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219B1 -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219B1
KR101023219B1 KR1020100124855A KR20100124855A KR101023219B1 KR 101023219 B1 KR101023219 B1 KR 101023219B1 KR 1020100124855 A KR1020100124855 A KR 1020100124855A KR 20100124855 A KR20100124855 A KR 20100124855A KR 101023219 B1 KR101023219 B1 KR 10102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mixed
parts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이상목
정휘국
임호
김용수
권건호
박병구
이정무
박영서
강은식
Original Assignee
신이철강주식회사
(주)파이프텍코리아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철강주식회사, (주)파이프텍코리아,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이철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0Double-walled hoses, i.e. two concentric h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의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 폴리올, 촉매, 계면활성제,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열제를 혼합하여 조성물 A를 준비하는 조성물 A 준비공정과; 상기 조성물 B를 준비하는 조성물 B 준비공정과;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를 각각 발포기에 삽입하여 발포 준비하는 발포 준비공정; 및 상기 발포기의 믹싱 헤드를 이중 보온관의 중앙부로 이동시켜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가 믹싱 헤드에서 혼합된 우레탄 조성물을 비연속 주입 방식으로 발포하는 발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느린 반응성의 우레탄원료 조성물 내에 발열제 및 금속촉매를 혼합하여 비연속 주입식 발포 방식을 사용하여 우레탄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열을 증가시킴으로써 150~210℃에서도 쉽게 열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며, 접착력, 균열, 탄화 등의 다양한 기계적 물성과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URETHANE COMPOSITE FOR DOUBLE INSULATION PIPE WITH HIGH THERMAL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 INSULATION PIP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느린 반응성의 우레탄원료 조성물 내에 발열제 및 금속촉매를 혼합하여 비연속 주입식 발포 방식을 사용하여 우레탄폼을 제조하도록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성형 및 다양한 물성이 우수하여 자동차부품, 합성목재, 건축자재, 신발, 의약 및 기타 생활용품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 독립기포로 이루어진 경질우레탄 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단열재 중 단열성이 가장 우수한 물질로서 높은 단열성을 요구하는 저온창고, 이중보온관, 냉동콘테이너, 냉장고, 건축용 패널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은 열경화성 수지이며, 내열에는 약한 단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질 폴리우레탄폼은 -50~120℃나 폴리우레탄폼의 고유 성능인 단열성을 저하하게 된다.
120℃ 이상 고온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온용 이중보온관은 통상적으로 미네랄울, 유리섬유, 펄라이트 규산칼륨 등으로 보온이 될 수 있도록 감싸거나 고정시켜 발포시키는 형태로 제작을 하였으나 제작시 비용, 인원증가 및 생산량의 감소로 이어져 제작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느린 반응성의 우레탄원료 조성물 내에 발열제 및 금속촉매를 혼합하여 비연속 주입식 발포 방식을 사용하여 우레탄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열을 증가시킴으로써 150~210℃에서도 쉽게 열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며, 접착력, 균열, 탄화 등의 다양한 기계적 물성과 단열성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혼합 폴리올, 촉매, 계면활성제,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열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A와 이소시아네이트인 조성물 B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혼합 폴리올은 수산기가 150~300㎎KOH/g인 폴리에스테르에테로 폴리올 10~60 중량%와, 수산기가 150~250㎎KOH/g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5~30 중량%와, 수산기가 100~500㎎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25~60 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촉매는 칼륨 옥틸산(potassium octoate), 칼륨 에톡시드(potassium acetate), 비스무스 베이스트 겔 촉매(bismuth-based gel catalyst)류, 틴 타입 촉매(tin type catalyst)류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촉매와, 범용 아민촉매류인 보조촉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주촉매 0.5~3 중량부, 보조촉매 0.3~1.5 중량부가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 에테르이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가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발포제는 수소화염화불화탄소류인 HCFC-141b, 하이드로불화탄소류인 HFC-245fa, HFC-365mfc, 혼합 HFC-365mfc/227ea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리적 발포제와, 물인 화학적 발포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리적 발포제 10~30 중량부, 화학적 발포제 1~5 중량부가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발열제는 메틸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류이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 중량부가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NCO% 31~32의 폴리메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230 중량부가 혼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의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 폴리올, 촉매, 계면활성제,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열제를 혼합하여 조성물 A를 준비하는 조성물 A 준비공정과; 상기 조성물 B를 준비하는 조성물 B 준비공정과;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를 각각 발포기에 삽입하여 발포 준비하는 발포 준비공정; 및 상기 발포기의 믹싱 헤드를 이중 보온관의 중앙부로 이동시켜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가 믹싱 헤드에서 혼합된 우레탄 조성물을 비연속 주입 방식으로 발포하는 발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발포공정은 상기 발포기의 믹싱 헤드를 비연속 주입 방식으로 주입하되 1~15°로 경사 주입하거나 또는 수평하게 주입시킨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발포공정은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의 온도를 20~30℃로 유지하고, 발포압력을 100~160 kgf/㎠로 유지하며, 상기 이중 보온관의 온도를 30~50℃로 유지하며, 상기 이중 보온관 내에 상기 우레탄 조성물을 주입 후 30~90분 내에 탈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따르면, 150~210℃에서도 20년 이상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폴리우레탄폼의 탄화, 균열, 내,외관의 접착력이 기준치에 만족하고 우수한 물리적 강도를 유지하며 기존 폴리우레탄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난연성을 갖출 수 있다.
도 1은 삼량화 반응의 반응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가속 노화 시험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삼량화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은 혼합 폴리올, 촉매, 계면활성제,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열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A와 이소시아네이트인 조성물 B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혼합 폴리올은 수산기가 150~300㎎KOH/g인 폴리에스테르에테로 폴리올 10~60 중량%와, 수산기가 150~250㎎KOH/g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5~30 중량%와, 수산기가 100~500㎎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25~60 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혼합 폴리올은 우레탄 폼 제조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였으며, 상세하게는 테레프탈릭산 또는 무수프탈산과 다가의 알코올을 반응시킨 후 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만든 폴리에스테르에테로 폴리올, 설탕, 솔비톨, 펜타에리쓰리톨, 글리세린등의 다가의 알코올에 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만든 폴리에테르 폴리올, 테레프탈릭산 또는 무수프탈산에 다가의 알코올 반응시킨 폴리에스테로 폴리올이 있다. 상기 폴리올들은 현재 국내·외에서 이중보온관 및 기타 우레탄 분야에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들이다.
그리고, 촉매는 늦은 반응성에서도 폴리이소시아뉴레이트 반응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금속촉매를 주 촉매로 사용하였으며, 일부 범용 아민촉매를 보조촉매로 사용하였다. 주촉매는 칼륨옥틸산(potassium octoate), 칼륨 에톡시드(potassium acetate), 비스무스 베이스트 겔 촉매(bismuth-based gel catalyst)류, 틴 타입 촉매(tin type catalyst)류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주촉매 0.5~3 중량부, 보조촉매 0.3~1.5 중량부가 혼합된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 에테르이고,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가 혼합된다.
또, 발포제는 수소화염화불화탄소류인 HCFC-141b, 하이드로불화탄소류인 HFC-245fa, HFC-365mfc, 혼합 HFC-365mfc/227ea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리적 발포제와, 물인 화학적 발포제로 이루어지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리적 발포제 10~30 중량부, 화학적 발포제 1~5 중량부가 혼합된다.
한편, 발열제는 메틸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류이고,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중량부가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 이소시아네이트는 NCO% 31~32의 폴리메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230 중량부가 혼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혼합 폴리올, 촉매, 계면활성제,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열제를 혼합하여 조성물 A를 준비한다.
그리고, 조성물 B를 준비한다.
이어서, 조성물 A와 조성물 B를 각각 발포기에 삽입하여 발포 준비한다.
그런 다음, 발포기의 믹싱 헤드를 이중 보온관의 중앙부로 이동시켜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가 믹싱 헤드에서 혼합된 우레탄 조성물을 비연속 주입 방식으로 발포한다. 여기에서, 우레탄 조성물을 발포시 상기 발포기의 믹싱 헤드를 비연속 주입 방식으로 주입하되 1~15°로 경사 주입하거나 또는 수평하게 주입시킨다. 여기에서 또한, 우레탄 조성물을 발포시 조성물 A와 조성물 B의 온도를 20~30℃로 유지하고, 발포압력을 100~160 kgf/㎠로 유지하며, 이중 보온관의 온도를 30~50℃로 유지하며, 이중 보온관 내에 우레탄 조성물을 주입 후 30~90분 내에 탈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0》
혼합 폴리올의 종류, 촉매, 발열제 함량, 인덱스(Index) 차이, 난연제 함량에 따른 우레탄폼의 간이 내열성 평가 실험
아래의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실시예 1~10에 따라, 먼저 혼합폴리올, 난연제, 발열제, 물, 촉매, 발포제를 첨가하여 우레탄 조성물 A를 제조 후, 폴리메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우레탄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폼은 200℃ 오븐에서 120시간 보관하여, 상대적인 내열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시편의 크기는 100×100×50mm이다.
Figure 112010080850129-pat00001
Figure 112010080850129-pat00002
《삼량화 반응(Isocyanurate 반응)과 내열성》
삼량화 반응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족(Aliphatic) 또는 방향족(Aromatic) 이소시아네이트가 서로 반응하여 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를 형성하는 반응을 말하며, 이러한 이소시아누레이트는 폴리우레탄 폼의 우수한 난연성 및 내열성에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반응의 형성 정도(유ㅇ무)는 FT-IR 그래프에서 피크 1410cm-1의 강도를 보고 알 수 있다. 이소시아누레이트가 많을수록 피크 1410cm-1의 강도(길이)는 높다.
《NCO/OH 당량수 비 : 인덱스의 계산》
1) OH 당량 = 56100 / 수산기가, NCO 당량 = 4200 / NCO%
2) 당량수 = 무게(weight) / 당량
Figure 112010080850129-pat00003
《실시예 1 ~ 10의 내열성 실험결과》
Figure 112010080850129-pat00004
내열성을 확인한 결과(표 3), 혼합 폴리올에 따른 실시예 1, 2, 3에서 에테르 폴리올만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탄화 및 균열이 심하였으며(실시예 2, 3은 유사함), 촉매에 따른 실시예 3, 4에서 금속 삼량화 촉매를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가 내열성이 우수하였으며, 발열제에 따른 실시예 5, 6에서 삼량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발열제를 첨가한 실시예 5, 6이 내열성이 우수하였다. 단, 발열제의 양이 많은 경우 폼의 경화가 느렸다.
인덱스에 따른 실시예 7(index 270), 8(index 390)에서 낮은 인덱스의 실시예 7은 탄화와 균열이 있었고, 또한 인덱스가 높은 경우 폼이 취약하여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난연제에 따른 실시예 9, 10에서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난연제는 폼의 균열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내열성이 우수한 조성물 A의 바람직한 조성은 하기와 같다.
혼합 폴리올은 폴리올의 점도등을 감안하여 에테르, 에스테르 및 에스테르에테르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촉매는 삼량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금속 삼량화 촉매(일부 아민촉매 혼용)가 바람직하며, 또한, 삼량화반응에 필요한 에너지원이 되는 발열제를 사용하여 우수한 내열성의 원인이 되는 삼량화 반응을 촉진함이 바람직하며, 폼의 균열을 가속화 시키는 난연제는 사용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때 사용되는 폴리메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은 인덱스 290~370을 고려하여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기 간이 내열성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표 4의 비교예 1과 실시예 10, 11에 따라 하기와 같은 통상적인 비연속 발포방법을 사용하여 이중보온관용 가속 노화 시편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은 EN 253 규격에서 의거 실험하였으며 EN 253은 경질우레탄폼이 파이프 사용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유럽에서 표준규격으로 채택된 항목으로 국내에서 규격을 받아들여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이중보온관용 폴리우레탄 단열재의 사용수명에 따른 예측방법과 단열재에 대한 최소요건을 제공한다.
사용수명은 가속노화 테스트를 통해 이루어지며, 열매체유를 일정한 시간, 온도를 상승시켜 파이프 내부로 흐르게 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열재의 물리적 강도와 열전도율 등을 측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예측하여 판단하는 것으로서 현재 사용온도 보다 높은 200~250℃에서 강제로 노화시켜 테스트한 값이 사용가능한 수명이 결정되게 된다.
이때 시편의 크기는 외관 710A, 내관 500A, 단열 폼의 두께는 88.5mm, 길이 약 1600mm로 제작하였다. 시편제작은 기계발포기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제조시 폴리올 혼합물과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발포온도는 20~22℃, 발포압력은 125~135bar, 몰드 온도는 30~40℃, 탈형시간은 40~50분으로 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80850129-pat00005
《물성분석 및 반응성 측정》
< 코어밀도 >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코어밀도는 KS M 3809-97 시험법으로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 독립기포율(C/C) >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독립기포율은 ASTM D-2856 시험법으로 기포 밀도측정기(air pyc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열전도율(ㅧ10-4㎉/mhr℃)>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열전도율은 ASTM C-177 시험법으로 히트 플로우 메터 인스트루먼트(heat flow meter instrument) HC-074을 사용하여, 핫 플레이트(hot plate) : 38.0℃, cold plate : 10.0℃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압축강도>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압축강도는 KS M 3831-97 시험법으로 만능인장압축시험기(Universal Test Machine, UTM)를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측정하였다.
<휨강도>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휨강도는 KS M 3830-97 시험법으로 만능인장압축시험기(Universal Test Machine, UT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흡수율>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흡수율은 EN-253 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접착력>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폼의 접착력은 DS 2178 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반응성>
손으로 작업한 발포로 측정한 결과이며, 교반속도 6000rpm, 교반시간 10sec, 액온(R/P) 25/25℃의 조건으로 발포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가속노화 시험》
가속 노화 시험은 300A 파이프에 외관 HDPE 450¢에 기준 EN253에 의거 자체 제작한 도 2와 같은 노화시험기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0ㅁ5℃)에서 시험온도 215℃, 노화시간 1450시간의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Figure 112010080850129-pat00006
표 5의 가속노화 시험 후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물성결과를 토대로 비교예 1은 탄화되어(저온용 이중보온관용 시편) 물성측정이 불가능하였으며, 실시예 10, 11은 가속노화 실험 후, 코어밀도 60㎏/㎥이상, 독립기포율 88%이상, 열전도율 0.022㎉/mhr℃이하, 압축 및 휨 강도 100kPa이상, 전단강도 150kPa이상, 흡수율 10%이하, 내관 접착력 100kPa 이상, 외관 접착력은 100kPa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연속 발포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이중보온관 우레탄 폼의 삼량화 반응 유·무 확인 결과》
FT-IR 측정을 통하여 얻은 도 3의 그래프에서 피크 1410cm-1의 강도가 높은 TLFTp 예10은 삼량화 반응이 많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에서 검정색은 비교 예 1이고, 붉은색은 실시 예 2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우레탄폼은 종래의 우레탄 폼과 유사한 반응속도를 가지면서도 폴리이소이뉴레이트 반응을 형성하여, 노화시험 후 상기의 물성들을 만족하였고, 비연속식 생산 방법으로 6 ~ 12m 길이, 20 ~ 1200mm 직경 등의 다양한 이중보온관으로 생산가능하며, 이러한 이중보온관은 150℃ 이상의 온도에서 20년 이상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혼합 폴리올; 칼륨 옥틸산(potassium octoate), 칼륨 에톡시드(potassium acetate), 비스무스 베이스트 겔 촉매(bismuth-based gel catalyst)류, 틴 타입 촉매(tin type catalyst)류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촉매와, 범용 아민촉매류인 보조촉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주촉매 0.5~3 중량부, 보조촉매 0.3~1.5 중량부가 혼합된 촉매; 계면활성제;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열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A와, 이소시아네이트인 조성물 B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폴리올은,
    수산기가 150~300㎎KOH/g인 폴리에스테르에테로 폴리올 10~60 중량%와, 수산기가 150~250㎎KOH/g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5~30 중량%와, 수산기가 100~500㎎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25~60 중량%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 에테르이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수소화염화불화탄소류인 HCFC-141b, 하이드로불화탄소류인 HFC-245fa, HFC-365mfc, 혼합 HFC-365mfc/227ea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리적 발포제와, 물인 화학적 발포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리적 발포제 10~30 중량부, 화학적 발포제 1~5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제는,
    메틸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류이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NCO% 31~32의 폴리메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23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8. 제 1 항의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 폴리올; 칼륨 옥틸산(potassium octoate), 칼륨 에톡시드(potassium acetate), 비스무스 베이스트 겔 촉매(bismuth-based gel catalyst)류, 틴 타입 촉매(tin type catalyst)류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촉매와, 범용 아민촉매류인 보조촉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주촉매 0.5~3 중량부, 보조촉매 0.3~1.5 중량부가 혼합된 촉매; 계면활성제;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열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A를 준비하는 조성물 A 준비공정과;
    상기 조성물 B를 준비하는 조성물 B 준비공정과;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를 각각 발포기에 삽입하여 발포 준비하는 발포 준비공정; 및
    상기 발포기의 믹싱 헤드를 이중 보온관의 중앙부로 이동시켜 상기 조성물 A와 조성물 B가 믹싱 헤드에서 혼합된 우레탄 조성물을 비연속 주입 방식으로 주입하되 1~15°로 경사 주입하거나 또는 수평하게 주입시켜 발포하는 발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00124855A 2010-12-08 2010-12-08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KR10102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55A KR101023219B1 (ko) 2010-12-08 2010-12-08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55A KR101023219B1 (ko) 2010-12-08 2010-12-08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219B1 true KR101023219B1 (ko) 2011-03-18

Family

ID=4393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855A KR101023219B1 (ko) 2010-12-08 2010-12-08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2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132A (ja) * 1993-04-23 1994-11-01 Achilles Corp ウレタン変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010032761A (ko) * 1997-12-04 2001-04-25 그래햄 이. 테일러 저밀도 co2-취입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50798A (ko) * 2008-11-06 201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132A (ja) * 1993-04-23 1994-11-01 Achilles Corp ウレタン変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010032761A (ko) * 1997-12-04 2001-04-25 그래햄 이. 테일러 저밀도 co2-취입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50798A (ko) * 2008-11-06 201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1395B (zh) 硬质聚氨酯绝热保温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443134B (zh) 一种聚氨酯硬质泡沫及其制备方法
RU2639871C2 (ru) Изготовление панелей из полиизоцианурата пеноматериала
EP3115401A1 (en) Low-thermal conductivity rigid polyurethane foam with c-pentane as main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2079804A (zh) 制备聚氨酯硬质泡沫的组合聚醚及组合物,及其使用方法
CN103804711A (zh) 一种以环戊烷为主体的低导热率聚氨酯硬泡泡沫及其制造方法和应用
CN104847026B (zh) 玄武岩纤维布增强聚氨酯硬质泡沫复合保温板及其制备方法
CN104672420A (zh) 一种高强度聚氨酯硬质泡沫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977314B (zh) 超低温冰柜用环保型组合聚醚、制备方法及应用
CN103819644A (zh) 一种流动性好的管道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070412B (zh) 阻燃型聚醚多元醇及制备方法,组合聚醚及聚氨酯泡沫
CN106188606A (zh) 组合发泡剂、聚氨酯硬质泡沫及其制造方法
CN104530361B (zh) 组合物、硬质聚氨酯泡沫材料及制冷设备
CN104530360B (zh) 组合物、硬质聚氨酯泡沫材料及制冷设备
JP2014510821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023219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이중보온관용 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CN106220825A (zh) 冷藏车用聚氨酯大块泡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133512B (zh) 聚氨酯防盗门用全水发泡聚氨酯原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974220B (zh) 一种利用化工醇的副产物树脂c制备的聚氨酯发泡保温材料及制法
CN111548470B (zh) 一种聚氨酯硬泡组合聚醚、聚氨酯硬质泡沫及制备方法
KR101319684B1 (ko) 내열성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내열성을 갖는 파이프 단열용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및 그 발포방법
CN113121775B (zh) 一种耐高温轻质高强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RU263448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жёсткого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CN112778567A (zh) 一种环保高效的多元发泡体系及其制备的硬质聚氨酯泡沫
KR20130007896A (ko) 발열량 제어가능한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발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