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552B1 -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552B1
KR101024552B1 KR1020080041043A KR20080041043A KR101024552B1 KR 101024552 B1 KR101024552 B1 KR 101024552B1 KR 1020080041043 A KR1020080041043 A KR 1020080041043A KR 20080041043 A KR20080041043 A KR 20080041043A KR 101024552 B1 KR101024552 B1 KR 10102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insulation
space
width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283A (ko
Inventor
이대길
김부기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55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 시공 방법은, 복수의 단열재를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배치 단계와,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공간의 폭보다 작게 하여 공간에 삽입하는 삽입 단계와, 충전 단열재의 폭을 공간의 폭만큼 팽창시키는 팽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공간의 폭 보다 작게 하여 공간에 삽입하고, 충전 단열재를 공간에 삽입함과 동시에 또는 공간에 삽입한 후에 팽창시키기 때문에, 충전 단열재를 공간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충전 단열재와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METHOD FOR FILLING OF FILLING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LAY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을 위해 벽면에 결합되는 단열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열재 사이에 충전 단열재를 채우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액화천연가스(LNG) 수송 탱크와 같이 높은 단열 성능을 요구하는 구조물의 벽면에는 단열을 위해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이 낮은 고분자 발포폼(Polymer Foam)이나 글라스울(Glass Wool)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층이 결합된다.
단열층은 일체형(Single Body)으로 벽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크게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고분자 발포폼 등의 단열재를 여러 개 벽면에 배치한 후, 단열재의 사이사이를 신축성이 있는 글라스울 등의 충전(充塡) 단열재로 채워 벽면에 단열층을 시공한다. 벽면에 단열층을 시공함에 있어서, 글라스울은 강성(Stiffness)이 매우 낮기 때문에 단열재의 사이사이의 좁은 공간에 채우기 어렵 다. 특히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의 경우 마찰 계수가 높기 때문에, 글라스울을 채울 때 폴리우레탄폼과 글라스울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글라스울이 손상되거나 공간이 완전히 채워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글라스울의 표면을 종이로 감싸서 폴리우레탄폼과의 마찰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와 같은 단열층 시공 방법은 충전 단열재를 복수의 단열재 사이사이에 삽입할 때, 충전 단열재의 표면을 감싼 종이가 단열재에 접하여 손상되거나 접힘으로써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단열층 시공 방법은 충전 단열재의 밀착성이 떨어져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열층 시공 방법은 강성이 큰 충전 단열재를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할 경우, 단열재와 충전 단열재가 접하는 부분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강성이 낮은 충전 단열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강성이 낮은 충전 단열재를 사용하면, 액화천연가스 수송 탱크와 같이 내부의 큰 하중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해야 하는 경우에 구조적인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 단열재를 단열재 사이사이에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충전 단열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이 큰 충전 단열재를 복수의 단열재와의 마찰에 의한 파손없이 복수의 단열재 사이사이에 충전할 수 있어서, 구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충전 단연재 충전 방법은,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을 충전 단열재로 채우는 방법으로,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공간의 폭보다 작게 하여 공간에 삽입하는 삽입 단계와, 충전 단열재의 폭을 공간의 폭만큼 팽창시키는 팽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은,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열재와,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단열재를 포함하고, 충전 단열재는 공간에 삽입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그 폭이 팽창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 끝단에서 내부로 연장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 시공 방법은, 복수의 단열재를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배치 단계와,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공간의 폭보다 작게 하여 공간에 삽입하는 삽입 단계와, 충전 단열재의 폭을 공간의 폭만큼 팽창시키는 팽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은, 복수 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공간의 폭 보다 작게 하여 삽입하고, 충전 단열재를 공간에 삽입함과 동시에 또는 공간에 삽입한 후에 팽창시키기 때문에, 충전 단열재를 공간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충전 단열재와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은, 강성이 큰 충전 단열재를 복수의 단열재와의 마찰에 의한 파손없이 복수의 단열재 사이에 충전할 수 있어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열층(20)은 벽면(10)의 표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열재(21)와 복수의 단열재(21) 사이에 삽입되는 충전 단열재(22)를 포함한다. 단열재(21)로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등의 고분자 발포폼(Polymer Foam)이 이용될 수 있고, 충전 단열재(22)로는 글라스울(Glass Wool), 폴리스티렌폼(Polystyrene Foam),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PVC폼(Polyvinyl Chloride Foam) 등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충전 단열재(22)로 이용되는 물질은 그 밀도가 20~50kg/㎥ 범위인 것이 좋다. 밀도가 20kg/㎥ 미만의 물질은 단열성이 떨어지고, 밀도가 50kg/㎥를 초과하 는 물질은 딱딱하여 충전 단열재(22)로 적합하지 않다. 복수의 단열재(21)와 충전 단열재(22)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대류가 발생하여 단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충전 단열재(22)는 복수의 단열재(21) 사이의 공간(20a)에 삽입시 복수의 단열재(21)의 측면에 밀착되어야 한다.
충전 단열재(22)는 길이 방향의 아래쪽 끝단(23)에서 내부 쪽으로 연장된 홈(22a)을 갖고, 충전 단열재(22)의 아래쪽 끝단(23)에는 벌림 부재(24)가 결합된다. 벌림 부재(24)는 아래쪽 외측 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25)와, 융기부(25)의 좌우 양쪽에 연결된 제 1 결합부(26) 및 제 2 결합부(27)를 포함한다. 벌림 부재(24)는 금속이나 고분자 물질 등 융기부(25)가 외력을 받아 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벽면(10)에 단열층(20)을 결합하는 시공 과정은 배치 단계, 삽입 단계, 팽창 단계를 거친다. 배치 단계는 복수의 단열재(21)를 벽면(10)의 표면에 서로 인접하도록 결합하는 단계이다. 삽입 단계는 충전 단열재(22)를 복수의 단열재(21)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삽입 단계 전에, 충전 단열재(22)의 폭을 복수의 단열재(21) 사이의 공간(20a)의 폭보다 작게 하고, 충전 단열재(22)에 아래쪽 끝단(23)에서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홈(22a)을 형성한다. 그리고 벌림 부재(24)의 제 1 및 제 2 결합부(26)(27)를 충전 단열재(22)의 홈(22a)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각각 결합한다.
충전 단열재(22)에 벌림 부재(24)를 결합한 후, 벌림 부재(24)가 결합된 끝단(23)이 먼저 삽입되도록 충전 단열재(22)를 공간(20a)에 삽입한다. 이때 충전 단 열재(22)의 폭은 공간(20a)의 폭 보다 작기 때문에, 충전 단열재(22)는 복수의 단열재(21)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공간(20a)에 삽입된다. 팽창 단계는 충전 단열재(22)의 폭을 공간(20a)의 폭만큼 팽창시키는 단계로, 팽창 단계에서 충전 단열재(22)를 홈(22a)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벌려 충전 단열재(22)를 복수의 단열재(21) 측면에 밀착시킨다.
팽창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충전 단열재(22)가 공간(20a)에 삽입되어 벌림 부재(24)의 융기부(25)가 벽면(10)의 표면에 접한 상태에서 충전 단열재(22)를 밀면,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융기부(25)가 펴지면서 제 1 및 제 2 결합부(26)(27)가 홈(22a)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때 충전 단열재(22)의 홈(22a)을 중심으로 한 좌우 양쪽이 제 1 및 제 2 결합부(26)(27)와 함께 외측으로 벌어진다. 따라서 홈(22a)이 확장되고 충전 단열재(22)의 폭이 팽창하여 충전 단열재(22)가 복수의 단열재(21) 측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20) 및 그 시공 방법은 복수의 충전 단열재(22)의 폭을 단열재(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0a)의 폭 보다 작게 하고, 충전 단열재(22)를 공간(20a)에 삽입한 후에 충전 단열재(22)의 폭을 팽창시키기 때문에, 충전 단열재(22)의 삽입이 용이하고 충전 단열재(22)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강성이 큰 충전 단열재(22)를 사용할 경우, 충전 단열재(22)를 복수의 단열재(21)와의 마찰에 의한 파손없이 공간(20a)에 삽입할 수 있고, 강성이 큰 충전 단열재(22)의 사용으로 단열층(20)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단열층(30)은 벽면(10)의 표면에 서로 인접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열재(31)와 복수의 단열재(31) 사이에 형성된 공간(30a)에 삽입되는 충전 단열재(32)를 포함한다. 충전 단열재(32)는 길이 방향의 아래쪽 끝단(33)에서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홈(32a)을 갖는다.
이러한 단열층(30)을 시공할 때, 복수의 단열재(31)를 벽면(10)의 표면에 결합한다. 그리고 충전 단열재(32)의 폭을 복수의 단열재(31) 사이의 공간(30a)의 폭 보다 작게 하고, 충전 단열재(32)에 홈(32a)을 형성한다. 또한 충전 단열재(32)를 공간(30a)에 삽입하기 전에, 벽면(10)의 표면에 위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수단(34)을 구비시킨다. 돌출 수단(34)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돌출 수단(34)은 벽면(10)과 별도로 만들어져 벽면(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벽면(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벽면(10)과 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벽면(10)에 돌출 수단(34)이 구비된 후, 충전 단열재(32)를 그 홈(32a)이 돌출 수단(34)과 만나도록 공간(30a)에 삽입하면,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 수단(34)이 홈(32a)을 파고들면서 홈(32a)이 확장된다. 이때 홈(32a)을 중심으로 한 충전 단열재(32)의 좌우 양쪽이 홈(32a)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충전 단열재(32)의 폭이 팽창한다. 따라서 충전 단열재(32)는 복수의 단열재(31) 측면에 밀착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단열층(40)은 복수 의 단열재(41)와 복수의 단열재(41) 사이를 채우는 충전 단열재(42)를 포함하고, 충전 단열재(42)의 길이 방향 아래쪽 끝단(43)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4)가 구비된다. 돌출부(44)는 아래쪽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단열층(40)의 시공시, 벽면(10)의 표면에 복수의 단열재(41)를 서로 인접하게 결합하고, 충전 단열재(42)를 복수의 단열재(41) 사이에 형성된 공간(40a)의 폭 보다 작게 하여 공간(40a)에 삽입한다. 충전 단열재(42)가 공간(40a)에 삽입되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전 단열재(42)의 돌출부(44)가 벽면(10)의 표면에 접하고 충전 단열재(42)의 길이 방향 위쪽 끝단(45)은 복수의 단열층(40) 보다 높게 돌출된다.
이렇게 외측으로 돌출된 충전 단열재(42)의 길이 방향 끝단(45)을 가압하면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44)가 압축되면서 충전 단열재(42)의 폭이 팽창하여 충전 단열재(42)가 복수의 단열재(41) 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복수의 단열재(41)와 충전 단열재(42) 사이의 마찰에 의해 충전 단열재(42)는 복수의 단열재(41)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충전 단열재(42)를 압축한 후,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전 단열재(42)가 삽입된 공간(40a)을 보호판(12)으로 덮으면, 충전 단열재(42)가 더욱 안정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형태 고정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단열층(50)은 복수의 단열재(51) 사이를 채우는 충전 단열재(52)의 길이 방향 위쪽 끝단(53)에 돌출부(54)가 구비된 것이다. 돌출부(54)는 위쪽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충전 단열재(52)는 그 폭이 복수의 단열재(51) 사이에 형성된 공간(50a)의 폭 보다 작기 때문에, 공간(50a)에 삽입시 복수의 단열재(51)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충전 단열재(52)가 공간(50a)에 삽입되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54)가 복수의 단열재(51) 보다 높게 돌출된다.
이렇게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4)를 가압하면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54)가 압축되어 충전 단열재(52)의 폭이 팽창하면서 충전 단열재(52)가 복수의 단열재(51) 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충전 단열재(52)는 복수의 단열재(51)와의 마찰에 의해 복수의 단열재(51)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충전 단열재(52)가 삽입된 공간(50a)을 보호판(14)으로 덮으면, 충전 단열재(52)가 더욱 안정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형태 고정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단열층(60)은 벽면(10)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열재(61)와 복수의 단열재(61) 사이의 공간(60a)을 채우는 충전 단열재(62)를 포함하고, 충전 단열재(62)는 공간(60a)에 삽입되기 전에 그 폭이 공간(60a)의 폭 보다 작게 압축된다.
이러한 단열층(60)을 벽면(10)에 시공할 때, 충전 단열재(62)를 공간(60a)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 가이드(16)를 사용한다. 삽입 가이드(16)는 복수의 단열재(61) 사이의 공간(60a)에 삽입되는 삽입부(17)와 삽입부(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확장부(18)로 구성된다. 삽입 가이드(16)의 재질 로는 자기윤활 특성이 있거나 저마찰 특성이 있는 물질이 이용된다. 이러한 물질의 일예로, 테프론과 같은 고분자 물질, 금속, 세락믹, 복합 재료 등이 있다.
단열층(60)을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면(10)에 복수의 단열재(61)를 서로 인접하게 결합하고, 복수의 단열재(61) 사이에 형성된 공간(60a)에 삽입 가이드(16)를 삽입한다. 삽입 가이드(16)의 삽입 후,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충전 단열재(62)의 폭을 공간(60a)의 폭 보다 작게 압축하여 삽입 가이드(16)에 삽입한다. 이때 삽입 가이드(16)는 그 입구의 폭이 넓기 때문에 충전 단열재(62)를 삽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삽입 가이드(16)는 복수의 단열재(61)에 비해 강성이 크고 그 내부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충전 단열재(62)는 그 외측면이 삽입 가이드(16)의 내측면에 접하더라도 큰 마찰없이 삽입 가이드(16) 안쪽으로 미끌어져 들어갈 수 있다.
충전 단열재(62)를 삽입 가이드(16)에 삽입한 후,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 가이드(16)를 복수의 단열재(61) 사이의 공간(60a)에서 빼내면, 압축되었던 충전 단열재(62)가 팽창하면서 삽입 가이드(16)가 빠져나간 틈새를 채운다. 따라서 충전 단열재(62)가 복수의 단열재(61) 측면에 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복수의 단열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폭 보다 작게 하여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충전 단열재를 공간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충전 단열재를 공간에 삽입함과 동시에, 또는 충전 단열재를 공간에 삽입한 후에 팽창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열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면 12, 14 : 보호판
16 : 삽입 가이드 20, 30, 40, 50, 60 : 단열층
20a, 30a, 40a, 50a, 60a : 공간
21, 31, 41, 51, 61 : 단열재
22, 32, 42, 52, 62 : 충전 단열재
24 : 벌림 부재 34 : 돌출 수단
44, 54 : 돌출부

Claims (13)

  1.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을 충전 단열재로 채우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열재의 길이 방향 끝단에 상기 충전 단열재의 내부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 단계와;
    상기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상기 공간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삽입 단계와;
    상기 충전 단열재의 폭을 상기 공간의 폭만큼 팽창시키는 팽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단계는 상기 홈이 확장되도록 상기 충전 단열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충전 단열재의 폭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계 전에, 외측으로 융기된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양쪽에 각각 연결된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갖는 벌림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를 상기 홈을 중심으로 상기 충전 단열재의 양쪽에 각각 결합하는 벌림 부재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 단계는 상기 융기부가 상기 벽면에 접하여 펴지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가 상기 홈을 중심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충전 단열재를 상기 벽면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충전 단열재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계 전에, 상기 벽면에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돌출된 돌출 수단을 구비시키는 돌출 수단 구비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 단계는 상기 돌출 수단이 상기 홈을 파고들어 상기 홈이 확장되도록 상기 충전 단열재를 상기 벽면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충전 단열재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계 전에, 상기 공간에 삽입된 상기 충전 단열재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단열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충전 단열재의 상기 끝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 단계는 상기 충전 단열재의 길이가 상기 공간의 깊이 이하가 되도록 상기 돌출부를 압축하여 상기 충전 단열재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계 전에, 상기 공간에 상기 공간과 상기 복수의 단열재를 구획할 수 있는 삽입 가이드를 삽입하는 삽입 가이드 삽입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단계는 상기 충전 단열재를 상기 삽입 가이드의 내부 폭 이하로 압축하여 상기 삽입 가이드에 삽입하는 것이고,
    상기 팽창 단계는 상기 삽입 가이드를 상기 공간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충전 단열재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가이드는 고분자, 금속, 복합재료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열재는 밀도가 20~50kg/㎥ 범위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열재는 글라스울, 폴리스티렌폼, 폴리우레탄폼, PVC폼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
  10.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단열재와, 상기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층을 벽면에 결합하는 단열층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열재를 상기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배치 단계와;
    상기 충전 단열재의 길이 방향 끝단에 상기 충전 단열재의 내부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 단계와;
    상기 충전 단열재를 그 폭을 상기 공간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삽입 단계와;
    상기 충전 단열재의 폭을 상기 공간의 폭만큼 팽창시키는 팽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단계는 상기 홈이 확장되도록 상기 충전 단열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충전 단열재의 폭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 시공 방법.
  11.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열재와, 상기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층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열재는 상기 공간에 삽입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그 폭이 팽창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 끝단에서 내부로 연장된 홈을 갖으며,
    외측으로 융기된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가 외력을 받아 펴질 때 상호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융기부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충전 단열재의 상기 홈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갖는 벌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
  12. 삭제
  13.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열재와, 상기 복수의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 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층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열재는 상기 공간에 삽입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그 폭이 팽창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 끝단에서 내부로 연장된 홈을 갖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고, 상기 홈을 파고 들 수 있도록 상기 벽면과 상기 충전 단열재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
KR1020080041043A 2008-05-01 2008-05-01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 KR101024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43A KR101024552B1 (ko) 2008-05-01 2008-05-01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43A KR101024552B1 (ko) 2008-05-01 2008-05-01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83A KR20090115283A (ko) 2009-11-05
KR101024552B1 true KR101024552B1 (ko) 2011-03-31

Family

ID=4155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043A KR101024552B1 (ko) 2008-05-01 2008-05-01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80B1 (ko) 2012-06-29 2014-02-12 박재현 다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용 프레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52465A (ko) 2022-04-27 2023-11-03 최보영 건축물의 내부 단열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52B1 (ko) * 2011-01-24 2011-08-11 손영준 광물섬유 띠장을 이용한 단열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572A (ja) * 1997-05-19 1998-1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内装板接続構造
JP2001220879A (ja) * 2000-02-07 2001-08-17 Kawakubo Kogyosho:Kk 断熱パネル組立てにおける連接部の目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572A (ja) * 1997-05-19 1998-1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内装板接続構造
JP2001220879A (ja) * 2000-02-07 2001-08-17 Kawakubo Kogyosho:Kk 断熱パネル組立てにおける連接部の目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80B1 (ko) 2012-06-29 2014-02-12 박재현 다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용 프레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52465A (ko) 2022-04-27 2023-11-03 최보영 건축물의 내부 단열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83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3360B (zh) 绝缘管及其制备方法
US20160319983A1 (en)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Insulated Pipes or Elements Thereof
KR101024552B1 (ko) 충전 단열재 충전 방법과, 단열층 및 그 시공 방법
CN102116402A (zh) 真空隔热组件及其制造方法和制冷设备
JP2007519872A (ja) 相異なるフレームに適合できるパイプ貫入等のための圧縮ユニット
KR20190047823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단열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5195494B2 (ja) 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79758B1 (ko) 단열블럭 및 그 제조방법
CN112164511B (zh) 一种数据电缆
KR101887519B1 (ko) 복합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560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보강 구조체
KR20110006815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패널 어셈블리
JP6052983B2 (ja) 冷蔵庫用扉のヒーター配線構造
KR101832324B1 (ko) 냉장고
DK179853B1 (en) Transportation Box
US6337440B1 (en) Recoverable article
WO1998042056A1 (en) Recoverable article
JP3756609B2 (ja) 建築用断熱材
KR101026131B1 (ko) 건물의 슬라브에 매설되는 중공 스페이서의 제조방법.
KR102253765B1 (ko) 이중단열 창틀용 프레임 조립체
KR20110037257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패널 및 단열패널 어셈블리
RU2813392C1 (ru) Межпанель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вставка для резервуара мембранного типа
KR102574034B1 (ko) 케이블용 방화매트
KR20200063815A (ko) 복합단열패널의 제조방법
CN211899236U (zh) 一种装配式自保温型内外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