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320B1 - 전기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320B1
KR101017320B1 KR1020100012652A KR20100012652A KR101017320B1 KR 101017320 B1 KR101017320 B1 KR 101017320B1 KR 1020100012652 A KR1020100012652 A KR 1020100012652A KR 20100012652 A KR20100012652 A KR 20100012652A KR 101017320 B1 KR101017320 B1 KR 10101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amp
support frame
casing
pow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일
김환용
Original Assignee
(주)제이씨일렉트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씨일렉트릭 filed Critical (주)제이씨일렉트릭
Priority to KR102010001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4Rotisserie spits inside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05B3/007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for cooking, e.g. in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6Protection, e.g. overheat cutoff, hot plate ind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친환경적인 전기구이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전기구이장치는, 조리실과 기계실을 구획하여 형성하는 케이싱과;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내에 수용된 탄소 나노섬유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상기 조리실에 수용되는 히트램프와; 상기 히트램프에 대향하며 상기 조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램프에 의해 가열될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히트램프를 향해 상하 이동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계실 내에 배치된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안내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가이드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기계실에 배치된 구동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 및 종동롤러에 의해 궤도 순환하며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순환부재와;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히트램프 및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히트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램프로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치와;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에 입력된 값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전원스위치를 ON시켜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전원스위치를 OFF하여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구이장치{ELECTRIC GRILL DEVICE FOR FISH}
본 발명은 전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 시킨 전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이장치는 생선 또는 육류등의 내용물을 가열하여 굽는 장치로서,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 상의 내용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의 구이장치는 히터로서 가스버너 또는 숯을 사용함으로써 사용 시 발생하는 가스 또는 숯가루가 주변으로 확산됨으로써 사용 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인 전기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전기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을 절감하여 유지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전기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리실과 기계실을 구획하여 형성하는 케이싱과;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내에 수용된 탄소 나노섬유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상기 조리실에 수용되는 히트램프와; 상기 히트램프에 대향하며 상기 조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램프에 의해 가열될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히트램프를 향해 상하 이동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계실 내에 배치된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안내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가이드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기계실에 배치된 구동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 및 종동롤러에 의해 궤도 순환하며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순환부재와;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히트램프 및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히트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램프로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치와;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에 입력된 값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전원스위치를 ON시켜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전원스위치를 OFF하여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부재는 체인, 벨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및 종동롤러는 상기 체인에 맞물리는 구동 및 종동스프라켓 및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및 종동풀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램프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히트램프를 각각 독립적으로 On/Off가능한 복수의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상하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높이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조절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역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히트램프의 열을 상기 지지프레임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반사판을 커버하는 반사판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기구이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스 또는 숯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히터를 구동함으로써 친환경적이다. 또한, 가스 배관 또는 숯을 쌓아 두기 위한 별도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좁은 공간에서 설치가능하다.
둘째, 조리하고자 하는 생선을 지지하는 석쇠와 히터 간의 간격을 버튼 하나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셋째, 히터의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on/off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구이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구이장치의 좌측면 케이싱(112)을 탈착한 상태에서 전기구이장치의 측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기구이장치의 연결부재 및 지지프레임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전기구이장치의 연결부재 및 순환부재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전기구이장치의 반사판 커버, 좌우측면 케이싱 및 반사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부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전기구이장치 내에 수용될 반사판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전기구이장치에 도 6의 반사판을 설치한 후의 상부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반사판과 히트램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전기구이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이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A) 및 기계실(B)을 구획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 조리실(A) 내에 수용되는 히트램프(190); 상기 히트램프(190)에 대향하며 상기 히트램프에 의해 가열될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5);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상기 히트램프(190)를 향해 접근 및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기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계실(B) 내에 배치된 안내가이드(175); 상기 안내가이드(175)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25)과 일체로 상기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연결부재(180);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기계실에 서로 이격 배치된 구동롤러(176) 및 종동롤러(177); 상기 구동롤러(176) 및 상기 종동롤러(177)에 의해 궤도 순환하며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180)에 결합된 순환부재(173); 상기 구동롤러(17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70); 상기 히트램프(190) 및 상기 구동모터(1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 상기 전원공급부(160)와 상기 히트램프(19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램프(190)로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31); 조작패널(140); 상기 조작패널(140)에 입력된 값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원스위치를 ON시켜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전원스위치를 OFF하여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싱(114);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케이싱(111, 112); 배면외관을 형성하는 배면케이싱(115); 상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반사판(200)에 접근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반사판 커버(113); 및 상기 전면케이싱(114) 및 상기 배면케이싱(11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A) 및 상기 기계실(B)을 구획하는 구획판(116)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 커버(113)는 손잡이(113a) 및 그 내부에 수용될 상기 반사판(200)을 외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외기연통공(113b)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케이싱(111, 112)의 상하측에는 외부와 상기 기계실(B)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11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계실(B) 내부에 배치된 발열부품, 가령, 전원공급부(160), 구동모터(170)를 외기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구획판(116)은 상기 조리실(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기계실(B)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A)에 대해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116)은 외곽에 배치되며 전면 및 배면케이싱(114, 115)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제1구획판(116a)과, 상기 제1구획판(116a)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어 후술할 반사판(도 6의 200)의 플랜지(도 6의 210, 220)가 놓일 공간을 형성하는 제2구획판(116b)을 포함한다.
상기 제2구획판(116b)의 상면(116c)에 상기 반사판(도 6의 200)의 플랜지(도 6의 210, 220)가 재치된다.
상기 제2구획판(116b)의 양측에는 상기 반사판(도 6의 200)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도 6의 200)의 위치를 규제하는 반사판 위치 규제 앵글(177a)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반사판 위치 규제 앵글(117a) 사이의 상기 제2구획판(111b)의 상기 상면(116c)에 상기 반사판(도 6의 200)의 상기 플랜지(도 6의 210, 220)가 놓여진다.
한편, 히트램프(1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트램프(191, 193, 1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3개의 히트램프(191, 193, 195)를 도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의 히트램프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한 개의 히트램프(191)는 탄소 나노섬유 필라멘트(191a)와, 상기 탄소 나노섬유 필라멘트(191a)를 수용하는 유리관(191b)과, 상기 필라멘트(191a)의 양단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탄소 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이용한 히트램프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479389호, 제10-0491646호, 제10-0686328호로 등록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램프(191)는 할로겐 히트램프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는 니켈, 크롬과 같은 발열금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판(116)에는 상기 전극단자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가 통과하기 위한 연통공(116d)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5)은 상기 조리실(A)에는 상기 히트램프(190)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히트램프(190)에 의해 가열될 내용물(가령, 생선 또는 육류)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2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5)에는 상기 내용물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석쇠(103)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사이에 두고 상기 히트램프(190)의 반대측에는 가열되는 내용물에서 흘러나오는 육즙(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12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B) 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상기 히트램프(190)방향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상기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 구동부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 구동부의 일례로서, 상기 안내가이드(175), 상기 연결부재(180), 상기 구동 및 종동롤러(176, 177), 상기 순환부재(173) 및 상기 구동모터(170)로 구성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 구동부는 상기 양측에 마련된 기계실(B)에 각각 상기 조리실(A)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양쪽 기계실(B) 중 어느 한 쪽에만 상기 전원공급부(160), 상기 구동모터(170), 후술할 기어박스(17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기계적 구동원 및 전기적 구동원은 한 쪽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가이드(17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 바일 수 있다. 상기 안내가이드(17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부재(18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가이드(175)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183)을 갖는다. 상기 삽입공(183)은 상기 안내가이드(17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삽입공(183)은 1개 일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80)는 상기 기계실(B)에서 상기 조리실(A)을 향해 연장된 조리실 연장부(181)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실 연장부(181)와 상기 지지프레임(125)은 서로 용접 또는 체결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 연장부(18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 정확하게는 측면 케이싱(111, 112)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홈(112b)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80)는 상기 순환부재(173)와 결합되는 순환부재 결합부(185)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부재 결합부(185)와 상기 순환부재(173)는 체결구(S)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80)의 상기 삽입공(183) 및 상기 순환부재 결합부(185)는 상기 기계실(B)에 수용된다. 상기 조리실 연장부(181)는 일단은 상기 순환부재 결합부(185)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홈(112b)을 통해 상기 조리실(A)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25)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8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롤러(176) 및 상기 종동롤러(177)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그 회전축이 상기 히트램프(190)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평행하도록 상기 기계실(B)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롤러(176) 및 상기 종동롤러(17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179)이 상기 구획판(11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재(173)는 체인 및 벨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순환부재(173)가 체인인 경우 상기 구동 및 종동롤러(176, 177)는 상기 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라켓일 수 있다. 상기 순환부재(173)가 벨트인 경우 상기 구동롤러(176) 및 상기 종동롤러(177)는 탄성고무로 둘러싸인 롤러이거나 풀리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70)는 전기모터로, BLDC 모터, 스텝모터, 유도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70)의 구동피니언(미도시)과 상기 구동롤러(176) 사이는 소정의 변속비를 갖는 기어박스(17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외부의 상용교류전원을 상기 히트램프(190) 및 상기 구동모터(170)를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트랜스포머(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60)와 상기 히트램프(190) 사이의 전원공급경로 상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상기 히트램프(190)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31)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패널(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패널(141) 및 입력키(142, 143)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키(142, 143)는 상기 조리실(A) 내부를 가열할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상방향 세모가 표시된 입력키(142)는 가열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고 하방향 세모가 표시된 입력키(143)는 가열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LCD패널(141)을 통해 표시되는 시간을 보면서 상기 입력키(142, 143)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가열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싱(114)에는 상기 복수의 히트램프(191, 193, 195)를 각각 독립적으로 on/off 시킬 수 있는 복수의 조작스위치(144, 145, 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작스위치(144, 145, 146)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히트램프(191, 193, 195)를 각각 on/off시키는 제1 내지 제3조작스위치(144, 145, 146)를 포함한다.
가령, 사용자가 제1히트램프(191)는 Off시킨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조작스위치를 OFF위치에 놓고 사용하면 상기 제1히트램프(191)를 제외한 제2 및 제3히트램프(193, 195)만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히트램프(19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 불필요하게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히트램프로의 전원공급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조작패널(140)의 상기 입력키(142, 143)를 통해 입력된 값(가령, 시간)에 따라 상기 히트램프(190)에 소정시간동안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치(131)를 제어한다.
가령, 상기 조작패널(140)을 통해 "180"(단위, 초)을 입력한 경우 3분동안만 상기 히트램프(190)에 전원이 공급되고 그 다음에는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실(A) 내부에 배치된 상기 내용물을 입력시간만큼만 가열함으로써 내용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케이싱(114)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높이조절스위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의 상부를 누르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상방향으로, 즉, 상기 히트램프(190)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의 하부를 누르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하방향, 즉, 상기 히트램프(19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가 중립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25)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상기 구동모터(170)로의 전원공급경로 상에 배치된 모터전원스위치(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전원스위치(171)는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60)에서 상기 구동모터(1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하거나, 역전시켜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0)가 정역회전 및 정지 가능하고, 상기 구동모터(170)가 정역회전 및 정지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순환부재(173)도 정역 이동 및 정지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의 상부가압위치, 중립위치, 하부가압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0)에는 정상전원 공급, 전원차단 및 역전전원공급이 일어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도 상기 모터전원스위치(171)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작패널(140)을 통해 입력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스위치(131)를 제어하여 상기 히트램프(190)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모터전원스위치(171)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170)가 역전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상기 히트램프(19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열 완료된 내용물을 취출하고 그 다음에 가열할 내용물을 상기 지지프레임(125)에 용이하게 재치시킬 수 있으므로 구이작업이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25) 상에는 압전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압전센서(미도시)는 상기 지지프레임(125) 상에 내용물이 올려져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압전센서로부터 내용물이 상기 지지프레임(125)상에 올려져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모터전원스위치(171)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170)가 정회전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상기 히트램프(190)를 향해 접근 이동하여 상기 내용물도 상기 히트램프(190)로 접근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상기 히트램프(190)로부터 받는 발열량이 증가하게 되어 가열속도가 빨라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25)의 상하이동 한계는 상기 측면 케이싱(111, 112)에 형성된 홈(112b)에 의해서 규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모터(170)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인코더를 배치하여 상기 구동모터(170)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125)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25)의 상하방향 이동량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구이장치(10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반사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00)은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플랜지(210, 220)와; 상기 복수의 플랜지(210, 220) 사이에 상기 히트램프(19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볼록부(240) 및 오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랜지(210, 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제2구획판(116b)의 상면에 재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랜지(210)는 상기 제2구획판(116b)의 상면에 설치된 반사판 위치규제 앵글(117a, 117b) 사이에 배치되고, 플랜지(220)는 타측에의 제2구획판(116b)의 상면에 설치된 반사판 위치규제 앵글(117c, 117d)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판(200)의 위치가 정확히 규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반사판(200)의 각 볼록부(240) 하측에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히트램프(191, 193, 19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히트램프(191, 193, 195)에 의해 발생한 복사열은 상기 반사판(200)에 의해 하측에 배치된 내용물을 향해 반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기구이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를 하부가압위치에 있도록 조절하면, 상기 구동모터(170)가 역회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에,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를 중립위치에 놓는다. 그 다음에, 생선과 같은 피가열 내용물이 올려진 석쇠(103)를 상기 지지프레임(125)에 놓고, 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를 상부가압위치로 이동시키면(상기 높이조절스위치(150)의 상부를 누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에, 상기 조작패널(140)을 통해 가열하고자 하는 시간을 입력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된 시간동안만 상기 히트램프(19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스위치(13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의 구이가 완료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구동모터(170)를 역전시켜서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다시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이가 완료된 내용물을 쉽게 취출하고 다시 새로운 내용물을 쉽게 지지프레임(125) 상에 올려놓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전센서(미도시)등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지지프레임(125) 상에 상기 피가열될 내용물을 올려놓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동모터(17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상기 히트램프(190)를 향해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압전센서(미도시)의 감지결과, 상기 지지프레임(125) 상에 내용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5)이 항상 최하단 위치에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170) 및 상기 모터전원스위치(17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지지프레임(125)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순환부재(173)를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방식으로 전용가능하다.
가령, 상기 순환부재(173) 대신에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치열이 형성된 래크(미도시)가 연결부재(180)에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170)의 피니언과 상기 래크(미도시)가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8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80)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상기 조리실(A) 내부의 지지프레임(125)을 상하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전기구이장치 110: 케이싱
111, 112: 측면케이싱 113: 반사판 커버
114: 전면케이싱 115: 배면케이싱
116: 구획판 116a: 제1구획판
116b: 제2구획판 116c: 상면
117a, 117b, 117c, 117d: 반사판 위치규제 앵글
173: 순환부재 180: 연결부재
176: 구동롤러 177: 종동롤러
179: 롤러 프레임 175: 안내가이드
160: 전원공급부 163: 트랜스포머
131: 전원스위치 140: 조작패널
144: 제1조작스위치 145: 제2조작스위치
146: 제3조작스위치 150: 높이조졸스위치
171: 모터전원스위치 170: 구동모터
130: 제어부 190: 히트램프
191: 제1히트램프 193: 제2히트램프
195: 제3히트램프

Claims (5)

  1. 조리실과 기계실을 구획하여 형성하는 케이싱과;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내에 수용된 탄소 나노섬유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상기 조리실에 수용되는 복수의 히트램프와;
    상기 히트램프에 대향하며 상기 조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램프에 의해 가열될 내용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히트램프를 향해 상하 이동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계실 내에 배치된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안내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가이드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기계실에 배치된 구동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 및 종동롤러에 의해 궤도 순환하며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된 순환부재와;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히트램프 및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히트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램프로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치와;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에 입력된 값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전원스위치를 ON시켜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전원스위치를 OFF하여 상기 히트램프에 상기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히트램프의 열을 상기 지지프레임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히트램프를 각각 독립적으로 On/Off가능한 복수의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반사판을 커버하는 반사판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재는 체인, 벨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및 종동롤러는 상기 체인에 맞물리는 구동 및 종동스프라켓 및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및 종동풀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상하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높이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조절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역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이장치.
  5. 삭제
KR1020100012652A 2010-02-11 2010-02-11 전기구이장치 KR10101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52A KR101017320B1 (ko) 2010-02-11 2010-02-11 전기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52A KR101017320B1 (ko) 2010-02-11 2010-02-11 전기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320B1 true KR101017320B1 (ko) 2011-02-28

Family

ID=4377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652A KR101017320B1 (ko) 2010-02-11 2010-02-11 전기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3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021A (ko) * 2002-11-15 200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스터를 구비한 전자렌지
KR20080043908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및 오븐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021A (ko) * 2002-11-15 200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스터를 구비한 전자렌지
KR20080043908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및 오븐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101B1 (ko) 조리기기
AU2020207151B2 (en) Cooker
US20060201495A1 (en) Grill with independent heating zones
US20220090794A1 (en) Cooking appliance
KR101617283B1 (ko)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EP3789713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29180A (ja) 加熱調理装置
KR101017320B1 (ko) 전기구이장치
KR101064766B1 (ko) 스팀조리기기
JP4597222B2 (ja) 引出し型加熱調理器
JP5022953B2 (ja) 加熱調理器
JP2004184066A (ja) 電子レンジ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215327A (ja) グリル
KR20170109195A (ko)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101813838B1 (ko) 전기 구이장치
KR102219932B1 (ko) 조리기기
KR20170109199A (ko)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1006974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탑버너부
KR101326356B1 (ko) 다용도 구이기
KR102495619B1 (ko) 조리장치
JP5778490B2 (ja) グリル
WO2021020343A1 (ja) 加熱調理器
WO2021020345A1 (ja) 加熱調理器
JP7314875B2 (ja) 電気装置、加熱調理器
US20230134860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