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123B1 -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123B1
KR100984123B1 KR1020080036369A KR20080036369A KR100984123B1 KR 100984123 B1 KR100984123 B1 KR 100984123B1 KR 1020080036369 A KR1020080036369 A KR 1020080036369A KR 20080036369 A KR20080036369 A KR 20080036369A KR 100984123 B1 KR100984123 B1 KR 10098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vera
ultrafiltration
sk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727A (ko
Inventor
이신영
백진홍
이영환
곽연길
차태양
김성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filed Critical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Priority to KR102008003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1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0.1 ∼ 1중량% 첨가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첨가함으로써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알로에, 알로에 베라,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 한외여과, 콜라겐, 콜라겐 생성 촉진,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cosmetic composion containing the concentrate of fresh gel from Aloe vera L.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0.1 ∼ 1중량% 첨가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첨가함으로써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로에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며, 다육질 잎을 갖는 다즙성의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식물로, 3,500년 이상 광범위하고 다목적인 민간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400여종 이상의 알로에가 동정되었는 데, 이 중 알로에 베라(Aloe vera Linne)의 주스나 겔이 대표적인 건강기능성 식품(특히, 건강기능 음료)의 하나이며, 또 제약이나 화장품으로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천연소재의 하나이다.
화장품을 사용하는 목적 중에 상당 부분은 아름다움의 추구와 자신의 외모를 개선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좀 더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늘어났고 그에 따른 제품들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즉, 화장품의 영역이 외모의 개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부 건강까지 돌보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확장된 것이다. 그 결과 현재 화장품은 비타민이나 항산화제와 같은 다양한 원료물질을 이용해 제조되고, 그 효과 역시 세척(cleanse)이나 보호(protect), 보습 (moisturize)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피부의 재생이나 복원, 노화방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특히, 피부의 노화는 다양한 피부층에 영향을 주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으로 진피의 연결조직에서 주로 손상이 나타난다. 임상적으로 주름, 진피 콜라겐의 손실 등의 퇴행성 변화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주름 생성의 방지 및 개선을 위한 연구,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에 대한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개발은 각질층 형성 세포(keratinocyte)의 증식과 분 화 조절,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손상 개선, 표피-진피 경계부 손상 개선 등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세포외기질에 관련된 손상 개선을 위하여 부족한 세포외기질 성분의 생성을 촉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피부는 체외의 외부환경과 체내의 살아있는 장기 사이에서 물리화학적 자극과 미생물의 침입에 대하여 방어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의 방어기능은 주로 피부의 최외층인 각질층이 수행하고 있으며 피부의 지방막이 보조적으로 도와 주고 있다.
피부에 있어서 수분은 케라틴의 가소제(plasticizer)로써 각질층의 유연성을 높여 갈라짐을 막고 잘 휘게 하며 표피 탈락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이는 중요한 성분이다. 예를 들어, 아토피나 소양증이 있는 환자의 건조한 피부는 수분의 부족으로 효소의 활성이 떨어지므로 각질세포 결합에 의한 인설이나 과각화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각질층이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유분과 함께 수분의 양도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에서는 수분이 약 10% 이상 존재하며, 각질층의 수분상태는 표피층 이하에서 공급되는 수분과 피부표면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 그리고 각질층의 수분함유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각질층의 수분은 분자 유동성, 즉 케라틴 측쇄에 대한 물분자의 결합력에 따라 0 ~ 35% 존재하는 "결합수(bound water)“와, 그 이상 존재하는 ”자유수(free water)“로 구분된다.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각질세포의 구조는 주로 "keratin macromolecule"로 이루어진 세포질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각질세포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형성세포는 분화함에 따라 핵이 없어지고 점점 납작해지면서 세포 내 소기관들이 사라지고 각질세포가 된다. 각질세포를 구성하는 물질 중 가장 많은 것은 케라틴이며, 케라틴은 각질세포의 80 ~ 90%를 차지하며, 각질세포막과 서로 교차결합되어 "macrofibril"을 형성한다. 각질세포가 피부에서 탈락되는 기전은 아직 완전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질, 가수분해효소, 당단백질, 각질층 내 교소체(corneodesmosome) 등이 모두 관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알로에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많이 개발된 바 있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알로에 잎의 가공법은 알로에의 가공 중 유효성분의 손실 및 생물활성의 실활이 매우 높은 특성에 기인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유효성분의 농도와 수율, 가공 경비의 효율성, 고형분 함량, 바람직하지 못한 성분의 함유량, 바람직한 특성(맛, 유효 인자의 농도 증가) 등이 매우 차이가 많고, 최종 제품의 효능 및 품질 수준은 천차만별하다고 할 만큼 다른 것이 현실이다.
그동안 밝혀진 알로에의 유효 성분은 약 200여 종이 알려져 있지만 알로인(aloin)과 같은 안트라퀴논류는 가공 중 반드시 제거되어야하는 성분지표인 반면, 알로에 다당류는 일반적 품질 및 치료적 성질의 지표가 될 수 있고, 알로에 베라 잎의 유조직에 널리 존재하는 알로에 다당은 과잉의 열이나 가공 시간 및 세균 오염 등 가혹한 또는 불량한 공정에 의해 단순 당으로 분해되므로 결국, 낮은 다당류 수준은 알로에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0.1 ∼ 1중량% 첨가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첨가함으로써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막 여과법으로 알로에 베라 겔의 한외여과 투과액을 제 조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생성 촉진용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사용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알로에 추출물에서 발생되는 유해 효과 발생이 억제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0.1 ∼ 1중량% 첨가하되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초기 알로에 주스는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하여 얻었다. 이를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8000rpm, 30분)하고 상징액을 취하여 알로에 베라 겔 시료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시료의 초기 고형분 함량은 0.76%이었고, 콘코 레드(congo red)법(Ebarandu, A.R., Luta, G., Edwards, J.A., McAnalley, B.H., and Davis, B. 2005. Quantitative colorimetric analysis of aloe polysaccharides as a measure of Aloe vera quality in commercial products.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88(3): 684-691)으로 측정한 유효 다당 함량은 0.25 ∼ 0.31(540nm에서의 흡광도)이었다.
한외여과는 실험실 규모의 타미 한외여과 시스템(Tami UF system : Tami Industries S.A, Franc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타미 한외여과 시스템은 1ℓ용량의 공급액조, 공급액 펌프, 여과 카트리지 및 공급액과 농축액에 대한 압력 게이지로 구성되어 있고, 외경 10mm, 길이 250mm, 면적 94㎡의 관형막(지르코늄 디옥사 이드, Tami Valisette module ; MWCO= 50 ∼ 150kDa)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외여과는 배치 콘센트레이션 모드(batch concentration mode)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료 용액은 펌프를 사용하여 막 모듈로 공급되었고, 23℃에서 1.8 m/sec의 유속 및 0.2 ∼ 2.25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에서 수행되었다.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MWCO = 50kDa의 관형 막을 사용하여 알로에의 투과를 행하는 이유는 투과액 유속의 증가 기간이 길었고, 더 높은 투과액 유속의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최대값의 감소 폭이 크기 때문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평판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알로에의 높은 점도로 인하여 투과유속이 저하되므로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알로에 베라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유효 다당을 분석한 결과, 알로인(aloin)과 같은 안트라퀴논류가 제외되지만 콜라겐 생성 촉진능은 그대로 유지되거나 향상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0.1 ∼ 1중량% 첨가하는 것이 주름 개선 효과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0.1중량% 미만 또는 1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에는 주름 개선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등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로에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란 다음, 이를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8000rpm, 30분)하고 상징액을 취하여 배치 콘센트레이션 모드(batch concentration mode)에 따라 한외여과를 행하여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제조하였다.
한외여과는 1ℓ용량의 공급액조, 공급액 펌프, 여과 카트리지 및 공급액과 한외여과 투과액에 대한 압력 게이지로 구성되는 실험실 규모의 타미 한외여과 시스템(Tami UF system : Tami Industries S.A, Franc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한외여과막으로는 외경 10mm, 길이 250mm, 면적 94㎡의 관형막(지르코늄 디옥사이드, Tami Valisette module ; MWCO= 50kDa)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징액은 펌프를 사용하여 막 모듈로 공급되었고, 23℃에서 1.8 m/sec의 유속 및 0.2 ∼ 2.25bar의 막투과압력(TMP : transmembrane pressure)에서 수행되었다.
제조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화장료 조성물용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1]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한외여과 투과액 1.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1.0
페녹시에탄올 1.0
EDTA-2Na 0.05
상피세포성장인자 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실험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제품을 건강한 피부를 가진 1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4주간 1일 2회 아침, 저녁 제품을 얼굴에 적당량을 덜어 마사지하듯 부드럽게 펴 발라주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하여 제품의 피부 수분, 피부 탄력 및 피부 각질 개선효 과를 측정 및 평가하였다.
먼저, 병력 조사 및 피부 상태 진단을 통해 만 18세 이상의 여성 피험자를 선정하고, 4주간 시험 제품을 제품의 사용법에 따라 정상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 전과 사용 2주, 4주 후 시점에서 피험자는 세안 후 입실하여 20분 동안 항온항습 조건(22 ± 2℃, 50 ± 5%)에서 안정을 취한 후, 시험에 참여하였다. 측정 부위는 왼쪽 뺨 정면에서 피부 수분와 피부 각질 개선효과를, 오른쪽 뺨 정면에서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자료는 SPSS Package Program 11.5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제품 사용 2주 후, 4주 후 제품에 관한 효능 및 안전성에 관한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피부 수분 상태는 비침습적으로 in vivo 상태에서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는 코네오메터(Corneometer CM 825 : Courage+Khazaka, 독일)와 모이스춰메터(Moisturemeter SC : Delfin Technologies Ltd., 핀란드)를 이용하고, 진피층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는 모이스춰메터(MoistureMeter D : Delfin Technologies Ltd., 핀란드)를 이용하여 각각 좌측 뺨 정면을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였고, 그 결과를 표 4 내지 표 6, 도 1 내지 도 3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피부 탄력은 큐토메터(Cutometer MPA 580 : Courage+Khazaka, 독일)를 이용 하여 우측 뺨 정면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7과 도 4에 기재 및 도시하였으며, 도 4에 도시된 R파라미터는 도 5에 도시된 도면에 따라 산출하였고,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Ro(Uf) : 첫번째 커브(curve)의 가장 높은 점. 피부의 단단함(firmness)과 관련된다.
R1(Uf-Ua) : 첫번째 커브의 가장 낮은 점.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능력을 알 수 있다(값이 작을수록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능력이 높다).
R2(Ua/Uf) : 전체 탄력으로 1에 가까울수록 탄력성이 좋다(가장 중요한 요소).
R3 : 마지막 커브의 가장 높은 점.
R4 : 마지막 커브의 가장 낮은 점.
R5(Ur/Ue) : 순수 탄력성(net elasticity)으로 값이 1에 가까울수록 탄력성이 좋다.
R6(Uv/Ue) : 값이 작을수록 탄력성이 좋다.
R7(Ur/Uf) : 1에 가까울수록 탄력성이 좋다.
R8 : 첫번째 커브의 Ua값으로 Uf값과 유사할수록 탄력성이 좋다.
R9 : R3-R0. 반복적인 흡인(suction) 후 피부의 "피로 효과(tiring effect)"를 볼 수 있다. 값이 작을수록 피로 효과(tiring effect)가 낮다.
Ue : 즉각적인 팽창(immediate distension)
Uv : 지체 팽창(delayed distension)
Uf : 최종 팽창(final distension(피부 팽창도(skin distensibility)))
Ur : 즉각적인 수축력(immediate retraction)
R : 탄력있는 팽창(resilient distension)
Ua/Uf : 전체 탄력성(gross elasticity)
Ur/Uf : 생물학상 탄력성(biologic elasticity)
Uv/Ue : 탄성 팽창에 대한 점탄성 팽창 비율(the ratio of viscoelastic to elastic distension)
Ur/Ue : 1차 수축 후의 탄성 비율(elastic ratio after the first traction)
피부 각질량은 좌측 뺨 정면에 적용한 Black D-squame Tape(Cuderm, 미국)에 부착된 각질을 참뷰스코프(Charmview scope 700X(MORITEX, 일본))로 각질 이미지를 촬영하였고, 촬영한 이미지는 비엠아이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BMI image analysis software(WINaTech, 미국)를 이용하여 각질의 면적(pixel number)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8과 도 6 및 도 7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각 시점마다 피험자는 설문에 의한 피험자의 주관적 평가 방법을 실시하여 제품의 피부 개선 상태를 평가하였고, 질의응답을 통해 주관적 피부 자극감과 객관적 피부자극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 내지 표 12 및 도 8 내지 도 10에 기재 및 도시하였다.
피험자의 특징과 피부 특성은 설문에 의해 조사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의 표 2 및 표 3과 같다.
[표 2] 피험자의 피부특성
항목 분류 빈도(수) 비율(%)


피부타입
건성 4 26.67
중건성 11 73.33
중성 0 0.00
중지성 0 0.00
지성 0 0.00
[표 3] 피부 생리학적 요인에 따른 피험자의 피부상태
항목 분류 빈도(수) 비율(%)

수분
촉촉 0 0.00
보통 4 26.67
건조 11 73.33

유분
번들거림 0 0.00
보통 10 66.67
부족 5 33.33

표면상태
부드러움 6 40.00
보통 6 40.00
거침 3 20.00

피부두께
얇은 편 2 13.33
보통 13 86.67
두꺼움 0 0.00

자외선 노출시간
1시간 미만 1 6.67
1-3 시간 12 80.00
3시간 이상 2 13.33

색소침착 정도
거의 안됨 3 20.00
보통 11 73.33
잘됨 1 6.67
자극 감수성 2 13.33
아니오 13 86.67
따가움 감수성 0 0.00
아니오 15 100.00
부작용 경험 0 0.00
아니오 15 100.00
[표 4] 시점별 피부 수분량 변화(Corneometer CM 825)
Week No Mean Std. Error Mean Std. Deviation Sig.
0주 15 45.60 1.4523 5.6248 -
2주 15 57.67 2.1406 8.2904 0.000*
4주 15 61.62 1.8003 6.9726 0.000*
[표 5] 시점별 피부 수분량 변화(MoistureMeter SC)
Week No Mean Std. Error Mean Std. Deviation Sig.
0주 15 53.13 3.6828 14.2633 -
2주 15 84.64 3.9619 15.3444 0.000*
4주 15 91.33 3.5158 13.6166 0.000*
[표 6] 시점별 피부 수분량 변화(MoistureMeter D)
Week No Mean Std. Error Mean Std. Deviation Sig.
0주 15 25.06 0.3267 1.2651 -
2주 15 25.94 0.4203 1.6279 0.038*
4주 15 26.48 0.3145 1.2180 0.000*
[표 7] 시점별 피부 탄력 변화
Parameter Week No Mean Std. Error Mean Std. Deviation Sig.
R0 0주 15 0.2378 0.0193 0.0749 -
2주 15 0.2573 0.0154 0.0598 0.183
4주 15 0.2371 0.0168 0.0651 0.965
R1 0주 15 0.0527 0.0034 0.0131 -
2주 15 0.0493 0.0033 0.0129 0.260
4주 15 0.0381 0.0033 0.0129 0.001*
R2 0주 15 0.7685 0.0149 0.0577 -
2주 15 0.8000 0.0162 0.0628 0.000*
4주 15 0.8338 0.0132 0.0510 0.000*
R3 0주 15 0.2813 0.0213 0.0824 -
2주 15 0.2974 0.0192 0.0745 0.285
4주 15 0.2755 0.0200 0.0775 0.723
R4 0주 15 0.0823 0.0056 0.0215 -
2주 15 0.0740 0.0046 0.0180 0.258
4주 15 0.0647 0.0062 0.0241 0.021*
R5 0주 15 0.4975 0.0190 0.0734 -
2주 15 0.4915 0.0161 0.0625 0.719
4주 15 0.5268 0.0186 0.0721 0.158
R6 0주 15 0.5522 0.0301 0.1167 -
2주 15 0.6557 0.0369 0.1428 0.030*
4주 15 0.6947 0.0288 0.1115 0.000*
R7 0주 15 0.3212 0.0124 0.0481 -
2주 15 0.3044 0.0135 0.0522 0.057
4주 15 0.3125 0.0134 0.0518 0.486
R8 0주 15 0.1851 0.0176 0.0683 -
2주 15 0.2122 0.0174 0.0673 0.021*
4주 15 0.1989 0.0156 0.0604 0.326
R9 0주 15 0.0435 0.0034 0.0132 -
2주 15 0.0359 0.0024 0.0092 0.032*
4주 15 0.0384 0.0036 0.0139 0.035*
[표 8] 시점별 피부 각질량 변화
Week No Mean
(1/10000 Pixel)
Std. Error Mean Std. Deviation Sig.
0주 15 21.292 0.629 2.436
2주 15 16.094 0.578 2.237 0.000*
4주 15 11.033 0.596 2.310 0.000*
[표 9] 피부 안전성 평가
항 목 (n=15) 2주 4주





가렵다 0 0
바늘로 찌르듯이 아프다 0 0
근질거린다 0 0
화끈거린다 0 0
따끔거린다 0 0
뻣뻣하다 0 0
당긴다 0 0




홍반 0 0
부종 0 0
인설 0 0
뽀드락지, 좁쌀 등 0 0
기타 0 0
총 부작용자 수 0 0
[표 10] 시점별 피부 상태 변화
항목(n=15) 2주 4주
빈도(수) 비율(%) 빈도(수) 비율(%)
피부 표면의 변화 9 60.0 12 80.0
피부 수분 증가 11 73.3 14 93.3
피부 탄력 증가 3 20.0 6 40.0
피부 각질 감소 6 40.0 7 46.7
[표 11] 제품 사용성 종합평가
항목(n=15) 빈도(수) 비율(%)
제품의 색 12 80.0
제품의 향 5 33.3
제품의 피부 발림성 14 93.3
제품의 피부 흡수력 13 86.7
제품에 대한 만족도 11 73.3
[표 12] 제품 사용감(복수응답)
항목(n=15) 빈도(수) 비율(%)
끈적인다 8 53.3
무겁다 - -
촉촉하다 11 73.3
미끈거린다 3 20
가볍다 2 13.3
뻑뻑하다 1 6.7
부드럽다 8 53.3
매끄럽다 4 26.7
매트하다 - -
오일같다 1 6.7
왁스같다 1 6.7
밀착감 있다 7 46.7
표 4 내지 표 6 및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품 사용 4주 동안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제품 사용 2주 후부터 사용 4주 후까지 피부 수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표 7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품 사용 4주 동안 피부 탄력을 측정한 결과, 제품 사용전과 비교시 R2, R9 파라미터의 경우 2주와 4주 후 각 시점에서, R1, R4 파라미터는 4주 후 시점에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표 8 및 도 6 내지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품 사용 4주 동안 피부 각질량 분석 결과,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제품 사용 2주 후부터 사용 4주 후까지 피부 각질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평가시점마다 피험자의 설문과 시험자의 관찰에 의해 주관적 자극감과 객관적 자극 등의 피부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시험 기간 동안 피험자에게서 아무런 피부 반응도 관찰되지 않았으며(표 9), 제품 사용 후 제품의 효능 설문 결과 제품 사용 후 2주에서는 "피부 수분이 증가하였다", "피부 표면이 좋아졌다"가 60% 이상으로 높이 평가되었고, "피부 각질이 감소하였다"가 40%, "피부 탄력이 증가하였다"가 20%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제품 사용 후 4주에서는 "피부 수분이 증가하였 다", "피부 표면이 좋아졌다"가 80% 이상으로 높이 평가되었고, "피부 각질이 감소하였다"가 46.7%, "피부 탄력이 증가하였다"가 40%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표 10, 도 8).
또한, 제품 사용성 종합평가 결과, 제품의 색 선호도는 80%, 향 선호도 33.3%가 "좋다"라고 응답하였고, 제품의 피부 발림성은 93.3%, 제품의 피부 흡수력은 86.7%가 "좋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제품의 만족도는 73.3%가 만족한다고 긍정적으로 답하였고(표 11, 도 9), 제품의 사용감에 대한 평가 결과 "촉촉하다"가 73.3%(11명)로 나타났으며, "끈적인다"와 "부드럽다"가 53.3%(8명)로 높게 나타났다(표 12, 도 10).
도 1은 실험예 1에서 피부 수분량 변화(Corneometer CM 825)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실험예 1에서 피부 수분량 변화(MoistureMeter SC)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실험예 1에서 피부 수분량 변화(MoistureMeter D)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실험예 1에서 시점별 피부 탄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R파라미터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실험예 1에서 시점별 피부 각질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7은 실험예 1에서 시점별 피부 각질량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는 제품 사용 전 사진, (b)는 제품 사용 2주 후 사진, (c)는 제품 사용 4주 후 사진이며,
도 8은 실험예 1에서 시점별 피부 상태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실험예 1에서 제품의 사용성 종합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0은 실험예 1에서 제품의 사용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3)

  1.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베라 잎의 껍질을 제거하고 유 조직(parenchyma tissue)을 필레팅(filleting)한 후, 균질기에서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한 후, 막의 배제분자량을 50 ∼ 150kDa로 하고,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관형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0.2 ∼ 2.25바(bar)의 막투과압력( TMP : transmembrane pressure), 23℃의 온도에서 240ℓ/시간의 공급액 속도로 한외여과하는 방법으로 투과시킨 것을 0.7%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희석액 중량에 대하여 방부제로서 페노닙(phenonip) 0.3중량%와 1,3-부틸글리콜 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4℃에서 7일간 정치한 후, 0.5㎛, 0.3㎛ 및 0.2㎛의 여과막으로 3단계 여과하여 제조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 1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36369A 2008-04-18 2008-04-18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98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69A KR100984123B1 (ko) 2008-04-18 2008-04-18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69A KR100984123B1 (ko) 2008-04-18 2008-04-18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27A KR20090110727A (ko) 2009-10-22
KR100984123B1 true KR100984123B1 (ko) 2010-09-29

Family

ID=4153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369A KR100984123B1 (ko) 2008-04-18 2008-04-18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5659A1 (en) 2016-03-23 2017-09-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2237543B1 (ko) 2019-02-22 2021-04-07 (주)모아캠 알로에 속 식물 유래 dna의 제조방법, 및 알로에 속 식물 유래 dn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90612B1 (ko) 2019-08-27 2020-12-14 (주)모아캠 식물성 원료, 미생물 원료 또는 해양성 원료로부터 유래된 저분자량 dna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215B1 (ko) * 1995-05-24 1999-05-15 김정문 알로에 활성성분의 정량방법
JP2003252719A (ja) * 2002-03-04 2003-09-10 Phyrena Keshohin:Kk アロエベラゲルを主成分とした化粧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215B1 (ko) * 1995-05-24 1999-05-15 김정문 알로에 활성성분의 정량방법
JP2003252719A (ja) * 2002-03-04 2003-09-10 Phyrena Keshohin:Kk アロエベラゲルを主成分とした化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27A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036A (ko) 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230000749A1 (en) Stem cell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116599B1 (fr) Utilisations cosmétiques de la swertiamarine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CN113786376B (zh) 一种具有去眼纹功效的眼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450010A (zh) 一种具有抗初老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14177104A (zh) 一种抗衰老面霜
US2022037869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CN111956575A (zh) 一种含有芦荟活性物的美白抗衰保湿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254330B1 (ko) 눈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44348A (zh) 一种祛皱霜及其制备方法
KR100984123B1 (ko) 알로에 베라 겔 한외여과 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13576966B (zh) 用于化妆品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443949A1 (en) Skin mimicking emulsion
CN110179728A (zh) 一种可食用冻干粉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30111926A (ko)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8852977B (zh) 一种晶润精华液
KR101699127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7625B1 (ko)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022966A1 (en) Use of a dry film for cosmetic topical applications
CN115813826B (zh) 一种紧致抗皱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2143277B1 (ko) 누에 번데기 기름을 함유한 피부 탄력,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5006318B (zh) 水分子软化的多重功效护肤品
KR102655849B1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