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025B1 -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025B1
KR101019025B1 KR1020080038726A KR20080038726A KR101019025B1 KR 101019025 B1 KR101019025 B1 KR 101019025B1 KR 1020080038726 A KR1020080038726 A KR 1020080038726A KR 20080038726 A KR20080038726 A KR 20080038726A KR 101019025 B1 KR101019025 B1 KR 10101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ongitudinal
transverse
vertical colum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934A (ko
Inventor
이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한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한건설
Priority to KR102008003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02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88Suspended, e.g. ropes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의 횡단골조 중앙부 즉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부분에 연직으로 솟은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여 횡단골조와 직교하는 방향 즉 도로의 종방향으로 인장부재나 기타의 구조부재를 제공하여 상기 연직기둥에 지지 되도록 한 후, 한 개의의 연직기둥에 도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횡단골조가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 형식이다.
사장교, 현수교, 주탑, 방음터널, 트러스

Description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STRUCTURE ARRAYED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SUPPORTED VERTICAL MEMBER}
본 발명은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점으로 하여 도로를 횡단하며 형성된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앙부에 연직기둥을 다수개의 횡단골조 마다 배치하여 연직기둥에 케이블이나 강봉과 같은 인장부재를 매달거나, 연직기둥을 지지 구조물로 하며 연직기둥과 직교하는 구조부재 즉 종방향으로 형성된 구재부재를 제공하여 방음터널이나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횡단골조들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형식으로 방음터널이나 도로캐노피 등 일방향으로 길게 나열되는 구조물에 주로 적용할 수 있다.
교량공법에서 주탑을 이용하여 케이블이나 강봉 등 인장부재를 매달아 교량의 주형을 지지하는 사장교나 트러스교가 유사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하는 골조는 도로의 양측을 지점으로 하여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를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조물의 골조를 구성한다. 이때 도로의 폭이 너무 넓어서 도로 양측을 지점으로 한 횡단골조가 작용하는 하중을 모두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는 기둥을 추가로 세워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의 하중을 분담하도록 한다. 그런데, 골조 부재에 발생하는 축력, 전단력, 휨모멘트와 같은 단면력은 지점간 거리의 자승에 비례하여 단면력이 커지므로 상기와 같이 도로의 폭이 넓어 횡단골조의 지점간 거리가 길 경우에는 부재에 발생하는 단면력이 커져 골조의 규격이 대형화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 또한 커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방음터널 골조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부재를 제공하여 횡단골조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담하도록 하되, 중앙부를 지지하는 구조부재의 간격을 보다 멀리 배치하여 다수개의 횡단골조 마다 하나씩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경제적인 구조형식을 찾는 것이다.
또한, 교량과 같이 이미 완성된 구조물에 방음터널이나 도로캐노피를 설치하고자 할 때, 교량상부구조물은 방음터널에 의해 추가되어 작용하는 하중을 견딜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교량상부구조물에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교량의 교각 상부에만 방음터널 골조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부재를 제공하여 방음터널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교각 지점부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교량상부구조물에 발생하게 되는 단면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로를 횡단하는 부재의 단면에 비틀림에 저항하는 다이아프레임을 배치하는 경우 기존의 방법은 사각형의 박스 단면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이아프레임을 배치하여 비틀림에 저항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연직기둥을 이루는 부재의 단면이 소형일 경우 단면 내부에 설치하는 다이아프레임으로 인하여 박스 내부의 통로가 작아지며 구조물 제작시에 용접과 같은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연직기둥을 따라 다이아프레임을 제공하되 단면 내부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다이아프레임의 위치는 어차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인장부재나 구조부재와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부재가 제공되어야 하는 곳으로서 다이아프레임이 연결부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이나 캐노피의 형식 대부분이 양측의 벽체와 이들 벽체를 연결하는 지붕으로 형상화되어 변화가 없이 대동소이하여 다양성이 부족하다. 그래서 미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을 창작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방음터널의 지붕 상부로 솟아오르는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연직기둥에는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나열된 상기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종지지부재를 한 개 이상 제공하여 결국 한 개의 연직기둥이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 수단에 추가하여,
상기 종지지부재는 다수개의 인장부재로 제공되며 각각의 일측 단부는 연직기둥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도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모든 수단에 추가하여,
상기 연직기둥의 지붕 돌출부 중에서 지붕면에서 가까워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연직기둥에 연결되는 인장부재는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가까운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를 지지하고, 연직기둥 최상단부에 가까운 곳에 연결되는 인장부재 일수록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먼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모든 수단에 추가하여,
상기 연직기둥에 일측 단부가 연결된 다수개의 상기 인장부재의 타측 단부에 도로를 따라서 연속된 부재로 형성된 종방향보강부재가 연결되고, 종방향보강부재에 상기 횡단골조가 연속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모든 수단에 추가하여,
상기 연직기둥은 일정한 두께의 변을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상의 네 개의 변 중 일부의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외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외부판이 형성되며, 나머지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내부판을 형성하여 결국 네 개 변의 판부재가 폐합하여 다이아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이 연직기둥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별개의 수단으로,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방음터널의 지붕 상부로 솟아오르는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연직기둥에는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나열된 상기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종지지부재를 한 개 이상 제공하여 결국 한 개의 연직기둥이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지지부재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로 구성되어 트러스부재의 하현재가 횡단골조와 연결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별개의 수단으로,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방음터널의 지붕 상부로 솟아오르는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연직기둥에는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나열된 상기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종지지부재를 한 개 이상 제공하여 결국 한 개의 연직기둥이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지지부재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로 구성되어 트러스부재의 하현재가 횡단골조와 연결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부재의 하현재는 상기 횡단골조의 하면에 배치되어 횡단골조를 상부로 밀어올리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별개의 수단으로,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방음터널의 지붕 상부로 솟아오르는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연직기둥에는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나열된 상기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종지지부재를 한 개 이상 제공하여 결국 한 개의 연직기둥이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지지부재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로 구성되어 트러스부재의 하현재가 횡단골조와 연결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부재의 하현재는 상기 횡단골조의 하면에 배치되어 횡단골조를 상부로 밀어올리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직기둥은 일정한 두께의 변을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 어지며, 사각형상의 네 개의 변 중 일부의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외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외부판이 형성되며, 나머지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내부판을 형성하여 결국 네 개 변의 판부재가 폐합하여 다이아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이 연직기둥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별개의 수단으로,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방음터널의 지붕 상부로 솟아오르는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연직기둥에는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나열된 상기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종지지부재를 한 개 이상 제공하여 결국 한 개의 연직기둥이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지지부재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로 구성되어 트러스부재에 연결케이블이 연결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는 하나의 연직기둥이 종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양호한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도로의 폭이 넓어 횡단골조에 발생하는 단면력이 커져 횡단골조의 단면이 과대하게 커지게 되는 경우 연직기둥을 이용하여 횡단골조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단면력을 경감시킴으로서 횡단골조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연직기둥이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여서 방음터널이나 도로캐노피가 교량에 설치되는 경우 횡단골조는 교량상부구조물의 양측 단부를 지점으로 설치되고, 연직기둥은 횡단골조의 중앙측 교각 상부의 교량상부구조물에 설치되도록 하여 횡단골조에 재하되는 하중이 연직기둥을 통하여 교량의 지점부로 직접 전달되도록하여 연직기둥이 받는 반력만큼의 방음터널 하중이 교량상부구조물에 모멘트나 전단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교량상부구조물에 발생하는 단면력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또한, 교량 준공 후에 방음터널을 설치하고자 할 때 교량상부구조물이 추가되는 방음터널의 하중을 지탱할 수 없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세째, 종지지부재로 강봉이나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인장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인장부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쉽게 조정하여 각 부재에 작용하는 부재력과 처짐량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네째, 연직기둥이 횡단골조의 중앙측에 위치하여 횡단골조의 하중을 중력반대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횡단골조에 발생하게 될 휨모멘트를 연직기둥이 압축력으로 지점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또한 인장부재를 연직기둥을 따라 배치한 후 각각의 횡단골조에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설계자가 원하는 형태의 디자인을 쉽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낮은 위치의 연직기둥에 연결되는 인장부재는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가까운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를 지지하고, 연직기둥 최상단부에 가까운 곳에 연결되는 인장부재 일수록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먼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를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연직기둥과 각각의 인장부재가 만나서 형성되는 각의 편차를 작게 하여 각각의 인장부재에 걸리는 장력의 편차가 작아져 인장부재의 규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종방향보강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인장부재가 횡단골조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종방향보강부재와 연결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도록 하여 인장부재가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종지지부재로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연직기둥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를 적용함으로써 트러스부재와 연직기둥이 상호간에 측면을 지지하는 횡고정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횡단골조 및 종지지부재의 좌굴에 대한 비지지길이를 짧게 하여 부재의 허용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곱째,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진 연직기둥에 형성되는 다이아프레임의 판부재 일부를 사각형상의 단면 외측에 배치하여 사각형상의 단면 내측에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측의 판부재 이용하여 인장부재 등 종지지부재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다.
여덟째, 연직기둥을 이용함으로써 구조물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통상적인 형태의 방음터널시공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통상적인 형태의 방음터널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방음터널의 측벽에 지주가 형성되어 있고 지붕부에는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100)가 형성되어 횡단골조에 방음판넬(90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로폭이 넓을 경우는 중앙부기둥(101)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부기둥(101)은 도로의 여건이 허락하는 경우에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맨 위의 그림이 방음터널의 횡단면도이며 그 아래로 종단면도, 상세도가 나타나 있다.
도로의 양측에 위치한 기초구조물(10)을 지점으로 하여 횡단골조(100)가 도로의 상부를 횡단하여 통과하고 방음판넬(90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방음터널의 지붕 상부로 솟아오르는 연직기둥(200)을 한 개 이상 제공하며 하나의 연직기둥은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할 수 있으며 기둥의 규격이 크고 높이가 높을 수록 더 많은 횡단골조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횡단골조와 연직기둥은 다수개의 인장부재(310)로 구성되는 종지지부재(300)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이 되는데, 지붕 상면에서 가까워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연직기둥(200)에 연결되는 인장부재(310)는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가까운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100)를 지지하고, 연직기둥 최상단부에 가까운 곳에 연결되는 인장부재(310)일수록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먼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20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연직기둥(200)과 각각의 인장부재(310)가 만나서 형성되는 각의 편차를 작게 하여 각각의 인장부재(310)에 걸리는 장력의 편차가 작아져 인장부재(310)의 규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장부재(310)와 횡단골조(100)의 연결은 횡단골조(100)에 연결구1(110)과 같은 판형의 부재를 형성하여 인장부재(310)가 횡단골조(100)를 직접 지지하는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지된 기술로 인장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여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장부재(310)는 횡단부재(200)를 중심으로 도로의 전후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하중의 균형을 이루게 되며, 연직기둥(200)에는 다이아프레임(500)이 형성되어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횡단골조(100)에는 방음판넬(900)이 부착되어 방음터널이 완성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과 유사한 형식이나 상세 "B"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인장부재(310)가 도 3과 같이 횡단골조(10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종방향보강부재(400)에 연결되어 종방향보강부재(400)가 상기 횡단골조(100)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종방향보강부재(400)는 횡단골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연결구3(410)을 이용해서 지지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인장부재(310)의 배치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예를 제 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교량에 방음터널이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예로 연직기둥(200)이 횡단골조(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담하여 교량상부구조물(30)의 교각(20) 상부에서 직접 하부로 하중을 전달하도록 하여 교량상부구조물(30)의 양 단부에 재하되는 횡단골조(100)의 지점반력을 경감시켜 교량상부구조물에 발생하는 단면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연직기둥(200)에 발생되는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해 연직기둥(200)의 단면이 사각형상일 경우 통상적으로 형성하는 다이아프레임(500)은 사각형상의 단면 내부에 판부재로 폐합하며 형성되는 내부판(510)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인장부재(310)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2(210) 및 보강판(220)을 별도로 형성하게 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과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각형상의 네 개의 변 중 일부의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외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외부판(520)이 형성되며, 나머지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내부판(510)을 형성하여 결국 네 개 변의 판부재가 폐합하여 다이아프레임(500)을 형성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이 연직기둥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외부판(520)은 도 7의 연결구2(210) 및 보강판(220)과 같이 인장부재(310)를 연결하는 역할과 동시에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는 다이아프레임(500)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물론 횡단부재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관이나 H-형강 등의 단면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대한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종지지부재(300)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200)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320)로 구성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트러스부재는 상현재(321) 및 하현재(322) 그리고 사재(323)으로 구성되어 종지지부재(300)역할을 수행하며 연결케이블(324)에 의해 종방향보강부재(400)와 연결하여 횡단골조(10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와달리 연결케이블(324)이 횡단골조(100)와 직접 연결되어 지지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에 대한 제6 및 제7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종지지부재(300)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200)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320)로 구성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트러스부재는 상현재(321) 및 하현재(322) 그리고 사재(323)으로 구성되어 종지지부재(300)역할을 수행하며 하현재(322)에 의해 횡단골조(100)가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으며, 하현재(322)는 상세 "C" 및 상세 "D"와 같이 횡단골조의 하부 및 상부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있다. 또한 트러스부재(320)와 연직기둥(200)은 상호간에 횡방향으로 구속되어 횡좌굴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형태의 방음터널 시공예,
도 2는 통상적인 형태의 방음터널 단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측면도 및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 측면도 및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횡단면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횡단면도, 측면도,
도 7는 통상적인 사각형상의 연직기둥(200)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직기둥(200)과 다이아프레임(500)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횡단면도, 측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횡단면도, 측면도 및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횡단면도, 측면도 및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구조물, 20 : 교각, 30 : 교량상부구조물
100 : 횡단골조, 101 : 중앙부기둥, 110 : 연결구1
200 : 연직기둥, 210 : 연결구2, 220 : 보강판
300 : 종지지부재, 310 : 인장부재, 320 : 트러스부재
321 : 상현재, 322 : 하현재, 323 : 사재
324 : 연결케이블
400 : 종방향보강부재, 410 : 연결구3
500 : 다이아프레임 510 : 내부판 520 : 외부판
900 : 방음판

Claims (8)

  1. 도로상에 설치되는 방음터널, 도로캐노피 등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횡단골조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부를 지점으로 하여 방음터널의 지붕 상부로 솟아오르는 연직기둥을 다수 개의 횡단골조 마다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연직기둥에는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나열된 상기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종지지부재를 한 개 이상 제공하여 결국 한 개의 연직기둥이 다수개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부재는 다수개의 인장부재로 제공되며 각각의 일측 단부는 연직기둥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도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횡단골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기둥의 지붕 돌출부 중에서 지붕면에서 가까워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연직기둥에 연결되는 인장부재는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가까운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를 지지하고, 연직기둥 최상단부에 가까운 곳에 연결되는 인장부재 일수록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먼 위치에 있는 횡단골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기둥에 일측 단부가 연결된 다수개의 상기 인장부재의 타측 단부에 도로를 따라서 연속된 부재로 형성된 종방향보강부재가 연결되고, 종방향보강부재에 상기 횡단골조가 연속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부재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로 구성되어 트러스부재의 하현재가 횡단골조와 연결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부재의 하현재는 상기 횡단골조의 하면에 배치되어 횡단골조를 상부로 밀어올리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7. 제 4 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기둥은 일정한 두께의 변을 가진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상의 네 개의 변 중 일부의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외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외부판이 형성되며, 나머지 변에는 판부재가 사각형상의 단면 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내부판을 형성하여 결국 네 개 변의 판부재가 폐합하여 다이아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이 연직기둥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부재는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배치되는 연직기둥을 지점으로 한 트러스부재로 구성되어 트러스부재에 연결케이블이 연결되어 횡단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KR1020080038726A 2008-04-25 2008-04-25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KR10101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26A KR101019025B1 (ko) 2008-04-25 2008-04-25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26A KR101019025B1 (ko) 2008-04-25 2008-04-25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34A KR20090112934A (ko) 2009-10-29
KR101019025B1 true KR101019025B1 (ko) 2011-03-04

Family

ID=4155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26A KR101019025B1 (ko) 2008-04-25 2008-04-25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34B1 (ko) * 2014-09-16 2015-05-28 우경기술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장경간 강합성 토공 아치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934A (ja) * 1994-05-02 1995-11-14 Mitsubishi Heavy Ind Ltd 多目的ドーム
KR200323068Y1 (ko) 2003-05-10 2003-08-14 홍종문 이중 변위 케이블 장력 유니트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0622022B1 (ko) 2004-09-30 2006-09-19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루프형 방음벽 구조
KR20060115563A (ko) * 2005-05-06 2006-11-0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934A (ja) * 1994-05-02 1995-11-14 Mitsubishi Heavy Ind Ltd 多目的ドーム
KR200323068Y1 (ko) 2003-05-10 2003-08-14 홍종문 이중 변위 케이블 장력 유니트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0622022B1 (ko) 2004-09-30 2006-09-19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루프형 방음벽 구조
KR20060115563A (ko) * 2005-05-06 2006-11-0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34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067B1 (ko) 교량용 강관 합성거더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19004A1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JP4957295B2 (ja) 制震橋脚構造
KR101335382B1 (ko)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CN105088972A (zh) 采用矮塔-上承式悬索桥结构体系的刚构桥加固方法
CN111945541A (zh) 一种中承式系杆拱桥
KR101198911B1 (ko)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268422A (zh) 一种等跨自锚式悬索‑拱梁协作体系桥梁
CN107059594A (zh) 一种斜拉‑下承式吊杆拱协作体系桥梁
KR101139761B1 (ko) 건축물용 보강 벽
KR101019025B1 (ko) 방음터널 종방향 지지구조
JP4805202B2 (ja) 天井走行クレーンを有する建築構造物の補強構造
CN211815595U (zh) 用于索塔的下塔柱拉压结构
CN210140764U (zh) 一种拉索加劲的双折线形桥跨组件
CN106401209A (zh) 装配整体式框架防屈曲支撑结构
CN103835238A (zh) 一种高墩斜拉桥0号块无支架施工方法及施工中的结构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019027B1 (ko) 횡단부재를 이용한 종방향 지지구조
CN207228146U (zh) 桥塔承台悬挑式塔吊基础
KR101454888B1 (ko) 수평의 슬래브 지지부가 구비된 원형 강관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 교량
CN214245330U (zh) 一种新型的斜拉桥辅助墩的大吨位拉力摆桥墩结构
CN104894984A (zh) 采用反吊桥结构体系的刚构桥加固方法
KR102132338B1 (ko)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CN111485630A (zh) 框架结构建筑及施工方法
KR20100114966A (ko) 강합성 교량 및 이를 가설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거더 및 그 가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