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205B1 -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205B1
KR101020205B1 KR1020080092571A KR20080092571A KR101020205B1 KR 101020205 B1 KR101020205 B1 KR 101020205B1 KR 1020080092571 A KR1020080092571 A KR 1020080092571A KR 20080092571 A KR20080092571 A KR 20080092571A KR 101020205 B1 KR101020205 B1 KR 10102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elastic
sole
shoe sole
stre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616A (ko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08009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2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금형에 의해 신축구조가 형성되고 효과적인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길이조절 신발, 신발 밑창

Description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Footwear's bottom piece with folds for expansion and contraction}
본 발명은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금형에 의해 신축구조가 형성되고 효과적인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 밑창에 형성되는 신축구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 밑창의 일정부위에 주름조직(A)을 형성하여 밑창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원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314826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0364758호에서도 제시한 바 있는 길이 조절 신발 등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기타 활동의 유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신발 밑창에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구조는 신축의 성능과 신축시의 신발 형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신축구조를 살펴보면 하나의 금형으로 신발 밑창에 일체화되지 못하고 별도로 생산되어 신발 밑창에 사후 결합하는 방식이어서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구조적으로도 복잡하여 결합부분의 증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신축구조는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큰 부분인바, 결합관계가 복잡한 구조에서는 일정한 신축성능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신축구조의 형태를 보면 도 1의 주름조직(A)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단순 반복되는 주름구조를 채택하여 신축시 힘의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신축성능이 떨어지고 신발 갑피까지 연결된 주름조직이 신축시 신발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신축구조는 단순히 일정한 양상으로 반복 형성되는 주름조직을 채택하고 있을 뿐 힘이 전달되는 위치에 맞게 최적화된 구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신축 성능이 미흡하고 신축시 신발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다.
신축구조가 상술한 문제로 인해 신축 성능이 미흡하고 신축시 그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잦은 사용에 의해 신축구조의 변형이 초래되어 신축구조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면, 신축구조를 채택하는 신발 전체의 완성도 및 신뢰성을 해치는 결과가 되는바, 이에 대한 구조적 개선 및 최적화가 시급하다.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이 하나의 금형에 의해 신축구조를 포함하도록 하여 양산성 및 경제성을 제고하면서도, 요구되는 신축 기능 및 신발 형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으로 생산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발 아치부위에 신발 폭방향으로 형성된 주름조직의 신축부를 구비하되, 상기 신축부는 아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양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측면에서 관찰할 때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의 주름조직을 형성하고 주름의 골은 신축부 하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하부로부터 두께가 얇아지며 상향 연장형성된 신축부 상부에는 상기 골로부터 연장형성된 접철선이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철선은 상부로 갈수록 얕게 형성되어 신발과 결합하는 최상부에서는 접철선 없이 신발에 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신축부는 바닥면에서 관찰할 때 아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양방향으로 나뉘어 휘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하나의 금형으로 생산되어 원가절감 및 양산성이 뛰어나고 신축시 신발에 가해지는 변형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바, 신축구조를 구비하여야 하는 길이조절신발의 품질 및 시장 경쟁 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아치부위(B)에 신축부(1)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신축부(1)는 신발 폭 방향으로 반복되는 주름조직으로서, 길이조절신발의 신축 메커니즘에 의해 신발 밑창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조화된 것이다.
상기 신축부(1)는 주름조직이 아치 중앙부를 중심으로 신발 전후 방향을 향하여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측면에서 관찰할 때 전체적으로 아치 중앙부(B')로부터 양측으로 벌어지는 부채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특징이 있으며, 신축부(1) 주름의 골(2)은 신축부 하부(3)에만 형성되고 상기 하부(3)로부터 두께가 얇아지며 상향 연장형성된 신축부 상부(4)에는 상기 골(2)로부터 연장형성된 접철선(5) 만이 형성되고 상기 접철선(5)은 상부로 갈수록 얕게 형성되어 신발과 결합하는 최상부(6)에서는 접철선 없이 신발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신축부는 신축이 원활하고 신축시 신발 형태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접철선(5)은 외측 골(2)로부터 상향으로 음각형성되는 라인으로서, 신축부가 전체적으로 부채꼴을 이루므로 접철선 또한 신발의 측면에서 관찰할 때 아치 중앙부(B')를 중심으로 부채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 밑창 외부에 아치 중앙부(B')로부터 양측으로 벌어지는 부채꼴 형상의 접철선(5)을 신축부 외측에 제공하는데, 외측의 골(2)로부터 연장하여 홈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신축시 상기 접철선(5)으로의 접철을 유도하여 신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요구되는 신축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신발과 결합하는 최상부(6)는 접철선 조차도 형성되지 않아 신발과 완전히 밀착하는 구조로서 신축시 신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밑창을 채택한 길이조절 신발의 일실시예를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것으로서, 측면 모습인 도 4를 보면 길이가 늘어난 경우(가)와 길이가 줄어든 경우(나)를 나타내고 있다.
신발 중 신축부(1)와 접합되는 부분인 접합부(7)는 신발 갑피(8)의 재질과는 달리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신축부의 작용에 따른 변형을 수용하고 이와 같은 변형을 신발 갑피에는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바닥면으로서 (가)는 신발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이고 (나)는 길이가 줄어든 상태이다.
상기 도 5의 (가)를 보면 신축부의 주름이 원래의 모양을 유지하고 있게 되나, (나)와 같이 길이를 줄이고 나면 신축부의 주름간격이 최소화되어 신발 전체의 길이가 줄어들고 접철선이 없는 최상부(6)는 신발 밑창의 줄어든 길이 만큼 신발 안쪽으로 약간 휘어져 도 5의 (나)와 같이 아치부의 신발폭이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를 형성하여 신발 밑창의 길이에 대응하게 된다.
이때 접합부(7)의 신발밑창 최상부(6)가 안쪽으로 휘어짐에 따라 함께 수축하나 접합부(7)소재 자체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갑피(8)는 변형되지 아니한다.
신축부의 주름은, 줄어드는 경우 도 5의 (나)와 같이 신발 전후 방향으로 각각 휘어지게 되는바, 늘어난 상태에서도 도 6과 같이 주름이 신발 전후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신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신발의 정면도로서 길이가 늘어난 경우(가)와 길이가 줄어든 경우(나)를 나타내는바, 바닥면은 도 5와 같이 변형되어도 갑피의 외관은 전체적인 길이만 줄어들 뿐 변형되지 아니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구조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신축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신축시 신발 갑피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신발밑창에 일체로 성형되는 구조여서 양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제고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구조는 신발 밑창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구조로서, 하나의 금형에 의해 일체 성형 되는 것인바, 상기 구조의 신발 밑창을 성형할 수 있는 제조금형과 본 신축구조를 채택한 길이조절신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즉, 신축구조를 포함하는 신발 밑창을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하고자 한다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신축부의 구조가 적용되어야만 요구되는 신축 성능을 충족하는 것이라고 할 것 이어서, 본 발명은 길이조절 신발이나 신축을 요하는 기능성 신발에 적용가능한 신발 밑창을 매우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신축구조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길이조절 신발과 결합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상기 신발 실시예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신발 실시예의 바닥면을 변형한 일실시예
도 7은 상기 도 4 실시예의 정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 : 신축부 2 : 골
3 : 신축부 하부 4 : 신축부 상부
5 : 접철선 6 : 신축부 최상부
7 : 접합부 8 : 갑피

Claims (4)

  1. 하나의 금형으로 생산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발 아치부위에 신발 폭방향으로 형성된 주름조직의 신축부를 구비하되,
    상기 신축부는 아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양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측면에서 관찰할 때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의 주름조직을 형성하고,
    주름의 골은 신축부 하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하부로부터 두께가 얇아지며,
    상향 연장형성된 신축부 상부에는 상기 골로부터 연장형성된 접철선 만이 형성되고,
    상기 접철선은 상부로 갈수록 얕게 형성되어 신발과 결합하는 최상부에서는 접철선 없이 신발에 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바닥면에서 관찰할 때 아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양방향으로 나뉘어 휘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신발밑창을 이용하여서 되는 길이조절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의 신축 최상부와 접하는 부분이 신축성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신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신발 밑창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조금형.
KR1020080092571A 2008-09-22 2008-09-22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KR10102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71A KR101020205B1 (ko) 2008-09-22 2008-09-22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71A KR101020205B1 (ko) 2008-09-22 2008-09-22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16A KR20100033616A (ko) 2010-03-31
KR101020205B1 true KR101020205B1 (ko) 2011-03-07

Family

ID=4218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571A KR101020205B1 (ko) 2008-09-22 2008-09-22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336B1 (ko) * 2010-08-30 2013-03-07 주식회사 신경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2614A (en) 1997-01-31 1999-01-26 Nine West Group, Inc. Indoor exercise shoe and sole therefor
KR100314826B1 (ko) 1999-01-25 2001-11-17 최현실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20040087311A (ko) * 2002-02-27 2004-10-13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
US6836978B1 (en) 1999-02-06 2005-01-04 Firma Carl Freudenberg Shoe, especially shoe for small childr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2614A (en) 1997-01-31 1999-01-26 Nine West Group, Inc. Indoor exercise shoe and sole therefor
KR100314826B1 (ko) 1999-01-25 2001-11-17 최현실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US6836978B1 (en) 1999-02-06 2005-01-04 Firma Carl Freudenberg Shoe, especially shoe for small children
KR20040087311A (ko) * 2002-02-27 2004-10-13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16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4642A1 (en) Footwear device with bimodal sole
TW201201727A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JP2007181677A (ja) インナーブーツ及び履物用土踏まず支持部材
WO2007091304A1 (ja) 靴下
WO2007030910A1 (en) Adaptable shoe cover
US20210204644A1 (en) Shoe with bimodal heel counter and activating elements for rapid entry and release
JP2012500071A (ja) エアー換気されるシューソール
JP2019080912A (ja) 足弓の異なるエリアのサポートを選択できるインソール
CN106473314A (zh) 衬垫及护具
KR101020205B1 (ko) 신축구조를 구비한 신발 밑창
JP2015521503A (ja) 伸張可能な開口部を有するオーバーシューズ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2008284335A (ja) 靴の着用感を向上させる踵補型物内クッション部材
JP4033647B2 (ja) 中敷
JP6638957B2 (ja) フットカバー
JP5013761B2 (ja) 靴底、履物、及びパッド
JP4633850B1 (ja) インソール
JP2008178436A (ja) 外反母趾矯正具
JP2000116686A (ja) 外反母趾用サポータ
JP7171032B2 (ja) 矯正具
US20110314693A1 (en) Fabric-type open toe footwear system
JP2004215870A (ja) 外反母趾予防矯正用履物
JP3801560B2 (ja)
KR100882847B1 (ko) 마사이워킹 신발
JPH07155202A (ja) スキーブーツ
JP3218328U (ja) 外反母趾及び内反小指矯正用サポ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