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596B1 -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596B1
KR101024596B1 KR1020080116784A KR20080116784A KR101024596B1 KR 101024596 B1 KR101024596 B1 KR 101024596B1 KR 1020080116784 A KR1020080116784 A KR 1020080116784A KR 20080116784 A KR20080116784 A KR 20080116784A KR 101024596 B1 KR101024596 B1 KR 10102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henylene oxide
weight
resin composition
oxide resin
modified polyphen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099A (ko
Inventor
서금석
만와 후세인
남병욱
Original Assignee
신일화학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화학공업(주) filed Critical 신일화학공업(주)
Priority to KR102008011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5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65∼89.9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및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에 유해한 계면활성제,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으며, 우수한 기계적 특성, 내열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고, 종래의 조성물에 비하여 경량화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Figure R1020080116784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나노 클레이, 탄소나노튜브, 반도체, 트레이

Description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Modified polyphenylene oxide resin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전도성을 갖고 경량화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칩 트레이(IC Tray)는 주로 아크릴로부타디엔-스타이렌-코폴리머(ABS),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페닐렌에테르(PPE)와, 폴리설폰(PSF) 또는 폴리에테르설폰(PES) 수지에 탄소섬유(Carbon fiber) 또는 전도성 카본 블랙(Carbon black)과 무기 충진재(유리섬유, 탈크, 운모, 월라스토나이트 등)를 혼합한 혼합 수지로 제조되어 왔다.
특히 카본 블랙 또는 탄소섬유는 반도체 칩 트레이에 전도성을 부여하여 반 도체 칩 트레이의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포함되었다. 이러한 전도성 카본 블랙 또는 탄소섬유를 첨가하지 않으면 반도체 칩 트레이에 발생된 정전기가 반도체 칩 트레이 위에 있는 반도체들의 골드와이어를 단락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반도체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탄소섬유나 전도성 카본 블랙은 고가의 원료로서 반도체 트레이의 제조비용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료인 탄소섬유는 전 세계적으로 공급이 부족하고, 반도체 집약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패키지 부분의 오염이 빈번해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반도체, 전기 및 전자 부품의 정전기 방전(ELECTRO STATICDISCHARGE; ESD) 영역이 전도성 영역(표면저항: 103∼105Ω·㎝)에서 반-전도성 영역(표면저항:105∼109Ω·㎝)으로 전환됨에 따라 기존 소재인 탄소섬유로는 도전성을 부여할 수 없는 영역의 제품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반도체, 전기 및 전자 업계의 패키지 분야에서는 반-전도성 또는 정전기 방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소재 및 원료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0839173호는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는 하나의 탄소 원자에 이웃하는 세 개의 탄소 원자가 sp2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탄소 원자 간의 결합에 의 해서 육각환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육각환형이 벌집 형태로 반복된 평면이 말려 원통형 또는 튜브 형태를 가지는 거대분자이다. 그 직경이 수 Å 내지 수십 ㎚이며, 그 길이는 수십 배 내지 수천 배 이상으로 긴 특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나노 크기의 흑연면이 실린더 구조로 둥글게 말린 형태를 보이고, 크기나 형태에 따라 독특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며, 강도가 5TPa에 이를 정도로 금속 이상의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고, 그 구조와 직경에서의 차이에 따라 절연체로부터 반도체, 금속성까지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이처럼 역학적 견고성과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반도체와 도체의 성질을 모두 나타낼 수 있으며,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길며 속이 비어있다는 특성 때문에, 평판표시소자, 트랜지스터, 에너지 저장체 등의 소재로서 뛰어난 성질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나노 크기의 각종 전자소자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한편, 반도체 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반도체 산업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 트레이는 높은 열에 견딜 수 있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경량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에 유해한 계면활성제,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친화경적인 물질만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경에 유해한 계면활성제,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으며, 우수한 기계적 특성, 내열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고, 종래의 조성물에 비하여 경량화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65∼89.9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및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55∼89.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0∼88.9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및 유리섬유 1∼35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45∼88.9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및 탄소섬유 1∼20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20∼88.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유리섬유 1∼3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5∼88.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탄소섬유 1∼20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15∼87.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유리섬유 1∼25 중량%, 탄소섬유 1∼1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0.01∼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은 커플링제 0.01∼0.5 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에틸렌 글리콜, 아미노 실란 및 비닐 실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탄소나노튜브를 적어도 포함하는 원료를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 내에서 상기 원료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에 전 단 응력이 인가되게 하여 상기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탄소나노튜브를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조성물을 토출하는 단계 및 수조에서 급냉시켜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5℃인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은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30중량% 함유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는 나노 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노 클레이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10중량% 함유되며,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에 전단 응력이 인가되게 하여 상기 나노 클레이가 판형의 소판으로 박리되고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내에 판형의 나노 클레이 소판들을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탄소섬유를 사이드 피딩 주입구를 통해 첨가하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20중량% 함유되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유리섬유를 사이드 피딩 주입구를 통해 첨가하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35중량% 함유되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는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는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제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0.5 중량% 함유되며, 에틸렌 글리콜, 아미노 실란 및 비닐 실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반도체 칩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인장강도, 충격강도, 열변형온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을 나타내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조성물에 비하여 가벼워서 경량화에 대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갖고 표면저항이 작은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면활성제, 분산제, 자외선 안정제 등의 첨가제들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속식 2축 압출기 내에서 혼합, 용융, 압축 및 분산이 인-시츄(in-situ)하게 이루어지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불순물의 유입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재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은 열변형온도가 높아 고온에서 베이킹하는 집적회로(IC)용 트레이(tray), 모듈(module)용 트레이 등과 같은 반도체 또는 전자 산업용 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 oxide; 이하 'PPO'라 함),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및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를 적어도 함유한 전기전도성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Modified Polyphenylene oxide; 이하 'MPPO'라 함)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제시한다. 상기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은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30중량% 함유된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65∼89.9 중량% 함유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modified polyphenylene oxide; 이하 'MPPO'라 함)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5중량% 함유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CNT)는 MPPO 수지 조성물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고 굴곡 탄성율(Fluxural Modulus; FM), 굴곡 강도(Fluxural Strength; F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같은 기계적 특성 및 열변형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HDT)와 같은 내열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는 단일벽 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 tube; SWCNT)나 다중벽 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 tube; MWCNT)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분산이 용이한 다중벽 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고려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는 예컨대, 평균 직경이 5∼30㎚이고 길이가 1∼20㎛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전기 전도성을 고려하여 0.1∼5중량% 정도를 첨가한다.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전기 전도성,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5중량%를 초과하면 PPO가 용융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제조 원가도 상승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나노 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노 클레이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10중량% 함유된다. 나노 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55∼89.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함유한다. 이하에서 나노 클레이라 함은 나노 크기의 입자를 갖는 클레이(clay)를 의미하고, 나노 크기는 1㎚ 이상이고 1㎛ 미만의 나노미터 단위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나노 클레이는 연속식 2축 압출기(continuous flow twin screw extruder)에 의해 용융되어 압축되면, 샤프트(shaft)에 의한 전단 응력에 의해 나노 클레이는 박리되게 되고 나노 클레이의 함량이 일정 정도 이상(예컨대, 5중량% 이상)이 되면 박리되어 형성된 나노 클레이 소판들이 인터칼레이트(intercalate)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나노 클레이가 박리되어 형성된 클레이 소판들은 불연속적인 형태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내에 분산되게 되며,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토출되어 급냉되면 나노 클레이가 박리되어 균일하게 분산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나노 클레이가 함유됨으로써 기계적 특성, 내열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노 클레이의 함량은 0.1∼10 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 클레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기계적 특성, 내열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나노 클레이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나노 클레이가 용해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불연속적인 소판이 조밀하게 되어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의 더 이상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비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리섬유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35중량% 함유된다. 유리섬유를 더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0∼88.9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및 유리섬유 1∼35 중량%를 함유한다. 유리섬유는 MPPO 수지 조성물의 굴곡 탄성율(Fluxural Modulus; FM), 굴곡 강도(Fluxural Strength; F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같은 기계적 특성과, 열변형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HDT)와 같은 내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한다. 유리섬유는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을 고려하여 1∼35중량% 정도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유리섬유의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비경제적이다. 상기 유리섬유는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분산 영역(dispersion zone)에 마련된 사이드 피딩 주입구를 통해 투입하는 사이드 피딩(side feeding) 방식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탄소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소섬유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20중량% 함유된다. 탄소섬유를 더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45∼88.9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및 탄소섬유 1∼20 중량%를 함유한다. 탄소섬유는 MPPO 수지 조성물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고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을 향상시킨다. 탄소섬유는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사이드 피딩(side feeding) 방식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섬유는 전기 전도성을 고려하여 1∼20중량% 정도를 첨가한다. 탄소섬유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전기 전 도성,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탄소섬유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PPO가 용융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더 이상의 전기 전도성 증가도 기대하기 어렵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20∼88.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유리섬유 1∼3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5∼88.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탄소섬유 1∼20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15∼87.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유리섬유 1∼25 중량%, 탄소섬유 1∼1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0 중량%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제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0.5 중량% 함유된다. 상기 커플링제는 에틸렌 글리콜, 아미노 실란 및 비닐 실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은 뛰어난 내열성, 치수안정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고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PPO 수지 조성물은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을 요하는 제품을 위해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반도체 칩 트레이의 제조와 매우 높은 전도성을 요구하는 다른 전자 제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탄소나노튜브(CNT)를 적어도 함유한 본 발명의 MPPO 수지 조성물은 100~1012의 바람직한 표면 저항을 나타내고 내열성, 치수안정성 및 강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제품 외관을 가진다. 특히 탄소나노튜브 및 나노 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칩 트레이용으로 적합한 표면저항을 나타냄으로 반도체 칩 트레이 제조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MPPO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반도체 칩 트레이를 제조할 경우, 뛰어난 표면 상태, 휨 특성, 우수한 내열성과 치수안정성 같은 다양하고 뛰어난 특성들을 가지기 때문에 전기 및 전자 분야,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이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탄소나노튜브(CNT)를 적어도 함유한 MPPO 수지 조성물을 표 1 내지 표 9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PPO 72.37 61.67 60.97 61.27 60.67 59.97 60.27 57.97 57.17
HIPS 16.8 16.8 16.8 16.8 17.3 17.8 17.3 19.8 19.8
탄소나노튜
0.1 0.3 0.5 0.7 0.8 1 1.2 1.5 1.8
나노 클레이 0.5 1 1.5 1 1 1 1 0.5 1
유리섬유 10 20 20 20 20 20 20 20 2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PPO 66.97 56.17 79.77 78.27 78.27 77.77 76.77 74.77 79.67
HIPS 19.8 19.8 20 20 20 20 20 20 20
탄소나노튜
0.5 0.8 0 0 0 0 0 0 0.1
나노 클레이 2.5 3 0 1 1.5 2 3 5 0
유리섬유 10 20 0 0 0 0 0 0 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PPO 79.47 79.27 79.07 78.77 78.77 78.27 77.77 77.77 77.27
HIPS 20 20 20 20 20 20 20 20 20
탄소나노튜
0.3 0.5 0.7 1 0 1.5 2 0 2.5
나노 클레이 0 0 0 0 1 0 0 2 0
유리섬유 0 0 0 0 0 0 0 0 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
PPO 77.77 68.77 78.27 76.77 76.27 67.77 75.77 76.77 76.27
HIPS 20 20 20 20 20 20 20 20 20
탄소나노튜
1 0 1.5 2 2.5 0 3 1 1.5
나노 클레이 1 1 1 1 1 2 1 2 2
유리섬유 0 10 0 0 0 10 0 0 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37
실시예
38
실시예
39
실시예 40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실시예
44
실시예
45
PPO 58.77 75.77 75.27 72.77 65.77 52.77 62.27 56.77 56.27
HIPS 20 20 20 22 22 25 25 30 30
탄소나노튜브 0 2 2.5 3 1 0 1.5 2 2.5
나노 클레이 1 2 2 2 1 2 1 1 1
유리섬유 20 0 0 0 10 20 10 10 1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46
실시예
47
실시예
48
실시예
49
실시예 50 실시예
51
실시예
52
실시예
53
실시예
54
PPO 65.77 57.77 57.27 56.77 56.27 55.77 66.77 66.27 65.77
HIPS 20 20 20 20 20 20 20 20 20
탄소나노튜
3 1 1.5 2 2.5 3 1 1.5 2
나노 클레이 1 1 1 1 1 1 2 2 2
유리섬유 10 20 20 20 20 20 10 10 1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55
실시예
56
실시예
57
실시예
58
실시예
59
실시예 60 실시예 61 실시예 62 실시예 63
PPO 78.77 73.77 68.77 63.77 71.77 75.77 58.77 57.77 57.27
HIPS 20 20 20 20 20 20 20 20 20
탄소나노튜
1 1 1 1 3 1 1 2 2.5
탄소섬유 0 5 10 15 5 3 10 10 10
유리섬유 0 0 0 0 0 0 10 10 1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64
실시예
65
실시예
66
실시예
67
실시예
68
실시예
69
실시예 70 실시예 71 실시예 72
PPO 73.77 72.77 72.77 71.77 70.77 67.77 62.77 52.77 53.77
HIPS 20 20 20 20 20 20 20 20 20
탄소나노튜
0 1 1 2 3 1 1 1 3
나노 클레이 1 1 1 1 1 1 1 1 3
탄소섬유 5 5 5 5 5 5 5 5 10
유리섬유 0 0 0 0 0 5 10 20 10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성분(중량%) 실시예 73 실시예 74 실시예 75 실시예 76 실시예 77 실시예 78 실시예 79
PPO 65.27 64.77 56.77 56.27 55.77 55.27 54.77
HIPS 20 20 20 20 20 20 20
CNT 2.5 3 1 1.5 2 2.5 3
Clay 2 2 2 2 2 2 2
GF 10 10 20 20 20 20 20
Antioxidant 0.2 0.2 0.2 0.2 0.2 0.2 0.2
Coupling agent 0.03 0.03 0.03 0.03 0.03 0.03 0.03
표 1 내지 표 9의 MPPO 수지 조성물에서, PPO 수지는 점도 0.4dl/g를 사용하였고, 탄소나노튜브는 벨기에 나노실(Nanocyl)사에 의해 제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평균 직경 20㎚, 평균 길이 10㎛, 수돈 90% 이상, aspect ratio 500 이상)를 사용하였다. 유리섬유는 한국 오웬스 코닝(Owens corning)사에 의해 제조된 CS03-165A를 사용하였고, 나노 클레이는 미국의 서던 클레이(Southern clay)사에 의해 제조된 Cloisite 93A, Cloisite 15A, Cloisite 20A, Cloisite Na+를 사용하였다. 산화방지제는 대만 시바(CIBA)사에 의해 제조된 IRGAFOX 1010을 사용하였으며, 커플링제는 에틸렌 글리콜, 아미노 실란, 비닐 실란, 로테이도(lotador) 등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나노클레이, 탄소나노튜브,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등의 선택된 원료를 연속식 2축 압출기(continuous flow twin screw exturder)의 호퍼(hopper)에 투입하고, 용융 압출한 후, 수조(water bath)에서 급냉하고 절단하여 펠릿 형태의 MPPO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연속식 2축 압출기는 1차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hopper)(110)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샤프트(120)와, 2개의 샤프트(120)를 감싸는 실린더(130)와, 상기 샤프트(120)들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40a, 140b, 140c)과, 실린더(130)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50)과, 가열수단(150)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과, 조성물을 배출하는 토출 다이(160)와, 용융되어 혼련된 원료가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2차 원료를 사이드피딩(side feeding) 방식으로 주입하기 위한 사이드피딩 주입구(170)를 포함한다.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는 그 작용 기능에 따라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원료들을 용융하면서 압축하는 용융 및 압축 영역(melting and compression zone)(Z1)과,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을 압축 및 전단 응력에 의하여 소지(matrix)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에 탄소나노튜브, 층상 물질(예컨대, 나노 클레이)과 같은 원료를 분산시키면서 토출 영역으로 플로우(flow)시키는 분산 영역(Z2)과,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에 분산된 조성물을 토출 다이(160)로 토출하는 토출 영역(ejecting zone)(Z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는 온도가 점차 증가하여 용융되기 시작한다. 호퍼(110)를 통해 투입되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는 용융되기 시작하여 고상 수지와 용융 액상 수지의 2개 상이 존재할 수 있는데, 용융 및 압축 영역(Z1)을 통과하면 완전히 용융되게 된다. 상기 용융 및 압축 영역(Z1)의 샤프트(120)는 호퍼(110)를 통해 주입된 원료를 혼합하고 압축하면서 분산 영역(Z2) 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spiral screw) 형태로 이루어진다.
투입된 원료들은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120)에 의해 압축되면서 그 부피가 축소되고 원료들간의 공극률은 낮아지게 된다.
상기 연속식 압출기는 반죽 영역(kneading zone)(Z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죽 영역(Z4)의 샤프트(120)는 샤프트(120)의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계단식 스크류가 형성되고 이러한 계단식 스크류가 일정 피치로 반복된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제1 플레이트부(S1),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1계단 높은 위치의 제2 플레이트부(S2)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보다 1계단 높은 위치의 제3 플레이트부(S3)가 계단식으로 형성된 스크류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스크류가 일정 피치로 반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용융 및 압축 영역(Z1)을 통과한 용융물은 반죽 영역(Z4)에서 반죽되어 혼련되게 된다.
분산영역(dispersion zone)은 용융 및 압축 영역(Z1)을 통과한 용융물을 일정 온도와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충분히 혼련시켜 소지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에 탄소나노튜브, 나노 클레이와 같은 원료를 분산시켜 토출 영역(Z3)으로 플로우시키는 영역이다. 샤프트(120)의 회전에 의한 전단 응력에 의하여 소지(matrix)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에 나노 클레이는 박리(exfoliation)되어 불연속적인 소판(platelet) 형태로 분산되게 된다. 예컨대, 나노 클레이는 나노 입자 크기(1㎚ 이상이고 1㎛ 미만의 나노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는데, 분산 영역(Z2)에서의 압축 및 전단응력에 의해 입자들이 잘게 쪼개져서 나노 크기(예컨대, 1∼300㎚)의 소판 형태로 박리되게 된다. 나노 클레이는 층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압축 및 전단 응력에 의해 층간 분리가 일어나 박리되게 되며, 첨가된 나노 클레이량이 많을 경우에는 박리되어 분산된 층들 사이로 나노 클레이 소판이 층간삽입(intercalate)되어 분산되기도 한다.
분산 영역(Z2)은 상방향으로 테이퍼(taper)진 압축부(compression part)(C1)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shear part)(C2)를 적어도 포함하는 샤프트(120) 구조를 갖는다. 분산 영역(Z2)은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C2),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C1) 및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C2)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산 영역(Z2)에서는 이와 같이 샤프트(120)에 의한 압축(compression) 및 전단(shear) 작용에 의해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분산 영역(Z2)에서 실린더(130)와 샤프트(120) 사이의 간격이 작을수록 분산 영역(Z2)에서의 플로우 속도는 작아지고 전단 응력은 증가하게 되지만, 플로우에 대한 역압이 발생하여 플로우량이 작아지고 토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실린더(130)와 샤프트(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분산 영역(Z2) 및 토출 영역(Z3)에서의 역압으로 인하여 용융 조성물이 플로우되지 못하고 샤프트(120)는 일정 속도로 계속 회전하므로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가 타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실린더(130)와 샤프트(120)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분산 영역(Z2)에서의 플로우 속도는 커지고 전단 응력은 감소하게 된다.
한편, 분산 영역(Z2)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C1) 및 일자형의 전단부(C2)가 2회 이상 반복되는 계단식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C1) 및 일자형의 전단부(C2)가 2회 이상 반복되는 계단식 구조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단 응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산 영역(Z2)은 하방향으로 테이퍼진 릴리스부(release part)(C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 영역(Z2)에서는 이와 같이 샤프트(120)에 의한 압축(compression), 전단(shear) 및 릴리스 작용에 의해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분산 영역(Z2)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C1), 일자형의 전단부(C2) 및 하방향으로 테이퍼진 릴리스부(C3)가 2회 이상 반복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용융물이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상기 실린더(130) 내로 2차 원료를 사이드피딩(side feeding) 방식으로 주입하기 위한 사이드피딩 주입구(170)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피딩 주입구(170)를 통해 탄소섬유, 유리섬유와 같은 2차 원료를 용융물에 투입하여 2차 원료를 포함하는 MPPO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2차 원료는 호퍼(110)에 투입할 경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와 같은 1차 원료와 화학적 구조, 극성, 계면 장력 등의 차이로 인해 상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사이드피딩 주입구(170)를 통해 1차 원료가 용융된 용융물에 투입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피딩 주입구(170)를 통해 탄소섬유, 유리섬유와 같은 2차 원료를 투입함으로써 조성물의 전기 전도성과 기계적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토출 영역(Z3)은 분산 영역(Z2)에서 분산된 조성물을 압축하면서 토출 다이(160)로 공급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spiral screw) 형태로 이루어진다. 분산 영역(Z2)에서 분산된 조성물은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120)에 의해 압축되면서 토출 다이(160)로 공급되게 된다.
토출 영역(Z3)에서 가압된 조성물은 토출 다이(160)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토출 다이(160)를 통과한 조성물은 수조(water bath)와 같은 냉각 장치를 통해 급냉되어 원하는 크기의 펠릿 형태로 절단되고 건조되어 원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수조의 온도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온도(예컨대, 60℃ 이하의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건조는 약 8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토출 속도는 조성물의 점도, 플로우 속도, 토출 영역(Z3)에서의 압출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데, 예컨대 25∼300㎏/hr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연속식 2축 압출기의 내부 온도는 270∼3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퍼에 투입된 직후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를 용융시키기 위한 압출기의 용융 및 압축 영역에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실린더의 온도)로 유지하고,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의 용융 및 압축이 완료된 이후의 실린더의 온도는 압출기의 분산 영역에 따라 270∼290℃로 설정하고, 압출기의 토출 영역에서는 실린더의 온도를 분산 영역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290∼310℃의 온도로 유지한다.
이하에서 표 1 내지 표 9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MPPO 수지 조성물을 연속식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나노 클레이, 탄소나노튜브,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등의 원료를 원하는 조성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연속식 2축 압출기의 호퍼(110)에 투입하였다.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용융 및 압축 영역(Z1) 내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와 기타 원료를 혼합하고 용융 및 압축시켰다. 가열 수단에 의해 용융 영역의 온도는 300℃를 유지하였다. 이때,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샤프트(120)들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120)들의 회전 속도는 230rpm 정도이고, 2개의 사프트들 사이의 축간 거리는 5㎝ 정도이다. 용융 및 압축 영역(Z1)의 샤프트(120)는 호퍼(110)를 통해 주입된 원료를 혼합하고 압축하면서 분산 영역(Z2) 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spiral screw) 형태로 구비된다. 나선형 스크류의 헬릭스각(Helix Angle)은 30°정도이고, 나선형 스크류의 나사산과 실린더(130) 사이의 간격은 샤트프 직경의 1/60 정도이며, 나선형 스크류의 피치는 5㎝ 정도로 일정하다. 용융 및 압축 영역(Z1)에서 나선형 스크류의 직경에 대한 나선형 스크류의 길이의 비는 30 정도이다.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120)들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130)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원료의 용융물에 압축 및 전단 응력이 인가되게 한다. 나노 클레이가 투입된 경우에는, 상기 나노 클레이는 판형의 소판으로 박리되고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내에 판형의 나노 클레이 소판들이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게 된다. 이때, 연속식 2축 압출기의 분산 영역(Z2)은 구간에 따라 온도를 270∼290℃로 설정하였다. 상기 샤프트(120)들의 회전 속도는 230rpm 정도로 설정하였다. 분산 영역(Z2)은 상방향으로 테이퍼(taper)진 압축부(compression part)(C1)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shear part)(C2) 및 하방향으로 테이퍼진 릴리스부(C3)를 포함하는 샤프트(120) 구조를 갖는다.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의 테이퍼 각(a1)은 20°정도를 이룬다. 하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의 테이퍼 각(a2)은 -20° 정도를 이룬다. 실린더(130)와 샤프트(120) 사이의 간격을 샤트프 직경의 1/20∼1/60 정도이고, 일자형의 전단부를 이루는 사프트와 실린더(130) 사이의 간격은 샤트프 직경의 1/40∼1/60 정도이다. 분산 영역(Z2)에서 샤프트(120)의 직경에 대한 샤프트(120)의 길이의 비는 40 정도이다.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는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분산 영역(Z2)에 마련된 사이드피딩 주입구(170)를 통해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투입하였다.
토출 영역(Z3)에서는 분산 영역(Z2)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30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조성물을 토출 다이(160)로 토출하였다. 토출 영역(Z3)의 샤프트(120)는 조성물을 압축하면서 토출 다이(160)로 공급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spiral screw) 형태로 구비된다. 나선형 스크류의 헬릭스각(Helix Angle)은 -30°정도이고, 나선형 스크류의 나사산과 실린더(130) 사이의 간격은 샤트프 직경의 1/60 정도이며, 나선형 스크류의 피치는 5㎝ 정도로 일정하다. 토출 영역(Z3)에서 나선형 스크류의 직경에 대한 나선형 스크류의 길이의 비는 30 정도이다.
토출 다이(160)로부터 토출된 조성물을 45℃의 수조에서 급냉하였고, 절단하고 80℃ 온도에서 건조하여 펠릿 형태의 MPPO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토출 속도는 30㎏/hr 정도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릿 형상의 수지는 10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를 275∼295℃, 금형온도를 70℃로 하여 ASTM 표준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로서 MPPO 수지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하기의 표 10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비교예들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0839173호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MPPO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비교예들은 특허 제10-0839173호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는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의 표 10 및 표 11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혼합한 후, L/D비(길이/지름)가 46인 일반적인 이축 압출기로 압출 온도는 270∼310℃, RPM은 280∼300으로 용융 압출하여 펠릿(pellet) 형상의 MPPO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펠릿 형상의 수지는 10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를 275∼295℃, 금형온도를 70℃로 하여 ASTM 표준 시편을 제조하였다.
성분(중
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PPO 40.5 40.2 46.7 47.5 46.9 46.7 45.9 45.7 44.7 43.7
탄소나노튜브 0.5 0.8 1 1.2 1.3 1.5 1.8 2 3 5
탄소섬유 7 7 0 0 0 0 0 0 0 0
HIPS 16.8 16.8 16.8 16.8 17.3 17.3 17.8 17.8 18.8 19.8
유리섬유 23 23 23 22 22 22 21 21 20 18
미네럴
필러
12 12 12 12 12 12 13 13 13 13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2 0.3 0.3 0.3 0.3 0.3 0.3 0.3 0.3 0.3
성분(중
량%)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비교예 20
PPO 32.3 32 38.5 38.3 38.2 38 37.7 37.5 36.5 35.5
탄소나노튜브 0.5 0.8 1 1.2 1.3 1.5 1.8 2 3 5
탄소섬유 7 7 0 0 0 0 0 0 0 0
HIPS 25 25 25 25 25 25 25 25 26 26
유리섬유 23 23 23 23 23 23 23 23 22 21
미네럴필러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커플링제 0.2 0.3 0.3 0.3 0.3 0.3 0.3 0.3 0.3 0.3
이렇게 얻어진 MPPO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1) 열변형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HDT)
ASTM D648에 따라 시편에 18.6kgf/㎝2의 하중을 주고 주변 유체온도를 2℃/min의 속도로 상승시켰을 때 시편의 변형이 0.254㎜에 달한 때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2) 굴곡강도(flexual strength; FS) 및 굴곡탄성율(flexual modulus; FM)
ASTM D790에 따라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5㎜/min의 시험 속도로 측정하였다.
(3) 인장강도(tensile strenth; TS)
ASTM D638에 준하여 온도 23±2℃, 상대습도 50% 및 대기압의 조건에서 5㎜/min의 인장속도로 측정하였다. 연신율은 파단점에서의 값을 기록하며, 최소 5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4) 충격강도(impact strength)
ASTM D256에 준하여 시편이 파단될 때의 에너지를 단위 두께로 나눈 것이 충격강도에 해당한다. 충격강도는 1/8인치 두께를 갖는 시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최소 5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상온에서 아이조드 노치(izod notch)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5) 표면저항(surface resistivity; SR)
금속 버스 바(metal bus bar)가 연결된 전기저항계(OHM meter)를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표 12 내지 표 22에 표 1 내지 표 9의 MPPO 수지 조성물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성 나노 클레이의 함량(중량%)
0
(실시예 12)
1
(실시예 13)
1.5
(실시예 14)
2
(실시예 15)
3
(실시예 16)
5
(실시예 17)
굴곡강도(kg/㎠) 1123 1140 1150 1145 1140 1134
굴곡탄성율(kg/㎠) 26148 27534 27732 27950 28340 28543
인장강도(kg/㎠) 747 765 766 762 754 740
신장율(Elongation) (%) 42.3 30 24.3 20 18 12
충격강도(kg.㎝/㎝) 3.5 3.6 3.7 3.7 3.6 3.2
열변형온도(℃) 153.8 160 161 162 163 165
표 12는 MPPO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나노 클레이 첨가의 효과를 보여준다. 주로 굴곡탄성율, 인장강도 및 열변형 온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은 1∼5중량%의 나노 클레이 함량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굴곡강도는 나노 클레이의 함량이 1.5중량%까지는 증가하다가 약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12)
0.1
(실시예 18)
0.3
(실시예 19)
0.5
(실시예 20)
0.7
(실시예 21)
1
(실시예 22)
1.5
(실시예 24)
2
(실시예 25)
2.5
(실시예 27)
굴곡강도(kg/㎠) 1123 1055 1077 1039 1100 1166 1186 1176 1173
굴곡탄성율(kg/㎠) 26148 32085 31789 29552 35297 28570 28631 28700 28746
인장강도(kg/㎠) 747 697 664 753 750 742 785 794 795
신장율(Elongation)(%) 42.3 13.3 4.6 20 25.8 15.4 19 18.5 20
충격강도(kg.㎝/㎝) 3.5 3.0 3.1 3.0 3.1 3.0 3.6 3.2 3.2
열변형온도(℃) 157.8 159.7 159.6 159.6 160.5 161.3 165 163 164
표면저항(Ω.cm) E16 E16 E16 E14 E14 E12 E11 E7 E4
표 13은 기계적 특성과 전기 전도성에 대한 탄소나노튜브 첨가의 효과를 보여준다. 0.5중량% 이상의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게 되면 표면저항이 우수해짐을 보여준다. 다른 특성들도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됨을 보여준다. 충격강도(Izod impact)는 탄소나노튜브의 첨가되더라도 변화가 거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23)
1
(실시예 28)
1.5
(실시예 30)
2
(실시예 31)
2.5
(실시예 32)
3
(실시예 34)
굴곡강도(kg/㎠) 1140 1185 1195 1202 1220 1240
굴곡탄성율(kg/㎠) 27700 28780 28900 28960 28890 28995
인장강도(kg/㎠) 755 780 790 801 807 802
신장율(Elongation)(%) 30 26 22.5 22 25 23
충격강도(kg.㎝/㎝) 3.6 3.6 3.7 3.7 3.7 3.6
열변형온도(℃) 160 170 172 173 175 176
표면저항(Ω.cm) E16 E10 E10 E7 E4 E4
표 14는 MPPO 수지 조성물에 대한 탄소나노튜브와 나노 클레이의 혼합 효과를 보여준다. 표 14는 나노 클레이 1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 13은 나노 클레이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로서 나노 클레이 1중량%를 첨가한 경우인 표 14과 비교하면, 1중량%의 나노 클레이 첨가는 주로 굴곡장도(FM)과 열변형온도(HDT)와 같은 기계적 특성에서의 향상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충격강도는 나노 클레이의 첨가에 의해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26)
1
(실시예 35)
1.5
(실시예 36)
2
(실시예 38)
2.5
(실시예 39)
3
(실시예 40)
굴곡강도(kg/㎠) 1146 1190 1240 1250 1255 1230
굴곡탄성율(kg/㎠) 27950 29030 29316 29233 30120 29856
인장강도(kg/㎠) 762 790 801 820 810 805
신장율(Elongation)
(%)
41 37 31 26 30 24
충격강도(kg.㎝/㎝) 3.7 3.7 3.7 3.8 3.7 3.6
열변형온도(℃) 162 175 179 180 180 180
표면저항(Ω.cm) E10 E10 E10 E10 E4 E4
마찬가지로, 표 15는 MPPO 수지 조성물에 대한 탄소나노튜브와 나노 클레이의 혼합 효과를 보여준다. 표 15는 나노 클레이 2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 14는 1중량%의 나노 클레이를 첨가한 경우이고 표 15는 2중량%의 나노 클레이를 첨가한 경우로서 표 14과 표 15를 비교하면, 1중량%의 나노 클레이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2중량%의 나노 클레이를 첨가한 경우가 기계적 특성, 특히 탄소나노튜브와 나노 클레이에 의해 열변형온도(HDT)가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29)
1
(실시예 41)
1.5
(실시예 43)
2
(실시예 44)
2.5
(실시예 45)
3
(실시예 46)
굴곡강도(kg/㎠) 1140 1300 1350 1355 1355 1366
굴곡탄성율(kg/㎠) 27700 33500 35200 35430 35667 35830
인장강도(kg/㎠) 755 1050 1120 1130 1145 1160
신장율(Elongation)
(%)
30 26 22.5 22 25 23
충격강도(kg.㎝/㎝) 3.6 4.6 4.7 4.7 4.7 4.6
열변형온도(℃) 170 180 182 182 183 185
표면저항(Ω.cm) E16 E10 E5 E4 E3 E3
표 16은 MPPO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유리섬유 첨가의 효과를 보여준다. 표 16은 나노 클레이 1중량%와 유리섬유 10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면저항 및 열변형 온도는 유리섬유가 함유되지 않은 MPPO 수지 조성물(나노 클레이 1중량%를 함유하는 표 14의 경우)과 비교하여 10중량%의 유리섬유를 첨가한 경우에 상당하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37)
1
(실시예 47)
1.5
(실시예 48)
2
(실시예 49)
2.5
(실시예 50)
3
(실시예 51)
굴곡강도(kg/㎠) 1230 1980 2012 1951 1965 1984
굴곡탄성율(kg/㎠) 85200 95100 96234 97250 97550 10350
인장강도(kg/㎠) 950 1120 1137 1155 1167 1142
신장율(Elongation)
(%)
30 2.4 3.2 2.8 2.6 2.4
충격강도(kg.㎝/㎝) 6.0 6.8 6.7 6.7 6.5 6.4
열변형온도(℃) 177 185 188 188 190 190
표면저항(Ω.cm) E10 E10 E4 E4 E3 E3
표 17은 MPPO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유리섬유 첨가의 효과를 보여준다. 표 17은 나노 클레이 1중량%와 유리섬유 20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면저항 및 열변형 온도는 유리섬유가 함유되지 않은 MPPO 수지 조성물(나노 클레이 1중량%를 함유하는 표 14의 경우)과 비교하여 20중량%의 유리섬유를 첨가한 경우에 상당하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33)
1
(실시예 52)
1.5
(실시예 53)
2
(실시예 54)
2.5
(실시예 73)
3
(실시예 74)
굴곡강도(kg/㎠) 1190 1350 1400 1420 1425 1455
굴곡탄성율(kg/㎠) 28600 34500 35600 35550 35787 36100
인장강도(kg/㎠) 855 1070 1190 1210 1245 1250
신장율(Elongation)
(%)
30 26 22.5 22 25 23
충격강도(kg.㎝/㎝) 3.6 4.6 4.7 4.7 4.7 4.6
열변형온도(℃) 178 182 186 186 188 188
표면저항(Ω.cm) E10 E10 E4 E4 E3 E2
표 18은 MPPO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유리섬유 첨가의 효과를 보여준다. 표 18은 나노 클레이 2중량%와 유리섬유 10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면저항 및 열변형 온도는 유리섬유가 함유되지 않은 MPPO 수지 조성물(나노 클레이 2중량%를 함유하는 표 15의 경우)과 비교하여 10중량%의 유리섬유를 첨가한 경우에 상당하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계적 특성의 향상성은 또한 표 19에서 보여주듯이 20중량%의 유리섬유를 첨가한 경우에도 관찰된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42)
1
(실시예 75)
1.5
(실시예 76)
2
(실시예 77)
2.5
(실시예 78)
3
(실시예 79)
굴곡강도(kg/㎠) 1730 1980 2012 1951 1965 1984
굴곡탄성율(kg/㎠) 91230 10230 10340 10390 10560 10780
인장강도(kg/㎠) 950 1180 1210 1220 1246 1220
신장율(Elongation)
(%)
30 2.4 3.2 2.8 2.6 2.4
충격강도(kg.㎝/㎝) 6.0 6.9 6.9 6.8 6.7 6.5
열변형온도(℃) 182 187 188 188 190 190
표면저항(Ω.cm) E10 E7 E5 E4 E3 E2
표 19는 나노 클레이 2중량%와 유리섬유 20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면저항 및 열변형 온도는 유리섬유가 함유되지 않은 MPPO 수지 조성물(나노 클레이 2중량%를 함유하는 표 15의 경우)과 비교하여 20중량%의 유리섬유를 첨가한 경우에 상당하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0 내지 표 22는 표 7 및 표 8의 물성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특성 탄소섬유의 함량(중량%)
0
(실시예 55)
5
(실시예 56)
10
(실시예 57)
15
(실시예 58)
굴곡강도(kg/㎠) 1166 1693 1755 1725
굴곡탄성율(kg/㎠) 28570 67030 87831 90251
인장강도(kg/㎠) 742 1096 1241 1350
신장율(Elongation)
(%)
15.4 2.7 2 1.5
충격강도(kg.㎝/㎝) 3.0 2.9 3.3 3.2
열변형온도(℃) 161 171 171 173
표면저항(Ω.cm) 5.E+12 3.E+04 2.E+03 1.E+02
표 20은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MPPO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탄소섬유의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상승효과를 보여준다. 표 20은 탄소나노튜브 1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 20에서 탄소섬유가 첨가되는 않는 경우(탄소섬유의 함량이 0인 경우)에는 표면저항이 5×1012Ω·㎝ 이었으나, 5중량%의 탄소섬유가 첨가되게 되면 표면저항이 5×1012Ω·㎝에서 3×104Ω·㎝로 상당히 증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5중량%의 탄소섬유의 첨가는 표면저항 약 109Ω·㎝ 정도를 보이지만, 5중량%의 탄소섬유가 첨가된 조성물에 1중량%의 탄소나노튜브를 더 첨가하게 되면 전도성 특성을 약 104Ω·㎝ 정도로 상당하게 향상시킨다. 탄소섬유의 더 많은 첨가는 전기적 특성을 더욱 더 향상시킨다. 다른 물리적 특성들도 탄소섬유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중량%)
0
(실시예 64)
1
(실시예 65)
2
(실시예 67)
3
(실시예 68)
굴곡강도(kg/㎠) 1340 1392 1391 1609
굴곡탄성율(kg/㎠) 62500 69725 101429 89251
인장강도(kg/㎠) 680 780 894 1040
신장율(Elongation)
(%)
4.1 2.9 2.1 1.8
충격강도(kg.㎝/㎝) 3.8 3.3 2.9 2.4
열변형온도(℃) 160 164 165 169
표면저항(Ω.cm) 5.E+09 1.E+04 3.E+03 1.E+02
표 21은 MPPO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첨가에 따른 물리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의 상승 효과를 보여준다. 표 21은 나노 클레이 1중량%와 탄소섬유 5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 21에서 탄소섬유 및 나노 클레이의 함량은 다양한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유지한다. 탄소나노튜브의 첨가는 전기적 특성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표면저항을 102Ω·㎝ 정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물리적 특성들도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유리섬유의 함량(중량%)
0
(실시예 66)
5
(실시예 69)
10
(실시예 70)
20
(실시예 71)
굴곡강도(kg/㎠) 1392 1450 1936 2350
굴곡탄성율(kg/㎠) 69725 75200 95289 105250
인장강도(kg/㎠) 780 890 1299 1350
신장율(Elongation)
(%)
5.1 2 1.6 1.4
충격강도(kg.㎝/㎝) 3.3 3.6 4.4 4.1
열변형온도(℃) 164 168 170 174
표면저항(Ω.cm) 1.E+04 1.E+04 5.E+03 6.E+02
표 22는 MPPO 수지 조성물의 물리적 그리고 전기적 특성에 대한 유리섬유 첨가의 효과를 보여준다. 표 22는 나노 클레이 1중량%, 탄소섬유 5중량% 및 탄소나노튜브 1중량%를 함유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표 22에서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및 나노 클레이의 함량은 다양한 유리섬유의 함량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유지한다. 유리섬유의 첨가는 전기적 특성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표면저항을 약 102Ω·㎝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물리적 특성들도 유리섬유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MPPO 수지 조성물의 물성 측정결과를 아래의 표 23 및 표 24에 나타내었다.
특성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표면저항(Ω.cm) 105∼107 105∼108 105∼108 105∼108 105∼107 104∼106 104 105∼107 103 102
열변형온도(℃) 175 175 175.2 175.2 175.5 175.5 175.8 175.8 176 177.2
굴곡탄성율(kg/㎠) 10518 10520 10523 10520 10611 106197 106201 11581 116604 12740
굴곡강도(kg/㎠) 1778 1780 1781 1783 1811 1822 1824 1948 1951 1973
인장강도(kg/㎠) 1061 1063 1063 1080 1088 1166 1174 1183 1211 1301
충격강도(kg.㎝/㎝) 6.8 6.8 6.7 6.2 6.28 6.28 6.3 6.2 6.5 7.2
특성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비교예 20
표면저항(Ω.cm) 105∼107 105∼108 105∼108 105∼108 105∼107 104∼106 104 105∼107 103 102
열변형온도(℃) 155 155.2 155.7 155.8 156 156 157 158 160 163
굴곡탄성율(kg
/㎠)
109112 109340 109540 109780 109913 110111 111024 112094 112131 112104
굴곡강도(kg/㎠) 1905 1911 1909 1916 1998 2050 2055 2057 2114 2134
인장강도(kg/㎠) 1098 1099 1108 1114 1126 1168 1169 1171 1169 1178
충격강도(kg.㎝/㎝) 5.9 6 6 6 5.8 5.7 5.8 5.8 5.6 5.2
표 12 내지 표 22에 나타낸 본 발명의 MPPO 수지 조성물의 특성과 표 23 및 표 24에 나타낸 비교예의 MPPO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비교하여 볼 때 굴곡 탄성율(FM), 굴곡 강도(FS), 인장강도(TS) 및 열변형온도(HDT)가 비슷하거나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성분(HIPS, 탄소나노튜브, 유리섬유, 산화방지제 및 커플링제)의 함량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교예 8의 특성과 실시예 49의 특성을 비교하여 볼 때, 실시예 49의 경우가 비교예 8의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저항, 열변형온도, 굴곡탄성율,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PPO 수지 조성물과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MPPO 수지 조성물의 무게 차이를 아래의 표 2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실시예 무게차이(%)
성분(중량%) 성분(중량%)
PPO HIPS 유리섬유 탄소나노튜브 미네랄필러 PPO HIPS 유리섬유 탄소나노튜브 나노클레이
시편 1
44.0 16.0 26.0 2.0 12.0 55.0 16.0 26.0 2.0 1.0
12.9%
무게 34.1g 무게 30.2g
시편 2
50.6 15.4 20.0 2.0 12.0 61.6 15.4 20.0 2.0 1.0
23.8%
무게 33.8g 무게 27.3g
시편 3
46.25 24.75 15 2.0 12.0 57.25 24.75 15 2.0 1.0
23.4%
무게 33.7g 무게 26.5g
시편 4
48.35 25.65 12 2.0 12.0 59.35 25.65 12 2.0 1.0
23.4%
무게 33.4g 무게 26.2g
시편 5
58.60 17.4 10 2.0 12.0 69.60 17.4 10 2.0 1.0
23.8%
무게 33.2g 무게 26.0g
상기 표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PPO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경량화가 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연속식 2축 압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가열수단을 제외하여 샤프트와 실린더의 모습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실린더와 샤프트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용융 및 압축 영역의 스크류 샤프트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반죽 영역의 계단식 스크류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분산 영역의 샤프트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호퍼 120: 샤프트
130: 실린더 140a, 140b, 140c: 구동수단
150: 가열수단 160: 토출 다이
155: 송풍기 165: 냉각관
180: 프레임 190: 벤트 포트

Claims (16)

  1. 삭제
  2. 폴리페닐렌옥사이드 55∼89.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며,
    나노 클레이가 박리되어 형성된 1∼300㎚ 크기의 클레이 소판들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내에 불연속적인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폴리페닐렌옥사이드 20∼88.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유리섬유 1∼3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며,
    나노 클레이가 박리되어 형성된 1∼300㎚ 크기의 클레이 소판들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내에 불연속적인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6.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5∼88.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탄소섬유 1∼20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며,
    나노 클레이가 박리되어 형성된 1∼300㎚ 크기의 클레이 소판들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내에 불연속적인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7. 폴리페닐렌옥사이드 15∼87.8 중량%,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10∼3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 유리섬유 1∼25 중량%, 탄소섬유 1∼15 중량% 및 나노 클레이 0.1∼10 중량%를 포함하며,
    나노 클레이가 박리되어 형성된 1∼300㎚ 크기의 클레이 소판들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내에 불연속적인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탄소나노튜브 및 나노 클레이를 적어도 포함하는 원료를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 내에서 상기 원료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에 전단 응력이 인가되게 하여, 상기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 및 탄소나노튜브를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상기 나노 클레이가 판형의 1∼300㎚ 크기의 클레이 소판으로 박리되고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내에 판형의 클레이 소판들을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조성물을 토출하는 단계; 및
    수조에서 급냉시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 임팩트 폴리스티렌은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30중량% 함유되게 투입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5중량% 함유되게 투입되며, 상기 나노 클레이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10중량% 함유되게 투입되고,
    상기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탄소섬유를 사이드 피딩 주입구를 통해 첨가하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20중량% 함유되게 첨가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유리섬유를 사이드 피딩 주입구를 통해 첨가하되,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35중량% 함유되게 첨가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제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0.5 중량% 함유되며, 에틸렌 글리콜, 아미노 실란 및 비닐 실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삭제
KR1020080116784A 2008-11-24 2008-11-24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84A KR101024596B1 (ko) 2008-11-24 2008-11-24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84A KR101024596B1 (ko) 2008-11-24 2008-11-24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99A KR20100058099A (ko) 2010-06-03
KR101024596B1 true KR101024596B1 (ko) 2011-03-31

Family

ID=4235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784A KR101024596B1 (ko) 2008-11-24 2008-11-24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48B1 (ko) * 2011-08-23 2014-02-28 (주)폴리원테크놀로지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032B1 (ko) * 2010-08-06 2013-08-27 (주)대원산업 반도체칩 트레이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기본 재료로 포함하는 반도체칩 트레이
KR20120066753A (ko) * 2010-12-15 2012-06-25 엠파워(주) 웨이퍼 케리어용 복합소재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741A (ja) 2005-05-05 2006-11-16 General Electric Co <Ge> Icトレイ及びその組成物
KR100839173B1 (ko) * 2007-03-21 2008-06-17 신일화학공업(주)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741A (ja) 2005-05-05 2006-11-16 General Electric Co <Ge> Icトレイ及びその組成物
KR100839173B1 (ko) * 2007-03-21 2008-06-17 신일화학공업(주)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Korean Ind.Eng.Chem.,200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48B1 (ko) * 2011-08-23 2014-02-28 (주)폴리원테크놀로지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99A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Dynamic synergy of graphitic nanoplatelets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polyetherimide nanocomposites
KR101082492B1 (ko)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896422B2 (ja) 微細炭素繊維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250174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mpositmaterialien auf basis von polymeren und kohlenstoffnanoröhren (cnts) und auf diese weise hergestellte kompositmaterialien sowie deren verwendung
JP6789220B2 (ja) 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押出装置および方法
Jiang et al. Impro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through incorporation of paraffin wax coated exfoliated graphene nanoplatelets and multi-wall carbon nano-tubes
EP1631971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735819B1 (ko) 탄소계 방열구조체용 재료, 이를 이용한 탄소계 방열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계 방열구조체
JP2008528768A (ja)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8048341B2 (en) Nanocarbon-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US20090289234A1 (en) Modified Organoclays
US20150275063A1 (en)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s,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plastics
KR20060061306A (ko) 전기 전도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83016B1 (ko) 전도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KR20150027146A (ko) 매우 낮은 농도의 탄소계 나노충전제를 갖는 복합 재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재료의 용도
KR101106087B1 (ko) 대전방지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383942B1 (en) Carbon nanotube / graphene composites
KR101024596B1 (ko)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619B1 (ko) 연속식 압출기
KR20120077647A (ko)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8430B1 (ko)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4869615B2 (ja) 微細炭素繊維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90095766A (ko) 전도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및 그제조방법
CN101787197B (zh) 聚碳酸酯/丙烯腈-丁二烯-苯乙烯/层状硅酸盐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45911B1 (ko) 폴리아미드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