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323B1 -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323B1
KR101020323B1 KR1020040050690A KR20040050690A KR101020323B1 KR 101020323 B1 KR101020323 B1 KR 101020323B1 KR 1020040050690 A KR1020040050690 A KR 1020040050690A KR 20040050690 A KR20040050690 A KR 20040050690A KR 101020323 B1 KR101020323 B1 KR 10102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input
input terminal
devices
sig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551A (ko
Inventor
임강희
임효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3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A/V 기기가 특정 영상장치의 어떤 외부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영상장치가 자동으로 검색, 설정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A/V 기기의 미디어 입력단자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다수의 A/V 기기가 제어 선로 및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영상 출력 장치의 외부 입력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자동 탐색 기능이 선택될 때, 외부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A/V 기기에 포함된 제1 A/V 기기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전송하고, 추가적인 외부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상기 제1 A/V 기기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로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다수의 A/V 기기에 대해 상기 제2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다수의 A/V 기기가 각각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확인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EXTERNAL INPUT SETTING METHOD FOR VIDEO OUTPUT EQUIPMENT}
도1은 종래의 Auto Play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외부입력 설정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3은 도2에서 외부입력탐색 결과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VCR 220 : TV
230 : DVD 플레이어(Player)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작고 다양한 기기(device)가 가정 내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가정 내에 구비되는 TV, VCR, DVD, STB, PVR, A/V Receiver 등의 A/V 기기는 둘 이상이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가 많다. 둘 이상의 A/V 기기가 동시에 동 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A/V 기기를 미디어 전송선로로 연결함은 물론 제어신호 전달을 위한 별도의 선로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기술이 많이 구현되어 상용화되어 있다. 상기 제어신호 전달을 위한 선로는 허브(hub) 등의 중앙 장치 없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임의의 기기에서 전송한 메시지는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기기에 수신된다.
이러한 A/V 기기 간의 제어 기능 중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기능은 Auto Play 기능이다.
Auto Play 기능이란 특정 영상출력장치(예로, TV)에 연결된 외부 A/V 기기(예로, VCR, DVD, STB, PVR 등)가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에 특정 영상출력장치가 자동으로 켜지고 해당 외부 A/V 기기의 시청이 가능한 외부 입력으로 절환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DVD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DVD Player가 동작되고 TV는 자동으로 전원이 켜져서 DVD Player가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입력으로 절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Auto Play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TV를 켜고 외부입력을 절환하는 조작이 없이도 VCR이나 DVD 등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바로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으로 TV와 VCR이 연결된 경우 Auto Play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R(110)에 테이프를 넣으면 상기 VCR(110)은 테이프의 재생을 시작하고 제어선로를 통해 TV(120)에게 전원을 켜라는 신호를 보낸다.
이때, TV(120)는 전원을 자동으로 켜고 VCR(110)이 연결된 외부 입력으로 자 동 절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VCR(110)에 테이프를 넣기만 함으로써 TV(120) 또는 VCR(110)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 바로 VCR 테이프를 TV(120)를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TV에 연결 가능한 A/V 기기의 종류가 다양화되면서 TV에는 Composite, Component, S-Video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 단자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Auto Play 기능을 위해서 TV는 다수의 외부 A/V 기기가 자신의 미디어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VCR(110)이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 TV(120)는 외부 입력단자를 VCR(110)이 연결된 외부 입력단자로 절환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VCR(110)이 어느 외부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TV(120)가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Auto Play 기능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TV에서는 외부 입력단자의 연결 정보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해 주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1에서 VCR(110)이 Composite 외부 입력단자1에 연결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TV(120)의 메뉴로 들어가 VCR(110)이 Composite 외부 입력단자1에 연결되어 있음을 수동으로 설정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Auto Play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특정 영상장치에 외부 A/V 기기의 미디어 입력단자 연결을 직접 설정해 주어야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A/V 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질수록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해 주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더욱 많아지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A/V 기기가 특정 영상장치의 어떤 외부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영상장치가 자동으로 검색, 설정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A/V 기기의 미디어 입력단자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도록 창안한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A/V 기기가 제어 선로 및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영상 출력 장치의 외부 입력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자동 탐색 기능이 선택될 때, 외부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A/V 기기에 포함된 제1 A/V 기기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전송하고, 추가적인 외부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상기 제1 A/V 기기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로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다수의 A/V 기기에 대해 상기 제2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다수의 A/V 기기가 각각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확인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영상출력장치는 TV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TV의 외부입력단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A/V 기기를 연결한 후 메뉴 또는 리모컨에서 외부입력단자 자동탐색 기능을 선택하면 TV는 "모든 A/V 기기를 연결하고 전력을 공급하고 전원은 꺼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A/V 기기의 연결 확인, 전원코드 연결 및 전원 오프를 실행한 후 리모컨으로 확인 버튼을 누르면 TV는 일단 외부입력단자를 검사하여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입력단자를 확인하여 기억시킨다.
이후, TV는 외부에 연결된 임의의 A/V 기기에 제어선로를 통해 전원을 켜라는 명령을 보낸다.
이에 따라, TV는 초기상태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임의의 A/V 기기의 전원이 온된 후 신호가 검출된 외부입력단자를 확인하여 해당 A/V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단자로 확인하여 기억시킨다.
만약, 임의의 A/V 기기의 전원을 온시켰을 때 새로이 신호가 검출된 외부입력단자가 둘 이상이라면 TV는 사용자가 2개의 외부입력단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화면을 표시하거나 아니면 충돌회피를 위해 하나의 외부입력단자만을 선택하도록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임의의 A/V 기기의 전원을 온시켰을 때 새로이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입력단자가 없는 경우에는 TV는 해당 A/V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해당 A/V 기기가 존재한다면 TV는 사용자에게 그 A/V 기기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정을 TV에 연결된 모든 외부 A/V 기기에 대해 반복 수행함으로써 TV는 각각의 A/V 기기가 어떤 외부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 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동작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 VCR(210)과 DVD 플레이어(230)는 각각 TV(220)의 Composite2번 단자와 Component 단자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사용자가 VCR(210)과 DVD 플레이어(230)를 TV(220)의 외부입력단자에 연결한 후 TV(220)의 메뉴를 통해 외부입력 자동탐색 기능을 선택하면 먼저 TV(220)는 현재 외부입력단자 중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입력단자를 찾는다. 그 결과는 도3(a)의 표와 같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Composite1번 단자에는 유선방송 또는 케이블방송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TV(220)는 제어선로를 통해 VCR(210)에게 전원을 켜라는 신호를 보낸다.
이후, TV(220)는 다시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입력단자를 찾는다. 그 결과는 도3(b)의 표와 같이 Composite1번 단자와 Composite2번 단자에서 신호가 검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VCR(210)의 전원이 켜지기 전과 켜진 후에 대한 도3(a)(b)의 표를 비교해 보면 Composite2번 단자에서 새로이 신호가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TV(220)는 VCR(210)이 Composite2번 단자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이를 기억시키고 VCR(210)에게 전원을 끄라는 신호를 보낸다.
이후, TV(220)는 DVD 플레이어(230)에게 전원을 켜라는 신호를 보낸 후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입력단자를 찾는다. 그 결과는 도3(c)의 표와 같다고 가정한다.
이때, TV(220)는 DVD 플레이어(230)의 전원이 켜지기 전과 켜진 후에 대한 도3(a)(c)를 비교하여 Component 단자에서 새로이 신호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TV(220)는 DVD 플레이어(230)가 Component 단자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이를 기억시키고 DVD 플레이어(230)에게 전원을 끄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TV(220)는 상기 과정을 통해 어떤 A/V 기기가 어떤 외부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기억하게 된다.
이후, VCR(210)에서 재생이 시작되면 TV(220)는 외부입력단자를 VCR(210)이 연결된 Composite 2번 단자로 절환시키고, DVD 플레이어(230)에서 재생이 시작되면 외부입력단자를 DVD 플레이어(230)가 연결되어 있는 Component 단자로 절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원하는 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영상출력장치에 어떤 외부 A/V 기기가 어떤 외부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 자동으로 탐색하여 외부입력단자를 설정함으로써 다수의 A/V 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A/V 기기로 외부입력단자를 절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는 본 발명은 TV 뿐만 아니라 외부입력단자의 탐색이 필요한 DVD 플레이어, VCR, PVR, Settop Box(STB), A/V Receiver, 복합 제품 및 향후 등장할 모든 A/V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다수의 A/V 기기가 제어 선로 및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영상 출력 장치의 외부 입력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자동 탐색 기능이 선택될 때, 외부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A/V 기기에 포함된 제1 A/V 기기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 선로를 통해 전송하고, 추가적인 외부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상기 제1 A/V 기기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로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다수의 A/V 기기에 대해 상기 제2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다수의 A/V 기기가 각각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확인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의 외부 입력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A/V 기기 중 임의의 A/V 기기의 재생 시작이 확인되면, 상기 임의의 A/V 기기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로 절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의 외부 입력 설정 방법.
KR1020040050690A 2004-06-30 2004-06-30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 KR10102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690A KR101020323B1 (ko) 2004-06-30 2004-06-30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690A KR101020323B1 (ko) 2004-06-30 2004-06-30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551A KR20060001551A (ko) 2006-01-06
KR101020323B1 true KR101020323B1 (ko) 2011-03-08

Family

ID=3710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690A KR101020323B1 (ko) 2004-06-30 2004-06-30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3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490A (ko) * 1997-04-29 1998-11-16 윤종용 티브이 셋트와 주변기기의 연결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30093467A (ko) * 2002-06-03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입력단자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외부입력신호선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490A (ko) * 1997-04-29 1998-11-16 윤종용 티브이 셋트와 주변기기의 연결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30093467A (ko) * 2002-06-03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입력단자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외부입력신호선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551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246B2 (en) Remote control macro instruction operation
US7554614B2 (en) Remote control system
US6759967B1 (en) Remote control for activating household video products and services
JP431785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外部機器
WO2007026473A1 (ja) 再生装置
JP2008079128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を構成するメイン装置およびサブ装置
US20050120383A1 (en) System for saving settings of an audiovisual system
JPWO2007040080A1 (ja) 映像表示装置及び再生装置
JP2011120294A (ja) 汎用遠隔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521701A (ja) ビデオ入力情報を設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10291817A1 (en) AV Equipment Control Device
US7805751B1 (en) Automatic reconfiguration device
JP2008085703A (ja) 表示装置
US200600891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dentification of end user devices by a universal remote control device
KR101020323B1 (ko) 영상출력장치의 외부입력 설정 방법
US6757025B1 (en) Method for switching input terminals based on incoming signal format
CN107580241B (zh) 多媒体播放操作系统的无缝切换方法及切换系统
CN100527809C (zh) 具有辅助接线功能的影音播放系统与方法
JP4143675B1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コマンド転送方法
JP2001145179A (ja) バス接続機器の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90063640A (ko) 원격제어유닛 및 원격제어방법
US20090317054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gital device system
JP2012119839A (ja) 映像表示機器
JP3342722B2 (ja) 赤外線遠隔制御装置
KR100651283B1 (ko) 원격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