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932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9932B1 KR102219932B1 KR1020160146338A KR20160146338A KR102219932B1 KR 102219932 B1 KR102219932 B1 KR 102219932B1 KR 1020160146338 A KR1020160146338 A KR 1020160146338A KR 20160146338 A KR20160146338 A KR 20160146338A KR 102219932 B1 KR102219932 B1 KR 1022199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control panel
- tank unit
- battlefield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조리기기는 조리실 및 전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전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전장실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물탱크 유닛; 및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될 때,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 유닛을 갖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식품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일례로 오븐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및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가스오븐은 가스에 의한 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며,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다양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구이 기능, 찜 기능, 스팀 기능 등을 할 수 있는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음식물의 식감을 높이고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조리 중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제공하여 스팀 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리를 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물탱크 유닛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컨트롤 패널과 물탱크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및 전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전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전장실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물탱크 유닛; 및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될 때,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을 가압하는 제1 구간;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 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 및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과 마주하는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일 측에 마련되며, 상기 물탱크 유닛이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돌출부(incline 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물탱크 유닛이 상기 컨트롤 패널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롤러가 안착되도록 상기 경사 돌출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롤러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물탱크 유닛을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전장실에 인입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물탱크 유닛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 상기 리드 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이 개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어(carrier); 및 일 단부가 상기 캐리어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물탱크 유닛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입될 때,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으로부터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돌출되는 돌기(proj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물탱크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일 단부가 상기 컨트롤 패널의 하측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물탱크 유닛의 타 단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uide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돌출부(protrusion); 및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일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과 상기 물탱크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first incline portion) 및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second incline por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1 인출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2 인출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및 전장실을 갖는 본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전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조리실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전장실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물탱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을 가압하는 제1 구간;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물탱크 유닛을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전장실에 인입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어; 및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상이하도록 상기 캐리어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및 전장실을 갖는 본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전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조리실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전장실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물탱크 유닛; 및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됨에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일 단부가 자중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의 하측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물탱크 유닛의 타 단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물탱크 유닛이 상기 지지부 상에서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을 인출함에 따라 물탱크 유닛이 컨트롤 패널과 함께 인출되되 컨트롤 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가 물탱크 유닛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구동장치에 의해 물탱크 유닛을 이동시킴에 따라 컨트롤 패널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물탱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장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이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과, 물탱크 유닛과, 가이드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과, 물탱크 유닛과, 가이드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물탱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장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이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과, 물탱크 유닛과, 가이드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과, 물탱크 유닛과, 가이드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측” 및 “하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면 전면 및 전방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를 기준으로 앞으로 보이는 전면 및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조리기기(1)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4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설명한다.
조리기기(1)는 본체(10)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11)과, 각종 전자 부품들이 설치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장실(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실(11)을 형성하는 조리실 커버(19)와, 전장실(21)을 형성하는 전장실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 커버(19)는 전방에 조리실 개구(11a)가 형성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실 개구(11a)를 통해 조리를 위한 음식물을 조리실(11)에 넣거나, 조리실(11)로부터 꺼낼 수 있다. 조리실(11)은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조리실 커버(19)의 상측에는 조리실(11)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전장실(21)을 형성하기 위한 전장실 커버(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40)는 조리실 커버(19)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는 조리실(11)을 개폐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40)는 본체(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리실(11)을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어(40)의 개폐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체(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40)는 사용자가 도어(40)를 개방할 때, 도어(4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4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손잡이(4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4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어(40)는 사용자가 조리실(11)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되는 도어 글라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 커버(19)는 전면에 조리실 개구(11a)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3)은 조리실(1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40)는 조리실 커버(19)의 전면 프레임(13)을 커버할 수 있도록, 전면 프레임(13)을 포함하는 크기 및/또는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 커버(20)는 전방에 전장실 개구(21a)가 형성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110)은 전장실 커버(20)의 전장실 개구(21a)를 개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본체(10)의 상부, 양측부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조리실(11)을 가열하기 위해 마련되는 컨벡션 히터(50) 및 컨벡션 팬(5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조리실(21)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장치(62)와, 스팀 발생장치(62)에서 발생된 스팀을 조리실(11)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 공급장치(63)가 마련될 수 있다.
컨벡션 히터(50)는 조리실(11)의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고, 컨벡션 팬(51)은 컨벡션 히터(50)에서 생성된 열이 조리실(11)의 내부에서 대류되도록 하거나, 컨벡션 히터(50)와는 별개로 스팀 발생장치(62)에서 생성되어 스팀 공급장치(63)를 통해 조리실(11)로 공급된 스팀이 조리실(11)의 내부에서 고르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62)는 본체(1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62)는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기 위해 물탱크 유닛(120)의 물탱크(121)에 펌프(6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펌프(61)는 물탱크 유닛(120)으로부터 스팀 발생장치(62)로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펌프(61)는 전장실(21)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물탱크(121)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전장실(21)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120)이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컨트롤 패널(110)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전장실(2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110)과, 컨트롤 패널(110)이 전장실(21)을 개폐함에 따라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되거나 전장실(21)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물탱크 유닛(120)과, 물탱크 유닛(120)이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될 때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물탱크 유닛(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물탱크 유닛(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사용자가 조리기기(1)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장실(21)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장실(21)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전장실(21)의 전장실 개구(2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전방 패널(111)과, 전방 패널(1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패널(111)은 전장실 개구(21a)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 및/또는 크기로 형성되어 전장실(21)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패널(111)은 사용자가 조리기기(1)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2)는 전방 패널(111)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후술할 물탱크 유닛(120)이 안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장부(112)에는 전장품들(미도시)이 안착될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112)에는 펌프(61)가 안착될 수도 있다.
연장부(112)는 물탱크 유닛(120)이 전장실(21)로 인입될 때,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컨트롤 패널(110)이 물탱크 유닛(120)과 함께 전장실(21)로 인입되도록 물탱크 유닛(120)에 의해 가압되는 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3)는 물탱크 유닛(120)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연장부(112)의 상면의 일 부분에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113)는 2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돌기(11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돌기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연장부(112)는 후술할 물탱크 유닛(120)이 안착될 때, 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 롤러(1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롤러 안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안착부(115)는 후술할 경사 돌출부(11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안착부(115)는 가이드 롤러(131)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안착부(115)는 가이드 롤러(131)의 적어도 일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 롤러(131)는 롤러 안착부(115)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경사 돌출부(114)를 타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경사 돌출부(114)를 타고 하측으로 이동되며 롤러 안착부(115)에 안착될 수 있다.
연장부(112)는 후술할 링크 부재(144)가 삽입되며, 링크 부재(14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 삽입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삽입부(116)는 링크 부재(114)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도록 링크 부재(11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링크 삽입부(116)는 연장부(112)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물탱크 유닛(120)은 컨트롤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컨트롤 패널(110)의 배면(111a)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62)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21)와, 물탱크(12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탱크 홀더(122)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21)는 펌프(61)와 연결되며, 물탱크(121)에 저장된 물은 펌프(61)를 통해 스팀 발생장치(62)로 이동될 수 있다. 물탱크(121)는 물탱크 홀더(12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물탱크(121)에 물을 채우고자 할 때, 물탱크 홀더(122)로부터 물탱크(121)를 분리하여 물을 채운 후 다시 물탱크 홀더(122)에 물탱크(121)를 장착시킬 수 있다.
물탱크 홀더(122)는 가이드 유닛(130)과 연결되어 가이드 유닛(1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물탱크(121)가 안착되는 물탱크 안착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 안착부(122a)는 물탱크(121)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 및/또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 홀더(122)는 좌우 방향의 양 단부에 마련되며 후술할 링크 부재(144)가 힌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제2 힌지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 유닛(120)은 후술할 가이드 유닛(130)과 구동장치(140)에 의해 물탱크 유닛(120)이 컨트롤 패널(110)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구간 및 컨트롤 패널(110)의 배면(111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물탱크 유닛(120)은 제1 구간에서 구동장치(140)에 의해 컨트롤 패널(1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압하며, 컨트롤 패널(110)과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하면, 물탱크 유닛(120)은 제2 구간에서 컨트롤 패널(110)에 의해 지지되며 컨트롤 패널(110)의 배면(111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컨트롤 패널(110)은 레일 장치(101)에 의해 더 이상 전장실(2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물탱크 유닛(12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전방 패널(111)은 후술할 가이드 유닛(130)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물탱크 유닛(120)을 전장실(21)로부터 인출하거나 전장실(21)에 인입하기 위한 동력만으로 컨트롤 패널(110)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고,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30)은 제2 구간에서 물탱크 유닛(120)이 컨트롤 패널(110)의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 상에서 롤링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롤러(1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31)는 컨트롤 패널(110)의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과 마주하는 물탱크 유닛(120)의 물탱크 홀더(122)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롤러(131)는 물탱크 유닛(120)의 물탱크 홀더(122)의 전방 하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유닛(130)은 가이드 롤러(13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이드 유닛(130)은 가이드 롤러(131) 대신 단순히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유닛(130)은 물탱크 홀더(122)가 컨트롤 패널(110)의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을 따라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30)은 컨트롤 패널(110)의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에 마련되며, 가이드 롤러(131)의 상하 이동의 시발점 역할을 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돌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돌출부(114)는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131)는 제2 구간이 시작될 때, 경사 돌출부(114)에 의해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을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물탱크 유닛(120)을 전장실(21)로부터 인출하거나 전장실(21)로 인입하기 위한 구동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40)는 물탱크 유닛(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141)과, 구동원(141)에서 발생된 동력을 물탱크 유닛(120)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142, 143, 1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141)은 물탱크 유닛(120)을 전장실(21)로부터 인출하거나 전장실(21)에 인입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재(142, 143, 144)는 구동원(141)에 연결되는 리드 스크류(142)와, 리드 스크류(142)에 연결되는 캐리어(143)와, 일 단부가 캐리어(143)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가 물탱크 유닛(120)의 물탱크 홀더(122)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 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42)는 구동원(141)에 의해 회전하며, 일 단부가 구동원(141)에 연결되어 구동원(14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고, 타 단부가 구동 지지부(145)에 연결되어 구동 지지부(14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4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산 구조에 의해 리드 스크류(142)는 회전 운동을 하며 후술할 캐리어(14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143)는 대략 중앙 부분에 리드 스크류(142)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개구는 내주면에 형성되며 리드 스크류(14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캐리어(143)는 리드 스크류(142)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143)는 리드 스크류(142)가 회전함에 따라 컨트롤 패널(110)이 전장실(21)을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143)는 대략 'H"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양 단부에는 후술할 링크 부재(144)가 힌지 결합될 제1 힌지돌기(미도시)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캐리어(143)는 전장실(21)의 내측 바닥면에 마련된 캐리어 가이드부(23)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 가이드부(23)는 전장실(21)의 내측 바닥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링크 부재(144)는 일 단부가 전술한 캐리어(143)의 제1 힌지돌기(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 단부가 전술한 물탱크 홀더(122)의 제2 힌지돌기(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 부재(144)는 일 단부에 마련되며 캐리어(143)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결합부(144a) 및 타 단부에 마련되며 물탱크 홀더(122)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144b)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부재(144)는 캐리어(143) 및 물탱크 홀더(122)에 대해 회전하며 제1 구간에서 물탱크 유닛(12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제2 구간에서 물탱크 유닛(12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상이하도록 캐리어(143)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링크 부재(144)는 컨트롤 패널(110)의 연장부(112)에 형성된 링크 삽입부(116)에 삽입되어 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 부재(144)의 좌우 방향에 따른 두께는 링크 삽입부(116)의 좌우 방향에 따른 두께보다 약간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유닛(120)이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110)이 전장실(21)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물탱크 유닛(120)은 컨트롤 패널(110)의 연장부(112)에 안착된 채로 전장실(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10)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전장실(21)을 개방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때, 물탱크 유닛(120)은 제1 구간에서 구동장치(140)에 의해 전방(A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물탱크 유닛(120)은 컨트롤 패널(110)을 전방(A 방향)으로 가압하여 컨트롤 패널(110)과 함께 전방(A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링크 부재(144)는 회전하지 않고 물탱크 유닛(120)이 전방(A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물탱크 유닛(1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물탱크 유닛(120)은 제2 구간에서 레일 장치(101)에 의해 컨트롤 패널(110)이 최대로 인출되면, 전면 패널(111)의 배면(111a)을 타고 상측 방향(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131)는 롤러 안착부(115)에서 벗어나 경사 돌출부(114)를 타고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탱크 유닛(120)은 컨트롤 패널(110)의 상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링크 부재(144)는 물탱크 유닛(120) 및 캐리어(143)에 대해 회전하며 물탱크 유닛(120)이 상향(B 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캐리어(143)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링크 부재(144)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물탱크 홀더(122)로부터 물탱크(121)를 인출하여 물탱크(121)에 물을 충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물탱크(121)를 물탱크 홀더(122)에 장착한 후, 상술한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물탱크 유닛(120)을 전장실(21)의 내부에 인입시킬 수 있다.
즉, 제2 구간에서 물탱크 유닛(120)은 캐리어(143)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링크 부재(144)가 물탱크 유닛(120) 및 캐리어(143)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전방 패널(111)의 배면(111a)을 따라 전방 패널(111)에 의해 지지되며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물탱크 유닛(120)이 연장부(112)에 안착되고 가이드 롤러(131)가 롤러 안착부(115)에 일 부분이 안착됨에 따라, 물탱크 유닛(120)은 연장부(112)의 돌기(113)를 가압하며 컨트롤 패널(110)을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 패널(110)은 물탱크 유닛(12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전장실(21)을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사용자가 물탱크(121)에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2)의 컨트롤 패널(210)과, 물탱크 유닛(220)과, 가이드 유닛(230)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220)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2)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2)는 물탱크 유닛(220)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컨트롤 패널(210)의 후방의 일측에 마련되며, 물탱크 유닛(120)이 구동원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컨트롤 패널(210)에 힘을 가함에 따라 인출되는 수동 방식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210)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입력부가 배치되는 개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10)의 후방에는 후술할 연결부재(240)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 홀(211)이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 유닛(220)은 스팀 발생장치(62)로 공급될 물을 저수하는 물탱크(221)와, 물탱크(221)가 안착되는 물탱크 홀더(222)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221)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물탱크 홀더(222)에 마련된 물탱크 안착부(222a)에 안착될 수 있다.
물탱크 홀더(222)는 물탱크(221)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물탱크 안착부(222a)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 홀더(222)는 좌우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가이드 유닛(230)의 지지부(2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돌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돌출부(223)는 물탱크 홀더(222)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후단부에는 지지부(232)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제1 인출 제한부(2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출 제한부(223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돌출부(223)는 지지부(23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돌출부(223)는 지지부(232)가 돌기로 마련되는 때에는 돌기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지지부(232)가 롤러로 마련되는 때에는 롤러가 롤링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물탱크 홀더(222)는 후단부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가이드 유닛(230)의 가이드부(23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돌출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이동 돌출부(224)는 롤러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 돌출부(224)는 단순한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물탱크 홀더(222)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연결부재(2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물탱크 유닛(220)은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10)에 가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가이드 유닛(230)은 물탱크 유닛(220)의 선단부가 컨트롤 패널(210)의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물탱크 유닛(22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230)은 가이드 케이스(231)와, 지지부(232)와, 가이드부(233)와, 고정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231)는 물탱크 유닛(220)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고정부(235)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232)는 가이드 케이스(231)의 선단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도 10에서는 롤러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부(232)는 단순한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부(232)는 지지 돌출부(223)를 지지함에 따라 물탱크 유닛(220)의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물탱크 유닛(220)이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지지부(232)에 의해 지지되는 물탱크 유닛(220)의 일 부분은 물탱크 유닛(220)의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물탱크 유닛(220)의 선단은 컨트롤 패널(210)의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233)는 가이드 케이스(231)의 양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구간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233)는 물탱크 유닛(220)의 선단부가 컨트롤 패널(210)의 하측으로 인출되도록 물탱크 유닛(220)의 후단부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33)는 물탱크 유닛(220)의 후단부에 마련된 이동 돌출부(224)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233)는 제1 가이드부(233a)와, 제1 경사부(233b)와, 제2 가이드부(233c)와, 제2 경사부(233d)와, 제2 인출 제한부(233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33a)와, 제2 가이드부(233c)는 컨트롤 패널(210)이 인출되는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경사부(233b)는 컨트롤 패널(210)이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 패널(210)은 최초 인출 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다면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경사부(233d)는 컨트롤 패널(210)이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탱크 유닛(220)은 선단부가 급격하게 하측을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탱크 유닛(220)이 급격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인출 제한부(233e)는 이동 돌출부(224)의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물탱크 유닛(220)이 인출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233)의 상술한 구성은 물탱크 유닛(220)을 컨트롤 패널(210)의 하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물탱크 유닛(220)을 컨트롤 패널(210)의 하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 가능하다.
연결부재(240)는 일 단부가 컨트롤 패널(210)의 결합 홀(2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 단부가 물탱크 홀더(2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샤프트(2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40)는 컨트롤 패널(210)과 물탱크 유닛(2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연결부재(240)는 컨트롤 패널(210)에 가해진 힘을 물탱크 유닛(220)에 전달하여 물탱크 유닛(220)이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되거나, 전장실(21)에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유닛(220)이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210)이 전장실(21)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이동 돌출부(224)는 제1 가이드부(233a)에 위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232)는 지지 돌출부(223)의 선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10)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컨트롤 패널(210)에 연결된 연결부재(240)는 물탱크 유닛(220)의 후단부로 인출력을 전달하여 물탱크 유닛(220)이 컨트롤 패널(21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돌출부(224)는 제1 경사부(233b)를 타고 이동하게 되며, 지지부(2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돌출부(223)의 일 부분은 점진적으로 물탱크 유닛(220)의 후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물탱크 유닛(220)의 선단부는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될 수 있다.
이후,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10)을 계속해서 인출함에 따라, 이동 돌출부(224)는 제2 가이드부(233c)에 위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2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돌출부(223)의 일 부분은 물탱크 유닛(220)의 후단부로 계속 이동되고, 물탱크 유닛(220)의 선단부는 계속해서 컨트롤 패널(210)의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후, 도 14를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210)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이동 돌출부(224)는 제2 경사부(233d)에 위치하여 물탱크 유닛(220)이 지나치게 기울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동 돌출부(224)는 제2 인출 제한부(233e)에 의해 더 이상 컨트롤 패널(21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32)는 지지 돌출부(223)의 후단부를 지지하도록 위치되며, 제1 인출 제한부(223a)를 지지하며 물탱크 유닛(220)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탱크(221)를 물탱크 유닛(222)의 물탱크 안착부(222a)로부터 인출하여 물을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2)는 사용자가 물탱크(221)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리기기(3)의 컨트롤 패널(310)과, 물탱크 유닛(320)과, 가이드 유닛(330)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물탱크 유닛(320)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3)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3)는 물탱크 유닛(320)이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2)와 유사하며, 따라서, 상이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컨트롤 패널(310)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입력부가 배치되는 개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0)의 후방에는 후술할 연결부재(340)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 홀(311)이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 유닛(320)은 스팀 발생장치(62)로 공급될 물을 저수하는 물탱크(321)와, 물탱크(321)가 안착되는 물탱크 홀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321)는 물탱크 홀더(322)에 마련된 물탱크 안착부(322a)에 안착될 수 있다.
물탱크 홀더(322)는 좌우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가이드 유닛(330)의 지지부(3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돌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돌출부(323)는 지지부(33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돌출부(323)는 제1 지지 돌출부(323a)와, 제2 지지 돌출부(323b)와, 제3 지지 돌출부(323c)와, 제1 인출 제한부(32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돌출부(323a)와 제3 지지 돌출부(323c)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지지 돌출부(323b)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출 제한부(323d)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탱크 홀더(322)는 후단부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가이드 유닛(330)의 가이드부(33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돌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 이동 돌출부(324)는 롤러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 돌출부(324)는 단순한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물탱크 홀더(322)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연결부재(3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330)은 물탱크 유닛(320)의 선단부가 컨트롤 패널(310)의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물탱크 유닛(32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330)은 가이드 케이스(331)와, 지지부(332)와, 가이드부(333)와, 연결부재 가이드(334)와, 고정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331)는 물탱크 유닛(320)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고정부(335)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332)는 가이드 케이스(331)의 선단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도 16에서는 롤러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부(332)는 단순한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가이드부(333)는 가이드 케이스(33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구간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333)는 물탱크 유닛(320)의 후단부에 마련된 이동 돌출부(324)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33)는 제1 경사부(333a)와, 제2 이동 제한부(3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333a)는 물탱크 유닛(320)이 지나치게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이동 제한부(333b)는 이동 돌출부(324)의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물탱크 유닛(320)이 인출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 가이드(334)는 후술할 연결부재(34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제1 가이드부(334a)와 제2 가이드부(334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40)의 타 단부는 연결부재 가이드(334)를 관통한 후 물탱크 유닛(3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34a)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부(334b)는 컨트롤 패널(310)이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40)는 일 단부가 컨트롤 패널(310)의 결합 홀(31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 단부가 물탱크 홀더(3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샤프트(3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유닛(320)이 전장실(2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310)이 전장실(21)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이동 돌출부(324)는 가이드부(333)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332)는 제1 지지 돌출부(323a)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340)는 연결부재 가이드(334)의 제1 가이드부(334a)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310)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컨트롤 패널(310)에 연결된 연결부재(340)는 물탱크 유닛(320)의 후단부로 인출력을 전달하여 물탱크 유닛(3200이 컨트롤 패널(31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32)에 의해 의해 지지되는 지지 돌출부(323)의 일 부분은 점진적으로 물탱크 유닛(320)의 후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332)가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지지 돌출부(323b)를 지지함에 따라, 물탱크 유닛(320)은 컨트롤 패널(310)의 하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연결부재(340)는 연결부재 가이드(334)의 제1 가이드부(334a)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도 19를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310)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이동 돌출부(324)는 제1 경사부(333a)에 위치하여 물탱크 유닛(320)이 지나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동 돌출부(324)는 제2 인출 제한부(333b)에 의해 더 이상 컨트롤 패널(31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32)는 제3 지지 돌출부(323c)에 위치하게 되며, 제1 인출 제한부(323d)를 지지하며 물탱크 유닛(320)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340)는 연결부재 가이드(334)의 제2 가이드부(334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탱크(321)를 물탱크 유닛(322)의 물탱크 안착부(322a)로부터 인출하여 물을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3)는 사용자가 물탱크(321)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조리기기
21; 전장실
110, 210, 310; 컨트롤 패널
113; 돌기
120, 220, 320; 물탱크 유닛
223, 323; 지지 돌출부
224, 324; 이동 돌출부
130, 230, 330; 가이드 유닛
131; 가이드 롤러
232, 332; 지지부
233, 333; 가이드부
334; 연결부재 가이드
140; 구동장치
144; 링크 부재
240; 연결부재
21; 전장실
110, 210, 310; 컨트롤 패널
113; 돌기
120, 220, 320; 물탱크 유닛
223, 323; 지지 돌출부
224, 324; 이동 돌출부
130, 230, 330; 가이드 유닛
131; 가이드 롤러
232, 332; 지지부
233, 333; 가이드부
334; 연결부재 가이드
140; 구동장치
144; 링크 부재
240; 연결부재
Claims (20)
- 조리실 및 전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전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전장실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물탱크 유닛;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출될 때,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
상기 물탱크 유닛을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전장실에 인입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물탱크 유닛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
상기 리드 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이 개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어(carrier); 및
일 단부가 상기 캐리어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물탱크 유닛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입될 때 상기 물탱크 유닛으로부터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돌출되는 돌기(projection)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압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과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을 가압하는 제1 구간;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 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 및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과 마주하는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일 측에 마련되며, 상기 물탱크 유닛이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돌출부(incline protrusion)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물탱크 유닛이 상기 컨트롤 패널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롤러가 안착되도록 상기 경사 돌출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롤러 안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조리실 및 전장실을 갖는 본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전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조리실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전장실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물탱크 유닛;
상기 물탱크 유닛을 상기 전장실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전장실에 인입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물탱크 유닛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을 가압하는 제1구간;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
상기 리드 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이 개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어(carrier); 및
일 단부가 상기 캐리어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물탱크 유닛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물탱크 유닛이 인입될 때 상기 물탱크 유닛으로부터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돌출되는 돌기(projection)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압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과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조리기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6338A KR102219932B1 (ko) | 2016-11-04 | 2016-11-04 | 조리기기 |
PCT/KR2017/011497 WO2018084462A1 (ko) | 2016-11-04 | 2017-10-18 | 조리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6338A KR102219932B1 (ko) | 2016-11-04 | 2016-11-04 | 조리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9879A KR20180049879A (ko) | 2018-05-14 |
KR102219932B1 true KR102219932B1 (ko) | 2021-02-25 |
Family
ID=6207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6338A KR102219932B1 (ko) | 2016-11-04 | 2016-11-04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9932B1 (ko) |
WO (1) | WO201808446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8305A (ko) * | 2022-08-02 | 2024-0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18215A1 (en) * | 2006-07-20 | 2008-01-24 | Maytag Corp. |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
CN202938372U (zh) * | 2012-12-01 | 2013-05-15 | 林水成 | 一种电蒸炉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267A (ko) * | 1996-10-08 | 1998-07-15 | 김광호 | 냉장고 |
KR200229346Y1 (ko) * | 2000-12-08 | 2001-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
KR20060024598A (ko) * | 2004-09-14 | 2006-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710402B1 (ko) * | 2015-03-11 | 2017-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
2016
- 2016-11-04 KR KR1020160146338A patent/KR1022199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10-18 WO PCT/KR2017/011497 patent/WO201808446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18215A1 (en) * | 2006-07-20 | 2008-01-24 | Maytag Corp. |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
CN202938372U (zh) * | 2012-12-01 | 2013-05-15 | 林水成 | 一种电蒸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84462A1 (ko) | 2018-05-11 |
KR20180049879A (ko) | 2018-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02433B2 (en) | Oven | |
US7781702B2 (en) | Cooking apparatus | |
EP3551942B1 (en) | An oven comprising a water tank | |
EP3295838B1 (en)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liance | |
KR101617283B1 (ko) |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 |
JP2007003090A (ja) | 加熱調理装置 | |
JP4111979B2 (ja) | 加熱調理器 | |
US6894257B2 (en) | Microwave oven | |
KR102423577B1 (ko) | 가전기기 | |
KR20040024394A (ko) | 토스터를 갖춘 전자렌지 | |
CN107684359A (zh) | 烹饪器具 | |
KR20170101466A (ko) | 오븐 | |
KR102219932B1 (ko) | 조리기기 | |
JP3854959B2 (ja) | ヒータを有する電気オーブン及び電子レンジ | |
KR101008143B1 (ko) | 오븐레인지 | |
KR20130017202A (ko) | 다기능 전자레인지 | |
KR20080095552A (ko) | 오븐 | |
KR102101651B1 (ko) | 조리 기기 | |
KR102495619B1 (ko) | 조리장치 | |
WO2021020345A1 (ja) | 加熱調理器 | |
KR100672572B1 (ko) | 전자 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 |
KR100672455B1 (ko) | 전자 레인지 | |
WO2021020343A1 (ja) | 加熱調理器 | |
KR100672456B1 (ko) | 전자 레인지 | |
KR100697457B1 (ko) | 전기오븐의 도어록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