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334B1 -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334B1
KR101021334B1 KR1020040061980A KR20040061980A KR101021334B1 KR 101021334 B1 KR101021334 B1 KR 101021334B1 KR 1020040061980 A KR1020040061980 A KR 1020040061980A KR 20040061980 A KR20040061980 A KR 20040061980A KR 101021334 B1 KR101021334 B1 KR 10102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as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tol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142A (ko
Inventor
우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6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3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하이패스용 톨게이트를 인식하기 위한 하이패스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하이패스부의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하이패스용 단말기와 하이패스 카드를 구입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하이패스, OBU, 차량, 톨게이트, 고속도로,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Mobile phone with Hi-Pass part}
도 1은 종래 하이패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무선회로부 16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
170: 하이패스부
본 발명은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하이패스용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 사용되는 하이패스(Hi-Pass)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는 국토를 가로지르는 국가의 대동맥으로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 지고 있으나 지속적인 고속도로 이용 차량의 증대로 인해 교통정체가 심화되고 있다. 원활한 교통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통행료를 징수하는 톨게이트 부근의 정체이다. 다수의 차량이 이용하는 고속도로의 통행료는 톨게이트에서 고속도로 통행권이나 고속도로 선불카드 등으로 지불되었다.
종래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는 출발지점에서 통행증을 발급 받은 후에 도착지점에서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래서 통행료 수동 징수에 따른 톨게이트 혼잡이 가중되고,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고, 톨게이트 징수요원 배치 및 24시간 운영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이패스 시스템(Hi-Pass System)이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하이패스 시스템은 톨게이트에 진입한 차량이 하이패스 카드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지불하는 시스템이다.
하이패스 카드는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 카드로 요금 재충전이 가능하고, 선불, 후불 사용자 지정카드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기반의 전자지갑 암호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RF 방식으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고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지능형 IC 칩이 내장된 하이패스 카드가 주로 쓰이고 있다.
도 1은 종래 하이패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 하이패스 시스템은 하이패스 카드를 판독하고 입력할 수 있는 차량단말기(OBU: On Board Unit, 이하 ‘OBU’라 함)가 장착된 차량(100)과, OBU와 무선통 신할 수 있는 안테나와 차선제어기 및 차종분류장치와 위반차량 촬영장치로 구성된 TCS(Toll Collection System)(200)와, TCS(200)를 통해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제어하는 영업소서버(300)와, 영업소서버(300)를 제어하고 통행료를 정산하는 정산서버(4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이패스 시스템은 먼저, 통행료 징수구간의 입구에서 차량(100)의 OBU에 하이패스 카드를 삽입시키면, OBU는 하이패스 카드의 자기진단과 징수전 잔액을 표시하고, 톨게이트를 지나는 순간 TCS(200)에서는 OBU를 인식하고 차종분류장치가 작동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영업소서버(300)에 전송한다. 다음, 차량(100)이 목적지에 도달하여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해 정산서버(400)는 영업소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위반차량 등과 같은 리스트를 검색하고 통행료 징수 신호를 OBU에 전송하여 통행료를 징수한다. OBU는 징수 후 잔액을 표시하고 징수데이터를 정산서버(400)에 전송한다.
종래 이와 같은 하이패스 시스템에서 하이패스 톨게이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OBU와 하이패스 카드를 구입해야하고, OBU를 차량에 부착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이패스 톨게이트를 통과하는데 사용되는 하이패스부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하이패스용 톨게이트를 인식하기 위한 하이패스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패스부의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하이패스부는 무선신호를 발신하는 칩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칩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 하이패스부(17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하이패스부(170)의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고속도로 이용시에는 하이패스부(170)를 활성화시키고, 평상시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하나의 차량안에 하이패스 기능이 있는 여러 개의 단말기가 있을 때, 하나의 단말기만 활성화 시키고 나머지 단말기는 비활성화시켜서, 복수의 단말기를 통해 통행료가 징수될 수 있는 시스템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 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하이패스부(170)는 하이패스용 톨게이트를 지날 때, 이를 인식하고, TCS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이패스부(170)는 무선신호를 발신하는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칩으로는 RF 칩이나 모네타 칩 등의 여러 종류의 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칩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하이패스용 단말기와 하이패스 카드를 구입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칩을 내장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하이패스용 톨게이트를 인식하기 위한 하이패스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패스부의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부는 무선신호를 발신하는 칩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칩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61980A 2004-08-06 2004-08-06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2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980A KR101021334B1 (ko) 2004-08-06 2004-08-06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980A KR101021334B1 (ko) 2004-08-06 2004-08-06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142A KR20060013142A (ko) 2006-02-09
KR101021334B1 true KR101021334B1 (ko) 2011-03-14

Family

ID=3712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980A KR101021334B1 (ko) 2004-08-06 2004-08-06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3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088A (ko) * 2001-05-04 2002-11-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통행요금징수시스템의 무선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088A (ko) * 2001-05-04 2002-11-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통행요금징수시스템의 무선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142A (ko)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0574B2 (en) Cellular telephone device having a non-contact type integrated circuit card processing section
US92866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100026522A1 (en) Parking Payment System Using A Cell Phone Or Other Mobile Device
KR20060083027A (ko) 능동형 단거리 전용 통신망용 다기능 통합 차량탑재단말기
KR101021334B1 (ko) 하이패스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5232B1 (ko) 교통 및 통신 요금 통합 청구시스템
KR20060071142A (ko) 아이티에스 통합 단말기
KR101420578B1 (ko) 차량관리 포탈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100999525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01349B1 (ko) Rf 컨트롤 칩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rf 위치정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서비스 제공방법
CN100463467C (zh) 能支付乘车费的移动电话及其支付方法
KR100668526B1 (ko) 교통 카드 사용 내역 통보 시스템 및 방법
CN205581975U (zh) 一种支付终端
JPH09269236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074432A (ja) 有料道路における自動料金課金システム及び料金所に設置される路側通信装置
JPH10326075A (ja) 通信端末機による行き先案内サービス方法
JP2003085608A (ja) 有料道路における通行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
CN215006611U (zh) 一种人机交互装置及金融交互设备
KR20090013263A (ko) 휴대폰의 위치추적 기능을 이용한 간편 유료도로 통행료납부 방법
KR100712700B1 (ko) 요금 정산용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요금 정산방법
KR200407550Y1 (ko) 선불형 전자화폐 기능이 내장된 유에스비 타입의 휴대용인터넷 폰
JP2008004009A (ja) 情報処理装置
JP4534628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099835A (ja) 車載無線装置および料金情報報知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