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449B1 - 부착선 타격장치 - Google Patents

부착선 타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449B1
KR101022449B1 KR1020080069478A KR20080069478A KR101022449B1 KR 101022449 B1 KR101022449 B1 KR 101022449B1 KR 1020080069478 A KR1020080069478 A KR 1020080069478A KR 20080069478 A KR20080069478 A KR 20080069478A KR 101022449 B1 KR101022449 B1 KR 10102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mber
cylinder
main body
rod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876A (ko
Inventor
구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6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4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1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comprising breaking tools, e.g. hammers, drills,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주통에 생성되는 부착선의 타격의 정밀도를 향상하여 부착선의 제거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착선 타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경주통의 상측에 장착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에 전진 및 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실린더부재와, 본체가 레일 상측을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2 실린더부재와,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측면에 장착되어 회전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실린더부재와, 제3 실린더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제3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장착되어 제3 실린더부재의 회전 작동시 경주통의 부착선을 타격하는 타격부재를 제공한다.
부착선, 타격, 실린더, 레일

Description

부착선 타격장치{APPARATUS FOR HITTING STUCK PIG IRON}
본 발명은 부착선 타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주통에 생성되는 부착선의 타격의 정밀도를 향상하여 부착선의 제거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착선 타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 내부에서 환원 용융된 용선 및 슬래그 등의 용융물은 출선구를 통해 노내 압력에 의해 용광로 밖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용융물은 대탕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키머를 통과한다. 이 스키머에서 통과되는 용융물 중에 비중이 작은 슬래그는 슬래그 탕도로 흘러가는 반면 비중이 큰 용선은 지탕도를 거쳐 경주통에 낙하되도록 분리된다. 그리고 경주통으로 낙하한 용선은 경주통에 의해 경주통의 어느 일측을 통해 배출되어 제강공정으로 보내진다.
그러나 경주통에 낙하하는 용선은 낙차에 의한 충격력으로 일부 비산되어, 비산된 용선이 경주통의 상부에 부착되어 대형 부착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착선은 경주통의 경동동작을 방해하여 작업 진행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경주통에 발생되는 대형 부착선을 타격하여 부착선의 제거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경주통의 경동 작동이 방해되지 않고 원활한 작업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선 타격장치는, 경주통의 상측에 장착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에 전진 및 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실린더부재와, 본체가 레일 상측을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2 실린더부재와,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측면에 장착되어 회전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실린더부재와, 제3 실린더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제3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장착되어 제3 실린더부재의 회전 작동시 경주통의 부착선을 타격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한다.
회전부재는 측면으로 돌출부재가 장착되고 돌출부재가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회전부재는,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전부재는 내부가 중공되며 회전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부와 격부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 선단은 격부와 걸림 돌기의 사이에 장착되는 돌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돌출부재에 연결되는 체인과, 체인에 스프라켓으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는, 제3 실린더부재의 장착 위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장착될 수 있다.
타격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곡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첫째, 경주통의 부착선을 타격하여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경주통의 작업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둘째, 작업자에 의한 부착선의 제거가 아닌 기계적인 타격으로 부착선을 제거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선 타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주통의 부착선 타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부착선 타격장치의 제1/제2/제3 실린더부재와 체인의 장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경주통의 부착선 타격장치(100)는, 경주통(11)의 상측에 장착되는 레일(10)과, 레일(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20)와, 본체(20)의 전진 및 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실린더부재(30)와, 본체(20)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장착되는 제2 실린더부재(40)와, 제2 실린더부재(40)의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50)와, 회전부재(50)의 측면에 장착되어 회전부재(50)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실린더부재(60)와, 제3 실린더부재(6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70)와, 제3 실린더부재(60)의 로드에 장착되어 제3 실린더부재(60)의 회전 작동시 경주통의 부착선(13)을 타격하는 타격부재(80)를 포함한다.
레일(10)은 경주통(11)의 상측에 경주통(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이러한 경주통(11)은 용선이 지탕도를 거쳐서 낙하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경주통(11)에 낙하되는 용선은 낙하시 낙하 충격으로 일부가 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주통(11)에는 부착선(13)이 생성될 수 있다. 레일(10)은 전술한 부착선(13)에 충격을 가하여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경주통(11)의 연직 선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레일(10)에는 본체(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20)는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막대가 연결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지만, 레일(10) 간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장착됨도 가능하다. 본체(20)의 측면에는 본체(20)의 슬라이딩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실린더부재(30)가 장착된다.
제1 실린더부재(30)는 본체(20)의 측면에 로드가 연결되어 본체(20)를 경주 통(11)의 상측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20)의 이동은 경주통(11)의 상측에 본체(20)가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여, 부착선(13)을 정확하게 타격하여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20)에는 제2 실린더부재(40)가 장착되어 후술하는 타격부재(80)의 위치를 조정하여 부착선(13)을 정확하게 타격되도록 한다.
제2 실린더부재(40)는 본체(20)의 측면에서 본체(20)가 레일(10) 상을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실린더부재(40)의 장착위치는 제1 실린더부재(30)의 작동과 연계되어 타격부재(80)의 정확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제2 실린더부재(30)의 로드에는 회전부재(5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더불어 로드의 전진 및 후진 작동으로 회전부재(50)가 이동되도록 한다.
도 3은 제2 실린더부재와 회전부재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50)는 레일(10) 간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며, 내부는 중공된다. 회전부재(50)의 내부에는 격부(51)가 형성되며, 격부(51)에 이격된 위치에는 걸림돌기(53)가 형성된다. 즉, 격부(51)와 걸림돌기(53) 간에는 장착 공간을 형성하고, 이 장착공간에는 제2 실린더부재(40)의 로드(41)가 결합된다. 제2 실린더부재(40)의 로드(41)의 선단은 장착공간에 걸림 장착이 가능하도록 돌출 걸림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부재(50)는 내부가 전체로 중공됨을 예시하였지만, 제2 실린더부재(40)의 로드가 결합되는 부분만 중공됨도 가능하다. 회전부재(50)의 측면에는 막대 형상의 돌출부(71)가 형성되어 구동부재(70)와 연결된다.
구동부재(70)는 회전부재(5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타격부재(80)가 회전부재(5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부착선(13)을 타격가능하게 한다. 구동부재(70)는 돌출부재(71)에 연결되는 체인(73)과, 체인(73)에 스프라켓(75)으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77)를 포함한다. 구동모터(77)는 본체(2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구동부재(70)는 구동모터(77)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돌출부재(7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돌출부재(71)가 장착된 회전부재(50)의 구동도 함께 이루어진다. 회전부재(50)는 제3 실린더부재(60)가 장착되어 회전부재(50)의 회전과 함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진다.
제3 실린더부재(60)는 회전부재(50)에 장착되어, 구동모터(77)의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즉, 제3 실린더부재(60)는 몸체(50) 부분이 회전부재(50)에 브라켓(61)으로 고정되며, 로드에는 타격부재(80)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린더부재(60)는 구동모터(77)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타격부재(80)의 회전 작동을 발생시켜, 부착선(13)의 타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3 실린더부재(60)의 로드 전진 및 후진 작동으로 타격부재(80)가 부착선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선 타격장치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제1 실린더부재(30)를 구동하여 본체(20)가 경주통(11)의 상측으로 정확하게 위치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 제2 실린더부재(40)를 작동하여, 제2 실린더부재(40)의 로드(41)에 장착된 회전부재(50)를 위치이동한다. 이러한 제2 실린더부재(40)의 작동으로 회전부 재(50)를 위치이동시키면, 회전부재(50)에 제3 실린더부재(60)로 장착된 타격부재(80)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2 실린더부재(40)의 로드 전진 및 후진 작동으로 타격부재(80)가 경주통(11)의 상측에 정확하게 위치이동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77)의 작동으로 체인(73) 구동이 발생되어 타격부재(80)의 회전 작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타격부재(80)의 회전 작동으로 부착선(13)의 타격 작동이 발생되어, 부착선(13)이 경주통(1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주통의 부착선 타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착선 타격장치의 제1/제2/제3 실린더부재와 체인의 장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린더부재와 회전부재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타격부재의 회전 작동에 의한 부착선의 타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레일 11...경주통
20...본체 30...제1 실린더부재
40...제2 실린더부재 50...회전부재
60...제3 실린더부재 70...구동부재
80...타격부재

Claims (7)

  1. 경주통의 상측에 장착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전진 및 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실린더부재;
    상기 본체가 레일의 상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2 실린더부재;
    상기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실린더부재;
    상기 제3 실린더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제3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3 실린더부재의 회전 작동시 상기 경주통의 부착선을 타격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부착선 타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측면으로 돌출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 부착선 타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선 타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내부가 중공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부; 및
    상기 격부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걸림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 선단은 상기 격부와 상기 걸림돌기의 사이에 장착되는 돌출 걸림부가 형성되는 부착선 타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에 스프라켓으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부착선 타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제3 실린더부재의 장착 위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장착되는 부 착선 타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곡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선 타격장치.
KR1020080069478A 2008-07-17 2008-07-17 부착선 타격장치 KR10102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478A KR101022449B1 (ko) 2008-07-17 2008-07-17 부착선 타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478A KR101022449B1 (ko) 2008-07-17 2008-07-17 부착선 타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76A KR20100008876A (ko) 2010-01-27
KR101022449B1 true KR101022449B1 (ko) 2011-03-15

Family

ID=4181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478A KR101022449B1 (ko) 2008-07-17 2008-07-17 부착선 타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4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1311A (ja) 1981-11-18 1983-08-22 Kawasaki Steel Corp 高炉出銑樋の削り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137112A (ja) 1986-11-27 1988-06-09 Kawasaki Steel Corp 高炉用傾注樋の付着物除去方法
JPH06172832A (ja) * 1992-12-03 1994-06-21 Kawasaki Steel Corp 溶滓樋先端部の付着滓除去装置
KR20000009955U (ko) * 1998-11-13 2000-06-05 이구택 경주통의 부착선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1311A (ja) 1981-11-18 1983-08-22 Kawasaki Steel Corp 高炉出銑樋の削り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137112A (ja) 1986-11-27 1988-06-09 Kawasaki Steel Corp 高炉用傾注樋の付着物除去方法
JPH06172832A (ja) * 1992-12-03 1994-06-21 Kawasaki Steel Corp 溶滓樋先端部の付着滓除去装置
KR20000009955U (ko) * 1998-11-13 2000-06-05 이구택 경주통의 부착선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76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69B1 (ko) 건설기계
CN106735117B (zh) 翻转式铸件清砂装置
CN106935140A (zh) 一种沉淀池施工用安全提示牌
RU2115078C1 (ru) Перемещающаяся по рельсам толкающая машина для совершения операций в шлаковом отверстии сталеплавильных электропечей
KR101022449B1 (ko) 부착선 타격장치
CN108867394B (zh) 一种桥梁混凝土灌注防护板的自动拆除装置的施工方法
KR101700737B1 (ko) 슬래그 제거 장치
JP5552837B2 (ja) 転炉出鋼孔の補修方法
KR20080035138A (ko) 슬래그 배재기
CN101260477A (zh) 一种炉内旋转喷粉搅拌除气机
KR200237277Y1 (ko) 연속 주조기
CN105148529B (zh) 足球机器人踢球装置
CN212800403U (zh) 一种炉前开口机
JP2000304463A (ja) 溶鉱用容器のスラグ除去装置
KR200338834Y1 (ko) 용선준비동 다목적 피트 지금제거장치
KR200362353Y1 (ko) 부원료공 지금 제거 장치
JP6036042B2 (ja) コークス炉炭化室のコークス詰まり除去装置
JP6804963B2 (ja) 止滓装置
CN219117490U (zh) 一种钻进机构及具有拉渣功能的开口机
JPH0913129A (ja) 横型転炉の羽口開口方法およびその開口装置
JP5983576B2 (ja) コークス詰まり除去方法
KR200371425Y1 (ko) 전기로 출강구 개공기
KR100865301B1 (ko) 전로의 슬래그 커팅장치의 랜스 선단부 지금 제거장치
KR20030014503A (ko) 용융절단설 제거장치
CN201206162Y (zh) 一种炉内旋转喷粉搅拌除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