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142A -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142A
KR20230115142A KR1020220011778A KR20220011778A KR20230115142A KR 20230115142 A KR20230115142 A KR 20230115142A KR 1020220011778 A KR1020220011778 A KR 1020220011778A KR 20220011778 A KR20220011778 A KR 20220011778A KR 20230115142 A KR20230115142 A KR 20230115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ulverized material
food waste
transfe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규
Original Assignee
임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규 filed Critical 임진규
Priority to KR102022001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142A/ko
Publication of KR2023011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의 배수구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압착과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내부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투입홀 및 배출홀이 천공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 내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커터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분쇄수단과;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분쇄물 투입홀 및 분쇄물 배출홀이 천공된 이송관 내에 분쇄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분쇄수단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의 커터 및 이송수단의 이송스크류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이송수단의 분쇄물 배출홀 하측에 서랍 형태로 구비되는 수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FOOD GARBAG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후 압착 이송시키면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저장하여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취식 후 남은 각종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거름망에 의해 걸러진 후,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통에 수집되어 배출되거나 일정 규격의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담겨 처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지정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넣어 배출하지 않고 일반 쓰레기 봉투에 일반쓰레기와 함께 넣어 배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는 짧은 시간에 부패가 이루어지면서 악취나 나쁜 세균을 번식시키는 원인이 됨과 동시에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경우에도 그 처리의 한계점이 점차 가까와 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 또한 지속적인 운영에 의한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야기하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 자체를 근본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고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 싱크대의 배수구에 직결되어 배수구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탈수시켜 처리하는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투입되는 음식물의 파쇄 및 탈수를 위해 복잡한 구조의 파쇄수단 및 탈수수단이 포함됨에 따라, 장치의 부피가 커지면서 원활한 설치가 어렵고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높은 제조 비용과 함께 장치의 구동 시 많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된 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집되어 보관되는 과정에서 악취가 유발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8207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114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281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압착과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내부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투입홀 및 배출홀이 천공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 내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커터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분쇄수단과;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분쇄물 투입홀 및 분쇄물 배출홀이 천공된 이송관 내에 분쇄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분쇄수단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의 커터 및 이송수단의 이송스크류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이송수단의 분쇄물 배출홀 하측에 서랍 형태로 구비되는 수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부를 매개로 상기 분쇄수단의 커터가 장착된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과 연계되고, 상기 제 1회전축의 단부에는 연동기어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연동기어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단부에 장착된 종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관의 하부에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다수 개의 수분 배출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스크류의 직경은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확대되도록 구성되되, 그 외주면이 수평면으로부터 3 내지 7°범위의 각도로 확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스크류에 구비된 이송날개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그 간격이 축소되도록 구성되되, 그 간격이 1/5 내지 1/3 길이만큼씩 감소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통에는 상기 분쇄수단 및 이송수단을 거쳐 유입된 분쇄물의 건조를 위한 히터 및, 수집통에 저장된 분쇄물의 살균 및 탈취를 위한 오존발생기가 설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의 배수구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수단을 매개로 분쇄한 후 압착과정을 거쳐 수집통에 저장시켜 건조 배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싱크대 배수구에 간편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후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부피를 최소화시켜 수거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음식물 쓰레기를 매우 깔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됨은 물론, 싱크대 배수구과 연계된 하수구 측으로는 압착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만 배출되면서 임의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에 따른 수질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특정 구조의 분쇄수단(30) 및 이송수단(40)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그 부피를 최소화시켜 깔끔하게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그 내부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 내에 분쇄수단(30) 및 이송수단(40), 구동모터(20), 수거통(50) 등이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10)은 싱크대의 배수구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장치에 소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70),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메인스위치(62)와 리셋스위치(64) 및 리미트스위치(66), 각 부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제어부(60) 등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쇄수단(3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32) 내에 커터(36)가 장착되어 구성되되, 상기 몸체(32) 상면에는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어 각종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홀(32a)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32) 하면에는 상기 커터(36)를 매개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홀(32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쇄수단(3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20)가 설치되어, 상기 분쇄수단(30)의 커터(36) 및 상기 이송수단(40)의 이송스크류(46)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축은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부(22)를 매개로 상기 분쇄수단(30)의 커터(36)가 장착되는 제 1회전축(34a) 및 제 2회전축(34b)과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기어부(22)를 통해 상기 제 1회전축(34a) 및 제 2회전축(34b)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각 회전축에 장착된 다수 개의 커터(36)가 그 사이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 상기 분쇄수단(30)에는 과부하 트립 스위치가 구비되어, 분쇄가 불가능한 수저나 포크 등의 임의적인 유입 시 상기 커터(36)의 회전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해당 과부하 원인의 제거 후 리셋스위치(64)를 조작하여 상기 커터(36)를 재동작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40)은 일측 하부에 다수 개의 수분 배출홀(44)이 형성된 이송관(42) 내에 분쇄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46)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42)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분쇄수단(30)으로부터 분쇄된 분쇄물이 유입되는 분쇄물 투입홀(4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관(42)의 타측 하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46)를 매개로 이송된 분쇄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물 배출홀(42b)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스크류(46)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 1회전축(34a)의 단부에는 연동기어(24)가 장착되고, 상기 연동기어(24)는 상기 이송스크류(46)의 회전축 단부에 장착된 종동기어(26)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회전축(34a)을 거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동기어(24) 및 종동기어(26) 상호 간은 대략 1:1.5 내지 1:2.5(가장 바람직하게는 1:2)의 기어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쇄수단(30)을 거쳐 투입되는 분쇄물이 최적의 속도로 이송되면서 압착 및 탈수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40)의 이송관(42)에 내장되는 이송스크류(46)의 직경은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확대되도록 구성되되, 그 외주면이 수평으로부터 대략 3 내지 7°범위의 각도로 확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이송수단(40)의 이송스크류(46)에 구비된 이송날개(46a)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그 간격이 축소되도록 구성되되, 그 간격이 대략 1/5 내지 1/3 길이만큼씩 감소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스크류(46)의 직경이 확대되는 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작거나 상기 이송스크류(46)의 이송날개(46a) 간격 축소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투입된 분쇄물의 원활한 압착 및 탈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이송스크류(46)의 직경이 확대되는 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크거나 상기 이송스크류(46)의 이송날개(46a) 간격 축소가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이송스크류(46)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서 과부하의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40)의 분쇄물 배출홀(42b)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정 지점에는 서랍 형태로 개폐되는 수집통(50)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수단(40)을 매개로 압착 및 탈수과정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집통(50)과 인접한 하우징(10)의 일정 지점에는 온풍 발생을 위한 히터(54) 및 오존발생기(52)가 장착되어, 투입된 분쇄물에 대한 건조작업이 수행됨과 아울러, 탈취 및 살균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수집통(50)에는 저장된 분쇄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56)가 구비되어, 상기 수집통(50)에 대략 80 부피% 정도의 분쇄물이 저장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 측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LED 램프나 소정 음성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통(50)의 분리 시에는 리미트스위치(66)가 동작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구동모터(20)와 분쇄수단(30) 및 이송수단(40), 수집통(50) 등을 비롯한 각 부가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된 상태에서 소정 싱크대의 배수구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이송, 압착 및 탈수, 건조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해당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각종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음식물 처리기 측으로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스위치(62)를 온(ON) 상태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전원부(70)로부터의 소정 전원이 장치에 공급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분쇄수단(30)에 구비된 제 1회전축(34a) 및 제 2회전축(34b)은 상기 기어부(22)를 매개로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이송수단(40)의 이송관(42) 내에 구비된 이송스크류(46)는 상기 연동기어(24) 및 종동기어(26)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싱크대 배수구 측으로부터 낙하되어 상기 분쇄수단(30)에 구비된 몸체(32)의 투입홀(32a)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다수 개의 커터(36)를 매개로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된 후 배출홀(32b)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분쇄수단(30)의 배출홀(32b)을 통해 배출된 분쇄물은 상기 배출홀(32b)과 연통된 이송수단(40)에 구비된 이송관(42)의 분쇄물 투입홀(42a)을 통해 상기 이송관(42)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이송스크류(46)를 통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관(42) 내부의 분쇄물은 특정 구조를 갖는 이송스크류(46)를 매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압착 및 탈수과정을 거치게 되며, 압착 및 탈수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쇄물의 수분은 상기 이송관(42)의 일측 하부에 천공된 다수 개의 수분 배출홀(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하수처리부(100) 측으로 유입된 후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40)의 이송스크류(46)를 통해 이송관(42) 타측으로 이송된 압착 및 탈수과정을 거친 분쇄물은 상기 분쇄물 배출홀(42b)을 통해 그 하부의 수집통(50)으로 낙하되어 저장된 후, 일정 시간동안 히터(54)의 동작에 따른 온풍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수집통(50)의 천장 측에는 오존발생기(52)가 설치되어, 수집된 분쇄물에 대한 탈취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집통(50)에 일정 부피 이상의 분쇄물이 저장되면, 상기 센서(56)는 소정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사용자는 서랍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수집통(50)을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여 저장된 분쇄물을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하우징, 20: 구동모터,
22: 기어부, 24: 연동기어,
26: 종동기어, 30: 분쇄수단,
32: 몸체, 32a: 투입홀,
32b: 배출홀, 34a: 제 1회전축,
34b: 제 2회전축, 36: 커터,
40: 이송수단, 42: 이송관,
42a: 분쇄물 투입홀, 42b: 분쇄물 배출홀,
44: 수분 배출홀, 46: 이송스크류,
46a: 이송날개, 50: 수집통,
52: 오존발생기, 54: 히터,
56: 센서, 60: 제어부,
62: 메인스위치, 64: 리셋스위치,
66: 리미트스위치, 70: 전원부,
100: 하수처리부.

Claims (6)

  1. 내부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투입홀 및 배출홀이 천공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 내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커터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분쇄수단과;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분쇄물 투입홀 및 분쇄물 배출홀이 천공된 이송관 내에 분쇄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분쇄수단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의 커터 및 이송수단의 이송스크류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이송수단의 분쇄물 배출홀 하측에 서랍 형태로 구비되는 수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부를 매개로 상기 분쇄수단의 커터가 장착된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과 연계되고,
    상기 제 1회전축의 단부에는 연동기어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연동기어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단부에 장착된 종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하부에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다수 개의 수분 배출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스크류의 직경은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확대되도록 구성되되, 그 외주면이 수평면으로부터 3 내지 7°범위의 각도로 확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스크류에 구비된 이송날개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그 간격이 축소되도록 구성되되, 그 간격이 1/5 내지 1/3 길이만큼씩 감소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에는 상기 분쇄수단 및 이송수단을 거쳐 유입된 분쇄물의 건조를 위한 히터 및, 수집통에 저장된 분쇄물의 살균 및 탈취를 위한 오존발생기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011778A 2022-01-26 2022-01-26 음식물 처리기 KR20230115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778A KR20230115142A (ko) 2022-01-26 2022-01-26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778A KR20230115142A (ko) 2022-01-26 2022-01-26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142A true KR20230115142A (ko) 2023-08-02

Family

ID=8756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778A KR20230115142A (ko) 2022-01-26 2022-01-26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14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17Y1 (ko) 2004-06-22 2004-09-23 김윤옥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8207A (ko) 2008-10-30 2010-05-11 주식회사 바이온텍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13114A (ko) 2012-04-05 2013-10-15 서영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17Y1 (ko) 2004-06-22 2004-09-23 김윤옥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8207A (ko) 2008-10-30 2010-05-11 주식회사 바이온텍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13114A (ko) 2012-04-05 2013-10-15 서영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91740A (ko) 음식물 쓰레기의 자동처리 및 사료제조장치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6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6079B1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158237U (ja) 三次元複合食物残渣乾燥処理機
CN112066675A (zh) 一种厨房垃圾处理装置
JP2002018397A (ja) 含水ゴミ脱水乾燥装置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8800B1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115142A (ko) 음식물 처리기
KR20120130376A (ko)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0179418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101064292B1 (ko) 음식물처리기의 멸균 건조장치
KR10147429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15508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62743B1 (ko)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과립형 처리장치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KR100362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66030Y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