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921B1 -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921B1
KR101023921B1 KR1020100028412A KR20100028412A KR101023921B1 KR 101023921 B1 KR101023921 B1 KR 101023921B1 KR 1020100028412 A KR1020100028412 A KR 1020100028412A KR 20100028412 A KR20100028412 A KR 20100028412A KR 101023921 B1 KR101023921 B1 KR 10102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battery
conductive sensing
voltage detecting
det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857A (ko
Inventor
이범현
이진규
윤희수
강달모
윤종문
양재훈
신인철
신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0010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a)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위(전지모듈 전면 및 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부들; (b) 상기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접속부; (c) 일측 단부가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보다 넓은 접촉면을 가지는 도전성 센싱부들; 및 (d) 상기 전면 지지부 또는 후면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검출 전압을 BMS로 송부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 센싱부들은 면 접촉방식으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전압 검출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전압 검출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위(전지모듈 전면 및 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부들, 상기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접속부, 일측 단부가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보다 넓은 접촉면을 가지는 도전성 센싱부들, 및 상기 전면 지지부 또는 후면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검출 전압을 전지 제어장치로 송부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 센싱부들은 면 접촉방식으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접속되어 있는 전압 검출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다는 등의 잇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전지모듈은 다수의 전지셀들이 조합된 구조체이므로 일부 전지셀들이 과전압, 과전류, 과발열 되는 경우에는 전지모듈의 안전성과 작동효율이 크게 문제되므로, 이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압센서 등을 전지셀들에 연결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차전지의 활용 범위의 확대로 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됨에 따라, 강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검출수단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전지모듈에서 상기와 같이 전지셀들의 전압을 센싱하는 방법으로는, 볼트 및 리벳을 이용한 기계적 체결방식 또는 스프링을 이용한 점 접촉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계적 체결방식 중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은 전지셀의 전극리드와 버스 바를 볼트에 의해 소정의 토크를 가지고 체결하는 방식으로서, 진동 등 외력에 의해 볼트 풀림 등의 문제가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최적값의 토크 값 반영 및 관리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볼트 체결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전극단자 연결부의 홀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전극 리드부에 응력이 집중되고 피로가 유발되어 파단이 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리벳을 이용한 기계적 체결 방식은 전지셀의 전극 리드 사이를 리벳에 의해 체결하는 방식으로서, 외력에 의한 풀림 현상은 볼트에 의한 기계적 체결방식에 비해 휠씬 적지만, 리벳의 적용을 위해 전극단자 연결부에 홀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바, 상기 볼트 체결방식과 유사한 파단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기계적 체결방식은 진동과 같은 외력이 전지모듈에 인가시 볼트 풀림에 의한 센싱 불량이 발생하고, 볼팅, 리벳팅 등을 위해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형성된 체결 홀은 외력의 인가시 응력이 집중되어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식인 스프링을 이용한 점 접촉방식은 스프링을 이용해 전지셀의 전극리드와 직접 점 접촉에 의해 센싱하는 방식으로서, 전체적인 면을 통해 센싱하는 방식이 아닌 특정 점을 이용해 해당 전지셀의 전압을 센싱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점 접촉방식은 외력에 의해 센싱면이 이탈하거나, 센싱부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어 안정적인 전압 센싱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용이하게 해결하면서, 전지셀의 전극리드에 대해 안정적인 센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정 구조의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시 또는 작동시 외부 충격 내지 잦은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전압 검출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압 검출부재를 포함하여 소망하는 출력과 용량으로 제조되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압 검출부재는,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a)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위(전지모듈 전면 및 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부들;
(b) 상기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접속부;
(c) 일측 단부가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보다 넓은 접촉면을 가지는 도전성 센싱부들; 및
(d) 상기 전면 지지부 또는 후면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검출 전압을 전지 제어장치로 송부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 센싱부들은 면 접촉방식으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접속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검출부재는 전지모듈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상에 소정의 도전성 센싱부들을 장착하여 이를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면 접촉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스프링을 이용한 점 접촉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전지셀의 전압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압 검출부재는 종래의 볼트나 너트를 사용한 기계적 체결 방식에 비해 전극단자 연결부에 별도의 체결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외력에 의한 전극단자 연결부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면 접촉방식은 와이어보다 넓은 접촉면을 가진 도전성 센싱부들이 전극단자 연결부의 외면에 대해 점 또는 선이 아닌 면 대 면으로 상호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도전성 센싱부는 판상 스트립 형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도록 전극단자 연결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의 일부는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단자 연결부는 전지셀의 양극단자와 이와 인접한 전지셀의 음극단자를 직렬 연결하는 부위를 의미하며, 전극단자 연결부를 구성하는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의 일부 부위를 절취하고 절취한 부위에 도전성 센싱부를 위치시킨 후 미절취 전극단자에 면 접촉에 의해 접속시킴으로써, 상호간의 접속을 더욱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센싱부의 폭과 높이는 전극단자 연결부의 본래 기능인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되고, 부가적으로 도전성 센싱부가 전극단자 연결부와 면 접촉에 의해 접속되어 전지셀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적정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적정 범위의 하나의 예로서, 면 접촉을 위한 상기 도전성 센싱부의 폭은 전극단자 연결부의 폭을 기준으로 10 내지 8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센싱부의 폭이 전극단자 연결부의 폭을 기준으로 10% 보다 작으면, 전극단자의 전압을 면 접촉에 의해 안정적으로 검출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반대로 80% 보다 크면, 전극단자 연결부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져 양극단자와 음극단자 간의 접촉 내부 저항이 커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도전성 센싱부의 높이는 전극단자 연결부의 길이를 기준으로 20 내지 7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센싱부의 높이가 전극단자 연결부의 높이를 기준으로 20% 보다 작으면, 면 접촉에 의해 전극단자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검출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반대로 70% 보다 크면, 전극단자 연결부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져 양극단자와 음극단자 간의 접촉 내부 저항이 커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한 도전성 센싱부의 면 접촉 면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극단자 연결부의 본래 기능인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함과 동시에 면 접촉에 의해 전지셀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전극단자 연결부의 접속 면적(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접속되는 계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6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에서 일측 전극단자(a)는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취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a)와 도전성 센싱부가 함께 타측 전극단자(b)에 면 접촉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전극단자(a)가 양극단자인 경우 양극단자의 일부가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취되고, 양극단자의 나머지 부위와 도전성 센싱부는 타측 전극단자(b)인 음극단자에 함께 소정의 접촉면을 가지고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한 도전성 센싱부의 접속은 상호간의 접속이 용이한 결합방법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용접 방식에 의한 결합은 전극단자 연결부와 도전성 센싱부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므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전지셀에 대한 신뢰성 있고 안정적인 센싱이 가능하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서, 일측 전극단자(a)가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취되어 있고 전극단자(a)와 도전성 센싱부가 타측 전극단자(b)에 면 접촉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조에, 용접 방식에 의해 결합을 수행하면, 예를 들어, 전극단자(a) / 전극단자(b) / 도전성 센싱부 등의 3층 구조로 용접을 수행하지 않고, 전극단자(a) - 도전성 센싱부 / 전극단자(b)의 2층 구조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층 구조의 용접에 따른 결합력 감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는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위, 즉, 전지모듈의 전면 및 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상형의 부재로서,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센싱부 등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과 같은 전지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및 후면 지지부는 인쇄회로 기판(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센싱부는 소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가 필요하고, 전극단자에 대한 센싱부의 안정적인 접속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전성이 좋은 구리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는 도전성 센싱부와의 면 접촉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도록, 전지셀의 양극단자와 대면하는 전지셀의 음극단자의 단부가 각각 대면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음극단자는 구리 전극리드이고, 양극단자는 알루미늄 전극리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에서 구리 전극리드의 단부는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취되어 있고, 구리 전극리드와 도전성 센싱부는 알루미늄 전극리드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지셀의 음극단자인 구리 전극리드와 구리 스트립인 도전성 센싱부는 전지셀의 양극단자인 알루미늄 전극리드에 대해 2층 구조로 용접된다.
상기 도전성 센싱부와 전극단자 연결부의 접속 부위에는 접속부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 보호부재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접속 부위의 상단에 절연성 보호부재를 도포하거나 절연성 필름을 코팅함으로써, 접속 부위의 내부식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부식으로 인한 센싱 불량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압 검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지모듈의 바람직한 예로는,
(a)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전지셀들 또는 단위모듈들이 측면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전지셀 적층체;
(b)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서, 전면부에 외부 입출력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상부 케이스;
(c)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타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구조로서, 전면부에 전지셀의 전극단자를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가 구비되어 있고 하면에 상기 전압 검출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및
(d)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 상에 장착되어 전지셀 전극단자와 버스 바의 접속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절연성 소재의 전면 커버;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구조를 들 수 있다.
다수의 전지셀들로 구성되는 전지모듈에서는 안전성 및 작동 효율성을 고려하여, 전압과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전압은 적어도 전지셀 별로 또는 전지셀의 전기적 연결부위 별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검출부재들의 장착은 전지모듈의 구성을 더욱 복잡하게 하는 주요인들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전지모듈에서는 전압 측정을 위한 검출부재가 하나의 케이스, 즉,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를 따라 설치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와 후면부 상의 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전지셀의 전극단자 연결부와 접속되는 도전성 센싱부들과 상기 센싱부들을 연결하는 접속부로 구성된 센싱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싱 부재는 그것의 용도에 따라 앞서 설명한 전압 검출부재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온도 검출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압 검출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와 후면부상의 공간에 도전성 센싱부가 삽입되어 전극단자 연결부와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전면 지지부, 후면 지지부, 및 접속부가 각각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외부 충격 인가시에도 안정적인 전기적 면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는 접속부가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다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만입부의 내측면에는 삽입된 접속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들이 교번 배향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지셀 적층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측면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형태로 케이스에 장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방향은,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에서 전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정의하고, 그것의 양측 외주면을 '측면' 방향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전지셀 적층체는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의 전극단자가 전지모듈의 전면과 후면방향을 향하면서 일측 외주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세워져 있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전지셀 적층체는 바람직하게는 전극단자들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단위모듈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단위모듈은 전극단자들이 직렬로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들의 연결부가 절곡되어 적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고강도 셀 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위모듈 내부의 전지셀들은 직렬 및/또는 병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서, 전지셀들을 그것의 전극단자들이 연속적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단자들을 결합시킨 뒤,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전지셀들을 중첩되게 접고 소정의 단위로 셀 커버에 의해 감쌈으로써 다수의 단위모듈들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과정은 일부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단위모듈들을 각각 제조한 후 단위모듈간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도 있다.
전극단자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높은 밀집도로 충적된 다수의 전지셀 적층체는 조립식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상하 분리형의 케이스에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하부 케이스들은 장착한 후 상호 조립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전지셀 적층체의 용이한 방열을 위해 전지셀 적층체의 외주면만을 감싸고 그것의 외면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는 전지셀 적층체 일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 케이스는 전지셀 적층체의 타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상기 전압 검출부재의 지지부들 및 도전성 센싱부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센싱부는 전지셀 전극단자들의 직렬 연결 절곡부위(전극단자 연결부)의 일부 부위와 용접에 의해 면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센싱부와 전극단자 연결부의 면 접촉 방법은 단위모듈의 제조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지셀들을 그것의 전극단자들이 연속적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단자들을 결합시킨 뒤,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전지셀들을 중첩되게 접고 소정의 단위로 셀 커버에 의해 감쌈으로써 다수의 단위모듈들을 제조하고, 이러한 단위모듈들을 하부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에서 도전성 센싱부와 전극단자 연결부의 일부 부위의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극단자들을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전극단자들이 상호 인접하도록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전지셀들을 중첩시켜 소정의 단위로 셀 커버에 의해 감쌈으로써 다수의 단위모듈들을 제조한 후, 이러한 단위모듈들을 하부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한 용접과 전극단자 연결부와 도전성 센싱부의 용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지모듈의 제조 공정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내면에는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의 외주면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장착홈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지셀 적층체가 다수의 단위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케이스에 대한 전지셀 적층체의 안정적인 장착을 돕고 단위모듈들 상호간의 충적 상태를 더욱 밀착시켜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단위모듈의 셀 커버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한 외면에는 모듈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셀 커버의 좌우 양단에 인접한 외면에는 모듈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 케이스의 내면 장착홈은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위모듈의 외주면 부근에 형성된 단차가 상하부 케이스의 내면 장착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단위모듈의 외주면만이 케이스에 고정됨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전지셀 적층체의 최외각 전극단자들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전지셀 적층체를 하부 케이스에 장착할 때 상기 슬릿을 통해 최외각 전극단자가 노출되도록 한 후, 이를 절곡하여 전면부 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최외각 전극단자는 전면부의 버스 바와 더욱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의 적어도 하나에는 전면 커버의 상단부를 고정하면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력 케이블의 장착을 돕는 도전성 부재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외부 입출력 단자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력 케이블을 탄력으로 감쌀 수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에는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홈에는 전력 케이블의 일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체결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는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에 대해 조립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하부 케이스들은, 그 중의 하나의 케이스(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에 전지셀 적층체를 장착한 후 나머지 케이스(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케이스들의 그러한 체결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스들의 양측에 형성된 나사선 홈에 나사를 결합시키는 구조,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의 케이스에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케이스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 등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 및/또는 후면부의 하단에는 외부 장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지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등과 같은 전지 제어장치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후면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전압 검출부재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각각의 전압 검출부재는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과 후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이들 전압 검출부재들은 후면부의 후미에 위치하는 BMS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면부의 검출부재들은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접속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또 다른 검출부재인 온도 검출부재로서의 써미스터가 전지셀 적층체의 전지셀들 또는 단위모듈들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써미스터가 전지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전지 제어장치는 전지모듈 별로 장착될 수도 있고 다수의 전지모듈들에 대해 하나의 부재로서 장착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 하부 케이스의 후면부에는 전지 제어장치가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전지 제어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형태의 전지 제어장치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 제어장치 장착부에는 써미스터 커넥터와 통신 커넥터가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장착된 지지부의 외면에는 전기절연성의 커버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외부와의 전기절연성을 높이고 장착 부재의 기계적 결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모듈은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많은 수의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구조적으로 안정한 기계적 체결과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단위들, 예를 들어, 4개, 6개, 8개, 10개 등의 전지셀들로 전지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전지모듈을 필요한 수만큼 한정된 공간내에 효과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다수 개 연결하여 구성되는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시스템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전지모듈들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한정된 장착공간을 가지며 잦은 진동과 강한 충격 등에 노출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압 검출부재는 도전성 센싱부들을 면 접촉방식으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접속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 경우에도 전지셀들의 온도 또는 압력에 대한 안정적인 전압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압 검출부재를 포함한 전지모듈을 단위체로 사용하여 소망하는 출력과 용량의 중대형 전지시스템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다수의 단위모듈들로 구성된 전지셀 적층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감싸는 상부 및 하부케이스와 전압 검출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하부케이스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부분 평면 확대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검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검출부재와 전지셀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위에 대한 저면 모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사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다수의 단위모듈들로 구성된 전지셀 적층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 적층체(100)는 4 개의 단위모듈들(101, 130)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위모듈(130) 당 2 개의 전지셀들(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8 개의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다. 전지셀 상호간 및 단위모듈 상호간의 전극단자 결합은 직렬 방식이며, 이러한 전극단자 연결부(110)는 적층체의 구성을 위해 단면상으로 'ㄷ'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고, 그 중 최외각에 있는 단위모듈들(130, 101)의 외측 전극단자(120, 121)는 다른 전극단자 연결부(110)보다 조금 돌출된 상태에서 안쪽을 향해 단면상으로 'ㄱ'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전지셀 적층체를 감싸는 상부 및 하부케이스와 전압 검출부재의 분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200)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일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면부(210)에 한 쌍의 외부 입출력 단자(220)가 구비되어 있다.
전지셀 적층체(100)는 다수의 단위모듈들(130)이 측면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형태로 하부 케이스(300)에 장착된다.
하부 케이스(300)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타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면서 상부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면부(310)에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극단자를 외부 입출력 단자(220)에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버스 바(32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는 상호 조립한 상태에서 전지셀 적층체(100)의 용이한 방열을 위해 전지셀 적층체(100)의 외주면 만을 감싸고 그것의 외면이 상당 부분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버스 바(320)의 상단은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가 상호 결합될 때, 상부 케이스 전면부(210)의 외부 입출력 단자(220)가 도입될 수 있는 만입 홈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의 내면에는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의 외주면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장착홈들(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단위모듈(130)의 외주면 단차가 결합될 수 있는 대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에는 냉매(주로 공기)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관통구들(230, 332)이 천공되어 있어서, 전지셀 적층체(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300)의 전면부(310)에는 절연성 소재의 전면 커버(400)가 장착되어, 전지셀 전극단자와 버스 바의 접속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외부 입출력 단자(220)에는 전면 커버(400)의 상단부를 고정하면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력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장착을 돕는 도전성 부재(240)가 추가로 장착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도전성 부재(240)가 외부 입출력 단자(220)로부터 분리되어 버스 바(320)의 앞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전성 부재(240)는 외부 입출력 단자(2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체결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력 케이블을 탄력으로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 커버(400)에는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홈(4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력 케이블의 일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310)에는 전지셀 적층체(100)의 최외각 전극단자들(120, 121)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슬릿(322)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전지셀 적층체(100)를 하부 케이스(300)에 장착할 때 슬릿(322)을 통해 최외각 전극단자(120, 121)가 노출되도록 한 후, 이를 절곡하여 전면부(310) 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최외각 전극단자(120, 121)는 전면부(310)의 버스 바(320)와 더욱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00)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전압 검출부재(500)는 전극단자 연결부(110)에 대응하는 부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들(510, 512), 지지부들(510, 51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형태의 접속부(520), 일측 단부가 와이어(530)에 의해 지지부(510, 512)에 결합된 판상 스트립(531) 형상의 도전성 센싱부들(531) 및 전압 검출부재(500)의 하단면에 장착되는 전기절연성 커버(561, 562)를 포함하고 있다.
도전성 센싱부(531)는 전지셀 전극단자들의 하단 및/또는 전극단자들의 직렬 연결 절곡부위, 즉, 전극단자 연결부(110)의 상단면에 용접에 의해 전기적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압 검출부재(5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5 내지 도 7에서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하부 케이스에 단위모듈들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대한 부분 평면 확대도들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300)의 전면부(310)와 후면부(340)의 내면에는, 단위모듈들(130) 상호간의 전극단자 연결부(110)와, 단위모듈(130)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극단자 연결부(17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다수의 고정용 홈들(3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용 홈들(350)은 대략 전극단자 연결부(110, 17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면 및 후면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호 인접한 전극단자 연결부와의 안정적인 절연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구체적으로, 고정용 홈(350)에는, 단위모듈들(130)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과 절연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셀 커버 유동 방지용 턱(352), 셀 커버 고정용 가이드(354), 전극단자 격리용 격벽(356)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00)의 전면부 하단에는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구(36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300)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체결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후면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70)는 한 쌍의 돌출형 체결부로서, 일측 체결부(372)가 타측 체결부(374)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높게 설치되어 있어서,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사용하여 중대형 전지시스템을 제조할 때, 전지모듈 상호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더욱 콤팩트한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나, 체결부(370)가 상기 구조 이외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케이스(300)의 후면부(340)의 후미에는 BMS(40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BMS(400)는 하부 케이스(3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BMS 장착부(38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BMS 장착부(380)에는 써미스터 커넥터(382)와 통신 커넥터(384)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검출부재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검출부재와 전지셀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A 부위에 대한 저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전압 검출부재(500)는 전지모듈(600)에서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 상호간의 전극단자 연결부(110)에 대응하는 부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면 지지부(510)와 후면 지지부(512), 전면 지지부(510)와 후면 지지부(512)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형태의 접속부(520), 일측 단부가 와이어(530)에 의해 지지부(510, 512)에 결합되어 있고 와이어(530)보다 넓은 접촉면을 가지는 판상 스트립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도전성 센싱부들(531), 후면 지지부(512) 상에 설치되어 있는 BMS(400), 커넥터(384) 및 전압 검출부재(500)의 하단면에 장착되는 전기절연성 커버(561, 562)로 이루어져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극단자 연결부(110) 중 전지셀의 구리 전극리드(112)는 도전성 센싱부(53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절취되어 있고, 구리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센싱부(531)는 전지셀의 알루미늄 전극리드(114)와 용접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센싱부(531)는 폭(w)이 전극단자 연결부(110)의 폭(W)을 기준으로 대략 6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높이(h)는 전극단자 연결부(110)의 높이(H)를 기준으로 대략 5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전성 센싱부(531)의 면 접속 면적은 전극단자 연결부(110)의 접속 면적을 기준으로 대략 43%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도전성 센싱부(531)의 폭(w)과 높이(h)는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110)에 대한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고 외부 충격이 전지모듈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단위 전지셀 및/또는 단위모듈의 각 전극단자에서 전압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구리 스트립의 도전성 센싱부(531)는 구리 전극리드(112)와 함께 알루미늄 전극리드(114)에 용접되어, 전체적으로 2층 구조의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알루미늄 전극리드(114) 위에 구리 전극리드(112)와 도전성 센싱부(531)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3 층 구조의 용접에 비해 용접성이 우수하다.
도전성 센싱부(531)와 구리 전극리드(112)의 접속부위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절연성 보호필름(116)이 부착되어 있어서, 용접에 의해 접속된 접속부위가 이물질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사시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도전성 센싱부(531)는 하부 케이스(30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와이어 형태의 접속부(520)를 경유하여 상기 BMS(400)에 연결된다. 하부 케이스(300)의 하면(390)에는 접속부(520)가 삽입되는 만입부(392)가 형성되어 있으며, 만입부(392)의 내측면에는 삽입된 접속부(5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들(394)이 교번 배향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지모듈(600a, 600b)은 상하부 케이스(200, 300)의 체결 방식으로 간단히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BMS(도시하지 않음)가 하부 케이스(300)의 후면부(340)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BMS 장착부(380)에 삽입되어 내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콤팩트하면서 간소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 후면부(54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높이 편차를 가진 한 쌍의 체결부들(372, 374)에 의해 상호 연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3)

  1.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a)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위(전지모듈 전면 및 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부들;
    (b) 상기 전면 지지부와 후면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접속부;
    (c) 일측 단부가 와이어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와이어보다 넓은 접촉면을 가지는 도전성 센싱부들; 및
    (d) 상기 전면 지지부 또는 후면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검출 전압을 전지 제어장치로 송부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 센싱부들은 면 접촉방식으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센싱부는 판상 스트립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센싱부는 전극단자 연결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의 일부는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센싱부의 폭은 전극단자 연결부의 폭을 기준으로 1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센싱부의 높이는 전극단자 연결부의 길이를 기준으로 2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한 도전성 센싱부의 면 접촉 면적은 전극단자 연결부의 접속 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에서 일측 전극단자(a)는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취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a)와 도전성 센싱부가 함께 타측 전극단자(b)에 면 접촉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에 대한 도전성 센싱부의 접속은 용접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지지부 및 후면 지지부는 인쇄회로 기판(PCB)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센싱부는 구리 스트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는 전지셀의 양극단자와 대면하는 전지셀의 음극단자의 단부가 각각 대면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는 구리 전극리드이고, 음극단자는 알루미늄 전극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부에서 구리 전극리드의 단부는 도전성 센싱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취되어 있고, 구리 전극리드와 도전성 센싱부는 알루미늄 전극리드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센싱부와 전극단자 연결부의 접속 부위에는 절연성 보호부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검출부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압 검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a)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전지셀들 또는 단위모듈들이 측면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전지셀 적층체;
    (b)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일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서, 전면부에 외부 입출력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상부 케이스;
    (c)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타측면 단부와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구조로서, 전면부에 전지셀의 전극단자를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가 구비되어 있고 하면에 상기 전압 검출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및
    (d)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 상에 장착되어 전지셀 전극단자와 버스 바의 접속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절연성 소재의 전면 커버;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와 후면부상의 공간에 도전성 센싱부가 삽입되어 전극단자 연결부와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지지부들 및 접속부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는 전극단자들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단위모듈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단위모듈은,
    전극단자들이 직렬로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들의 연결부가 절곡되어 적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전지셀 적층체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고강도 셀 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상기 전압 검출부재의 지지부들 및 도전성 센싱부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센싱부는 전지셀 전극단자들의 직렬 연결 절곡부위(전극단자 연결부)의 일부 부위와 용접에 의해 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전지셀 적층체의 최외각 전극단자들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외각 전극단자는 상기 슬릿에 삽입된 후 전면부의 버스 바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1. 제 16 항에 있어서, 전지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고 전압 검출부재와 연결되는 전지 제어장치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후면부 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2. 제 15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단위체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시스템.
KR1020100028412A 2009-04-01 2010-03-30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023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931 2009-04-01
KR20090027931 2009-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857A KR20100109857A (ko) 2010-10-11
KR101023921B1 true KR101023921B1 (ko) 2011-03-22

Family

ID=4282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412A KR101023921B1 (ko) 2009-04-01 2010-03-30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29324B2 (ko)
EP (1) EP2416436B1 (ko)
JP (1) JP5355776B2 (ko)
KR (1) KR101023921B1 (ko)
CN (1) CN102379058B (ko)
WO (1) WO201011428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511A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직접 연결 방식의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50078083A (ko) * 2013-12-30 2015-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커버에 전압센싱부재가 설치된 배터리 모듈
WO2020138821A1 (ko) * 2018-12-26 2020-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9934B2 (en) 2006-03-06 2016-02-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KR100948002B1 (ko) 2006-03-06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US9484591B2 (en) * 2006-03-06 2016-11-01 Lg Chem, Lt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JP5344932B2 (ja) 2006-03-06 2013-11-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中型または大型電池モジュール
JP5316008B2 (ja) * 2009-01-14 2013-10-1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ゲージ回路及びバッテリパック
KR101230954B1 (ko) * 2010-04-08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17564B1 (ko) * 2010-08-16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5703497B2 (ja) * 2011-04-18 2015-04-22 ▲華▼▲為▼▲終▼端有限公司 電池、電池アセンブリ、およびユーザ装置
KR101822612B1 (ko) * 2011-04-27 2018-01-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원차단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CN102790192A (zh) * 2011-05-19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座
EP2706589B1 (en) * 2011-06-27 2018-04-04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assembly including same
CN102956934B (zh) * 2011-08-17 2015-05-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CN102385041B (zh) * 2011-10-26 2014-06-18 杭州金色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芯检测装置
US9494652B2 (en) * 2012-01-31 2016-11-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oltage and temperature sensing of battery cell groups
DE102012205937A1 (de) * 2012-04-12 2013-10-17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für ein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elektrochemischer Energiespeiche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nsorvorrichtung für ein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und Verfahren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r Sensorvorrichtung in einem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KR101924193B1 (ko) * 2012-06-20 2018-1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용접 방법 및 용접구조
KR102050289B1 (ko) * 2012-10-24 2020-01-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2969465A (zh) * 2012-11-06 2013-03-13 上海航天电源技术有限责任公司 储能用绝缘减重结构一体化设计的锂离子电池模块
CN104937740B (zh) * 2012-11-19 2018-06-01 亚奎尼能源公司 用于电化学装置电互连的装置及方法
EP2874226B1 (en) 2012-11-21 2016-10-12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EP2874227B1 (en) 2012-11-21 2017-09-06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003067B1 (ko) * 2012-12-21 2019-07-2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전압 센싱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KR20140085890A (ko) *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팩용 배터리모듈 조립체
KR101572447B1 (ko) * 2013-03-19 2015-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717199B1 (ko) * 2013-08-29 2017-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센싱용 접속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3046159B1 (en) * 2013-09-11 2018-12-19 NGK Insulators, Ltd. Battery-pack case
KR101636380B1 (ko) * 2013-09-26 2016-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707976B1 (ko) * 2013-10-29 2017-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WO2015065078A1 (ko) * 2013-10-31 2015-05-07 타이코에이엠피(유) 센싱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KR102258973B1 (ko) 2013-10-31 2021-06-02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센싱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KR101667519B1 (ko) * 2013-12-17 2016-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PL3002803T3 (pl) * 2014-04-03 2020-01-31 Lg Chem, Ltd. Układ modułów akumulatorowych
WO2015174714A1 (ko) * 2014-05-12 2015-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394964B2 (ja) * 2014-12-22 2018-09-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KR101817237B1 (ko) * 2014-12-24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KR101817236B1 (ko) * 2014-12-24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KR101808310B1 (ko) 2014-12-24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US10665848B2 (en) * 2015-01-05 2020-05-2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bus bar carrier having guide extensions system and method
CN113381129B (zh) * 2015-01-05 2024-03-29 Cps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引导延伸部系统的蓄电池模块汇流条载体及方法
KR101884722B1 (ko) 2015-07-21 2018-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와이어 고정 리브들을 구비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2047482B1 (ko) * 2015-10-30 2019-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32506B1 (ko) * 2016-06-08 2019-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센싱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방법
TWM533365U (en) * 2016-08-25 2016-12-01 Formosa Electronic Ind Inc Plug-in connection structure of stacked energy-storage battery module
KR102102927B1 (ko) * 2016-10-06 2020-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204858B1 (ko) * 2016-12-23 2021-01-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10114904B (zh) * 2016-12-27 2022-07-15 裕罗有限公司 汇流排组件及支架组件
KR102032999B1 (ko) 2017-02-28 2019-10-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11309593B2 (en) 2016-12-27 2022-04-19 Yura Corporation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and frame assembly including same
WO2018124494A2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 및 프레임 조립체
US10481215B2 (en) * 2017-08-31 2019-1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battery cell
KR102161287B1 (ko) * 2017-12-11 2020-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IT201800002773A1 (it) * 2018-02-16 2019-08-16 Ferrari Spa Pacco batteria veicolare
IT201800002775A1 (it) * 2018-02-16 2019-08-16 Ferrari Spa Pacco batteria veicolare
IT201800002774A1 (it) * 2018-02-16 2019-08-16 Ferrari Spa Pacco batteria veicolare
KR102250204B1 (ko) * 2018-03-07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944111B1 (ko) 2018-04-24 2019-01-3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장치
KR102250193B1 (ko) * 2018-10-10 2021-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간 절약형 icb 조립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KR20210059433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브릿지 버스바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지모듈
KR102151052B1 (ko) * 2019-11-22 2020-09-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10122592A (ko) * 2020-04-01 202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20012033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1948428B (zh) * 2020-08-10 2023-05-26 南京莱迪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储能用锂离子电池在线快速检测电压的装置
CN112349991B (zh) * 2020-09-14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储能装置
KR20220043376A (ko) 2020-09-29 2022-04-05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일체형 절연 커버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KR20220142741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트레이
KR20240040994A (ko) * 2022-09-22 2024-03-2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487A (ja) 2004-10-22 2006-05-11 Yazaki Corp バッテリの電圧検出構造
KR100751623B1 (ko) 2003-10-10 2007-08-22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KR20080016656A (ko) * 2006-03-07 2008-02-21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연료전지
JP2008047510A (ja) 2006-07-19 2008-02-28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0234B2 (ja) * 2004-02-03 2010-01-20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組電池
KR100801635B1 (ko) * 2004-11-02 2008-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의 전지 전압 및 온도 측정용 부재
JP4652416B2 (ja) * 2004-12-24 2011-03-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0891079B1 (ko) * 2005-02-07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용 전지 카트리지 연결 시스템
KR100896131B1 (ko) * 2006-05-22 2009-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WO2007102671A1 (en) * 2006-03-06 2007-09-13 Lg Chem, Lt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100948002B1 (ko) * 2006-03-06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0884944B1 (ko) * 2006-05-29 2009-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5344932B2 (ja) 2006-03-06 2013-11-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中型または大型電池モジュール
JP5176312B2 (ja) * 2006-12-07 2013-04-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7684B2 (ja) * 2012-07-09 2014-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組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23B1 (ko) 2003-10-10 2007-08-22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JP2006120487A (ja) 2004-10-22 2006-05-11 Yazaki Corp バッテリの電圧検出構造
KR20080016656A (ko) * 2006-03-07 2008-02-21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연료전지
JP2008047510A (ja) 2006-07-19 2008-02-28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511A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직접 연결 방식의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699865B1 (ko) 2013-12-17 2017-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직접 연결 방식의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50078083A (ko) * 2013-12-30 2015-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커버에 전압센싱부재가 설치된 배터리 모듈
KR102150467B1 (ko) 2013-12-30 2020-09-01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커버에 전압센싱부재가 설치된 배터리 모듈
WO2020138821A1 (ko) * 2018-12-26 2020-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00080078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67381B1 (ko) * 2018-12-26 2022-0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12066048B2 (en) 2018-12-26 2024-08-2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structured so as to prevent entry of foreign substances, and battery pack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29324B2 (en) 2012-12-11
CN102379058B (zh) 2014-06-18
CN102379058A (zh) 2012-03-14
KR20100109857A (ko) 2010-10-11
WO2010114281A2 (ko) 2010-10-07
JP5355776B2 (ja) 2013-11-27
EP2416436A4 (en) 2015-09-16
US20110059342A1 (en) 2011-03-10
EP2416436A2 (en) 2012-02-08
EP2416436B1 (en) 2018-02-21
WO2010114281A3 (ko) 2010-12-23
JP2012523083A (ja)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921B1 (ko)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896131B1 (ko) 중대형 전지모듈
KR101230954B1 (ko) 신규한 구조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152635B1 (ko) 전지모듈용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884944B1 (ko)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17564B1 (ko)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870457B1 (ko) 전지모듈
KR10113004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모듈
KR101305224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0895203B1 (ko) 중대형 전지모듈
KR101297176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KR101071538B1 (ko) 전압 센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62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572447B1 (ko)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841663B1 (ko) 리셉터클 구조의 전압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9372237B2 (en) Battery pack having stable measuring unit
KR101136807B1 (ko) 중대형 전지모듈용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