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109B1 -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109B1
KR101123109B1 KR1020100026891A KR20100026891A KR101123109B1 KR 101123109 B1 KR101123109 B1 KR 101123109B1 KR 1020100026891 A KR1020100026891 A KR 1020100026891A KR 20100026891 A KR20100026891 A KR 20100026891A KR 101123109 B1 KR101123109 B1 KR 10112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let
steam supply
supply pip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643A (ko
Inventor
안효실
Original Assignee
안효실
(주) 경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실, (주) 경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안효실
Priority to KR102010002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10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보강튜브를 반전하여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내면에 부착시키는 관로의 전체보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 튜브(10)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를 포함하며, 시공하고자 하는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규격을 가지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결합시킨 보강 튜브(10)를 반전시켜 관로의 내면에 삽입한 후, 튜브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보강 튜브(10)를 폐쇄한 후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장치 본체(110)에서 분리하고 투입구 덮개(150)를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설치하고, 보강 튜브(10)의 내부에 균일하게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관(210)을 구비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반원형 투입구를 통하여 보강 튜브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도 원활하게 보강 튜브의 팽창/반전 투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관경을 가지는 보강 튜브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구 덮개를 사용하여 일단 보강 튜브를 삽입한 후 경화 공정을 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나의 본체만으로도 순차적으로 여러 장소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다수의 스팀 분출공이 형성된 스팀 공급관을 사용하여 별도의 압축 공기 공급장치 없이도 시공된 보강 튜브의 내부에 균일하게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with Steam supply Tube}
본 발명은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 말단에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된 누기 방지 수단(120)과,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에 투입구 삽입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 투입구 체결공(133)이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130)와,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으며, 중앙에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덮개(150)와,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서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튜브 폐쇄 수단(160)과, 상기 보강 튜브(10)의 말단부에 일 말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표면에는 다수의 스팀 분출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말단은 상기 스팀 공급공(153)을 통과하여 스팀 공급 장치(200)에 연결되어 관로에 반전되어 삽입된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주는 스팀 공급관(2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노후된 상ㆍ하수관 및 산업용 관로(가스,전기,통신 등)를 보수하기 위해선 관로가 매설된 지면을 굴착하여 노후된 관로를 신관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면 굴착방식은 주변 환경의 손상과 더불어 공사가 완료된 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한 지면 침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혼잡한 도심지역의 경우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관로가 매설된 지면 또는 도로를 굴착하지 않고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비굴착 보수공법이 국내 현실에 맞도록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상기한 비굴착 보수공법은 견인공법과 반전공법으로 양분되고 있으나, 기존의 관로 내부면에 연질의 보강튜브를 도포함에 있어서 보강튜브를 거꾸로 뒤집어서 반전시킬 때 기존관에 부착된 수분 및 이물질을 반전 진행방향 쪽으로 밀어내는 특성을 갖는 반전공법이 견인공법에 비하여 보강튜브의 부착력이 우수함은 물론 기존 관로의 부분적인 파손부위의 보수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한 반전공법은 물의 수두차를 이용하는 수압 반전과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공기압 반전으로 양분되는 것으로, 전자의 수압 반전은 기존 관로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 연질 보강튜브를 경화시킬 때 물의 온도를 70℃ 이상으로 데우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반전작업 후 하천에 방류하는 물은 생태계의 교란 및 파괴가 우려되고, 특히 도심지에서 기존 관로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공급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후자의 공기압 반전은 공기압축기를 이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전혀 구애받지 않아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역구배 관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반전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 널리 적용된다.
이와 같은 공기압을 이용한 반전장치의 일례로는 선출원 되어 특허등록 제10-0784782호로 특허등록이 허여된 『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전체보수공법』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베이스판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고 일측에 반전 지지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개방부 선단에 결속홀더가 형성되는 한편, 상하로 이격 설치된 격벽 및 이중격벽을 매개로 구획되어 내부 일측에 에어챔버가 마련된 고정본체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보강튜브가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되며, 타측 선단이 결속홀더에 끼움, 결속되는 셔틀본체와, 상기 공급로의 후단에 형성된 블럭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1 압지대가 설치된 제1 누기방지챔버와, 상기 블럭지지대(31)의 후단에 형성된 에어백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2압지대가 설치된 제2 누기방지챔버와, 상기 블럭지지대에 안착되고 중앙에 보강튜브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통과시키는 튜브홈이 형성된 탄성블럭과, 상기 에어백지지대 및 제2 압지대에 형성된 삽지부에 각각 안착된 상태로 상호 밀착하는 한 쌍의 에어백(60)과, 상기 이중격벽(16)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경화작업시 이중격벽(16)의 삽입홈에 하단부가 끼워지는 반전막이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보강 튜브의 단면이 일직선에 가까운 상태로 공급되므로, 시공시 단면이 원형으로 팽창되는 보강 튜브내부로 아직 팽창되지 않은 보강 튜브가 공급되면서 외부의 팽창된 보강 튜브와 간섭을 일으켜 작동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조금이나마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튜브를 1회 이상 접은 상태로 공급하여 팽창과정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수지가 침착되어 있는 보강 튜브의 특성으로 인하여 보강 튜브에 침착된 수지의 점착력에 의해 접혀진 보강 튜브가 펴지는 작동이 원활하지 않으며 많은 구동 부하를 가져오게 되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더욱 강한 압력을 보강 튜브 내에 공급하여야 하기에 압력 누설의 문제 및 높은 압력에 의한 장치 파열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강 튜브의 경화 작업시 고정 본체로부터 셔틀 본체를 분리,개방하여 보강튜브 내부에 균일한 온도를 공급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함은 물론 반전막이판이 열전도 방사호스를 빈틈없이 감싼 상태로 에어챔버를 밀폐하여 에어가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나, 셔틀 본체의 크기가 비교적 큰 편이어서 경화 작업시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단순히 반전 막이판을 사용하여 에어 챔버를 밀폐하는 불완전한 밀폐 구조에 의하여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화 과정 중 보강 튜브 내의 공기가 누설되어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경화 공정을 위하여 열전도 방사 튜브의 내부에 설치된 라바히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경화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라바 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발전기 등의 전원장치가 필요한 것은 물론, 열전도 방사 튜브를 팽창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압축공기 공급장치가 필요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반원형 투입구를 통하여 보강 튜브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도 원활하게 보강 튜브의 팽창/반전 투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관경을 가지는 보강 튜브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한편,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구 덮개를 사용하여, 일단 보강 튜브를 삽입한 후 경화 공정을 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나의 본체만으로도 순차적으로 여러 장소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다수의 스팀 분출공이 형성된 스팀 공급관을 사용하여 별도의 압축 공기 공급장치 없이도 시공된 보강 튜브의 내부에 균일하게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는,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 말단에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된 누기 방지 수단(120)과,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에 투입구 삽입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 투입구 체결공(133)이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130)와,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고, 중앙에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덮개(150)와,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서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튜브 폐쇄 수단(160)과, 상기 보강 튜브(10)의 말단부에 일 말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표면에는 다수의 스팀 분출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말단은 상기 스팀 공급공(153)을 통과하여 스팀 공급 장치(200)에 연결되어 관로에 반전되어 삽입된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주는 스팀 공급관(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요철형상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폐쇄판(161)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폐쇄판(161)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는 요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폐쇄판(162)과,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을 탈착 가능하게 밀착시켜 결합시켜서,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본체 지지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력 공급구(113)는 상기 본체 지지대(170)의 회전축(171)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조절레버(125)와 연결된 조절나사(124)에 의해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와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에 설치된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누기 방지를 위한 격벽(127)이 더 설치되며, 타이어형 탄성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6)이 더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보강 튜브(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스팀 공급관(210)에 연결되며, 상기 보강 튜브(10)와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속하는 스팀 공급관 결속 수단(2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방법은,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에 먼저 스팀 공급관(210)의 일 말단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 연결공정과,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적합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를 선택한 후, 상기 본체(110)에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를 장착한 후, 상기 보강 튜브(10)의 타 말단을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삽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누기 방지 수단(160)을 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튜브 장착구(141)에 한 번 뒤집어 장착시킨 후, 상기 튜브 장착구(140)가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 튜브(10)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장착하고, 상기 본체(110)의 상기 압력 공급구(113)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보강 튜브(10)가 반전되며 관로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하는 보강 튜브 반전 공정과, 상기 보강 튜브(10)의 반전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외측에서 상기 보강 튜브(10)와 상기 스팀 공급관(210)을 함께 폐쇄하여 누기를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상기 본체(110)의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하는 보강 튜브 폐쇄 및 본체 분리 공정과,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상기 스팀 공급공(153)을 통과하여 나오도록 한 상태로 상기 투입구 덮개(150)를 장착한 후, 스팀 공급 장치(200)에 스팀 공급관(210)을 연결하고 상기 폐쇄 수단(160)을 탈거한 후, 상기 스팀 공급관(210)을 통하여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경화시키는 투입구 덮개 설치 및 경화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반원형 투입구를 통하여 보강 튜브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도 원활하게 보강 튜브의 팽창/반전 투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관경을 가지는 보강 튜브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구 덮개를 사용하여, 일단 보강 튜브를 삽입한 후 경화 공정을 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나의 본체만으로도 순차적으로 여러 장소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스팀 분출공이 형성된 스팀 공급관을 사용하여 별도의 압축 공기 공급장치 없이도 시공된 보강 튜브의 내부에 균일하게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구성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구성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부의 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각각의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부의 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작동과정도.
도 8a: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보강 튜브와 스팀 공급관의 연결 상세도.
도 8b: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보강 튜브와 스팀 공급관의 연결 상세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본체(110), 누기 방지 수단(120), 투입구 어댑터(130),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투입구 덮개(150), 튜브 폐쇄 수단(160) 및 스팀 공급관(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에 의해 상기 보강 튜브(10)는 기존의 발명들과 달리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태로 상기 본체(110)내부로 투입되므로, 후술할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튜브 장착구(141)로 원활하게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110)의 타 측 말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의 압력공급수단에서 압력이 인가된 공기를 공급 받을 수 있는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형상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11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측 말단의 중앙 상부로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시공시 상기 본체(110)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 지지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압력 공급구(113)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본체 지지대(170)의 회전축(171)을 통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110)의 각도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170)는 본 발명의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1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용 바퀴나 캐스터를 하면에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대(170)를 차량에 탑재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누기 방지 수단(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 내부에 공급된 압축공기가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상기 보강 튜브(110)의 상하로 탄성 블럭을 설치하는 사용하는 구성, 상기 보강 튜브(110)의 상하로 에어백(Air bag)을 설치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튜브(10)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고려할 때,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조절레버(125)와 연결된 조절나사(124)에 의해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와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에 설치된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두께와 크기에 따라 상기 조절레버(125)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과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의 종 방향 압착에 따른 횡방향 팽창의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강 튜브(10)에의 압착 정도 및 이에 따른 누기방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누기 방지를 위한 격벽(125)이 더 설치되며, 타이어형 탄성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4)이 더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보강튜브(10)에 비하여 어느 정도 두께가 있을 수밖에 없는 후술할 스팀 공급관 결속 수단(220)이 통과하는 경우, 통과 과정중의 어느 한 순간에 있어서는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 또는 상기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4)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게 되도록 하여, 확실하게 누기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누기방지수단(120)과 상기 보조 누기 방지수단(124)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스팀 공급관 결속 수단(220)의 길이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격벽(125)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4)을 구성하는 타이어형 탄성 튜브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로 상기 본체(110)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투입구 어댑터(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본체(110)의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시공하고자 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그 규격을 달리하는 후술할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가 장착될 수 있는 투입구 삽입공(134)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직경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각각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시공에 사용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본체(110)을 사용하여서도 다양한 규격의 상기 보강 튜브(10)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는 투입구 체결공(133)이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가 체결 수단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각각 다른 직경의 상기 튜브 장착구(141)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시공에 사용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투입구 덮개(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입구 덮개(15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투입구 덮개(150)의 중앙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어 도 7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팀 공급 장치(200)로부터 시공된 상기 보강 튜브(1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튜브 폐쇄 수단(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 설치되며, 도 7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한 튜브 폐쇄 수단(16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여러 가지 구성이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요철형상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폐쇄판(161)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폐쇄판(161)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는 요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폐쇄판(162)과,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을 탈착 가능하게 밀착시켜 결합시켜서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팀 공급관(2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팀 공급관(210)은 도 8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 튜브(10)의 말단부에 일 말단이 연결되어 고정되어 도 7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 튜브(10)의 반전 삽입 과정에 연동하여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로 같이 삽입된다. 상기 스팀 공급관(210)의 표면 중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표면에는 도 8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수의 스팀 분출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팀 공급관(210)의 타 말단은 도 7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스팀 공급공(153)을 통과하여 스팀 공급 장치(200)에 연결되어 관로에 반전되어 삽입된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주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스팀 공급관(210)은 도 8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측은 상기 보강 튜브(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스팀 공급관(210)에 연결되며, 상기 보강 튜브(10)와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속하는 스팀 공급관 결속 수단(220)을 사용하여 상기 보강 튜브(10)에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팀 공급관(210)을 상기 스팀 공급관 결속 수단(220)에 연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도 8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스팀 공급관 결속 수단(220)에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걸쳐져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스팀 공급관의 일 말단을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 고정하여 두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반전하여 삽입하는 동안 상기 보강 튜브(10)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타 말단측으로부터 공급되며 연동되어 삽입되므로, 상기 보강 튜브(10)의 시공 길이에 맞추어 미리 상기 스팀 공급관(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속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 체결수단(117), 상기 투입구 체결 수단(144), 상기 덮개 체결수단(미도시) 및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단순한 너트와 볼트 결합, 사용의 편의를 위한 나비 너트와 볼트의 결합 등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보강 튜브(10)를 공급하는 튜브 공급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튜브 공급 수단은 구동 수단에 연결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튜브 공급 수단을 구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1) 스팀 공급관 연결 공정
본 공정은 보강 튜브(10)를 반전하는 공정을 시행하기 이전에 준비과정으로 시행되는 공정으로,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에 먼저 스팀 공급관(210)의 일 말단을 연결하여 준비하여 두는 공정이다.
2) 보강 튜브 반전 공정
다음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적합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이에 대응하는 투입구 어댑터(130)를 선택한 후,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110)에 투입구 어댑터(130)를 장착한다. 그 후, 보강 튜브(10)의 타 말단을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반원형 보강 튜브 삽입구(111)를 통하여 누기 방지 수단(160)을 통하도록 삽입하여 튜브 장착구(141)에 한 번 뒤집어 장착시킨 후, 튜브 장착구(140)가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되어 보강 튜브(10)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투입구 어댑터(13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7의 (a)~(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110)의 압력 공급구(113)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보강 튜브(10)가 반전되며 관로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 7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보강 튜브(10)가 반전되어 삽입되는 과정 동안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에 연결된 스팀 공급관(210) 역시 보강 튜브(10)의 삽입과정에 연동되어 보강 튜브(10)의 내부에 함께 삽입된다.
3) 보강 튜브 폐쇄 및 본체 분리 공정
상기한 보강 튜브(10)의 반전 삽입이 완료되면, 도 7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외측에서 상기 보강 튜브(10)와 상기 스팀 공급관(210)을 함께 폐쇄하여 누기를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상기 본체(110)의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로부터 분리한다. 이 경우, 상기 폐쇄 수단(160)에 의하여 어떠한 누기도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은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 공간확보가 대단히 용이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후의 공정에서는 상기 본체(110)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일단 한 장소에서 시공을 끝낸 상기 본체(110)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장비 회전 효율이 대단히 높아지게 된다.
4) 투입구 덮개 설치 및 경화 공정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 7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상기 스팀 공급공(153)을 통과하여 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 덮개(150)를 장착한다. 이 과정에서도 역시 상기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은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 공간확보가 대단히 용이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스팀 공급 장치(200)에 스팀 공급관(210)을 연결하고 상기 폐쇄 수단(160)을 탈거한 후, 도 7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스팀 공급관(210)을 통하여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경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보강 튜브
100: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110: 본체
111: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 112: 튜브 가이드
113: 압력 공급구
115: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 116: 체결공
117: 어댑터 체결 수단
120: 누기 방지 수단
121: 원형 탄성 튜브 122: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
123: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 124: 조절 나사
125: 조절 레버 126: 보조 누기 방지 수단
127: 격벽
130: 투입구 어댑터
131: 플렌지 132: 어댑터 체결공
133: 투입구 체결공 134: 투입구 삽입공
140: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 141: 튜브 장착구
142: 플렌지 143: 체결공
150: 투입구 덮개 151: 덮개 플렌지
152: 덮개 체결공 153: 스팀 공급공
154: 공급공 마개
160: 튜브 폐쇄 수단 161: 상부 폐쇄판
162: 하부 폐쇄판 163: 폐쇄판 개폐수단
170: 지지대 171: 회전축
200: 스팀 공급 장치 210: 스팀 공급관
211: 스팀 분출공
220: 스팀 공급관 결속수단

Claims (3)

  1.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 말단에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된 누기 방지 수단(120);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에 투입구 삽입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 투입구 체결공(133)이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130);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고, 중앙에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덮개(150);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서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튜브 폐쇄 수단(160);
    상기 보강 튜브(10)의 말단부에 일 말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표면에는 다수의 스팀 분출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말단은 상기 스팀 공급공(153)을 통과하여 스팀 공급 장치(200)에 연결되어 관로에 반전되어 삽입된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주는 스팀 공급관(2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본체 지지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력 공급구(113)는 상기 본체 지지대(170)의 회전축(171)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조절레버(125)와 연결된 조절나사(124)에 의해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와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에 설치된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누기 방지를 위한 격벽(127)이 더 설치되며, 타이어형 탄성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6)이 더 설치되며,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요철형상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폐쇄판(161)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폐쇄판(161)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는 요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폐쇄판(162)과,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을 탈착 가능하게 밀착시켜 결합시켜서,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보강 튜브(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스팀 공급관(210)에 연결되며, 상기 보강 튜브(10)와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속하는 스팀 공급관 결속 수단(2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10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를 사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방법에 있어서,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에 먼저 스팀 공급관(210)의 일 말단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 연결공정;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적합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를 선택한 후, 상기 본체(110)에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를 장착한 후, 상기 보강 튜브(10)의 타 말단을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삽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누기 방지 수단(160)을 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튜브 장착구(141)에 한 번 뒤집어 장착시킨 후, 상기 튜브 장착구(140)가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 튜브(10)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장착하고, 상기 본체(110)의 상기 압력 공급구(113)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보강 튜브(10)가 반전되며 관로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하는 보강 튜브 반전 공정;

    상기 보강 튜브(10)의 반전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외측에서 상기 보강 튜브(10)와 상기 스팀 공급관(210)을 함께 폐쇄하여 누기를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상기 본체(110)의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하는 보강 튜브 폐쇄 및 본체 분리 공정;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상기 스팀 공급관(210)이 상기 스팀 공급공(153)을 통과하여 나오도록 한 상태로 상기 투입구 덮개(150)를 장착한 후, 스팀 공급 장치(200)에 스팀 공급관(210)을 연결하고 상기 폐쇄 수단(160)을 탈거한 후, 상기 스팀 공급관(210)을 통하여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경화시키는 투입구 덮개 설치 및 경화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방법.
KR1020100026891A 2010-03-25 2010-03-25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KR10112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91A KR101123109B1 (ko) 2010-03-25 2010-03-25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91A KR101123109B1 (ko) 2010-03-25 2010-03-25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43A KR20110107643A (ko) 2011-10-04
KR101123109B1 true KR101123109B1 (ko) 2012-03-16

Family

ID=4502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891A KR101123109B1 (ko) 2010-03-25 2010-03-25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882B1 (ko) 2020-08-12 2021-05-11 김종봉 메인홀더를 이용한 비굴착 전체 보수 시스템 및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44B1 (ko) * 2016-04-28 2017-01-17 비알테크(주) 비굴착 관로 보수용 반전튜브 반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01A (ko) * 2003-04-29 2003-08-27 (주)크린텍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040100004A (ko) *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상·하수도관 및 산업용 배관의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및그 방법
KR100551199B1 (ko) 2005-08-05 2006-02-14 (주)이젠리버시스템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KR100784782B1 (ko) 2007-09-18 2007-12-14 (주)이젠리버텍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전체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01A (ko) * 2003-04-29 2003-08-27 (주)크린텍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040100004A (ko) *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상·하수도관 및 산업용 배관의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및그 방법
KR100551199B1 (ko) 2005-08-05 2006-02-14 (주)이젠리버시스템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KR100784782B1 (ko) 2007-09-18 2007-12-14 (주)이젠리버텍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전체보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882B1 (ko) 2020-08-12 2021-05-11 김종봉 메인홀더를 이용한 비굴착 전체 보수 시스템 및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43A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199B1 (ko)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CN110645440A (zh) 用于大管径混凝土排水管脱节的非开挖修复装置及方法
KR100784782B1 (ko)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전체보수공법
CN109595392B (zh) F型钢筋混凝土中继间顶管
KR102048524B1 (ko) 비굴착 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보강 방법
KR101123109B1 (ko) 스팀 공급관을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CN103831981A (zh) 使用旋转双辊与密封气流的硅垫的非挖掘式管道修复方法
KR101463593B1 (ko) 하수관을 포함하는 지중 관거의 보수를 위한 제관벨트 라이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거 보수 공법
KR101935401B1 (ko) 관로 보수 장치
KR100925041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0632978B1 (ko)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CN206754589U (zh) 地下变形管道修复系统
KR101196956B1 (ko)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KR101123124B1 (ko)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US20080075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s
KR101794254B1 (ko)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용 연속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상하수도 보수 방법
CN104018717B (zh) 一种压气储能洞室的施工方法
KR101123122B1 (ko) 면상 발열 튜브를 구비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방법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KR20040100004A (ko) 상·하수도관 및 산업용 배관의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및그 방법
CN210637591U (zh) 一种钢质非开挖顶管
KR101935403B1 (ko) 튜브형 관로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
CN217382033U (zh) 一种用于市政排水工程的管道连接件
KR100922845B1 (ko)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KR101022842B1 (ko) 배관 내부의 유체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