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615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615B1
KR101017615B1 KR1020080073323A KR20080073323A KR101017615B1 KR 101017615 B1 KR101017615 B1 KR 101017615B1 KR 1020080073323 A KR1020080073323 A KR 1020080073323A KR 20080073323 A KR20080073323 A KR 20080073323A KR 101017615 B1 KR101017615 B1 KR 10101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food
outlet
food waste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122A (ko
Inventor
오성제
조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카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카라
Priority to KR102008007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6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절단하고 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 탈수통, 이송 스크류, 컷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액추에이터, 그리고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송 스크류는 상기 탈수통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음식물이 탈수되면서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컷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는 상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슬릿이 통과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액추에이터는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 구동한다. 제어유닛은 상기 수광 소자로부터 빛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의 작동 중지 시에 상기 컷터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슬릿이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음식물 쓰레기, 탈수, 절단, 컷터, 발광 소자, 수광 소자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FOOD GARBAG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절단하고 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정책적으로 강제하고 있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분리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악취 유발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처리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탈수통에 이송 스크류를 배치하고 이송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통의 배출구 쪽으로 압축 이송하고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컷터에 의해 절단된 후 건조 유닛으로 이송되는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소개된 바 있다.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4646호에는 이러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탈수통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유닛으로 공급하여 건조하는 과정을 가지는데,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탈수통의 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 탈수통, 이송 스크류, 컷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액추에이터, 그리고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탈수통은 처리될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건조 유닛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투입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송 스크류는 상기 탈수통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음식물이 탈수되면서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유입된 음식물을 압축 이송한다. 컷터는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한 끝단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는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다른 끝단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는 상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슬릿이 통과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액추에이터는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 구동한다. 제어유닛은 상기 수광 소자로부터 빛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의 작동 중지 시에 상기 컷터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슬릿이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슬릿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슬릿 중 두 번째 이상의 슬릿이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컷터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의 컷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컷터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를 각각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기 위한 이송 스크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탈수통의 배출구가 컷터에 의해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씽크대 등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별도로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케이스(case)(11)와 이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3)가 씽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씽크대 등에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3)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 유닛(2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유닛(20)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건조 유닛(20)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우징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할 수 있는 전기 저항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유 닛(20)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할 수 있는 회전하는 임펠러(impeller) 형식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유닛(20)의 하부에는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되는 보관함(2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3)를 통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포함된 수분을 탈수하고 절단하여 건조 유닛(20)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탈수통(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30)은 내부에 탈수 공간(31)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33)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탈수통(30)은 바닥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흘러나온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탈수통(30)의 유입구(33)는 탈수통(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33)에 위에서 설명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3)가 연결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13)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입구(33)를 통해서 탈수통(30)의 탈수 공간(31)으로 유입된다.
한편, 탈수통(30)은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5)를 포함한 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30)의 한 끝단에 배출구(35)가 형성되며, 이 배출구(35)는 건조 유닛(2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배출구(35)를 통해서 탈수통(30)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 유닛(20)으로 유입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30)의 배출구(35)는 탈수통(30)의 한쪽 끝단을 형성하는 엔드 플레이트(end plate)(37)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출구(35)는 엔드 플레이트(37)에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탈수통(30)의 바닥은 배출구(35) 쪽으로 갈수록 점차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35) 쪽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수분이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탈수통(30)에 형성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멍은 상대적으로 낮은 바닥에 형성됨으로써 수분이 보다 잘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이송 스크류(screw)(40)가 탈수통(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크류(40)는 회전 축(41)과 이 회전 축(41)에 부착되는 블레이드(blade)(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축(41)은 탈수통(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탈수통(30)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블레이드(43)는 회전 축(41)의 회전에 대응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35)를 향해 압축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 스크류(40)에 의해 압축되면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탈수되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 스크류(40)에 의해 배출구(35)를 통해서 강제적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이송 스크류(4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송 스크류(4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전동 모터와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스크류(40)의 한쪽 끝단에는 이송 스크류(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45)가 구비될 수 있고, 이 기어(45)에 치합되고 전동 모터(47)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49)가 구비될 수 있다. 전동 모터(47)가 작동함으로써, 구동 기어(49)와 이송 스크류(40)의 끝단에 고정된 기어(45)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 스크류(40)가 회전한다.
한편, 탈수통(30)의 배출구(35)의 외측에는 컷터(cutter)(50)가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터(50)는 이송 스크류(4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송 스크류(40)의 한 끝단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컷터(50)는 탈수통(30)의 배출구(35)를 형성하는 엔드 플레이트(37)의 외측 면에 밀착되도록 이송 스크류(40)에 고정되며, 배출구(35)의 외측 단이 형성하는 면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 스크류(40)가 회전하면, 컷터(50)가 엔드 플레이트(37)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 스크류(40)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컷터(50)가 이송 스크류(40)에 의해 배출구(35)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터(50)는 배출구(35)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컷터(50)는 특정 위치에서는 배출구(35)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도 7의 (a)는 배출구(35)가 컷터(50)에 의해서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7의 (b)는 배출구(35)가 컷터(50)에 의해서 일부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컷터(50)는 회전하는 경우 탈수통(30)의 배출구(35)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고, 한편 컷터(50)가 특정 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배출구(35)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탈수통(30)에 세 개의 배출구(35)가 구비되고 세 개의 배출구(35)를 각각 차단할 수 있는 세 개의 컷터(50)가 구비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배출구(35)와 컷터(50)의 개수는 동일하면 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복수의 배출구(35)가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경우, 컷터(50)도 복수의 배출구(35)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컷터(50)는 복수의 배출구(35)를 각각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이송 스크류(40) 및 이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컷터(5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는 이송 스크류(4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송 스크류(40)에 고정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는 이송 스크류(40)의 양 끝단 중 컷터(50)가 설치된 끝단의 반대편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는 탈수통(3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이송 스크류(40)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 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는 이송 스크류(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45)에 일체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는 이송 스크류(40)의 길이 방향 중심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slit)(61)을 포함한다. 이때, 슬릿(61)은 하나 이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61)이 형성되는 영역의 개수는 탈수통(30)의 배출구(35) 및 컷터(5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면에는 세 개의 영역에 복수의 슬릿(61)의 그룹이 각각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슬릿의 그룹이 두 개의 영역 또는 네 개 이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대, 복수의 영역에 슬릿(61)이 각각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영역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71)는 전기 에너지를 빛을 발산할 수 있는 임의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고, 수광 소자(73)는 발광 소자(71)에서 발산된 빛을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전기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는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슬릿(61)이 통과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는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 트(6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는 탈수통(30)에 설치되는 구조물(7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는 발광 소자(71)에서 발산된 빛이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의 슬릿(61)을 통과하여 수광 소자(73)로 입사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에 따라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의 회전 위치에 따라 발광 소자(71)에서 발산된 빛이 슬릿(61)을 통과하여 수광 소자(73)로 입사되거나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에 차단되어 수광 소자(73)로 입사될 수 없게 된다. 즉,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의 슬릿(61)이 위치하는 경우 발광 소자(71)에서 발산된 해당 슬릿(61)을 통과하여 수광 소자(73)로 입사되고,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1) 사이에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발광 소자(71)에서 나온 빛이 수광 소자(73)로 입사될 수 없게 된다.
이때,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와 컷터(50)는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의 미리 설정된 슬릿(61)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할 때 컷터(50)가 탈수통(30)의 배출구(35)를 완전히 차단하는 위치에 있도록 이송 스크류(40)에 각각 체결된다. 이에 따라,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가 미리 설정된 슬릿(61)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하도록 정지하게 되면, 탈수통(30)의 배출구(35)가 컷터(5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어유닛은 수광 소자(73)로부터 발광 소자(71)에서 발산된 빛이 입사되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광 소자(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유닛은 수광 소자(7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이송 스크류(40)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4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유닛은 이송 스크류(40)의 작동 중지 시에 컷터(50)가 탈수통(30)의 배출구(35)를 차단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전동 모터(47)를 제어한다. 즉, 탈수통(30)의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건조 유닛(20)으로 배출되어 더 이상 이송 스크류(40)가 작동할 필요가 없어 정지하는 경우, 컷터(50)가 탈수통(30)과 건조 유닛(20)을 연결하는 배출구(35)를 차단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송 스크류(40)의 작동 정지 시 건조 유닛(20)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소음 등이 탈수통(30) 및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유닛이 이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유닛은 컷터(50)가 배출구(35)를 차단하는 위치에 정지하기 위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해야 하는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의 미리 설정된 슬릿(61)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하는 슬릿(61)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송 스크류(40)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 모터(47)를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탈수통(30)의 배출구(35)가 컷터(5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개의 슬릿(51)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고 그 중 6번째 슬릿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컷터(50)가 배출구(35)를 차단하도록 배열된 경우에, 제어유닛 은 수광 소자(73)에서 빛 검출 신호를 차례로 수신하여 6번째 빛 검출 신호가 수신되는 순간 전동 모터(47)를 정지시킴으로써 컷터(50)가 배출구(35)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및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수광 소자와 통신하고 이송 스크류(4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전동 모터(47)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메모리에는 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슬릿(61)이 각각 형성되는 경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와 컷터(50)가 복수의 슬릿(61) 중 두 번째 이상의 슬릿(61)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할 때 컷터(50)가 탈수통(30)의 배출구(35)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은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60)가 해당하는 두 번째 이상의 슬릿(61)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송 스크류(4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슬릿 중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슬릿이 발광 소자(71)와 수광 소자(73) 사이에 위치하기 전부터 미리 이송 스크류(40)의 회전을 서서히 감속할 수 있어 제어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 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케이스와 건조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케이스와 건조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케이스와 건조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스크류, 컷터, 그리고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와 컷터의 위치에 따른 탈수통의 배출구를 차단 및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3)

  1. 음식물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
    처리될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건조 유닛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투입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수통,
    상기 탈수통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음식물이 탈수되면서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유입된 음식물을 압축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한 끝단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절단하고, 특정 위치에서는 상기 배출구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컷터(cutter),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다른 끝단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
    상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슬릿이 통과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actuator), 그리고
    상기 수광 소자로부터 빛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의 작동 중지 시에 상기 컷터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슬릿이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1항에서,
    상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슬릿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컷터 위치 검출 플레이트가 상기 복수의 슬릿 중 두 번째 이상의 슬릿이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위치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1항에서,
    상기 배출구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컷터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의 컷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컷터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를 각각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080073323A 2008-07-28 2008-07-2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017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23A KR101017615B1 (ko) 2008-07-28 2008-07-2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23A KR101017615B1 (ko) 2008-07-28 2008-07-2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22A KR20100012122A (ko) 2010-02-08
KR101017615B1 true KR101017615B1 (ko) 2011-02-28

Family

ID=4208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323A KR101017615B1 (ko) 2008-07-28 2008-07-28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6261B (zh) * 2013-11-25 2015-11-18 大连广嘉环保机械工程有限公司 餐饮、农副市场、水产品批发市场垃圾分类处理配套装置
KR101456074B1 (ko) * 2014-05-14 2014-10-31 주식회사 크린라이프 음식물쓰레기 압착기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1282957B (zh) * 2020-02-21 2022-01-14 广东世腾纸品包装有限公司 一种瓦楞纸用后回收再制作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438B1 (ko) 2004-04-09 2006-04-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흡기제어장치
KR100682023B1 (ko) * 2005-06-11 2007-02-15 여인봉 축산분뇨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48853B1 (ko) * 2006-09-28 2007-08-13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100753808B1 (ko) 2006-07-31 2007-08-31 (주)엔포스트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438B1 (ko) 2004-04-09 2006-04-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흡기제어장치
KR100682023B1 (ko) * 2005-06-11 2007-02-15 여인봉 축산분뇨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53808B1 (ko) 2006-07-31 2007-08-31 (주)엔포스트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0748853B1 (ko) * 2006-09-28 2007-08-13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22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16410B1 (ko) 회전 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0176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0514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7012432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41801A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31805A (ko)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KR102094966B1 (ko)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음식물 건조기
KR100233231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813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530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KR100832482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23359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094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503650B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700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2761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열풍건조기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7319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1037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30115142A (ko)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