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040B1 -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040B1
KR101018040B1 KR1020080036368A KR20080036368A KR101018040B1 KR 101018040 B1 KR101018040 B1 KR 101018040B1 KR 1020080036368 A KR1020080036368 A KR 1020080036368A KR 20080036368 A KR20080036368 A KR 20080036368A KR 101018040 B1 KR101018040 B1 KR 10101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vera
ultrafiltration
weight
aloe
collagen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726A (ko
Inventor
이신영
백진홍
이영환
곽연길
차태양
김성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filed Critical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Priority to KR102008003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04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에 관한 것으로,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사용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알로에, 알로에 베라,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한외여과, 콜라겐, 콜라겐 생성 촉진,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Methods of preparation of the concentrate of fresh gel from Aloe vera L. for the formation acceleration of collagen}
본 발명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사용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로에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며, 다육질 잎을 갖는 다즙성의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식물로, 3,500년 이상 광범위하고 다목적인 민간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400여종 이상의 알로에가 동정되었는 데, 이 중 알로에 베라(Aloe vera Linne)의 주스나 겔이 대표적인 건강기능성 식품(특히, 건강기능 음료)의 하나이며, 또 제약이나 화장품으로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천연소재의 하나이다.
화장품을 사용하는 목적 중에 상당 부분은 아름다움의 추구와 자신의 외모를 개선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좀 더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늘어났고 그에 따른 제품들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즉, 화장품의 영역이 외모의 개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부 건강까지 돌보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확장된 것이다. 그 결과 현재 화장품은 비타민이나 항산화제와 같은 다양한 원료물질을 이용해 제조되고, 그 효과 역시 세척(cleanse)이나 보호(protect), 보습 (moisturize)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피부의 재생이나 복원, 노화방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특히, 피부의 노화는 다양한 피부층에 영향을 주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으로 진피의 연결조직에서 주로 손상이 나타난다. 임상적으로 주름, 진피 콜라겐의 손실 등의 퇴행성 변화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주름 생성의 방지 및 개선을 위한 연구,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에 대한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개발은 각질층 형성 세포(keratinocyte)의 증식과 분 화 조절,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손상 개선, 표피-진피 경계부 손상 개선 등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세포외기질에 관련된 손상 개선을 위하여 부족한 세포외기질 성분의 생성을 촉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진피층은 90% 이상이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원료의 선별은 주름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있어 중요하다.
한편, 알로에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많이 개발된 바 있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알로에 잎의 가공법은 알로에의 가공 중 유효성분의 손실 및 생물활성의 실활이 매우 높은 특성에 기인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유효성분의 농도와 수율, 가공 경비의 효율성, 고형분 함량, 바람직하지 못한 성분의 함유량, 바람직한 특성(맛, 유효 인자의 농도 증가) 등이 매우 차이가 많고, 최종 제품의 효능 및 품질 수준은 천차만별하다고 할 만큼 다른 것이 현실이다.
그동안 밝혀진 알로에의 유효 성분은 약 200여 종이 알려져 있지만 알로인(aloin)과 같은 안트라퀴논류는 가공 중 반드시 제거되어야하는 성분지표인 반면, 알로에 다당류는 일반적 품질 및 치료적 성질의 지표가 될 수 있고, 알로에 베라 잎의 유조직에 널리 존재하는 알로에 다당은 과잉의 열이나 가공 시간 및 세균 오염 등 가혹한 또는 불량한 공정에 의해 단순 당으로 분해되므로 결국, 낮은 다당류 수준은 알로에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사용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막 여과법으로 알로에 베라 겔의 한외여과 투과액을 제조하고 이를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콜 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사용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사용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초기 알로에 주스는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하여 얻었다. 이를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8000rpm, 30분)하고 상징액을 취하여 알로에 베라 겔 시료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시료의 초기 고형분 함량은 0.76%이었고, 콘코 레드(congo red)법(Ebarandu, A.R., Luta, G., Edwards, J.A., McAnalley, B.H., and Davis, B. 2005. Quantitative colorimetric analysis of aloe polysaccharides as a measure of Aloe vera quality in commercial products.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88(3): 684-691)으로 측정한 유효 다당 함량은 0.25 ∼ 0.31(540nm에서의 흡광도)이었다.
한외여과는 실험실 규모의 타미 한외여과 시스템(Tami UF system : Tami Industries S.A, Franc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타미 한외여과 시스템은 1ℓ용량의 공급액조, 공급액 펌프, 여과 카트리지 및 공급액과 한외여과 투과액에 대한 압력 게이지로 구성되어 있고, 외경 10mm, 길이 250mm, 면적 94㎡의 관형막(지르코늄 디옥사이드, Tami Valisette module ; MWCO= 50kDa)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외여과는 배치 콘센트레이션 모드(batch concentration mode)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료 용액은 펌프를 사용하여 막 모듈로 공급되었고, 23℃에서 1.8 m/sec의 유속 및 0.2 ∼ 2.25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에서 수행되었다.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MWCO = 50kDa의 관형 막을 사용하여 알로에의 투과를 행하는 이유는 투과액 유속의 증가 기간이 길었고, 더 높은 투과액 유속의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최대값의 감소 폭이 크기 때문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평판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알로에의 높은 점도로 인하여 투과유속이 저하되므로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알로에 베라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유효 다당을 분석한 결과, 알로인(aloin)과 같은 안트라퀴논류가 제외되지만 콜라겐 생성 촉진능은 그대로 유지되거나 향상되어 고품질의 목적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0.1 ∼ 1중량%의 농도에서 콜라겐 생성 촉진에 효과적이었으며, 0.1중량% 미만의 농도이거나 1중량%를 초과하는 농도일 경우에는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란 다음, 이를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8000rpm, 30분)하고 상징액을 취하여 배치 콘센트레이션 모드(batch concentration mode)에 따라 한외여과를 행하여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제조하였다.
한외여과는 1ℓ용량의 공급액조, 공급액 펌프, 여과 카트리지 및 공급액과 한외여과 투과액에 대한 압력 게이지로 구성되는 실험실 규모의 타미 한외여과 시스템(Tami UF system : Tami Industries S.A, Franc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한외여과막으로는 외경 10mm, 길이 250mm, 면적 94㎡의 관형막(지르코늄 디옥사이드, Tami Valisette module ; MWCO= 50kDa)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징액은 펌프를 사용하여 막 모듈로 공급되었고, 23℃에서 1.8 m/sec의 유속 및 0.2 ∼ 2.25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에서 수행되었다.
제조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의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ELASA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즉, HDF(human dermal fibroblast)를 1ⅹ104cells/well 농도로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첨가한 무혈청배지를 배양배지와 교환한 후 48시간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세포의 배양 상등액 50㎕를 맥시솔브 96-웰 플레이트(maxisorb 96-well plate)에 각각 분주하고 카보네이트-바이카보네이트 코팅 완충액(carbonate-bicarbonate coating buffer : pH 9.6)를 100㎕씩 첨가 후, 4℃에서 일야간 정치하여 단백질을 코팅한 다음, 0.05%의 트윈 20(Tween 20)을 첨가한 포스페이트로 완충된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 PBS-T, pH 7.4)를 이용하여 200㎕씩 5회 세척하고 블록킹(blocking)을 위하여 PBS에 녹인 4% 스킴 밀크(skim milk) 용액을 100㎕씩 분주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한다. 다시 PBS-T로 5회 세척하고 마우스 안티-콜라겐 타입 Ⅰ 항체(mouse anti-collagen type Ⅰ antibody : Sigma사 제품)를 4% 스킴 밀크 용액(블로킹 용액)에 희석하여 100㎕씩 분주하고 37℃에서 1시간 배양한 다음, PBS-T로 5회 세척하고 2차 항체로서 알카린 포스페이트(alkaline phosphastase)가 콘주게이트된(conjugated) 안티-마우스 IgG 항체(anti-mouse IgG antibody : Sigma사 제품)를 4% 밀크 스킴 용액에 희석하여 100㎕씩 분주하고 37℃에서 1시간 배양한 후, PBS-T로 5회 세척한다. 효소반응은 디에탄올아민 완충액(diethanolamine buffer : 9.7% 디에탄올아민, 0.02% 소듐 아지드(sodium azide), pH 9.8)에 0.1%의 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p-nitrophenyl phosphate : Fluka사 제품)를 녹인 기질 용액을 200㎕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되는 50kDa 이상의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농도 1.0%, 이하 "5만 이상"으로 칭함), 실시예 1에서 한외여과 전 상태의 신선한 알로에 주스(NJ) 및 제주산 알로에 주스로 동일하게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공지의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만으로 배양시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 콜라겐생성량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상대적 콜라겐 생성량(%)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 / 시료무첨가군의 흡광도) ⅹ 100
시 료 농도(%) 상대적 콜라겐 생성량(%) 시 료 농도(%) 상대적 콜라겐 생성량(%)
DMEM · 100.0000
5만 이하 (0.7%) 0.001 110.0503 NJ (0.5%) 0.001 102.5126
0.01 108.0402 0.01 104.0201
0.1 108.5427 0.1 106.5327
1 173.3668 1 93.9698
10 67.3367 10 69.8492
5만 이상 (1.0%) 0.001 109.5477 제주
(보존료 유)
0.001 102.0101
0.01 108.0402 0.01 106.5327
0.1 129.1457 0.1 119.5980
1 130.1508 1 151.2563
10 52.7638 10 54.7739
상기 표 1 및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1~1%의 농도 범위에서 HDF의 콜라겐 생성능 촉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HDF 세포의 증식에 따른 것이 아닌 시험물질이 갖는 콜라겐 생성 촉진능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의 처리농도에서는 콜라겐의 생성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시험물질이 갖는 세포독성에 의한 세포 수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시험에 사용된 HDF(human dermal fibroblast)가 1차 배양세포(primary cell line)임을 감안할 때 10%의 처리농도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의 세포 독성 시험을 행하였다.
즉, 배양 상등액이 제거된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의 각 웰을 200㎕의 PBS로 조심스럽게 세척하고, DMEM 배지에 녹인 40㎍/㎖ 뉴트럴 레드 용액(neutral red solution : Sigma사 제품)을 각 웰에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뉴트럴 레드 용액이 첨가된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다. 각 웰에 200㎕의 1% 아세트산과 50%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플레이트 쉐이커(plate shaker)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15분간 교반하여 세포 내의 뉴트럴 레드 용액을 추출한 다음,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되는 50kDa 이상의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농도 1.0%, 이하 "5만 이상"으로 칭함), 실시예 1에서 한외여과 전 상태의 신선한 알로에 주스(NJ) 및 제주산 알로에 주스로 동일하게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공지의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만으로 배양시를 대조군으로 하여 세포생존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세포생존율(%)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 / 시료무첨가군의 흡광도) ⅹ 100
시 료 농 도 (%) 상대적 세포 생존율 (%) 시 료 농 도 (%) 상대적 세포 생존율 (%)
DMEM · 100.0000
5만 이하 (0.7%) 0.001 76.3804 NJ (0.5%) 0.001 93.5583
0.01 86.8098 0.01 95.0920
0.1 94.4785 0.1 92.9448
1 85.2761 1 103.3742
10 11.0429 10 104.6012
5만 이상 (1.0%) 0.001 85.5828 제주
(보존료 유)
0.001 102.4540
0.01 85.5828 0.01 92.0245
0.1 88.6503 0.1 89.5706
1 87.7301 1 89.5706
10 12.8834 10 29.7546
표 2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1및 도 1에서 콜라겐 생성량을 증가시켰던 시험물질 중 HDF 세포 증식에 작용하여 세포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없고, 오히려 1% 이하의 농도에서 약간의 독성을 가지며, 10%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표 1 및 도 1에서 보인 콜라겐 생성량 증가는 세포 수 증가에 따른 것은 아니며, 시험물질이 갖는 콜라겐 생성 촉진능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콜라겐 생성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2)

  1.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사용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2. 청구항 1의 제조방법에 의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0.1 ∼ 1중량%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36368A 2008-04-18 2008-04-18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KR10101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68A KR101018040B1 (ko) 2008-04-18 2008-04-18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68A KR101018040B1 (ko) 2008-04-18 2008-04-18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26A KR20090110726A (ko) 2009-10-22
KR101018040B1 true KR101018040B1 (ko) 2011-03-03

Family

ID=4153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368A KR101018040B1 (ko) 2008-04-18 2008-04-18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47B1 (ko) * 2012-03-16 2019-01-15 (주)아모레퍼시픽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3A (ko) * 1993-09-21 1995-04-15 김정문 알콜대사를 촉진하는 알로에 고분자물의 추출방법
KR100186215B1 (ko) * 1995-05-24 1999-05-15 김정문 알로에 활성성분의 정량방법
JP2003252719A (ja) 2002-03-04 2003-09-10 Phyrena Keshohin:Kk アロエベラゲルを主成分とした化粧品
KR100737391B1 (ko) * 2005-08-27 2007-07-09 주식회사 나우코스 알로에젤을 함유한 주름개선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를함유한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3A (ko) * 1993-09-21 1995-04-15 김정문 알콜대사를 촉진하는 알로에 고분자물의 추출방법
KR100186215B1 (ko) * 1995-05-24 1999-05-15 김정문 알로에 활성성분의 정량방법
JP2003252719A (ja) 2002-03-04 2003-09-10 Phyrena Keshohin:Kk アロエベラゲルを主成分とした化粧品
KR100737391B1 (ko) * 2005-08-27 2007-07-09 주식회사 나우코스 알로에젤을 함유한 주름개선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를함유한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26A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751B (zh) 用于去除皮肤角质材料的、含有绿茶乳杆菌的组合物
WO2015083630A1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エラスチンペプチドおよびプロテオグリカンを含む組成物
WO2018209117A1 (en) Topical muscadine formulation for cosmetic use
TWI784229B (zh) 金銀花發酵物的製備方法及其改善皮膚外觀與抗老化的用途
KR101448239B1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8040B1 (ko)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제조 방법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770778B (zh) 富含有机酸的疑拟香桃木果提取物、包含该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及其化妆品用途
CN109641024A (zh) 具有低含量缩合鞣质分子的麝香葡萄局部组合物
KR101448222B1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382815B2 (ja) 保湿剤
KR100984123B1 (ko)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US20100068259A1 (en) Natural product inhibitors of 3dg
CN110179728A (zh) 一种可食用冻干粉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196414B1 (ko) 지의류 유래 미네랄 및 갈락토미세스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8032847A1 (fr) Préparation externe pour la peau
JP6407742B2 (ja) 液状化粧料
US20230119686A1 (en) Method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with redlove apples extract
JP7481748B2 (ja) サーカディアン・リズム改善剤
KR102104861B1 (ko) 용암해수 숙성 비자나무 잎 분말의 제조 방법과 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48246B1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8234B1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9927B1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8229B1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9566A (ko)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