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42B1 -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42B1
KR101022842B1 KR1020100047163A KR20100047163A KR101022842B1 KR 101022842 B1 KR101022842 B1 KR 101022842B1 KR 1020100047163 A KR1020100047163 A KR 1020100047163A KR 20100047163 A KR20100047163 A KR 20100047163A KR 101022842 B1 KR101022842 B1 KR 10102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rod
pipe
blocking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682A (ko
Inventor
이영호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스토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4088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228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스토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스토퍼
Publication of KR2010012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16L55/13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deforming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단부의 차단판이 회전구조를 갖도록 하되 유체압력과 더불어 차단부와 설치본체를 연결하는 로드부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함에 따라, 차단판이 보다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차단효율이 향상되고
차단판의 회전구조를 개선하여 배관 내벽과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차단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배관의 단면형상이 진원상태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배관 내부와의 높은 밀착력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FLUID BLOCKING APPARATUS FOR PIPELINE}
본 발명은 배관의 유지보수과정에서 내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나 석유, 가스와 같은 유체는 배관을 통해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예를들어 상하수의 이송은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해당지역의 토목공사등에 의해 상하수배관의 배설경로 변경이 요구되거나, 상하수배관의 노후 등에 의해 해당구간의 교체 및 보수작업이 필요할 경우 작업과정에서 유체의 외부누출을 막기위해 해당 배관의 유체흐름을 차단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단수 현상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 4,458,721호 및 제5,462,077호에서는 에어백 등의 팽창부재를 이용해 배관내부의 유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장치들은 에어백의 내구성이 낮아 유체압력에 의해 파열될수 있어, 유체압이 낮은 소구경의 배관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은 차단부의 차단판이 회전구조를 갖도록 하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유체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단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단부와 배관 내벽면 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차단 장치는, 설치본체, 일단부가 상기 이송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길이가변 구조로 이루어진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타단부에 전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는 상기 이송부 전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차단판, 상기 고정차단판 측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부의 회동에 의해 전후 회동 및 상하 이동되는 회전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 양측에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차단판은 상기 고정차단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을 기준으로 전후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차단판의 측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경사면과 마주하는 상기 회전차단판의 측면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차단판이 펼쳐지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떨어지고, 상기 회전차단판이 접혀지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설치본체와 가까운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설치본체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차단판 일면의 크기가 상기 설치본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고정판 타면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패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상기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 전면 상에 밀착되어 회전차단판과고정차단판 전체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패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결합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고정차단판 전면 상에 결합되는 고정보강판, 상기 회전차단판 전면 상에 결합되어 회전차단판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설치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로드, 상기 제1막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회전차단판에 연결되는 제2로드 그리고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 중 상호 마주보는 각 단부를 동시에 감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는 연결부 내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동과정에서 마주보는 단부가 상호 이격 및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 단부 간 최대 이격거리는 상기 회전차단판의 최대 회전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가 하부를 향해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차단판이 상기 설치본체를 향해 회전되어 있고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의 단부가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가 상부를 향해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차단판이 반대쪽으로 회전되면서 제1로드와 제2로드의 단부가 상호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본체에는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유체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를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가 판재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에 비해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으므로 유체압력이 높은 대구경의 배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차단판이 회전구조로 작동되고 회전이서 유체압력과 더불어 로드부의 길이가 최대 축소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펼쳐지기 대문에 차단판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차단판이 회전되어 접힌 상태로 배관 내 삽입구로 삽입됨에 따라 배관의 삽입구 직경을 펼쳐졌을 때의 회전차단판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어 삽입구 형성작업이 수월해지고, 규모가 작은 천공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이 상호 직접적인 연결구조를 갖지 않고 상호간 접촉부위의 경사면에 의해 각 회전차단판이 외곽방향으로 밀려지므로 회전차단판 테두리와 배관 내벽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관의 단면형상이 완전한 원형 상태가 아니더라도 회전차단부의 밀림에 의해 내벽전체에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관공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전체 배관공사 형태를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로드부의 길이변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차단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차단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 9는 차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 10은 유체차단장치가 배관내 최초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유체차단장치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차단부가 배관내벽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설치본체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유체압력에 의해 회전차단판과 회전보강판 및 패킹부의 직경이 확장된상태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적용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관공사 형태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기존 배관에 신설배관(1) 양단을 A 지점(도 2의 A 참고)에 연결하는 신설배관연결작업(S1)을 실시하고 제거대상 배관(2) 중 신설배관(1)의 각 연결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의 양쪽지점(B) 내부를 차단하는 유체차단작업(S2)을 실시한다.
그리고 유체차단작업(S2)을 실시한 후 제거대상 배관(2) 중 양 차단지점(B) 사이 구간을 제거하는 제거작업(S3) 및 제거된 단부를 막는 단부 막음작업(S4)을 실시한 뒤 유체차단지점(B)을 마감처리하는 마감작업(S5)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은 전체 공사과정 중 유체차단작업(S2) 과정에서 배관(P) 내부로 삽입되어 배관 내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 유체차단장치(10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설치본체(100)와 로드부(200) 및 차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설치본체(100)는 후술하는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지지대 역할 및 유체차단 장치(1000)의 설치 및 분리과정에서 장치 전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미도시)와의 연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지지본체(110)와 연결본체(120)로 구분된다.
지지본체(110)는 후술하는 로드부와 차단부(400)의 실질적인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철재 프레임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에는 로드부(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본체(120)는 유체 차단장치(1)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의 연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이 지지본체(110) 상부면에 볼트결합되며 내부에는 이동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122)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본체(120)의 둘레에는 유체통공(124)이 형성되어 추후 배관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설치본체(100)의 형상 및 구조는 로드부와 차단부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라면 해당 배관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배관내부에서 유체흐름을 차단할 우려가 없을 경우에는 유체통공(124)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본체(100)에는 로드부(200)가 설치되는데,
로드부(200)는 후술하는 차단부(400)와 설치본체(100)간 연결기능 및 차단부(400) 중 회전차단판(420)의 회전작동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로드(210)와 제2로드(220) 및 제1, 2로드(210)(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로드는(210) 단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지지본체(110)의 연결공(1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이때 유니버설조인트(universal joint)구조와 같이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로드(220)는 제1로드(210)와 동일한 봉 형태로 일단부가 제1로드(210)의 타단부와 마주보도록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연결부(300)는 이러한 제1, 2로드(210)(220)간 연결기능과 동시에 제1,2로드(210)(220)의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2로드(210)(220) 중 마주보는 단부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 즉 제1, 2로드(210)(220)단부가 연결부(230) 양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연결부(230)내부에 위치한 제1, 2로드(210)(220)의 각 단부에는 부싱(232)이 설치되어 제1, 2로드(210)(220)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2로드(210)(220)가 연결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부싱(232)의 외경은 연결부(230) 양단의 중공부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중공부 입구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230)의 내부길이는 제1, 2로드(210)(220)가 연결부(230)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한다.
따라서 제1, 2로드(210)(220)의 직선이동과정에서 제1, 2로드(210)(220)의 단부는 연결부(230) 내부에서 상호 이격되거나 맞닿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로드부(200)는 전체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연결부(230) 내에서 제1, 2로드(210)(220)의 단부 간 최대 이격거리(D)는 후술하는 회전차단판(420)의 최대 회전거리(E) 이상이 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후술하는 작용설명과정에서 언급한다.
이러한 로드부(200)는 2개가 구비되어 각각 지지본체(110)의 양측에 연결된다. 물론 후술하는 차단부(400)의 구조 및 연결방식에 따라 1개만 설치되거나 3개이상 설치될 수도 있으며, 길이가변구조도 반드시 위에서 설명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부(200)와 더불어 지지본체(110)에는 연결부재(300)가 더 설치되는데,
연결부재(300)는 후술하는 차단부(400) 중 고정차단판(410)과 지지본체(110) 간 연결기능을하는 것으로, [도 4]처럼 단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 두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300)의 일단부는 지지본체(110)의 전면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고정차단판(410)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로드부(200)와 연결부재(300)에는 차단부(400)가 설치되는데,
차단부(400)는 로드부(200) 및 연결부재(300)에 의해 작동되어 실질적인 유체차단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4]와[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고정차단판(410)과 회전차단판(420), 패킹부(430) 및 보강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정차단판(410)은 판재형태로 이면의 상하부가 각 연결부재(300)의 타 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차단판(410)은 연결부재(300)를 통해 지지본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00)의 상하 회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고정차단판(410)의 상하단면은 호(arc)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회전차단판(420)이 접혔을 때 상호간 불필요한 충돌을 막기 위한 제1경사면(412)이 형성된다. 이때 제1경사면은 고정차단판(410) 이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형성각도는 회전차단판(420)의 회전각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차단판(410)과 더불어 차단부(400)를 구성하는 회전차단판(420)은 유체차단장치(1000)를 배관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삽입구(P-1)의 직경을 작게 형성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회전차단판(420a)과 제2회전차단판(420)으로 구성된다.
제1회전차단판(420a)은 반원 형상의 판재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의 직선면이 고정차단판(410)의 한쪽 제1경사면(412)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이면이 한쪽 로드부(200)의 제2로드(220) 단부와 연결된다.
이때 제2로드(220)와 제1회전차단판(420a)도 유니버설조인트 구조와 같이 다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제1회전차단판(420a) 전체가 전후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차단판(420a) 중 직선면에는 고정차단판(410)의 제1경사면(412)과 대칭을 이루는 이루는 제2경사면(422)이 형성되고 제1회전차단판(420a)이 [도 8]과 같이 뒤쪽으로 접혀졌을 때 제1경사면(412)과 제2경사면(422)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모서리간 충돌 현상이 방지된다. 그러나 제1경사면(412)과 제2경사면(422)은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가 아닐 수도 있다.
그리고 제2회전차단판(420)은 제1회전차단판(420a)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정차단판(410)을 기준으로 대칭배치된 상태에서 다른쪽 로드부 제2로드(2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2회전차단판(420a)(420b)은 고정차단판(410)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회전하여, 마치 날개형태로 펼쳐졌다 접히는 구조를 갖게 되고 접혀졌을 때 각 제2경사면(422)이 고정차단판(410)의 제1경사면(412)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 2회전차단판(420)의 외곽 곡선면과 고정차단판(410)의 곡선면은 곡률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2회전차단판(420a)(420b)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회전차단판(420)과 고정차단판(410) 전체가 하나의 원판 형태를 갖게 된다.
참고로 이러한 차단부(400)의 전체 외경은 해당 배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차단부(400)의 또 다른 요소인 패킹부(430)는 각 차단판(410)(420)과 배관 내면 간 밀폐역할 및 각 차단판(410)(420)간 경계지점으로의 유체 통과 차단기능을 하는 것으로, 차단부(400)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차단판(420)과 고정차단판(410)의 전면과 테두리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패킹부(430)의 테두리가 각 차단판(410)(420) 테두리면을 감싸게 됨에 따라 배관(P) 내벽과 실질적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패킹부(430)는 전체적으로 수축 및 인장성이 우수한 고무재질 등을 사용하여 회전차단판(420)의 회전 시 해당부분이 함께 젖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패킹부(430)에는 제1, 2회전차단판(420a)(420b)을 관통한 제2로드(220)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 주변에는 각 차단부(4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 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부(400)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인 보강부(440)는 패킹부(430)의 보호와 유체의 이중차단 및 차단부 전체 내압성의 보강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각 차단판(410)(420)간 결합체와 동일한 직경의 원판구조로 이루어지며 패킹부(430)의 전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차단판(410)과 동일한 형상의 고정보강판(442)이 가운데 위치되고 고정보강판(442) 양측에 제1, 2회전차단판(420a)(420b)과 동일한 형상의 제1, 2회전보강판(444-1)(444-2)이 위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분할된 상태에서 볼트를 통해 고정보강판(442)은 고정차단판(410)과 결합되고 각 회전보강판(444-1)(444-2)은 각 회전차단판(420a)(420b)과 일체로 결합되어, 각 회전차단판(420a)(420b)과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보강부(440)도 고정차단판(410) 및 회전차단판(420)과 동일하게 상호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고정보강판(442)과 고정차단판(410) 사이에는 패킹부(430)가 위치한다.
또한 고정보강판(442)의 양측면에는 각 회전차단판(420)의 벌어짐을 유도하기 위한 제3 경사면(442a)이 형성되는데, 제3경사면(442a)은 제1경사면(412)과 동일한 형태, 즉 이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2회전보강판(444-1)(444-2) 중 제3경사면(442a)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3경사면(442a)과 수평을 이루는 제4경사면(444a)이 형성되어, 각 회전차단판(420)과 함께 펼쳐졌을 때 제4경사면(444a)이 고정보강판(442)의 제3경사면(442a)과 밀착된 상태가 된다.
참고로 패킹의 가압이 필요 없거나 고정차단판(410) 및 회전차단판(420) 만으로도 충분한 내압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보강부(4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차단판(420)의 제2경사면(422)을 제1경사면(412)과 수평상태로 형성시켜 제1, 2경사면(412)(422) 만으로 회전차단판(420)의 벌어짐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보강판(442)의 전면 상하 테두리에는 배관내 삽입과정에서 배관과의 불필요한 충돌을 방지하고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롤러 형태의 이송부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부재(500)의 설치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두리 중 어느 한 지점에만 형성되거나 사방에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및 [도 10]과 같이 유체차단장치(1000)를 설치하기 전에 배관(P)에 삽입구(P-1)를 형성시키고 삽입구 주변에 별도 보조배관(600)을 덮어 씌운 후 삽입구(P-1)와 연통된 보조배관의(600)의 보조 삽입구(610)를 통해 유체차단장치(1000)를 배관 내부로 집어넣는다.
이때 회전차단판(420)은 뒤쪽으로 젖혀진 상태로 삽입되는데, 따라서 [도 8]과 같이 위에서 봤을 때 회전차단판(420)이 펼쳐졌을 때에 비해 차단부(400) 전체외곽 크기가 줄어든 상태가 되므로, 삽입구(P-1)도 이에 맞는 직경으로만 형성시키면 된다.
따라서 삽입구(P-1)를 회전차단판(420)이 펼쳐진 상태에 맞게 형성시킬 경우에 비해 삽입구 형성작업이 수월해 질 뿐만 아니라 소형의 천공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비용도 절감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삽입과정에서는 [도 10]과 같이 차단부(400)의 자체무게에 차단부(400)의 자체무게에 의해 로드부(200)가 아래를 향해 회동되어, 차단부(400)가 설치본체(100)보다 아래쪽으로 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로드부(200)의 제1로드(210)와 제2로드(220) 단부가 최대한 이격되어 로드부(200)전체길이가 최대로 길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이 진행되다가 [도 11] 및 [도 12]처럼 차단부(400)의 하부가 배관(P) 내벽에 안착되어 차단부(400)의 하강이 더 이상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설치본체(100)는 로드부(200)와의 회동구조에 의해 계속 하강되고 이로 인해 로드부(200)는 배관과 수평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때 로드부(200)가 아래를 향해 회동된 상태에서는 [도 5]처럼 로드부(200) 양단부간 높이값(F)이 로드부(200) 양단부간 전후거리값(G)보다 크기 때문에, 이렇게 설치본체(100)가 하강되면서 로드부(200)가 수평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는 연결부(230) 내부에서 제1로드(210)와 제2로드(220)의 단부가 상호 맞닿게 된다.
즉 로드부(200)의 전체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제1로드(210)와 제2로드(220) 단부가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각 회전차단판(420a)(420b)은 앞쪽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게 된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1, 2로드(210)(220) 단부간 최대 이격거리(B), 즉 회전차단판(420)이 뒤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의 최대이격거리(D) 회전차단판(420)의 최대 회전거리(E)와 동일하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제1, 2로드(210)(220)의 단부가 맞닿음과 동시에 회전차단판(420)은 [도 9]처럼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만약 제1, 2로드(210)(220)단부간 최대 이격거리(D)가 회전차단판(420)의 최대 회전거리(E)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 회전차단판(420)이 완전히 펼쳐지기 이전에 제1, 2로드(210)(220) 단부가 상호 맞닿아, 결국 회전차단판(420)이 완전히 펼쳐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회전차단판이 완전히 젖혀진 상태에서 이 제1, 2로드(210)(220)의 단부가 상호 맞닿음에 따라, 회전차단판(420)이 원치않게 뒤쪽으로 접혀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로드부(200)가 회전차단판(420)의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보강판(444) 쪽의 유체가 배관으로부터 빠져나감으로써, 고정차단판(410) 및 회전차단판(420) 쪽의 압력이 커진 경우, 고정차단판(410)은 연결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움직임 없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로드부(200)와 연결된ㄴ 회전차단판(420)은 유체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앞쪽으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고정보강판(442)의 제3경사면(442a)이 앞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이고 회전보강판(444)의 제4경사면(444a)이 이와 수평 형태이므로, 회전보강판(444)과 회전차단판(420)및 패킹부(430)의 해당구간이 앞쪽으로 밀림과 동시에 이러한 제3, 4경사면(442a)(444a)에 의해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회전보강판(444)과 회전차단판(420) 및 패킹부(430)의 전체 직경이 확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패킹부(430) 테두리면이 배관(P) 내벽에 더욱 밀착되어 유체차단효율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배관 단면형상이 완전한 원형 형태가 아니더라도 패킹부의 직경확장에 의해 배관내벽 전체와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렇게 회전차단판(420)이 유체압력에 의해 앞쪽으로 밀릴 경우 제1로드와 제2로드 단부는 상호 이격된다.
이렇게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면 제거대상배관(P)을 제거한 후 해당 단부를 막는 막음작업(S4)을 실시한다.
그 후 이동장치를 이용해 설치본체(100)를 들어올리면 차단부(400)는 [도 10]처럼 자체무게에 의해 최초 삽입상태처럼 설치본체(100) 아래쪽에 쳐진 상태가 되고 이 과정에서 로드부(200)가 아래쪽을 향해 회동됨과 동시에 [도 6]과 같이 제1, 2로드(210)(220)간 단부가 벌어지면서 회전차단판(420)과 회전보강판(444)이 뒤쪽으로 접혀진다.
이 상태에서 삽입구를 통해 외부로 빼낸 후 삽입구(P-1)를 막는 마감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모든 배관 신설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설치본체 110 : 지지본체
120 : 연결본체 200 : 로드부
210 : 제1로드 220 : 제2로드
230 : 연결부 232: 부싱
300 ; 연결부재 400 : 차단부
410 : 고정차단판 412 : 제1경사면
420 : 회전차단판 420a : 제1회전차단판
420b : 제2회전차단판 422 : 제2경사면
430 : 패킹부 440 : 보강부
442 : 고정보강판 442a : 제3경사면
444 : 회전보강판 444-1 : 제1회전보강판
444-2 : 제2회전보강판 444a : 제4경사면
배관 : P P-1 : 삽입구

Claims (14)

  1. 설치본체,
    일단부가 상기 설치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길이가변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로드부,
    상기 설치본체 전면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차단판과 상기 로드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차단판을 사이에 두고 대칭 배치되어 측면이 상기 고정차단판의 양측면과 마주본 상태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부의 회동 및 길이가변에 의해 상기 고정차단판을 사이에 두고 날개 형태로 전후 회동되는 회전차단판을 갖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차단판의 측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경사면과 마주하는 상기 회전차단판의 측면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차단판이 펼쳐지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떨어지고, 상기 회전차단판이 접혀지면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밀착되는
    배관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5. 제 4항에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설치본체와 가까운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본체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차단판 일면의 크기가 상기 설치본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고정차단판 타면의 크기보다 작은 배관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6. 제 5항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7. 제 6항에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 전면 상에 밀착되어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 전체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8. 제 7항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패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차단판과 고정차단판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결합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9. 제 8항에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고정차단판 전면 상에 결합되는 고정보강판,
    상기 회전차단판 전면 상에 결합되어 회전차단판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보강판 중 상기 회전보강판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3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보강판 중 상기 제3경사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3경사면과 수평 형태의 제4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보강판 앞쪽으로 회전되어 펼쳐졌을 때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가 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10. 제 9항에서,
    상기 제3경사면은 고정보강판의 전면을 향해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11. 제 1항에서,
    상기 로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설치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로드,
    상기 제1막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회전차단판에 연결되는 제2로드, 그리고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 중 상호 마주보는 각 단부를 동시에 감싸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는 연결부 내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동과정에서 마주보는 단부가 상호 이격 및 접촉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12. 제 11항에서,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 단부 간 최대 이격거리는 상기 회전차단판의 최대 회전거리 이상으로 형성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13. 제 12항에서,
    상기 로드부가 하부를 향해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차단판이 상기 설치본체를 향해 회전되어 있고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의 단부가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가 상부를 향해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차단판이 상기 설치본체의 반대쪽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의 단부가 상호 밀착되는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14. 제 1항에서,
    상기 설치본체에는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유체통공이 형성된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KR1020100047163A 2009-05-19 2010-05-19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KR101022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755 2009-05-19
KR1020090043755 2009-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682A KR20100124682A (ko) 2010-11-29
KR101022842B1 true KR101022842B1 (ko) 2011-03-18

Family

ID=4340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163A KR101022842B1 (ko) 2009-05-19 2010-05-19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49B1 (ko) * 2012-08-23 2013-05-08 주식회사 대호스토퍼 차단부의 단면적이 가변되는 구조의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KR102068053B1 (ko) * 2018-09-11 2020-01-20 (주)우신이엔지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폴딩형 차단 장치를 이용한 에스엘에스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73B1 (ko) * 2012-01-18 2013-11-20 강남현 관로의 부단수 차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2778A (en) * 1955-10-10 1957-11-12 Williamson Inc T Pipe line plugger
US5082026A (en) * 1987-02-17 1992-01-21 Smith Garland Y Pipeline plugger
JPH09242977A (ja) * 1996-03-08 1997-09-16 Osaka Gas Co Ltd 管路遮断具
KR100718572B1 (ko) * 2006-04-27 2007-05-15 박경래 가스 또는 유체수송배관의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2778A (en) * 1955-10-10 1957-11-12 Williamson Inc T Pipe line plugger
US5082026A (en) * 1987-02-17 1992-01-21 Smith Garland Y Pipeline plugger
JPH09242977A (ja) * 1996-03-08 1997-09-16 Osaka Gas Co Ltd 管路遮断具
KR100718572B1 (ko) * 2006-04-27 2007-05-15 박경래 가스 또는 유체수송배관의 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49B1 (ko) * 2012-08-23 2013-05-08 주식회사 대호스토퍼 차단부의 단면적이 가변되는 구조의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KR102068053B1 (ko) * 2018-09-11 2020-01-20 (주)우신이엔지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폴딩형 차단 장치를 이용한 에스엘에스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682A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42B1 (ko)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WO2020228620A1 (zh) 一种排水管道的冲洗、检修系统及冲洗方法、检修方法
KR101023265B1 (ko)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 장치
KR20110039999A (ko) 배관 이탈방지장치
JP5474550B2 (ja) 現場硬化ライナーを反転させるための再利用可能な反転スリーブアセンブリ
JP2009287365A (ja) 溜池の堤体における複合型底樋
KR200488498Y1 (ko) 하수관 유지보수용 물막이 장치
KR20170035200A (ko) 하수관 유지보수용 물막이 장치
CN210344706U (zh) 管道泄漏控制设备
KR20060078726A (ko) 유압식 가동보
KR20130084748A (ko) 관로의 부단수 차단 장치
KR101594306B1 (ko) 차집 관거의 하수관로 보수용 물돌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돌리기 공법
JP5703157B2 (ja) 下水流の切り替え部材と切り替え方法、およびマンホールの再構築方法。
WO2021121034A1 (zh) 带有安装结构的橡胶套筒及安装该套筒的管道
JP5508229B2 (ja) 水路の切替え方法
KR100922845B1 (ko)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KR101262049B1 (ko) 차단부의 단면적이 가변되는 구조의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JP5271156B2 (ja) 流体管の更新工法及び流体管更新用管固定支持装置
CN111075948A (zh) 一种柔性截流装置及安装该装置的管道
KR101369495B1 (ko) 배관 라인 스토핑 장치
KR101123109B1 (ko)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JP464252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2020204346A (ja) 配管部材
KR102140417B1 (ko) 차집관로의 보수를 위한 하수 우회장치
JP4673511B2 (ja) 耐震型マンホール構造及び耐震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614

Effective date: 201204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517

Effective date: 20120816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515

Effective date: 20120816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04

Effective date: 201212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15

Effective date: 201302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