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를 보호하기 위한 스피커 격벽(speaker housing)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스피커 격벽의 측면을 감싸는(enfold) 전자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면 하단부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해주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와,
    상기 제 1,2 코일에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인쇄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後面)측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금속 재질로 구성된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前面)측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의 후면(後面)측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부영역이 금속재질로 구성된 배터리 커버; 및
    적어도 일부 구성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마련된 제1 코일과,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바디의 전면측으로 자기장을 방사하되,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제1 코일과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전자 디바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인가된 전류는,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이 상호 인접된 영역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윈도우글래스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일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은 루프 형상이며,
    상기 루프 형상의 제1,2 코일은 적어도 일회의 턴을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50077069A 2015-06-01 2015-06-01 전자 디바이스 KR20160141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69A KR20160141429A (ko) 2015-06-01 2015-06-01 전자 디바이스
US15/152,720 US10152084B2 (en) 2015-06-01 2016-05-12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69A KR20160141429A (ko) 2015-06-01 2015-06-01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29A true KR20160141429A (ko) 2016-12-09

Family

ID=5739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069A KR20160141429A (ko) 2015-06-01 2015-06-01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52084B2 (ko)
KR (1) KR201601414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383B2 (en) 2016-09-23 2020-05-05 Apple Inc. Wristwatch antennas
CN106602224B (zh) * 2016-12-29 2019-11-0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2449260B (zh) * 2019-09-0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耳机
US11272631B2 (en) * 2019-09-09 2022-03-08 Apple Inc. Conductive PVD stack-up design to improve reliability of deposited electrod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246A (ja) * 1997-09-08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受信装置
US20090121944A1 (en) * 2007-11-08 2009-05-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deband antenna
US20100321325A1 (en) * 2009-06-17 2010-12-23 Springer Gregory A Touch and display panel antennas
KR101806942B1 (ko) * 2011-09-28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장치
CN105449343B (zh) * 2013-05-02 2019-05-1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模块、电子装置及应用于显示模块的方法
US9356661B2 (en) * 2014-04-23 2016-05-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near-field antenna operating through display
US10333200B2 (en) * 2015-02-17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US10128546B2 (en) * 2016-06-07 2018-1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ommunication system for battery pa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52084B2 (en) 2018-12-11
US20160349789A1 (en)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532B1 (ko) 전자 디바이스
US9979426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KR101622731B1 (ko) 이동 단말기
KR101741585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3667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4998B1 (ko) 이동 단말기
US98540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87737B2 (en) Mobile terminal
KR20150136934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01818A (ko) 이동 단말기
US10152084B2 (en) Electronic device
KR20170023481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2848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6009588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8046A (ko) 회로구조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23438A (ko) 이동 단말기
CN110622492B (zh) 移动终端
KR20170008567A (ko) 전자 디바이스
KR101848870B1 (ko) 전자 디바이스
KR2017011148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390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62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9612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5960A (ko) 이동 단말기용 nfc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