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397B1 -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 Google Patents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397B1
KR101024397B1 KR1020080007512A KR20080007512A KR101024397B1 KR 101024397 B1 KR101024397 B1 KR 101024397B1 KR 1020080007512 A KR1020080007512 A KR 1020080007512A KR 20080007512 A KR20080007512 A KR 20080007512A KR 101024397 B1 KR101024397 B1 KR 101024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rtical member
vertical
angle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570A (ko
Inventor
박병찬
박병훈
Original Assignee
박병훈
박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훈, 박병찬 filed Critical 박병훈
Priority to KR102008000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3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made of stacked or staggered elements, e.g. hollow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6Live wall, e.g. interlaced twines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조경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래쪽 방향이나 위쪽 방향 혹은 위쪽으로 자라다 아래쪽으로 자라는 덩굴식물을 식생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시공현장으로 설치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은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하며 외측에 위치하는 식생식물의 뿌리가 관통하도록 구멍들이 형성된 복수 개의 세로부재와, 복수 개의 세로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며 외측에 위치한 식생식물의 뿌리가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가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안쪽에 채워지며 식물이 자랄 수 있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상단에는 생장점이 형성되어 좀 더 높은 위치까지 자라도록 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벽면 녹화조경물, 식생식물, 가로부재, 세로부재, 충진재, 헤데라

Description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 벽면구조{vine tree landscape ornaments and wall structure therefore}
본 발명은 녹화조경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래쪽 방향이나 위쪽 방향 혹은 위쪽으로 자라다 아래쪽으로 자라는 덩굴식물을 식생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시공현장으로 설치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덩굴식물은 주로 헤데라류(Hedera spp.)에 속하는 상록 덩굴 식물을 의미 하지만, 모든 부착형 덩굴식물(담쟁이,으름덩굴,줄사철등등)에도 본 기술을 적용할수 있다
기존 덩굴식물 벽면 녹화방식은 덩굴식물의 묘목을 심고 지지대를 설치하여 키우기 시작하는 방식으로서, 지지대 설치와 덩굴식물 식재가 별개의 구성으로 진행된다.
그에 따라 덩굴식물 성장을 위해 초기 관리가 필요한데 도로의 방음벽 및 옹벽과 같은 벽면은 관리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과 금속성 표면, 콘크리트 표면 또는 프라스틱 코팅 지지대와 같이 식물 성장에 방해가 되는 독성 물질을 함유하거나 매끈한 표면등 으로 덩굴식물의 뿌리 흡착의 어려움이 있으며 흡착 되더라도 영양분 의 부족으로 건강한 생육에 지장이 있어 당초 기대하였던 벽면 녹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벽면 녹화를 위해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을 이용하는 이유는, 담쟁이 계열은 여름에 푸르렀다가 가을에 잎이 말라 떨어짐으로 흉물스러우나,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은 4계절 푸르기 때문에 겨울에는 벽면 녹화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헤데라 계열의 성장 특성 때문에, 종래의 벽면 녹화방식으로는 헤데라 계열로 녹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지대 및 식생식물이 별개로 설치 및 식생되기 때문에 녹화에 필요한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이동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4계절 푸르며 뿌리를 내리면서 자라는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이 뿌리를 쉽고 강하게 흡착될수 있게 하고 흡착된 뿌리를 통하여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함으로 조기에 벽면 녹화조경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은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하며 외측에 위치하는 식생식물의 뿌리가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세로부재와, 복수 개의 세로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며 외측에 위치한 식생식물의 뿌리가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가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안쪽에 채워지며 식물이 자랄 수 있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은 연결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측면을 덮는 지지망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세로부재 정면에는 식생식물을 식생하는 식생상자가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세로부재는 식생식물을 식생하는 식생상자 안쪽에 박혀 수직하게 세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중 어느 하나는 반원통형으로서, 정면에는 다수 개의 구멍들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배면은 평편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재와 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중 어느 하나는 C형 앵글과, 상기 앵글 안쪽에 끼워져 상기 앵글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식생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과 상기 식생블록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충진재가 채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생블록은 식생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다공체인 경량기포 세라믹 재질의 단위 블록으로서, 다수 개의 식생블록이 상기 앵글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앵글의 웨브 끝단을 볼트가 관통해 상기 세로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가 고정된다.
상기 가로부재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내부공간에 충진재가 채워진 다수개의 생장점이 상기 세로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생블록은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식생블록의 안쪽에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충진재가 채워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생블록은 'ㄴ'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식생블록의 안쪽에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충진재가 채워지며 식생블록 상단의 공간으로 충진재를 보충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구조로서,
상기 벽면은 제1항에 따른 녹화조경물을 설치할때 벽면으로부터 녹화조경물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에 가로부재 세로부재의 전체크기 만큼 벽면이 안쪽으로 함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구조로서,
상기 벽면은 제1항에 따른 녹화조경물을 설치할때 벽면으로부터 녹화조경물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에 가로부재 세로부재의 형태로 격자를 이루어 안쪽으로 함임된 줄눈이 형성된것일 수 있다.
상기 벽면에는 상기 줄눈의 상단으로 생장점을 설치하기 위한 상기 생장점의 크기로 벽면 안쪽으로 함입된 다수의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은 가로부재를 따라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 뿌리가 수평으로 자라며, 그 줄기는 가로부재의 아래로 쳐지거나 또는 망을 감으며 위로 올라가 벽면 전체를 녹화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은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이 식생하기에 접합한 조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은 조립식으로서, 현장에서 벽면을 조립하고 식생상자를 벽면 아래 위치하면,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 줄기가 망을 따라 위로 자라면서 가로부재와 접하게 되고, 가로부재의 뿌리를 내려 수평으로 그리고 위로 성장하게 된다. 또한 윗방향으로 성장을 위해 세로부재에 성장점을 위치하여 세로부재를 따라 세로부재로 줄기가 자라며, 성장점을 가로부재로 조금씩 잘라 분양함으로써,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 전체를 용이하게 녹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은 덩굴식물이 식생된 상태의 시설물을 시공현장으로 이송 및 시공하기 때문에 녹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송이 편리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로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생타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의 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100)은 지면에 박혀 수직하게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세로부재(110)와, 복수 개의 세로부재(11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개 이상의 가로부재(120) 및 식생된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1)에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세로부재(110)와 상기 가로부재(120)의 내부에 채워진 충진재(130) 및 상기 덩굴식물(1)이 가로부재(120)와 세로부재(110)가 설치된 전면적에 넓게 분포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망(140)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세로부재(110)는 반원통형으로서, 정면에는 다수 개의 구멍(111)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배면은 평편하게 형성되어 가로부재(120)와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세로부재(110)의 내부에는 충진재(130)가 채워지는데, 충진재(130)는 세로부재(110)에 형성된 구멍(111)을 통해 덩굴식물(1)이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충진재(130)는 덩굴식물(1)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1)은 호박덩굴과 같이 줄기가 휘어가고 올라가는 형태가 아니지만, 세로부재(110)의 길이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구멍(111)에 뿌리를 내리면서 위로 올라간다. 또한 세로부재(110)의 상단에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을 식생시킴으로써, 세로부재(110)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신속하게 자랄 수 있다.
한편, 세로부재(110)의 배면에는 가로부재(120)가 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세로부재(110)를 연결한다. 1개의 가로부재(120)를 세로부재(110)의 맨 상단에 체결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부재(110)의 길이 중간에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로부재(12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세로부재(110)에 가로부재(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면에 지지망(140)을 설치한다. 상기 지지망(140)은 가로부재(120) 및 세로부재(110)에 식생된 헤데라 계열의 덩굴식물(1)이 가로부재(120)와 세로부재(110)가 형성하는 면적 전체적으로 넓게 분포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에서 지지망(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120) 및 세로부재(110)가 벽(3)에 기댄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 지지망(140)을 벽(3)에 앵커못 등으로 고정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상자(150)에 세로부재(110)가 세워진 경우에는 지지망(140)을 세로부재(110) 및 가로부재(120)에 고정한다.
한편, 도 2a,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120)는 C형 앵글(121) 과, 앵글(121) 안쪽에 끼워져 앵글(121)의 개방부를 폐쇄하며 앵글(121)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다수 개의 C형 식생블록(123)과, 앵글(121)과 식생블록(123)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충진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충진재(130)는 세로부재(110)에 채워지는 충진재와 동일하다.
충진재는 황토, 볏짚, 우드칩, 세라믹 분말, 유기성슬러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들 수 있다. 주사기로 주입하는 경우 유체화하여 주사기로 주입하게 된다.
상기 식생블록(123)은 경량기포 세라믹블록으로서, 덩굴식물(1)의 뿌리가 내릴 수 있게 다공이 형성된다. 식생블록(123)에 뿌리를 내린 덩굴식물(1)을 식생블록(123)의 안쪽에 채워진 충진재(130)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식생된다.
식생블록은 도2a에서와 같이 'ㄴ'자형이 될 수도 있으며 도2b에서와 같이 'ㄷ'자형이 될 수도 있다. 'ㄴ'자형 구조는 식생을 위한 충진재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주입함으로써 생장점 자체를 교환해줄 필요가 없도록 한다. 'ㄷ'자형 구조는 주사기등을 통해 충진재를 충진할 수 있는데 앵글과 밀착 결합되어 기계적인 안정성이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로부재(120)는 도 1에 보이듯이 세로부재(110)의 배면에 체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121)의 개방부 쪽이 세로부재(110)의 배면 쪽에 접해 위치하며 볼트(125)가 상기 앵글(121)의 안쪽으로 절곡된 웨브(127)의 끝단을 관통해 세로부재(110)의 배면에 박혀 체결됨으로써, 가로부재(120)의 앵글(121)은 세로부재(110)의 배면에 고정된다.
한편, 가로부재(120)를 세로부재(110)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앞에서는 볼트(125)가 가로부재(120)의 웨브(127) 끝단을 관통해 세로부재(110)에 박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는 가로부재(120)와 세로부재(110)를 끈 등으로 묶어 고정하고, 덩굴식물 재배지에서 설치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100)을 분해하여 현장으로 이송한 후 시공할 시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로 세로부재(110)와 가로부재(120)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구성한다.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가로부재는 구멍이 형성된 것 모양으로 세로부재는 C형행글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가로부재나 세로부재가 구멍이 형성된 것 또는 C형앵글을 이용한 것 어느 것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재배지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100)을 벽(3)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100)을 벽(3)에 지지한 상태로 설치할 때에는 세로부재(110) 전방에 식생상자(150)를 위치하여 식생상자(150)에서 재배된 덩굴식물(1)이 세로부재(110) 및 지지망(140)을 타고 위로 자랄 수 있게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을 독립적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식생상자(150)에 세로부재(110)를 박아 고정한 후에 식생상자(150)에서 재배된 덩굴식물(1)이 세로부재(110) 및 지지망(140)을 타고 위로 자 랄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식생상자(15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구조의 상자로서, 재배지에서 덩굴식물(1)을 재배하며, 시공 시에는 식생장자(150)를 현장으로 옮겨 현장 지면에 식생상자(150)를 심어 고정하거나 또는 식생상자(150)의 흙과 덩굴식물 만을 현장 지면에 옮겨 심을 수 있다.
도7은 생장점이 추가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같은 녹화조경물은 그 크기를 벽면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만들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큰 벽면그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나중에 옮길 때에도 운반비용이 커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는 운송하기 쉬우면서도 식물이 어느정도 자라 큰 관리 없이도 계속적으로 자랄 수 있는 정도의 형태로 만들되 옮겨 심기 전이나 옮겨심은 후의 벽면에 생장점을 다수개 설치하여 생장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생장점은 그 안쪽에 충진재가 들어가 있는 형태로서 가로부재를 몇개로 작게 잘라 세로부재 상단의 공간에 무작위로 뿌려 놓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아이비와 같은 식물이 위쪽으로 자라기 힘들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생장점이 있으면 상단으로 자라기가 쉬운형태가 된다. 생장점은 아이비를 기를때 철망을 세로부재의 상단으로 연장 설치하여 철망 위에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8은 본발명에 따른 조경물을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가로부재와 세로부재, 생장점이 설치되는 부분을 벽안쪽으로 미리 함입되도록 줄눈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물을 일반 벽에다 설치하는 경우에 미리 설치된 벽의 바깥쪽에 설치하기 때문에 벽으로부터 식물이 조금 뜬 상태가 된다. 생장점을 설치 하는 경우에도 벽을 따라 올라가던 식물이 생장점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생장점의 전면까지 타고 올라가야 하는데 생장점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뿌리내리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생장점을 벽에 매몰시켜 설치하게 되면 벽을 따라 올라가던 식물이 생장점을 타고 올라가지 않더라도 생장점과 바로 만날 수 있어 쉽게 뿌리를 내리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가로부재나 세로부재를 일반 벽면에 세우게 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식물이 벽면 위쪽을 가로질러 가다가 가로부재나 세로부재를 타고 올라가는 수고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생장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벽면의 구조는 처음 벽면을 만들 때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전체 크기만큼 안쪽으로 함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가로부재와 사로부재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형태만큼만 안쪽으로 함임되도록 줄눈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시공이 좀 더 단순해지는 장점을 가지며 후자의 경우는 좀 더 미려한 벽면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벽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벽면안쪽으로 함입된 부분이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세로부재와 가로부재의 재질을 플라스틱과 같은 좀더 경량의 제품을 쓸 수 있어 이동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벽면구조가 없는 경우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는 경도가 좀 더 높은 제품으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b는 도 1에 도시된 세로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생타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의 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7,8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덩굴식물 3 : 벽
100 : 조립식 벽면 녹화조경물 110 : 세로부재
111 : 구멍 120 : 가로부재
121 : 앵글 123 : 식생블록
125 : 볼트 127 : 웨브
130 : 충진재 140 : 지지망
150 : 식생상자

Claims (15)

  1.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하며 외측에 위치하는 식생식물의 뿌리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세로부재와,
    복수 개의 세로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며, 외측에 위치한 식생식물의 뿌리가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가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안쪽에 채워지며 식물이 자랄 수 있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중 어느 하나는 C형 앵글과, 상기 앵글 안쪽에 끼워져 상기 앵글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식생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과 상기 식생블록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충진재가 채워지며
    상기 식생블록은 식생식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다공체인 경량기포 세라믹 재질의 단위 블록으로서, 다수 개의 식생블록이 상기 앵글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연결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측면을 덮는 지지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세로부재 정면에는 식생식물을 식생하는 식생상자가 위치하며 상기 앵글의 웨브 끝단을 볼트가 관통해 상기 세로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식생블록은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식생블록의 안쪽에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충진재가 채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로부재는 식생식물을 식생하는 식생상자 안쪽에 박혀 수직하게 세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중 어느 하나는 반원통형으로서, 정면에는 다수 개의 구멍들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배면은 평편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재와 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황토, 볏짚, 우드칩, 세라믹 분말, 유기성슬러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07512A 2008-01-24 2008-01-24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KR101024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512A KR101024397B1 (ko) 2008-01-24 2008-01-24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512A KR101024397B1 (ko) 2008-01-24 2008-01-24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570A KR20090081570A (ko) 2009-07-29
KR101024397B1 true KR101024397B1 (ko) 2011-03-25

Family

ID=4129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512A KR101024397B1 (ko) 2008-01-24 2008-01-24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37B1 (ko) 2011-10-17 2013-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 패널, 상기 식생 패널을 구비하는 벽 및 식생 패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53B1 (ko) * 2021-03-25 2023-07-14 김경화 발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세라믹팜보드를 구비한 수직재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831A (ko) * 1999-06-30 2001-01-15 허태학 방음벽 녹화공법
JP2004141123A (ja) * 2002-10-28 2004-05-20 Medeisupo:Kk 緑化可能な自立構造物
KR20050072626A (ko) * 2004-01-07 2005-07-12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831A (ko) * 1999-06-30 2001-01-15 허태학 방음벽 녹화공법
JP2004141123A (ja) * 2002-10-28 2004-05-20 Medeisupo:Kk 緑化可能な自立構造物
KR20050072626A (ko) * 2004-01-07 2005-07-12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37B1 (ko) 2011-10-17 2013-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 패널, 상기 식생 패널을 구비하는 벽 및 식생 패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570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8071B2 (ja) 自然植生誘導ネット及び斜面の自然植生誘導構造
CN109837916B (zh) 可拼装式木质框格边坡生态修复方法
CN111305235A (zh) 一种活树桩-活体植物加筋土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24397B1 (ko) 덩굴식물을 이용한 벽면 녹화조경물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벽면구조
KR101244415B1 (ko) 스톤네트형 식생매트
KR20100016897A (ko) 수목 지하 지주 설치방법
KR101116242B1 (ko) 벽면 속성 녹화 공법
CN109618741B (zh) 一种岩石边坡的绿化网格装置及其施工方法
KR100841978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141197B1 (ko) 기존옹벽에 시공되는 익스펜디드메탈을 이용한 입면녹화 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S61137922A (ja) 法面土留工法
KR20090113984A (ko) 다양한 야생화 식생식재를 통한 옹벽의 녹화 방법
EP1185159B1 (en)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KR101363319B1 (ko) 스톤네트형 식생매트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4611124B2 (ja) 自然修復法面工法
JP3825758B2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CN102047804B (zh) 一种木本植物长久性柱状、墙状栽植速成法
JP3234817B2 (ja) 斜面安定工法
KR101069309B1 (ko) 식생필터를 이용한 옹벽의 녹화방법
JP2014073105A (ja) 植生マット
JP3734869B2 (ja) 緑化工法
KR102370140B1 (ko) 거대 자연석을 활용한 분재
CN214301781U (zh) 一种边坡生态修复结构
JP2824472B2 (ja) 植物栽培用人工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