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634B1 -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634B1
KR101025634B1 KR1020100056695A KR20100056695A KR101025634B1 KR 101025634 B1 KR101025634 B1 KR 101025634B1 KR 1020100056695 A KR1020100056695 A KR 1020100056695A KR 20100056695 A KR20100056695 A KR 20100056695A KR 101025634 B1 KR101025634 B1 KR 10102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image transmission
binding
suppor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금미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미전자(주) filed Critical 금미전자(주)
Priority to KR102010005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전송장치를 지주의 직경의 크기나 주변 장애물에 관계없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은 지주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와 결속되는 지주측 결속부와;
일측은 상기 지주측 결속부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영상전송장치와 결속되는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
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에 따른 설치장소의 제약 없이 영상전송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지주측 결속부 제작시, 설치하려는 지주의 직경에 맞게 장착밴드를 제작하여 다양한 직경의 지주에 설치가 가능하고,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의 회피를 위한 길이에 맞게 지주측 가로보를 제작하여 설치장소의 제약을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Installing device for image transmitter}
본 발명은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전송장치를 지주의 직경의 크기나 주변 장애물에 관계없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전송장치는 주택가, 골목길, 공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범죄예방 및 증거자료수집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영상 전송장치는 특수한 지주가 필요한 구조이거나 지주에 바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87183호에서는 영상전송장치의 설치를 위해 특수 제작된 전용의 지주가 필요한 구조이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5055호에서는 영상전송장치가 지주에 일정한 거리 없이 바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거나 다양한 직경의 지주에 설치가 불가능하고,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피해 설치할 수 없어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의 직경의 크기나 주변 장애물에 관계없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영상전송장치를 지주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일측은 지주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와 결속되는 지주측 결속부와,
일측은 상기 지주측 결속부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영상전송장치와 결속되는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에 따른 설치장소의 제약 없이 영상전송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지주측 결속부 제작시, 설치하려는 지주의 직경에 맞게 장착밴드를 제작하여 다양한 직경의 지주에 설치가 가능하고,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의 회피를 위한 길이에 맞게 지주측 가로보를 제작하여 설치장소의 제약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영상전송장치를 수평방향으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을 이용해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을 피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블럭을 고정시킬 수 있고, 턴버클을 이용해 수평방향 위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며, 밴드클램프를 이용해 다양한 직경의 지주에 설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각 부를 분리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설치장소에서 용접작업 없이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므로 지주에 대한 설치작업도 한결 수월할 뿐만 아니라, 영상전송장치 설치의 제작성과 현장성 향상 및 비용절감 등에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여기에 더해서, 각 구성요소들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훼손시 해당부위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측면에도 매우 우수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지주측 결속부의 분해사시도
도2b는 보강리브가 없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3는 보강리브가 있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가이드레일과 고정블럭의 단면도 및 분해확대도
도6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평지지구조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지주측 결속부(10) 및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측 결속부(10)의 일측은 지주와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와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된다.
또한,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의 일측은 상기 지주측 결속부(10)와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영상전송장치(1)와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된다.
도2a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상기 지주측 가로보(28)를 지주(2)에 결속하기 위한 제1장착밴드(24)와 제2장착밴드(26)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측 결속부(10)는, 장착홈(12)의 좌우 양단에 장착공(16)이 통공된 장착편(20)이 일체로 형성된 제1장착밴드(24)와,
지주측 가로보(28)의 일측 단부에는 장착홈(14)의 좌우 양단에 장착공(18)이 통공된 장착편(22)이 일체로 형성된 제2장착밴드(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밴드(24)의 장착편(20)과 상기 제2장착밴드(26)의 장착편(22)은 영상전송장치(1)를 설치하기 위한 지주(2)의 좌/우측에서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양측 장착편(20)(22)에 통공된 장착공(16)(18)에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를 체결시켜 줌으로써 결속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장착밴드(24)는 상하로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상기 지주측 결속부(10)와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를 결속하기 위한 제1플랜지(34)와 제2플랜지(58)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측 결속부(10)는, 일측에 제2장착밴드(26)가 일체로 형성된 지주측 가로보(28)의 타측 단부에는 장착공(30)이 통공된 제1플랜지(34)가 일체로 형성되며,
영상전송창치측 결속부(50)는, 영상전송장치측 가로보(52)의 일측 단부에 통공된 장착공(72)을 가진 영상전송장치의 결속구(70)와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기 위한 통공된 장착공(54)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장착공(56)이 통공된 제2플랜지(5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34)와 상기 제2플랜지(58)는 좌/우측에서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제1플랜지(34)와 제2플랜지(58)에 통공된 장착공(30)(56)에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를 체결시켜 줌으로써 결속되며,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의 일측 단부는 통공된 장착공(72)을 가진 영상전송장치의 결속구(70)에 끼워져서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양측에 통공된 장착공(54)(72)에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를 체결시켜 줌으로써 결속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휘어짐과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리브(36)(38)(60)를 포함한다.
지주측 결속부에(10)는 상기 제2장착밴드(26) 및 상기 제1플랜지(34)와 상기 지주측 가로보(28)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보강리브(36)(38)가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에는 상기 제2플랜지(58)와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가로보(52)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보강리브(60)가 일체로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지주측 결속부(10) 제작시, 설치하려는 지주(2)의 직경에 맞게 제1장착밴드(24)와 제2장착밴드(26)를 제작하여 다양한 직경의 지주(2)에 설치가 가능하고,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의 회피를 위한 길이에 맞게 지주측 가로보(28)를 제작하여 설치장소의 제약 없이 영상전송장치(1)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상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 부가해서, 장착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고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한 수평 지지구조를 포함한다.
일측은 영상전송장치(1)에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고 타측은 지주(2)에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턴버클(40)에 의해 상기 영상전송장치(1)를 수평방향으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을 피해 원하는 위치에 상기 턴버클(40)을 고정시킬 수 있기 위해서, 상기 턴버클(40)과 함께 가이드레일(80)과 고정블럭(90)을 포함하는 수평 지지구조이다.
가이드레일(80)은; 영상전송장치(1)의 수평 지지에 있어서, 결속되는 고정블럭(90)의 다양한 위치변화를 위한 것으로, 영상전송장치(1)의 윗면에 고정블럭(90)의 플랜지부(94)(96)가 끼워지는 길이방향의 채널(82)(84)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블럭(90)은 상기 가이드레일(80)에 결속되기 위해서 고정블럭(90)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레일(80)의 채널(82)(84)에 끼워지는 플랜지부(94)(96)가 일체로 형성되고, 턴버클(40)에 결속되기 위해서 고정블럭(90)의 상부는 턴버클(40)과 결속되는 장착공(99)이 통공된 결속구(98)가 일체로 형성되며,
턴버클(40)은 상기 고정블럭(90)의 결속구(98)에 결속되기 위해서, 턴버클(40)의 일측은 고리형상의 결속고리(4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0)과 고정블럭(90)은 채널(82)(84)에 고정블럭(90)의 플랜지부(94)(96)가 끼워지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부재(9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서로 결속되며,
상기 고정블럭(90)의 결속구(98)와 턴버클(40)의 결속고리(42)는 장착공(99)에 통상의 볼트/너트 같은 결속부재를 체결시켜 줌으로써 결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상기 턴버클(40)과 지주(2)를 결속하기 위한 지주측 결속구(100)와 밴드클램프(110)를 포함하는 수평 지지구조이다.
밴드클램프(110)는 상기 지주측 결속구(100)를 지주(2)의 직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지주(2)에 결속이 가능하며,
턴버클(40)은 상기 지주측 결속구(100)와 결속되기 위해서, 고리형상의 결속고리(42)가 형성된 상기 턴버클(40)의 타측은, 상기 지주측 결속구(100)의 나사산을 갖는 통공된 장착공(102)과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44)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측 결속구(100)와 상기 턴버클(40)은 너트(46)에 의해 고정되며 풀림방지 및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는,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을 피해 원하는 위치에 상기 턴버클(40)을 고정시킬 수 있기 위해서, 상기 턴버클(40)과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80), 상기 고정블럭(90)을 포함하며, 상기 턴버클(40)과 지주(2)를 결속하기 위해서 상기 지주측 결속구(100) 및 상기 밴드클램프(110)를 포함하는 수평 지지구조이다.
상기 턴버클(40)의 일측은 고리형상의 상기 결속고리(42)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나사산(44)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1)의 수평 지지구조는 상기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에 있어서, 영상전송장치(1)를 수평방향으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80)을 이용해 나뭇가지 등의 장애물을 피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블럭(90)을 고정시킬 수 있고, 턴버클(40)을 이용해 수평방향 위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며, 밴드클램프(110)를 이용해 다양한 직경의 지주(2)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의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영상전송장치
2:지주
10:지주측 결속부
12,14:장착홈
16,18,30,54,56,72,99,102:장착공
20,22:장착편
24:제1장착밴드
26:제2장착밴드
28:지주측 가로보
34:제1플랜지
36,38,60:보강리브
40:턴버클
42:결속고리
44:나사산
46:너트
50: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
52:영상전송장치측 가로보
58:제2플랜지
70:영상전송장치의 결속구
80:가이드레일
82,84:채널
90:고정블럭
92:고정부재
94,96:플랜지부
98 결속구
100:지주측 결속구
110:밴드클램프

Claims (7)

  1. 일측은 지주(2)와 결속되고 타측은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와 결속되는 지주측 결속부(10)와;
    일측은 상기 지주측 결속부(10)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영상전송장치(1)와 결속되는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와;
    상기 영상전송장치(1)를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영상전송장치(1)에 결속되고 타측은 지주(2)에 결속되는 턴버클(40)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전송장치(1)의 윗면에는 길이방향의 채널(82)(84)이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80)과, 상기 가이드레일(80)의 채널(82)(84)에 끼워져 고정부재(92)에 의해 고정되는 플랜지부(94)(96)와 장착공(99)이 통공된 결속구(98)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블럭(90)이 구비되고,
    상기 턴버클(40)의 일측에는 결속고리(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럭(90)의 장착공(99)이 통공된 결속구(98)에 체결된 결속부재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측 결속부(10)는, 장착홈(12)의 좌우 양단에 장착공(16)이 통공된 장착편(20)이 일체로 형성된 제1장착밴드(24)와;
    지주측 가로보(28)의 일측 단부에는 장착홈(14)의 좌우 양단에 장착공(18)이 통공된 장착편(22)이 일체로 형성된 제2장착밴드(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밴드(24)와 상기 제2장착밴드(26)는 지주(2)의 좌/우측에서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양측 장착편(20)(22)에 통공된 장착공(16)(18)에 결속부재를 체결시켜 줌으로써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측 결속부(10)는, 일측에 제2장착밴드(26)가 일체로 형성된 지주측 가로보(28)의 타측 단부에는 장착공(30)이 통공된 제1플랜지(3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영상전송창치측 결속부(50)는, 영상전송장치측 가로보(52)의 일측 단부에 통공된 장착공(72)을 가진 영상전송장치의 결속구(70)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통공된 장착공(54)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장착공(56)이 통공된 제2플랜지(5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34)와 상기 제2플랜지(58)는 좌/우측에서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제1플랜지(34)와 제2플랜지(58)에 통공된 장착공(30)(56)에 결속부재를 체결시켜 줌으로써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밴드(26) 및 상기 제1플랜지(34)와 상기 지주측 가로보(28)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주측 결속부(10)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36)(38)와;
    상기 제2플랜지(58)와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가로보(52)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전송장치측 결속부(50)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40)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산(44)은 지주측 결속구(100)의 나사산을 갖는 통공된 장착공(102)과 나사결합에 의해 결속되고, 너트(46)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나사산을 갖는 장착공(102)이 통공된 지주측 결속구(100)는 밴드클램프(110)에 의해 지주(2)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KR1020100056695A 2010-06-15 2010-06-15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KR10102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695A KR101025634B1 (ko) 2010-06-15 2010-06-15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695A KR101025634B1 (ko) 2010-06-15 2010-06-15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634B1 true KR101025634B1 (ko) 2011-03-30

Family

ID=4393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695A KR101025634B1 (ko) 2010-06-15 2010-06-15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585B1 (ko) * 2020-06-29 2020-12-22 (주)태양유니스 정보통신 건축물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1990A (ja) 1998-03-12 1999-09-24 Hitachi Denshi Ltd 交通監視用テレビカメラ装置
KR100339984B1 (ko) * 1999-09-10 2002-06-12 정진태 교통신호대
KR20090081068A (ko) * 2008-01-23 2009-07-28 정명수 모노레일형 이동식 무인감시카메라 회전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1990A (ja) 1998-03-12 1999-09-24 Hitachi Denshi Ltd 交通監視用テレビカメラ装置
KR100339984B1 (ko) * 1999-09-10 2002-06-12 정진태 교통신호대
KR20090081068A (ko) * 2008-01-23 2009-07-28 정명수 모노레일형 이동식 무인감시카메라 회전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585B1 (ko) * 2020-06-29 2020-12-22 (주)태양유니스 정보통신 건축물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08596A1 (en) Railing support post with threaded receivers
US20210123263A1 (en) Vertical cable rail barrier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JP5619984B1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KR101025634B1 (ko) 영상전송장치의 장착장치
KR101498485B1 (ko) 펜스용 지주
KR101769316B1 (ko) 데크로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548346B1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0417902Y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KR20120001878U (ko) 분진망 및 안전 네트의 장력조절장치
JP4156556B2 (ja) 防護柵
US9885174B2 (en) Sound abatement system and method
KR20070049777A (ko) 합성케이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668593B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KR101225743B1 (ko)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200392830Y1 (ko) 건축용 안전망 장치
KR101604190B1 (ko)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판넬 및 그 시공 방법
JP2016015703A (ja) パラボラアンテナ取付架台のズレ防止金具
KR102309335B1 (ko) 탈부착 다기능 투명방음판
KR200463386Y1 (ko) 철근난간대 결속재
KR200359420Y1 (ko) 전주용 궁지선 금구
KR102102541B1 (ko) 이중바닥구조물
KR20020062410A (ko) 낙석차단용 휀스
KR200234905Y1 (ko) 낙석차단용 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