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107B1 -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107B1
KR101024107B1 KR1020090031096A KR20090031096A KR101024107B1 KR 101024107 B1 KR101024107 B1 KR 101024107B1 KR 1020090031096 A KR1020090031096 A KR 1020090031096A KR 20090031096 A KR20090031096 A KR 20090031096A KR 101024107 B1 KR101024107 B1 KR 10102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team
heat
tube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690A (ko
Inventor
추광엽
Original Assignee
추광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광엽 filed Critical 추광엽
Priority to KR102009003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10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물의 주름가공장치(2)는, 섬유원단(FB)이 집속링(12)(16)(18)을 통과하면서 뭉쳐지고 안내되며 공급롤(20)을 통해서 공급되어 열셋팅부(24)와 열셋팅부(24) 내에 포함된 원단가연부(28), 및 열셋팅부(24) 후방의 원단해연부(38)와 배출롤(39)을 통해서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FB2)이 배출되게 구성하되, 열셋팅부(24)는 스팀침투관체(40)와 스팀침투관체(40) 후측의 열가압롤러(42)가 위치된 두개 이상의 셋팅기(24-1)(24-2)(24-3)들로 구성하고, 셋팅기(24-1)(24-2)(24-3)들내 각 스팀침투관체(40)는 내관부(40)와 그 내관부(40)를 둘러싼 밀폐외통부(42)로 구성하고 내관부(40)에는 제1 스팀주입구(44)가 형성되고 밀폐외통부(42)에는 제2 스팀주입구(46) 및 배수트랩(48)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내관부(40)내로 주입된 스팀에 의한 직접열과 밀폐외통부(42)에 주입된 스팀에 의해 내관부(40)로 전해지는 간접열이 각 내관부(40)를 통과중인 집속 섬유원단(FB1)에 가해지게 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31096
주름가공, 스팀침투관체, 내관부, 밀폐외통부, 스팀

Description

직물의 주름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CREASES OF TEXTILE PRODUCTS}
본 발명은 직물의 주름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물에 자연스러운 주름무늬가 표현되고 표현된 주름무늬가 오래 지속되며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개선한 직물의 주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직물에 자연스럽게 주름무늬가 표현되게 하는 것은 하나의 패션형태로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주름무늬가 표현되는 직물로는 합성섬유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등의 섬유사 재질의 직물과 면, 마, 레이온, 아세테이트, 큐프라, 폴리노직 등등의 셀룰로오스섬유사 재질의 직물 등으로 많이 있다.
직물에 주름무늬가 표현되게 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수작업으로 길게 펼쳐진 원단을 꼬아주거나 또는 거기에 더해 말아주게 한 후 셋팅기에서 스팀으로 열처리하여서 주름이 고착 형성되게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수작업으로 주로 행해지므로 작업 생산성이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한 일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0706598호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및 방법"이 있는데, 주름가공을 위한 직물을 효율적으로 봉지에 충진시키는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등록특허 제0706598호는 봉지 충진시키는 방법이 수동방식이나 전동기계구동장치 등을 이용한 왕복운동으로 왕복파이프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여전히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에 자연스러운 주름무늬가 표현되고 표현된 주름무늬가 오래 지속되며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개선된 직물의 주름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물의 주름가공장치에 있어서, 섬유원단이 집속링을 통과하면서 뭉쳐지고 안내되며 공급롤을 통해서 공급되어 열셋팅부와 열셋팅부 내에 포함된 원단가연부, 및 열셋팅부 후방의 원단해연부와 배출롤을 통해서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이 배출되게 구성하되, 상기 열셋팅부는 스팀침투관체와 상기 스팀침투관체 후측의 열가압롤러가 위치된 두개 이상의 셋팅기들로 구성하고, 상기 각 스팀침투관체는 내관부와 상기 내관부를 둘러싼 밀폐외통부로 구성하고 상기 내관부에는 제1 스팀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외통부에는 제2 스팀주입구 및 배수트랩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상기 내관부내로 주입된 스팀에 의한 직접열과 상기 밀폐외통부에 주입된 스팀에 의해 내관부로 전해지는 간접열이 각 내관부를 통과중인 섬유원단에 가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2 스팀주입구에 주입되는 스팀의 온도는 120∼150℃이며, 상기 열가압롤러에 가해지는 가열온도는 150∼180℃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단가연부 및 원단해연부는 고정관에 회전가능케 회전체가 끼움되어 축설되고, 회전체에는 한쌍에 압착롤이 연결대를 통해 장착되어서 압착롤과 고정관을 통과하는 집속 섬유원단을 꼬임 및 풀림을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선된 직물의 주름가공장치를 이용하여서 직물에 자연스러운 주름무늬가 표현되게 하고 직물에 표현된 주름무늬가 오래 지속되게 함과 동시에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의 생산성이 수작업에 비해서 월등히 높아지도록 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물의 주름가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열셋팅부의 각부 셋팅기내 스팀침투관체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원단가연부 및 원단해연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물의 주름가공장치(2)는, 섬유원단(FB)이 집속링(12)(16)(18)을 통과하면서 뭉쳐지고 집속링(12)(16)(18)을 통과하는 집속 섬유원단(FB1)은 다수 안내롤(14a)(14b)(14c)(14d)(14e)(14f)에 의해 안내되며 공급롤(20)을 통해서 열셋팅부(24)로 공급되게 구성하고, 또 열셋팅부(24)로 공급되는 집속 섬유원단(FB1)은 안내롤(14g)(14h)(14i)(14j)에 의해 안내되어 열셋팅부(24)와 그 열셋팅부(24)내에 포함된 원단가연부(28)를 통과하면서 꼬임과 아울러 다수차에 걸친 열셋팅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 열셋팅된 집속 섬유원단(FB1)은 열셋팅부(24) 후방에 위치한 원단해연부(38)와 안내롤(14k), 배출롤(39)을 통과하면서 꼬임해제가 되어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FB2)로서 배출되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물의 주름가공장치(2)의 본체베이스(10)에는 다수의 안내롤들(14a),..,(14k)과 집속링(12)(16)(18)들이 장치되고, 본체베이스(10)내 전방과 중간 및 하방 지지구조체(4)(6)(8)가 설치되며, 본체베이스(10)내 전방 및 중간 지지구조체(4)(6) 사이에는 열셋팅부(24)의 구성부들이 설치된다.
본체베이스(10)내 전방 지지구조체(4)의 상부에는 고무재질의 한쌍의 공급롤(20)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20)은 모터(M1)에 연결되며 또 에어실린더(22)에 의해서 집속 섬유원단(FB1)의 물림정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전방 지지구조체(4)의 중간 높이부에는 열셋팅부(24)의 구성요소인 제1,제2,제3 열가압롤러들(26)(30)(34) 중 하나인 제2 열가압롤러(30)가 설치된다. 제2 열가압롤러(30)는 열셋팅을 위한 한쌍의 롤러로서 모터(M4)에 연결되며 또 유압실린더(32)에 의해서 꼬임된 집속 섬유원단(FB2)의 물림정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체베이스(10)내 중간 지지구조체(6)의 상부에는 열셋팅을 위한 제1 열가압롤러(26)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열가압롤러(26)는 모터(M2)에 연결되며 또 유압실린더(27)에 의해서 집속 섬유원단(FB1)의 물림정도가 조절되게 구성한다. 또 본체베이스(10)내 후방 지지구조체(8)의 상부에는 열셋팅을 위한 제3 열가압롤 러(34)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열가압롤러(34)는 모터(M5)에 연결되며 또 유압실린더(36)에 의해서 집속 섬유원단(FB1)의 물림정도가 조절되게 구성한다.
또 본체베이스(10)의 말단에 있는 고무재질의 배출롤(39)에도 모터(M6)가 연결된다.
본체베이스(10)내 전방 및 중간 지지구조체(4)(6) 사이에 주로 설치되는 열셋팅부(24)는 스팀침투관체(25) 및 그 후방에 위치된 열가압롤러(26)(30)(34)로 한 조로 된 두개 이상의 셋팅기(24-1)(24-2)(24-3)들을 구비하며, 또 예컨대 셋팅기(24-2)내 이격부에 위치하여 섬유원단(FB1)에 꼬임을 주는 원단가연부(28)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은 세개의 셋팅기 즉 제1,제2,제3 셋팅기(24-1)(24-2)(24-3)의 스팀침투관체(25)들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게 하여서 공급되는 집속섬유원단(FB1)내로의 고온 스팀침투가 온전히(결로현상이 거의 없이) 이루어지게 하고, 후방의 제1,제2,제3 열가압롤러(26)(30)(34)에서는 다소 자연냉각된 집속 섬유원단(FB1)에 대한 열셋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제2,제3 셋팅기(24-1)(24-2)(24-3)를 구성하는 각 스팀침투관체(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내관부(40)와 그 내관부(40)의 외주를 둘러싼 밀폐외통부(42)로 구성한다. 상기 내관부(40)에는 제1 스팀주입구(44)가 상하로 형성되게 하고, 밀폐외통부(42)에는 상부의 제2 스팀주입구(46) 및 하방의 배수트랩(48)이 형성되게 구성한다.
내관부(40)의 제1 스팀주입구(44)와 밀폐외통부(42)의 제2 스팀주입구(46)를 통해 주입되는 스팀의 온도는 120∼150℃이며, 바람직하게는 130℃이다. 이 때의 스팀압력은 3~7kg/cm3이다. 내관부(40)를 통과시 집속 섬유원단(FB1)에 침투되는 스팀이 갖는 온도가 120℃보다 낮으면 이후 열셋팅을 하여 주름을 형성하더라도 제품완성이 주름이 쉽게 펴지게 되며, 상기 스팀이 갖는 온도가 150℃를 넘어서게 되면 옷감조직에 물성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스팀침투관체(25)의 내관부(40)내로 주입된 스팀은 내관부(40)내에 직접 열을 가해줌과 동시에 내관부(40)를 통과하는 섬유원단(FB1)의 조직에 침투되어지는데, 외부에 기후 등의 환경에 따라 그 스팀이 식어서 결로가 되는 경우도 야기된다. 내관부(40)내에서 결로현상이 생기면 섬유원단(FB1)이 젖게 되는데 젖은 상태의 섬유원단(FB1)은 후방의 열가압롤러에서 열셋팅을 하더라도 주름이 생기지 않게된다. 그러므로 내관부(40)내에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내관부(40)내에 직접열에 전달될 뿐 아니라 밀폐외통부(42)내로 주입된 120∼150℃의 스팀에 의한 간접열도 내관부(40)에 전달하므로 내관부(40)내의 온도는 외부환경의 영향에도 항시성을 갖게 해주므로 결로현상이 최소화 된다.
밀폐외통부(42)는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아 내부 결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결로를 처리하는 배수트랩(48)이 그 하방에 함께 형성되는 것이다.
제1,제2,제3 셋팅기(24-1)(24-2)(24-3)의 각 스팀침투관체(25)에서 스팀침투처리된 집속 섬유원단(FB1)은 각 후방의 제1,제2,제3 열가압롤러(26)(30)(34)에서 열셋팅이 되어지는데, 이때 열가압롤러(26)(30)(34)에 가해지는 가열온도는 스팀의 온도보다 높은 150∼180℃이다. 집속 섬유원단(FB1)이 열가압롤러(26)(30)(34)를 통과하는 시간은 제1,제2,제3 셋팅기(24-1)(24-2)(24-3)의 각 스팀침투관체(25)를 통과하는 시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짧아 옷감조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주름무늬는 그대로 열고정되게 해준다.
한편 열셋팅기(24)내에 있는 원단가연부(28)는 집속 섬유원단(FB1)을 꼬임을 주는 작동부로서, 도 1에서는 제2 셋팅기(24-2)내 분리된 스팀침투관체(25) 사이에 위치한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다른 일예로 상기 원단가연부(28)는 제1 셋팅기(24-1)와 제2 셋팅기(24-2) 사이 즉 제2 셋팅기(24-2)의 스팀침투관체(25)의 입구측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제1 열가압롤러(26) 후부와 제2 셋팅기(24-2)의 스팀침투관체(25)의 입구 사이에는 안내롤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가연부(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50)에 회전가능케 회전체(52)가 끼움되어 축설되고, 회전체(52)에는 한쌍의 압착롤(58)이 연결대(56)를 통해 장착되어서 압착롤(58)과 고정관(50)을 통과하는 집속 섬유원단(FB1)을 회전체(52)의 회전에 의해 꼬아주게 된다. 회전체(52)는 풀리구조로서 모터(도 1의 M3)에 연결된 벨트(54)를 통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열셋팅부(24)가 세개의 세팅기 즉 제1,제2,제3 셋팅기(24-1)(24-2)(24-3)로 상하로 분리배열되어 구성되면, 열셋팅부(24)의 점유공간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스팀가열-자연냉각- 열셋팅'이 몇번씩 반복되면서 내구성 있는 주름이 거의 반영구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해준다.
제3 셋팅기(24-3)의 제3 열가압롤러(34) 후방에 설치된 원단해연부(38)는 도 3에 도시된 원단가연부(28)와 동일 구조이지만 역방향으로 설치되고 모터(도 1의 M6)에 연결되며, 꼬여져 있는 집중 섬유원단(FB1)을 풀어주는 회전을 하게 된다.
원단해연부(38)에서 꼬임 풀림된 집중 섬유원단(FB1)은 안내롤(14k)을 통해 안내 모터(M5)에 연결된 한쌍의 배출롤(39)에 의해 당겨진 후 배출롤(39)를 통과하면서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FB2)로 얻어지게 된다.
본원 발명자가 수행해 본 결과, 기존 수작업으로 할 경우 5명의 인원이 투입되어서 1일(8시간 기준) 생산량이 3000야드인데 반해, 본 발명의 원단주름가공장치를 사용하면 2명의 인원을 투입하고 1일(8시간 기준) 생산량이 9600야드 정도가 되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분당 생산량이 최대 20야드까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원단주름가공장치는 인원을 반이상으로 줄게 하고 생산량은 몇배나 더 많아지게 하는 양호한 생산성이 있는 것이다.
또 기존 수작업시에는 30분 내지 1시간의 셋팅시간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초기에 셋팅시간이 지나면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또 원단해연부가 있므로 열셋팅후 별도로 집속 섬유원단을 다시 풀어야 하는 추가 작업도 필요없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섬유원단에 주름가공 효과를 주는데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물의 주름가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열셋팅부의 각부 셋팅기내 스팀침투관체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원단가연부 및 원단해연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10)-- 본체베이스
(12)(16)(18)-- 집속링 (14a)~(14k)-- 안내롤
(20)-- 공급롤 (24)-- 열셋팅부
(24-1)(24-2)(24-3)-- 제1,제2,제3 셋팅부
(25)-- 스팀침투관체 (26)-- 제1 열가압롤러
(28)-- 원단가연부 (30)-- 제2 열가압롤러
(34)-- 제3 열가압롤러 (40)-- 내관부
(42)-- 밀폐외통부 (44)-- 제1 스팀주입구
(46)-- 제2 스팀주입구 (48)-- 배수트랩

Claims (3)

  1. 직물의 주름가공장치에 있어서,
    섬유원단이 집속링을 통과하면서 뭉쳐지고 안내되며 공급롤을 통해서 공급되어 열셋팅부와 열셋팅부 내에 포함된 원단가연부, 및 열셋팅부 후방의 원단해연부와 배출롤을 통해서 주름무늬 형성된 직물이 배출되게 구성하되,
    상기 열셋팅부는 스팀침투관체와 상기 스팀침투관체 후측의 열가압롤러가 위치된 두개 이상의 셋팅기들로 구성하고, 상기 각 스팀침투관체는 내관부와 상기 내관부를 둘러싼 밀폐외통부로 구성하고 상기 내관부에는 제1 스팀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외통부에는 제2 스팀주입구 및 배수트랩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상기 내관부내로 주입된 스팀에 의한 직접열과 상기 밀폐외통부에 주입된 스팀에 의해 내관부로 전해지는 간접열이 각 내관부를 통과중인 섬유원단에 가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스팀주입구에 주입되는 스팀의 온도는 120∼150℃이며, 상기 열가압롤러에 가해지는 가열온도는 150∼180℃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가연부 및 원단해연부는 고정관에 회전가능케 회전체가 끼움되어 축설되고, 회전체에는 한쌍에 압착롤이 연결대를 통해 장착되어서 압착롤과 고정관을 통과하는 집속 섬유원단을 꼬임 및 풀림을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KR1020090031096A 2009-04-10 2009-04-10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KR10102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96A KR101024107B1 (ko) 2009-04-10 2009-04-10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96A KR101024107B1 (ko) 2009-04-10 2009-04-10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690A KR20100112690A (ko) 2010-10-20
KR101024107B1 true KR101024107B1 (ko) 2011-03-22

Family

ID=4313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096A KR101024107B1 (ko) 2009-04-10 2009-04-10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270B1 (ko) 2019-12-23 2020-12-01 추광엽 인견직물의 크리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61B1 (ko) * 2014-01-21 2015-01-21 주식회사 대창비에스 직물의 주름무늬형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762A (en) 1984-04-18 1989-05-30 Kurt Kleber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rumple pleat crease patterns in fabric webs
KR900004041Y1 (ko) * 1987-12-10 1990-05-08 권순육 직물지의 주름자동 성형기
JPH0967756A (ja) * 1995-08-28 1997-03-11 Hirano Tecseed Co Ltd 布帛用しわ加工装置、及び布帛しわ加工方法
KR100417048B1 (ko) 1996-04-12 2004-04-17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셀룰로스계 섬유구조물의 내구성 주름부여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762A (en) 1984-04-18 1989-05-30 Kurt Kleber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rumple pleat crease patterns in fabric webs
KR900004041Y1 (ko) * 1987-12-10 1990-05-08 권순육 직물지의 주름자동 성형기
JPH0967756A (ja) * 1995-08-28 1997-03-11 Hirano Tecseed Co Ltd 布帛用しわ加工装置、及び布帛しわ加工方法
KR100417048B1 (ko) 1996-04-12 2004-04-17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셀룰로스계 섬유구조물의 내구성 주름부여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270B1 (ko) 2019-12-23 2020-12-01 추광엽 인견직물의 크리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690A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81174A (zh) 一种带清洗烘干功能的自动纺线收线器
CN206090071U (zh) 一种梳毛机
KR101024107B1 (ko) 직물의 주름가공장치
CN108861854A (zh) 一种亚麻条带阻尼放卷机构
JP2017133146A (ja) 中綿入り衣料および中綿入りジャケットの充填方法
CN105019082B (zh) 一种竹纤维与腈纶纤维混纺涡流纺纱品及其纺织方法
CN107513789A (zh) 一种涤锦氨纶包覆丝及其制备工艺
CN110344168A (zh) 一种紧密纺凉感消臭针织面料及其制作方法
CN102978858A (zh) 一种纺线染色一体机
CN108759397A (zh) 一种纺织布高效风干装置
CN110409030A (zh) 一种基于半精纺纱做饰纱的新型tt纱的生产与应用
CN108823720B (zh) 一种含有三维结构的纱线及其生产方法
US7886513B2 (en) Composite ya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450068B2 (ja) 凹凸固定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の製造方法
CN208055563U (zh) 一种提高松紧带平整度的织造设备
CN205711092U (zh) 一种毛纺传送开松装置
CN107881627A (zh) 一种保暖面料的生产方法
CN104005134A (zh) 腈纶混纺暖智能纱线的制备方法及内衣制品
CN104775220B (zh) 一种毯子及其加工方法
CN106757910A (zh) 布料缩水处理整烫机
CN110485032A (zh) 一种透气抗菌的多纤维混纺布制作方法
CN110438638A (zh) 一种微循环保健针织面料及其制作方法
CN219010721U (zh) 一种用于新型抗菌羊绒制品熨烫的整理设备
CN206986366U (zh) 一种纺纱机的收放的收纱装置
CN107089549A (zh) 一种双辊筒纺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