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767B1 - 죠 크러셔 - Google Patents

죠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767B1
KR101018767B1 KR1020100113472A KR20100113472A KR101018767B1 KR 101018767 B1 KR101018767 B1 KR 101018767B1 KR 1020100113472 A KR1020100113472 A KR 1020100113472A KR 20100113472 A KR20100113472 A KR 20100113472A KR 101018767 B1 KR101018767 B1 KR 10101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block
coupled
jaw crusher
ja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0011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일정 크기로 파쇄하는 죠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파쇄물이 배출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출구 간격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바,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 사이에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리어프레임과, 상기 리어프레임의 전방에 전, 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토글블럭과, 일측이 상기 토글블럭의 전방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스윙죠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윙죠와 연동하는 토글플레이트와, 상기 토글블럭의 저면에 결합되는 텐션로드 브라켓과,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을 관통하되 일측은 상기 스윙죠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의 일면에 지지되는 텐션로드 스프링이 장착되는 텐션로드와,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토글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토글블럭을 전, 후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리어프레임과 토글블럭 사이의 공간으로 삽설되어 출구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심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토글블럭의 위치 정확성, 심플레이트의 이탈방지, 출구간격의 일정성 유지, 간격 조절의 시간단축 등으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죠 크러셔의 생산량을 증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죠 크러셔{A JAW CRUSHER}
본 발명은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일정 크기로 파쇄하는 죠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파쇄된 피파쇄물이 배출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출구 간격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죠 크러셔(JAW-CRUSHER)는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장치 내부로 투입시켜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하여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파쇄된 피파쇄물이 배출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출구 간격 조절 장치가 구비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 장치(50)는 토글블럭(54)의 전진(출구간격 좁힘) 및 후진(출구간격 넓힘)을 통해 출구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도 1a에 따른 종래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 장치(50)는 죠 크러샤의 출구 간격을 좁힐 때에는 리어프레임(53)의 블록테션너트(59)를 풀게되면 토글블럭(54)이 상기 리어프레임(53)과 느슨하게 되고, 이때 리어프레임(53) 중앙부에 유압램(55)에 수동펌프 장착 후 전진 작동시키면 상기 토글블럭(54)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 토글블럭(54)과 연동하는 토글프레이트(52)가 스윙죠(65)를 밀게되고 상기 스윙죠(65)에 장착된 동치판(71)도 스윙죠(65)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글블럭(54)과 리어프레임(53)에 발생된 공간의 양측에 심플레이트(67)를 삽입 후 유압램(55)의 압력을 제거하고 분해했던 블록텐션너트(59)를 조이게 되면 간격조절이 완료되는 것이다.
반대로, 죠 크러샤의 출구 간격을 넓힐 때에는 좁힐 때와 유사하다. 상기 리어프레임(53)의 블록텐션너트(59)를 풀고 중앙부의 유압램(55)에 수동펌프 장착 후 전진작동 후 상기 토글블럭(54)을 전진시킨 후 삽입되어 있던 양측의 심플레이트(67)를 제거하고 유압램(55)의 압력을 제거하면 토글블럭(54)이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텐션볼트(59)를 다시 잠그게 되면 출구 간격의 조절이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 출구 간격 조절장치(50)는 상기 토글블록(54)이 메인프레임(51)의 후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경사 방향에 대한 쐐기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토글블럭(54)은 상부에 토글블럭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텐션로드(64)가 스윙죠 (65)하부와 핀으로 고정되며 텐션로드 스프링(62)과 텐션로드 스프링(62) 브라켓이 토글블럭(54) 하부에 조립되어 있어서 별도의 텐션 조정 작업 또한 필요 없이 자동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장치(50)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바, 첫 번째로 상기 토글블럭(54)을 상부에서 누르는 토글블럭 브라켓의 고정볼트가 전단파괴로 인한 토글블럭(54)의 확실한 고정에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토글블럭(54) 하부와 전면은 상기 리어프레임(53)과 경사지면서 밀착하게 되지만 그 상부는 OPEN 구조로 되어있어서 상기 토글블럭 브라켓으로 OPEN 되는 공간을 보완해야 하는데 계속적으로 토글블록(54)의 마찰 및 운동으로 발생되는 누적하중으로 인하여 조립볼트가 전단 파괴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두 번째로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상기 토글블럭(54)이 확실하게 고정이 되지 않으므로 토글블럭(54) 상부에 양측으로 삽입 조립되는 상기 심플레이트(67)의 고정이 불확실하게 되어 이탈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그리고, 세 번째로 출구 간격의 조절 후에 블록텐션볼트(59)의 너트를 다시 조임으로써 토글블럭(54)과 리어프레임(53)이 밀착되는 구조이나 죠 크러샤의 운동 후 시간이 지나면 블록텐션볼트(59)의 내부의 스프링이 재역활을 못함으로써 출구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 질 수 있으므로 작업 시와 실제의 생산량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경우가 발생 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출구 간격의 조정 작업의 불편함이다. 즉, 항시 블록텐션볼트(59)를 풀러주고 유압램(55)을 수동펌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일련의 작업방식으로 인하여 매 작업시마다 소요되는 시간과 또한 작업자의 경험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며, 이 부분은 차후 생산량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b는 상술한 종래 죠 크러셔의 일 구성인 스윙죠(65)의 결합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죠 크러셔의 스윙죠(65)는(드라이브 파트 포함) 메인프레임(51) 간의 조립시에 베어링 캡 방식으로 조립된다.
베어링 캡 방식이란 메인프레임(51) 측에 베어링을 조립 및 위치시킬 수 있는 하부 베어링 캡(74)이 메인프레임(51)과 용접되어 있고 조립 완료된 스윙죠(65)를 하부 베어링 캡(74)에 맞추어서 조립한다. 이후, 상부 베어링 캡(73)을 덮고 상기 상부 베이링 캡(73)을 볼트 조립한 후 미리 스윙죠(65)의 샤프트(76)에 장착된 좌, 우측의 베어링 커버(77, 78)을 볼트 체결하여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베어링 캡 방식의 경우 기계적으로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수리로 인한 분해 시 메인프레임(51) 측의 상부 베어링 캡(73)을 분해하면 프레임베어링(75)의 외륜이 외부에 노출되며 이 프레임베어링(75)은 샤프트(76)와 억지 끼워 맞춤으로 되어있다. 이로 인해 스윙죠(65) 측의 부품 교환이나 수리시에는 프레임베어링(75)을 절단하고 작업을 해야한다. 이 프레임베어링(75)은 대형 사이즈의 베어링이므로 교환 비용이 높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장치에 있어, 기계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토글블럭의 위치를 정확하게 하여 출구 간격의 일정성을 유지하고 토글블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죠 크러셔를 제공함에 제 1 목적이 있다.
또한, 드라이빙 파트를 포함한 스윙죠의 유지 보수 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유지 보수의 시간 단축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죠 크러셔를 제공함에 제 2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죠 크러셔는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 상부에 결합된 편심축에 결합되어 요동 작동하는 스윙죠와, 상기 스윙죠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동치판과, 상기 동치판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수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동치판 및 수치판 사이에 공급된 피파쇄물을 파쇄하여 상기 동치판과 수치판의 하부에 형성된 출구로 배출하되 상기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출구 간격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죠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는,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 사이에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리어프레임과; 상기 리어프레임의 전방에 전, 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토글블럭과; 일측이 상기 토글블럭의 전방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스윙죠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윙죠와 연동하는 토글플레이트와; 상기 토글블럭의 저면에 결합되는 텐션로드 브라켓과;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을 관통하되 일측은 상기 스윙죠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의 일면에 지지되는 텐션로드 스프링이 장착되는 텐션로드와;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토글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토글블럭을 전, 후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리어프레임과 토글블럭 사이의 공간으로 삽설되어 출구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압실린더는 각기 그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토글블럭의 양측면이 노출되도록 그에 상응하는 부위가 개구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심플레이트 및 토글블럭의 양측면은 각기 상기 메인프레임의 개구된 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심플레이트 및 토글블럭의 연장된 양측면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토글블럭 및 심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는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심플레이트 및 토글블럭의 연장되는 부위에 동일 선상으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ㄷ'자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드홈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턱이 형성되며 슬라이드 결합되되, 어느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해 상기 토글블럭과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심플레이트는 상기 통공을 통해 연장되는 부위에 각기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리어프레임은 상기 토글블럭과 대향하는 전방에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토글블럭 및 심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 내에 삽설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스윙죠는 상기 편심축의 양 측면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편심축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외측면과 접하며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플렌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 외측면에 볼트 결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 내주면에 삽설되는 프레임베어링; 및 상기 편심축의 외경과 상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베어링 내주면에 삽설되어 상기 편심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 삽설된 프레임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베어링의 양측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반 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는 메인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볼트 결합 시 상기 메인프레임과 함께 결합되는 보강 플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베어링의 내주면 및 이와 밀착되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장치에 따르면, 하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의 리어프레임은 그 내부측으로 토글블럭이 설치됨으로써 경사방향에 대한 쐐기 효과도 우수해 지며, 출구 간격의 조절이 단순히 클램프를 분리하고 유압실린더를 사용자가 요하는 출구 간격에 맞춰 실린더 로드를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키고 심플레이트의 삽입 또는 분리 후 다시 클램프를 재조립하는 것으로 간격 조절의 셋팅 시간 단축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의 구성으로 인해 토글블럭 및 심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리어프레임의 수용홈 내에 토글블럭이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토글블럭의 위치를 정확하게 하여 출구 간격의 일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합적으로 죠 크러셔의 생산량의 증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윙죠의 결합 방식에 있어서도, 별도의 공정 없이 하우징을 분리함으로써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프레임베어링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 하우징 내에 밀착된 부싱을 분해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측면에서 유지 및 보수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고 소모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의 내측으로는 보강플랜지가 결합되어 상기 스윙죠가 결합됨에 있어 메인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 및 보조하여 강도면에서도 우수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죠 크러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구 간격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스윙죠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구 간격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는(JAW-CRUSHER)는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장치 내부로 투입시켜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하여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기본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 편심축(20), 스윙죠(30), 동치판(40) 및 수치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되 양 메인프레임(10)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설치된다. 상기 편심축(20)은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에 각각 풀리(31)와 플라이휠(32)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풀리(3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게 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축(20)에는 편심축(20)의 편심운동에 의해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소정 각도로 요동을 행하는 스윙죠(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동치판(40)은 상기 스윙죠(3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일정한 각도로 마주보는 대향측에는 수치판(50)이 설치된다.
이러한 죠 크러셔는 상기 동치판(40)과 수치판(5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피파쇄물이 공급되며, 상술한 편심축(20) 및 스윙죠(30)의 요동에 의해 상기 동치판(40)으로 요동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어 상기 피파쇄물을 파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쇄된 피파쇄물은 상기 동치판(40) 및 수치판(5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인 출구(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는 상기 출구(1)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출구 간격 조절장치(60)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60)는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0) 사이에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리어프레임(600)과, 상기 리어프레임(600)의 전방에 전, 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토글블럭(610)과, 일측이 상기 토글블럭(610)의 전방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스윙죠(3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윙죠(30)와 연동하는 토글플레이트(620)와, 상기 토글블럭(610)의 저면에 결합되는 텐션로드 브라켓(630)과,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630)을 관통하되 일측은 상기 스윙죠(3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630)의 일면에 지지되는 텐션로드 스프링(641)이 장착되는 텐션로드(640)와,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토글블럭(6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토글블럭(610)을 전, 후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650) 및 상기 리어프레임(600)과 토글블럭(610) 사이의 공간으로 삽설되어 출구(1)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심플레이트(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프레임(600)은 상기 토글블럭(610)과 대향하는 전방에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홈(6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글블럭(610) 및 심플레이트(660)는 상기 수용홈(601) 내에 삽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어프레임(600) 내부측으로 상기 토글블럭(610)이 설치됨으로써 경사방향에 대한 쐐기 효과도 우수해 지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토글블럭(610)과 연결되어 토글블럭(610)을 상기 리어프레임(600)으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각 유압실린더(650)는 그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측면에 결합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상기 토글블럭(610)의 양측면이 노출되도록 그에 상응하는 부위가 개구되도록 통공(100)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터의 타측은 통공(100)으로 노출된 상기 토글블럭(6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측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통공(100)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토글블럭(610) 내지 심플레이트(660)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측면을 통하여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650)는 그 일측 과 타측이 각각 메인프레임(10)의 측면과 토글블럭(610)의 측면에 핀(651) 결합을 통하여 힌지 작용을 하여 좌, 우 비틀림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구 간격 조절장치(60)는 상기 심플레이트(660) 및 토글블럭(610)의 양측면이 각기 상기 메인프레임(10)의 개구된 통공(100)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심플레이트(660) 및 토글블럭(610)이 상기 통공(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프(670)가 장착되는 바, 상기 클램프(670)는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심플레이트 (660)및 토글블럭(610)의 연장된 양측면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670)의 탈, 부착 구조를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플레이트(660) 및 토글블럭(610)의 연장되는 부위에는 동일 선상으로 이어지는 슬라이드홈(611, 661)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클램프(67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67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ㄷ'자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드홈(611, 661)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드홈(611, 661)과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턱(67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심플레이트(660) 및 토글블럭(61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670)는 어느 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공(672)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공(672)을 통해 상기 토글블럭(610)과 볼트 결합됨으로써 상기 토글블럭(6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클램프(670)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상기 클램프(670)의 결합볼트(673)를 일부 풀러 상기 심플레이트(660)가 노출되도록 클램프(670)를 이동시킨 뒤, 상기 토글블럭(610)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심플레이트(660)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심플레이트(660)는 상기 통공(100)을 통해 연장되는 양측면 부위에 각기 손잡이(662)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의 손잡이(662)는 다양한 형태로서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일 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플레이트(660)의 끝단 부위를 절개 가공하여 손잡이(662)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텐션로드(640)는 일측은 상기 스윙죠(30)의 하부와 연결핀(미도시)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스윙죠(30)의 상, 하 반동에 대하여 출구 간격 조절장치(60)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로드(640)의 타측은 텐션로드 스프링(641)에 의해 상기 스윙죠(30)와의 장력이 조절되는데, 상기 텐션로드 스프링(641)과 텐션로드 브라켓(630)이 상기 토글블럭(610) 하부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장력 조절 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상기 토글블럭(610)의 유동 시 장력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장치(60)의 작동에 따른 출구(1) 간격 조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출구(1) 간격을 좁힐 때에는 상기 토글블럭(610)의 양측면에 장착된 클램프(670)의 결합볼트(673)를 일부 풀러 상기 심플레이트(660)가 노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유압실린더(650)를 작동시켜 실린더로드(652)를 후진시키면 이와 연동되는 토글블럭(610)이 상기 리어프레임(60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더불어 상기 토글블럭(610)에 장착된 토글플레이트(62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윙죠(30)와 스윙죠(30)에 장착된 동치판(40)이 움직임에 따라 출구(1)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토글블럭(610)과 리어프레임(600)의 수용홈(60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으로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심플레이트(660)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통공(100)을 통하여 삽입하고, 유압실린더(650)의 실린더로드(652)를 다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심플레이트(660)와 토글블록이 상기 리어프레임(600)의 수용홈(601)으로 밀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앞서 이동시킨 클램프(670)를 다시 원위치 즉, 상기 토글블럭(610)과 심플레이트(660)의 측면을 감싸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결합볼트(673)를 다시 조여줌으로써 출구(1) 간격의 조절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출구(1) 간격을 넓힐 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670)의 결합볼트(673)를 일부 풀러 상기 심플레이트(660)가 노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유압실린더(650)를 작동시켜 실린더로드(652)를 후진시켜서 상기 리어프레임(600)의 수용홈(601)과 토글블럭(610)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그 후, 원하는 출구(1) 간력량에 맞추어 기존에 삽설되어 있던 복수의 심플레이트(660)를 일부 또는 상기 통공(100)을 통해 분리하게 되며 그만큼 출구(1) 간격이 넓혀지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상기 유압실린더(650)를 상기 토글블럭(610)이 리어프레임(600)의 수용홈(601)에 밀착될 때까지 전진시키고, 상기 클램프(670)를 원상태로 복귀시킨 후 결합볼트(673)를 조여줌으로써 출구(1) 간격 조절이 완료된다.
이처럼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출구(1)의 간격 조절 시, 사용자가 설정한 간격이 항시 유지되는 것이며, 상기 토글블럭(610)과 심플레이트(660)가 상기 리어프레임(600)에 밀착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출구(1) 간격의 조절은 단순히 상기 클램프(670)를 분리하고, 유압실린더(650)를 사용자가 요하는 출구(1) 간격에 맞춰 실린더로드(652)를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키고 심플레이트(660)의 삽입 또는 분리 후 다시 클램프(670)를 재조립하는 것을 간격 조절의 셋팅 시간 단축과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상기 토글블럭(610)의 위치 정확성, 토글블럭(610)과 심플레이트(660)의 이탈방지효과, 출구(1) 간격의 일정성 유지 등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 죠 크러셔의 생산량의 증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스윙죠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스윙죠(30)는 상기 편심축(20)의 양 측면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 상부에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윙죠(30)는 내부에 편심축(20)이 결합되어 상기 편심축(20)의 회전에 의해 요동에 따른 반복 운동을 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공지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70)은 앞서 설명한 스윙죠(30)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축(2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 외측면과 접하며 복수의 결합공(712)이 형성된 결합 플렌지(7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712)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10) 상부 외측면에 볼트(120) 결합되는 결합관(710)과, 상기 결합관(710) 내주면에 삽설되는 프레임베어링(705) 및 상기 편심축(20)의 외경과 상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베어링(705) 내주면에 삽설되어 상기 편심축(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부싱(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관(710)의 내주면에 삽설된 상기 프레임베어링(70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713)이 더 구성되는 바, 상기 스냅링(713)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베어링(705)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베어링(705)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베어링(705)의 내주면 및 이와 밀착되는 상기 부싱(720)의 외주면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부싱(720)이 상기 결합관(710)의 내경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하우징(70)의 장착 시, 강도면에서 상기 메이프레임의 하중을 좀 더 보완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 내측에 반원형의 보강 플렌지(100)가 결합된다.
상기 보강 플렌지(100)는 상기 하우징(70)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반 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70)이 결합되는 메인프레임(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70)의 볼트(120) 결합 시 상기 메인프레임(10)과 함께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 및 보조하며 필요시에는 분해 후 새로운 보강 플렌지(100)로의 장착도 용이하게 가능지며, 강도면에서도 우수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70)의 분리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편심축(20)의 양측에 결합된 축캡(300)을 분리시켜 풀리(31) 및 플라이휠(32)을 분리시키고 상기 하우징(70)의 외측면 결합된 락워셔(310)와 하우징 커버(320)를 분리하여 상기 하우징(70)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이후, 상기 하우징(70)의 결합 플렌지(711)와 메인프레임(10)의 상부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120)를 풀러 상기 편심축(20)에 삽입된 하우징(7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스윙죠(30)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70)은 내주면에 프레임베어링(705)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70)과 함께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베어링(705)이 분리 역시 상기 부싱(720) 만을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70)에서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측면에서 유지 및 보수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고, 소모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출구 10 : 메인프레임
20 : 편심축 30 : 스윙죠
40 : 동치판 50 : 수치판
60 : 출구 간격 조절장치 70 : 하우징
600 : 리어프레임 610 : 토글블럭
620 : 토글플레이트 630 : 텐션로드 브라켓
640 : 텐션로드 641 : 텐션로드 스프링
650 : 유압실린더 660 : 심플레이트
670 : 클램프 705 : 프레임베어링
710 : 결합관 711 : 결합 플렌지
712 : 결합공 713 : 스냅링
720 : 부싱

Claims (11)

  1.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 상부에 결합된 편심축에 결합되어 요동 작동하는 스윙죠와, 상기 스윙죠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동치판과, 상기 동치판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수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동치판 및 수치판 사이에 공급된 피파쇄물을 파쇄하여 상기 동치판과 수치판의 하부에 형성된 출구로 배출하되 상기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출구 간격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죠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는,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 사이에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리어프레임과;
    상기 리어프레임의 전방에 전, 후로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토글블럭과;
    일측이 상기 토글블럭의 전방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스윙죠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윙죠와 연동하는 토글플레이트와;
    상기 토글블럭의 저면에 결합되는 텐션로드 브라켓과;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을 관통하되 일측은 상기 스윙죠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텐션로드 브라켓의 일면에 지지되는 텐션로드 스프링이 장착되는 텐션로드와;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토글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토글블럭을 전, 후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리어프레임과 토글블럭 사이의 공간으로 삽설되어 출구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각기 그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토글블럭의 양측면이 노출되도록 그에 상응하는 부위가 개구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플레이트 및 토글블럭의 양측면은 각기 상기 메인프레임의 개구된 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심플레이트 및 토글블럭의 연장된 양측면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토글블럭 및 심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심플레이트 및 토글블럭의 연장되는 부위에 동일 선상으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ㄷ'자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드홈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턱이 형성되며 슬라이드 결합되되, 어느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해 상기 토글블럭과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심플레이트는 상기 통공을 통해 연장되는 부위에 각기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프레임은 상기 토글블럭과 대향하는 전방에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토글블럭 및 심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 내에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죠는 상기 편심축의 양 측면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편심축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외측면과 접하며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플렌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 외측면에 볼트 결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 내주면에 삽설되는 프레임베어링; 및
    상기 편심축의 외경과 상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베어링 내주면에 삽설되어 상기 편심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 삽설된 프레임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베어링의 양측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반 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는 메인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볼트 결합 시 상기 메인프레임과 함께 결합되는 보강 플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베어링의 내주면 및 이와 밀착되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
KR1020100113472A 2010-11-15 2010-11-15 죠 크러셔 KR101018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472A KR101018767B1 (ko) 2010-11-15 2010-11-15 죠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472A KR101018767B1 (ko) 2010-11-15 2010-11-15 죠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767B1 true KR101018767B1 (ko) 2011-03-07

Family

ID=4393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472A KR101018767B1 (ko) 2010-11-15 2010-11-15 죠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7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48B1 (ko) * 2011-06-28 2013-04-16 용원기계공업(주) 죠크라셔의 파쇄물 간격조절구
CN104646096A (zh) * 2015-02-16 2015-05-27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颚式破碎机上的动颚组
CN104902999A (zh) * 2013-01-09 2015-09-09 山特维克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活动颚安装组件
WO2015140393A1 (en) * 2014-03-17 2015-09-24 Metso Minerals, Inc. Jaw crusher and crushing pl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1611B2 (ja) * 1992-12-08 1997-07-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ジョークラッシャの破砕間隙調整装置
JP2000176300A (ja) 1998-12-14 2000-06-27 Kawasaki Heavy Ind Ltd ジョークラッシャの出口間隙調整装置
KR200292661Y1 (ko) 2002-07-08 2002-10-25 정태현 죠 크러셔용 스윙 죠 조절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1611B2 (ja) * 1992-12-08 1997-07-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ジョークラッシャの破砕間隙調整装置
JP2000176300A (ja) 1998-12-14 2000-06-27 Kawasaki Heavy Ind Ltd ジョークラッシャの出口間隙調整装置
KR200292661Y1 (ko) 2002-07-08 2002-10-25 정태현 죠 크러셔용 스윙 죠 조절 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48B1 (ko) * 2011-06-28 2013-04-16 용원기계공업(주) 죠크라셔의 파쇄물 간격조절구
CN104902999A (zh) * 2013-01-09 2015-09-09 山特维克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活动颚安装组件
US10399080B2 (en) 2013-01-09 2019-09-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oveable jaw mounting assembly
WO2015140393A1 (en) * 2014-03-17 2015-09-24 Metso Minerals, Inc. Jaw crusher and crushing plant
CN106102917A (zh) * 2014-03-17 2016-11-09 美卓矿物公司 颚式破碎机和破碎设备
US20170065983A1 (en) * 2014-03-17 2017-03-09 Metso Minerals, Inc. Jaw crusher and crushing plant
CN106102917B (zh) * 2014-03-17 2019-07-26 美卓矿物公司 颚式破碎机和破碎设备
US10682651B2 (en) 2014-03-17 2020-06-16 Metso Minerals, Inc. Jaw crusher and crushing plant
CN104646096A (zh) * 2015-02-16 2015-05-27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颚式破碎机上的动颚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0121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自走式破砕機
KR101018767B1 (ko) 죠 크러셔
US7686241B2 (en) Jaw crusher and self-traveling crusher
US20120222335A1 (en) Disassembly of inter-fitting components
US6402072B1 (en) Method for securing a die plate of a jaw crusher, and a jaw crusher
KR20130080779A (ko) 중하중용 조정가능한 전단기 크러셔 파쇄 장비
US20120199680A1 (en) Bucket type jaw crusher
JPH11239984A (ja) 液圧式破砕機械に関する装置
EP3558529B1 (en) Jaw crusher support frame
JP2016117035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US3099130A (en) Track press
JP4272474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の調整装置
US9283564B2 (en) Frame of jaw crusher, jaw crusher and crushing plant
JP6773828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
JP2009202289A (ja) 両頭研削盤
JP4669761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自走式破砕機
CA2872630A1 (en) Means for securing jaw plates in a jaw crusher
KR20140001675U (ko) 굴삭기 버켓용 와셔
JP4436304B2 (ja) ツインモールド
KR101917527B1 (ko) 주편커팅장치
CN117943151A (zh) 建筑垃圾破碎机
JP2004174451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RU2381322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подбивочный блок (варианты)
JPH09271682A (ja) 固定歯の交換支援装置
JP2007307525A (ja) 破砕機のチークプレート取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