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112B1 -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 Google Patents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112B1
KR101017112B1 KR1020080050392A KR20080050392A KR101017112B1 KR 101017112 B1 KR101017112 B1 KR 101017112B1 KR 1020080050392 A KR1020080050392 A KR 1020080050392A KR 20080050392 A KR20080050392 A KR 20080050392A KR 101017112 B1 KR101017112 B1 KR 10101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gnet
support frame
wat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278A (ko
Inventor
박동수
길준우
강연식
정연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11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갖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의 연부를 따라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본체와,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개폐하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의 연부와 접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도체 또는 자석이 장착된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를 갖는 채수통; 채수통의 외측 일부를 감싸서 채수통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외부로부터 연장된 로프에 장착되어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의 폐쇄시키기 위한 타격을 가하는 메신저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메신저의 타격에 의해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가 폐쇄되도록 하는 작동유닛을 갖는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채수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채수작업의 반복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채수된 시료를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연 상태에서 집수부재를 이용하여 시료병에 담기 때문에, 힘과 시간이 절약되고 흘리는 양이 적어 정확하고 신속하게 시료를 시료병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유속이 빠른 악조건의 환경에서도 한번에 채수가 가능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채수기, 채수통, 프레임, 자석, 마개, 메신저

Description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A water-collecting equipment using magnets}
본 발명은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채수작업이 간편한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채수기는, 수질 검사를 위해서 현장에서 전체 수질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시료를 채수할 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낮은 하천과 달리 강, 호수, 바다 등과 같이 수심이 깊은 수질검사 대상의 경우에는 수층에 따라 계절별로 수질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수심이 깊은 수질검사 대상에서 수중 깊이에 따라 다양한 시료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채수기가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수심별 채수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반돈(Van Dore) 채수기”는, 등록실용신안 제20-261997호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하 마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방와이어를 일측의 걸쇠에 걸어 채수통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원하는 수심까지 내리고, 늘어뜨린 로프에 메신저를 달아 낙하시켜 메신저로 채수통 한쪽에 있는 타격판에 충격을 가한다. 그러면, 해제봉의 걸쇠에 대한 구속이 풀려, 걸쇠가 구속하고 있던 개방와이어들의 구속이 해제되고, 탄성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해 서 채수통 상하의 마개가 닫혀져 밀봉된다.
이러한 종래의 채수기는, 메신저가 채수통 한쪽의 타격판에 충격을 주기 위해 한쪽에 로프로 연결되기 때문에 채수통이 기울어져 있어서 개폐가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각 마개에 연결된 탄성와이어의 힘 때문에 개방와이어를 걸쇠에 걸기 어려운 것은 물론, 개방와이어가 걸쇠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개의 밀폐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재차 채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렇게 매번 채수작업을 할 때마다 완전한 채수를 위하여 채수기를 들어올렸다가 다시 집어넣어야 하므로, 채수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탄성와이어를 사용하므로, 일정 이상의 힘을 가지고 구속을 해제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채수기가 기울기어지는 등 제한요소가 있었다. 또한 유속이 빠른 장소에서는 물의 흐름에 의해 기울기가 더 기울어져 채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채수작업이 번거롭고, 여러번의 채수작업을 반복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채수작업에 의해 채수된 시료는 채수기에 달린 콕을 사용하거나, 양쪽 마개를 열어 채수기에서 시료병에 직접 부어 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전자는 채수를 담는데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고, 후자는 시료를 담는 과정에 버려지는 채수의 양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의 밀폐가 보장되고 직립으로 설치되는 채수기를 개발함으로써, 채수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채수완료후 채수를 시료병에 간편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채수기는,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갖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의 연부를 따라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의 연부와 접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도체 또는 자석이 장착된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를 갖는 채수통; 상기 채수통의 외측 일부를 감싸서 상기 채수통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외부로부터 연장된 로프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의 폐쇄시키기 위한 타격을 가하는 메신저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메신저의 타격에 의해 상기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가 폐쇄되도록 하는 작동유닛을 갖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의 폐쇄시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의 연부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면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 되는 타격판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면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타격판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타격판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타격판의 하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일측으로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긴 지지공이 형성된 작동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공은 일정 폭 이상의 상부영역과 상기 상부영역보다 좁은 폭의 하부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는 연결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개방시 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개폐장치를 향해 상향 연장되며, 상기 연결와이어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공의 하부영역에 걸림결합되고 상기 메신저의 타격에 의해 상기 작동간이 하향 이동하면 상기 고정판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상기 지지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걸림봉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내에 수용된 시료를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상부에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하부개구의 연부에 결합되며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결합링을 포함하는 집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채수기는, 채수통을 직립으로 마련하고, 상부마개와 하부마개의 개방을 위한 개폐장치의 구조 및 작동이 간단하며,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채수통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채수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채수작업의 반복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탄성와이어 를 사용하지 아니함에 따라,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의 폐쇄시 외부 충격이 종래에 비해 적어 이로 인한 채수통의 파손 우려가 없다. 또한 채수된 시료를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연 상태에서 집수부재를 이용하여 시료병에 담기 때문에, 종래에 진공 상태에서 콕을 열어 시료를 담거나 상부마개 또는 하부마개를 열어 시료병에 붓는 것에 비하여 힘과 시간이 절약되고 흘리는 양이 적어 정확하고 신속하게 시료를 시료병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유속이 빠른 악조건의 환경에서도 한번에 채수가 가능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채수통의 사시도이다.
본 채수기(1)는, 채수통(10), 지지 프레임(30), 개폐장치(50,70)를 포함한다.
채수통(10)은, 아크릴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하가 개방된 통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1)를 포함하며, 본체(1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연부에는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폭만큼 돌출한 걸림턱(23,25)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턱(23,25)에는 자석 또는 철판 등의 도체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에는 각각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일측이 각각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연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연부에는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걸림턱(23,25)에 대응되도록 자석 또는 철판 등의 도체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걸림턱(23,25)에 자석이 장착된 경우,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연부에는 도체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걸림턱(23,25)에 도체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연부에 자석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 양측에 모두 자석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걸림턱(23,25)을 향한 면에는 각각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걸림턱(23,25) 연부에 삽입되는 돌출리브(18)가 둘레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는 모두 걸림턱(23,25)에 대해 상향 회동가능하 도록 본체(11)에 장착되며, 힌지에는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를 하향 가압하는 도시않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각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를 폐쇄할 때, 스프링에 의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각각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를 향해 가압되고 자석에 의해 각각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를 기밀하게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부마개(13)의 하부면에는 힌지에 대향되는 영역에 걸림고리(14)가 하향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하부마개(15)의 상부면 중 힌지에 대향되는 영역에는 걸림고리(16)가 상향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 걸림고리(14,16)는 연결와이어(1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마개(13)의 상부면에는 개폐장치(50,70)까지 연장된 작동와이어(19)가 결합되어 있으며, 작동와이어(19)의 자유단부에는 후술할 작동간의 지지공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봉(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채수통(10)의 외측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30)은, 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채수통(10)의 외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충분히 큰 사이즈로 제작되고, 지지 프레임(30)과 채수통(10)은 복수의 연결바아(3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를 회동시켜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를 폐쇄하도록 하는 개폐장치(50,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계폐장치의 상부개구 및 하부개구 개방시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개폐장치의 상부개구 및 하부개구 폐쇄시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개폐장치(50,70)는, 지지 프레임(30)의 상부에 외부로부터 연장된 로프(71)에 장착되어 상부마개(13) 및 하부마개(15)를 폐쇄시키는 메신저(70)와, 메신저(70)에 의해 상부마개(13)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작동유닛(50)을 포함한다. 로프는 작동유닛(50)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30)에 고정되며, 로프(71)에는 외부로부터의 작동에 따라 하강하여 작동유닛(50)을 타격하도록 중량의 메신저(70)가 장착되어 있다.
작동유닛(50)은, 타격판(51), 고정판(53), 스프링(55), 작동간(60)을 포함한다.
타격판(51)은, 지지 프레임(30)의 상부면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타격판(51)의 일측에는 로프가 관통하는 로프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를 폐쇄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메신저(70)는 타격판(51)을 가격하게 된다.
타격판(51)과 지지 프레임(30) 사이에는 일단은 타격판(51)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 프레임(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프링(55)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판(53)은, 지지 프레임(30)의 하부면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지지 프레임(3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타격판(51)의 하부에는 작동간(60)이 타격판(5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된다. 작동간(60)은 지지 프레임(30)과 고정판(53)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작동간(60)의 관통을 위해, 지지 프레임(30)과 고정판(53)에는 각각 관통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간(60)의 중앙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지지공(6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공(61)은 작동와이어(19)의 걸림봉(21)보다 소정 넓은 폭을 갖는 상부영역과, 걸림봉(21)보다 소정 좁은 폭을 갖는 하부영역으로 형성된다.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개방상태일 경우, 작동와이어(19)의 걸림봉(21)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간(60)의 지지공(61)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메신저(70)에 의해 타격판(51)이 가격되면 작동간(60)이 하향 이동하고, 지지공(61)에 걸림결합된 걸림봉(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53)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지지공(61)의 상부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지지공(61)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런 다음, 작동간(60)이 스프링(55)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향 이동하여 복귀하게 된다.
한편, 채수기(1)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한 다음 채수기(1)로부터 시료병으로 시료를 옮길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집수부재(80)를 사용한다. 집수부재(80)는, 채수통(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채수통(10)내에 수용된 시료를 안내하는 안내관(81)과, 안내관(81)의 상부에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채수통(10) 하부개구(24)의 연부에 결합되는 결합링(83)과, 안내관(81)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안내관(81)의 개도를 조절하는 콕(85)을 포함한다. 안내관(81)은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랙서블한 경질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결합링(83)은 안내관(8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 되어 있다. 결합링(83)은 채수통(10)의 하부 걸림턱(23,25)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링(83)의 내측 연부에는 걸림턱(23,25)의 내측 연부에 삽입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채수기(1)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와이어(19)를 잡아당겨 걸림봉(21)을 지지공(61)의 상부영역을 통과시켜 하향 가압하여 걸림봉(21)이 하부영역에 걸림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작동와이어(19)와 연결와이어(17)에 의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상향 회동하여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채수기(1)를 수질검사 대상에 입수시킨다. 이때, 수압에 의해 채수통(10) 내로 시료인 물이 유입되고,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는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채수통(10)을 통과하여 순환한다. 즉,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상향으로 힘을 받아도 채수통(10)이 폐쇄될 염려가 없다.
시료채취를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를 폐쇄하며, 이때, 사용자의 외부동작에 의해 메신저(70)가 하강하면서 타격판(51)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타격판(51)은 하향 이동하게 된다. 타격판(51)이 하향 이동하면, 작동간(60)이 일체로 하향 이동하여 작동간(60)의 하부영역이 고정판(53)을 통과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고정판(53)에 의해 지지공(61)의 하부영역에 걸림결합되었던 걸림봉(21)이 상향 가압되어 지지공(61)의 상부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지지공(6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작동와이어(19)가 고정해제되면서 상부마 개(13)와 하부마개(15)가 중력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연부,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걸림턱(23,25)에 장착된 자석과 도체에 의해, 상부마개(13)는 상부개구(22)의 걸림턱(23)에 밀착되고 하부마개(15)는 하부개구(24)의 걸림턱(25)에 밀착된다. 또한,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힌지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밀착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시료가 수용되고 밀폐되면, 채수기(1)를 수질검사 대상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며, 채수기(1)를 들어올리는 동안, 수압에 의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힘을 받게 되며, 따라서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열릴 염려가 없다.
그런 다음, 채수통(10)에 수용된 시료를 시료통으로 옮기기 위해, 채수통(10)의 하부에 집수부재(80)를 장착시키고, 작동와이어(19)를 잡아당겨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를 개방시킨 다음, 집수부재(80)의 콕(85)을 열어 시료병에 시료를 담는다. 이에 따라, 채수통(10)에 수용된 시료를 흘리지 않고 시료병에 간편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채수기(1)는, 채수통(10)이 직립한 상태에서 수중에 입수되고,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상향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수시에는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수압이 작용하고, 수질검사 대상으로부터 나올 때는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수압이 작용한다. 또한,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를 폐쇄할 때, 채수통(10)의 중심선 상에서 메신저(70)가 하강하여 타격판(51)에 충격을 가하고, 이에 연동하여 타격판(51)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걸림봉(21)이 지지공(61)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하여 채수통(10) 상하를 밀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연부,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의 걸림턱(23,25)에는 자석 및/또는 도체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에 의해 상부개구(22)와 하부개구(24)가 기밀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의 위치 고정을 위해 복잡하거나 과도한 힘을 갖는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부마개(13)와 하부마개(15)가 열릴 염려가 없으므로, 구성을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집수부재(80)를 이용함으로써, 시료를 흘리지 않고 시료통에 간편하게 옮겨 담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채수통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계폐장치의 상부개구 및 하부개구 개방시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개폐장치의 상부개구 및 하부개구 폐쇄시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6은 집수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채수기 10 : 채수통
13 : 상부마개 15 : 하부마개
22 : 상부개구 23 : 걸림턱
24 : 하부개구 25 : 걸림턱
30 : 지지 프레임 50 : 작동유닛
51 : 타격판 53 : 고정판
55 : 스프링 60 : 작동간
70 : 메신저 80 : 집수부재
81 : 안내관 83 : 결합링
85 : 콕

Claims (5)

  1.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가지며, 그의 연부를 따라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통상의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개폐하고 그 연부를 따라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상부 마개와 하부 마개를 갖는 채수통,
    상기 채수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연장된 로프에 장착되어 있는 메신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를 폐쇄시키기 위한 작동유닛을 갖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면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타격판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면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타격판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타격판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타격판의 하부에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일측에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긴 지지공이 형성된 작동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공은 일정 폭 이상의 상부영역과 상기 상부영역보다 좁은 폭의 하부영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의 폐쇄시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의 연부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는 연결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개방시 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개폐장치를 향해 상향 연장되며, 상기 연결와이어의 자유단부에 상기 지지공의 하부영역에 걸림결합되고 상기 메신저의 타격에 의해 상기 작동간이 하향 이동하면 상기 고정판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상기 지지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걸림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내에 수용된 시료를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상부에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하부개구의 연부에 결합되며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결합링을 포함하는 집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KR1020080050392A 2008-05-29 2008-05-29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KR10101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92A KR101017112B1 (ko) 2008-05-29 2008-05-29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92A KR101017112B1 (ko) 2008-05-29 2008-05-29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278A KR20090124278A (ko) 2009-12-03
KR101017112B1 true KR101017112B1 (ko) 2011-02-25

Family

ID=4168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392A KR101017112B1 (ko) 2008-05-29 2008-05-29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1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3436A (zh) * 2015-12-11 2016-03-16 苏州国环环境检测有限公司 便携式水质取样装置
CN105403430A (zh) * 2015-12-11 2016-03-16 苏州国环环境检测有限公司 一种水质取样器
KR102430945B1 (ko) * 2021-11-29 2022-08-10 대한민국 양방향에 개폐부가 구비된 채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6695A (zh) * 2012-06-21 2012-10-03 苏州国环环境检测有限公司 水质取样装置
CN103808526B (zh) * 2012-11-13 2015-12-30 上海勘测设计研究院 沉积物采样器
CN104764628A (zh) * 2015-03-21 2015-07-08 云升军 一种水样采样器
KR101753326B1 (ko) 2017-04-18 2017-07-05 주식회사 지오에너지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CN107826443B (zh) * 2017-09-30 2024-06-07 青岛海研电子有限公司 瓶盖自动闭合系统
CN107907378A (zh) * 2017-12-28 2018-04-13 上海北裕分析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采水器
KR20190086882A (ko) 2018-01-15 2019-07-24 이휘승 레이저 커팅을 이용한 비망사 스크린 입체 인쇄판 제조방법
CN108318289A (zh) * 2018-03-16 2018-07-24 中交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水下淤泥取样器及取样方法
CN109596393B (zh) * 2018-12-04 2021-12-03 东营市和瑞化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石油炼制的预先取样装置
CN114544245B (zh) * 2022-01-26 2023-12-01 河海大学 一种海洋滩涂环境采样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597A (ja) 2001-03-22 2002-10-03 Nichiyu Giken Kogyo Co Ltd 水中着底検知トリガー
JP2006133206A (ja) 2004-11-05 2006-05-25 K Engineering Kk 採水器用閉蓋装置
KR100666533B1 (ko) 2003-11-19 2007-01-09 (주)에코션 수중 자동채수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597A (ja) 2001-03-22 2002-10-03 Nichiyu Giken Kogyo Co Ltd 水中着底検知トリガー
KR100666533B1 (ko) 2003-11-19 2007-01-09 (주)에코션 수중 자동채수 컨베이어 시스템
JP2006133206A (ja) 2004-11-05 2006-05-25 K Engineering Kk 採水器用閉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3436A (zh) * 2015-12-11 2016-03-16 苏州国环环境检测有限公司 便携式水质取样装置
CN105403430A (zh) * 2015-12-11 2016-03-16 苏州国环环境检测有限公司 一种水质取样器
KR102430945B1 (ko) * 2021-11-29 2022-08-10 대한민국 양방향에 개폐부가 구비된 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278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112B1 (ko)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KR102069007B1 (ko) 수심 측정 기능이 구비된 채수기
CN210322458U (zh) 一种用于水质检测评价的取样系统
KR101924148B1 (ko)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CN103411791B (zh) 一种人工夯击辅助重力式柱状沉积物采集器
CN104880336B (zh) 底层水分层采水装置
CN110186716B (zh) 一种高保真定深水样采集装置
KR20100068943A (ko)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
CN104677676B (zh) 一种采水器
KR200261997Y1 (ko) 채수기
US4336709A (en) Retrieval of articles from beneath the surface of a body of water
JP3181598U (ja) 底部採水器
JP4074865B2 (ja) 試料採取装置及び試料採取方法
CN111257047B (zh) 一种环境监测水样采集存放装置及方法
CN214096746U (zh) 一种环境监测用水样取样器
CN107462445B (zh) 一种滑动水样采集器及采集方法
CN209640030U (zh) 一种水质石油类采样装置
KR102511915B1 (ko) 지하수 시료 채취기
CN212539768U (zh) 适用于山区河流的手持自沉式悬移质采样器
CN212932062U (zh) 一种防虹吸cip末端排放取样装置
CN213239565U (zh) 一种水体取样装置
CN211554012U (zh) 一种毛发中吗啡快速检测试剂盒
CN209727519U (zh) 一种定深度采样器
CN210180727U (zh) 一种环境监测用水质采样器
CN112763267A (zh) 一种水文与水资源工程用的水质取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