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326B1 -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326B1
KR101753326B1 KR1020170049966A KR20170049966A KR101753326B1 KR 101753326 B1 KR101753326 B1 KR 101753326B1 KR 1020170049966 A KR1020170049966 A KR 1020170049966A KR 20170049966 A KR20170049966 A KR 20170049966A KR 101753326 B1 KR101753326 B1 KR 101753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riving
control rod
hous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선
명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에너지
Priority to KR102017004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326B1/ko
Priority to JP2020507969A priority patent/JP2020517971A/ja
Priority to CN201880032252.9A priority patent/CN110945339A/zh
Priority to EP18787807.9A priority patent/EP3614120A4/en
Priority to PCT/KR2018/004427 priority patent/WO2018194341A1/ko
Priority to US16/657,138 priority patent/US111752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0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mechanical means
    • G01D5/0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mechanical means acting through a wall or enclosure, e.g. by bellows, by magnetic cou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95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for supplying the samples to flow-through analysers
    • G01N35/1097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for supplying the samples to flow-through analysers characterised by the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자동채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채수기는, 해수 또는 담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수중에 잠기고, 유입구 및 채취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캡과, 본체 일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봉과, 일단이 개폐캡 쪽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어봉 일측에 걸리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고, 제어봉에 의한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개폐캡에 의한 유입구의 폐쇄가 이루어지는 채수기에 있어서,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자석;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구동자석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본체 또는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수심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제1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고, 구동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피동자석을 포함하고,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구동유닛이 작동하고,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구동자석이 피동자석 쪽으로 접근하며, 피동자석의 이동에 따라 제어봉에 의한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센서를 통하여 인지된 정확한 수심에서 자동 채수됨으로서 기존 해류나 유속 등의 간섭 및 수심별 수동 채수로 인한 부정확성을 개선하여 시료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채집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채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CONTROL APPARATUS AND AUTOMATIC WATER SAMPL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 또는 담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수중에 잠기고, 제어봉이 이동하면서 개폐캡이 본체를 밀폐하고 이에 따라 채수가 이루어지며, 특히 원하는 수심에서 채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채수기는 해수 또는 담수를 채취하기 위한 장비로서 수질 분석이나 미생물 또는 소형 플랑크톤의 채집을 위하여 사용되는 핵심장비이다.
기존의 채수기들은 와이어 및 로프에 연결되어 예정수심의 수중으로 내려진 후 전기적이나 기계적인 충격에 의하여 수심에서 닫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며,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채수기로는, 난센채수기(Nansen bottle)나 니스킨(Niskin) 채수기 등이 있다.
특히 니스킨 채수기는, 여러개의 채수기를 설치하여 동시에 수심별 채수가 가능하고, 채수기의 안쪽에는 금속재질로 되어 있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수질 조사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니스킨 채수기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나며, 도 1a에는 수심에 내려지는 로프와 채수기 연결부위가 빨간색 원으로 표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채수기를 작동시키는 메신저 부분이 빨간색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만, 도 1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프와 채수기 연결부위가 볼트형식으로 되어 있어 사용할 때 풀릴 위험이 있고, 도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신저가 닫는 부위로서 조류가 빠른 곳에서는 로프와 간격이 벌어져 채수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금속재질을 사용하지 않은 제품으로 몸체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부분과 로프연결 부위가 약해 조그만 충격에도 잘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심별로 시료를 채집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심에서 시료가 채취되는 것이 정밀한 분석을 위해 매우 중요하고, 기존의 채수기로 필요한 수심에서 채수를 하기 위해서는 채수기가 내려진 수심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해류 등으로 인해 채수기가 내려진 정확한 수심파악이 곤란하다.
정밀한 측정을 위한 수심과 온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CTD와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일일이 수동으로 채수기를 작동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기존의 채수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심인지 채수 제어장치와 이를 채용한 채수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7808호(등록일: 2010.05.06)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0182호(공개일: 2009.07.01)
본 발명의 목적은, 채수가 필요한 정확한 수심에서 채수가 이루어지고, 로프를 통한 별도의 메신저의 이동이 없더라도 채수를 위한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해수 또는 담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수중에 잠기고, 유입구 및 채취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캡과, 상기 본체 일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봉과, 일단이 상기 개폐캡 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봉 일측에 걸리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봉에 의한 상기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개폐캡에 의한 상기 유입구의 폐쇄가 이루어지는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자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수심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피동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이 작동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자석이 상기 피동자석 쪽으로 접근하며, 상기 피동자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봉에 의한 상기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는,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고,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제어봉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제어봉에 의한 상기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어봉을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일단이 상기 피동자석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봉에 의하여 상기 제1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고정브라켓 및 제어봉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을 포함하고, 상기 피동자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와 상기 제어봉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1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제어봉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브라켓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봉에는 제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봉에 의하여 상기 제1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브라켓구멍 및 제어구멍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와이어가 상기 고정브라켓 및 제어봉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는, 상기 피동자석이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동자석이 상기 구동자석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피동자석을 탄력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자석이 상기 피동자석 쪽으로 최대한 접근시, 상기 구동자석과 상기 피동자석 간에 작용하는 인력은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한 탄성력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는,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피동자석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탄성체와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피동자석이 상기 구동자석에서 가까워지는 쪽으로 상기 피동자석을 탄력지지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압력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전지; 상기 구동전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기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선형이동하고, 단부에 상기 구동자석이 고정결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압력센서가 나사결합되는 관통구멍이 중앙에 형성되는 센서캡; 상기 제1 하우징과 센서캡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압력센서, 구동전지, 제어기판 및 구동모터를 연속되게 정렬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랙기어가 유격없이 선형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내부고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자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제1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관통구멍이 중앙에 형성되는 센서캡; 상기 관통구멍상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고, 수심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피동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이 작동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자석이 상기 피동자석 쪽으로 접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센서를 통하여 인지된 정확한 수심에서 자동 채수됨으로서 기존 해류나 유속 등의 간섭 및 수심별 수동 채수로 인한 부정확성을 개선하여 시료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채집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채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니스킨 채수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채수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100)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채수기(1)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앞쪽'과 '뒤쪽'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 및 채수기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 및 채수기의 실제 사용시에 '앞쪽'은 해저면 쪽일 수 있고, 또는 해수면 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자동채수기(1)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장치이며, 자동채수기(1)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및 동작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1)(이하, '자동채수기(1)')는 해수 또는 담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수중에 잠기는 장치이며, 본체(200), 개폐캡(300), 제어봉(400), 제1 와이어(500) 및 제어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구동자석(120), 구동유닛(130), 압력센서(150), 피동자석(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동채수기(1)는 고정브라켓(600), 제1 탄성체(700), 제2 와이어(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어장치(100)는 제2 하우징(170), 제2 탄성체(171), 센서캡(140), 오링(142) 및 내부고정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제3 탄성체(17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2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본체(200)에는 유입구(210) 및 채취공간(220)이 구비되며, 유입구(210)는 채취의 대상이 되는 해수 또는 담수가 유입되는 입구이고, 채취공간(220)은 유입된 채취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유입구(210)는, 본체(200)의 어느 한쪽(앞쪽 또는 뒤쪽)에만 형성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본체(200)의 양쪽(앞쪽 및 뒤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캡(300)은 본체(200)의 유입구(210)를 개폐하며, 이에 따라 본체(200)의 채취공간(220)이 외부와 연통되거나 또는 단절되도록 한다. 도 2, 도 4 및 도 5에는 하나의 개폐캡(300)만 구비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200)의 유입구(210)가 양쪽(앞쪽 및 뒤쪽)에 형성되는 경우 개폐캡(300) 또한 2개로 구비되어 본체(200)의 양쪽(앞쪽 및 뒤쪽) 모두에 결합되게 됨은 물론이며, 이는 채수기의 일반적인 형태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1)가 채수를 위하여 수중에 투입되는 경우 개폐캡(300)은 본체(200)의 유입구(210)를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200)에 결합되고, 채수가 필요한 지점에서는 개폐캡(300)이 유입구(210)를 밀폐하게 된다.
개폐캡(300)은 힌지회동하면서 본체(200)의 유입구(210)를 개폐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별도의 힌지장치가 구비(개폐캡(300)과 본체(200) 사이에 힌지장치가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힌지장치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별도의 힌지장치가 없는 경우, 개폐캡(300)은 별도의 탄성밴드(고무밴드)에 의하여 본체(200)의 채취공간(220) 쪽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개폐캡(300)이 본체(20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어봉(400)은 본체(200) 일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여기서 제어봉(400)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브라켓(600)이 구비된다.
고정브라켓(600)은 본체(20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제어봉(400)은 고정브라켓(60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브라켓(600)과 결합되게 된다.
제어봉(400)은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긴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봉(40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410)가 형성된다. 걸림고리(410)는 제어봉(40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이러한 걸림고리(410) 상에 후술할 제1 와이어(500)가 걸리게 된다.
걸림고리(410) 또한 고정브라켓(600)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는데, 걸림고리(410)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고정브라켓(600)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1 와이어(500)는 걸림고리(410)에 걸리게 되고(도 4 참조, 이때 제1 와이어(500)의 단부는 걸림고리(410) 및 고정브라켓(600)에 의해 구속되어 이탈이 저지됨), 걸림고리(410)가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고리(410)에 의한 제1 와이어(500)의 걸림이 해제되게 된다.
제1 탄성체(700)는 제어봉(400)에 의한(걸림고리(410)에 의한) 제1 와이어(500)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제어봉(400)을 탄력지지하며,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제1 탄성체(700)는 제어봉(400)이 앞쪽으로 가압되도록 제어봉(400)을 탄력지지한다.
이러한 제1 탄성체(70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봉(400)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며 제어봉(4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와이어(500)는 긴 로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한쪽이 개폐캡(300) 쪽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고리형태를 이루면서 제어봉(400), 특히 걸림고리(410)에 걸리게 된다.
제1 와이어(500)의 양쪽 단부가 개폐캡(300) 및 걸림고리(41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와이어(500)는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아울러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캡(300)은 유입구(21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봉(400)이 이동(앞쪽으로 이동)하면 걸림고리(410)가 함께 이동하면서 걸림고리(410)에 의한 제1 와이어(500)의 걸림이 해제되고, 아울러 개폐캡(300)에 의한 유입구(210)의 밀폐가 이루어진다.(도 5 참조)
제어장치(100)는 본체(20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결합되며, 제어봉(400)에 의한 제1 와이어(500)의 걸림이 해제되는 동작(개폐캡(300)의 의한 유입구(210)의 폐쇄가 이루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제어장치(100)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110)은 제어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본체(200)의 외주면에 직접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을 매개로 하여 본체(20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구비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110)은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사각형관을 포함한 다각형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수중에서 강한 수압 또는 외력의 작용시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만,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의 작용하는 자기력에는 영향이 없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10)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채수기(1)에서 제1 하우징(110)은 일측(앞쪽)은 개구되고 타측(뒤쪽)은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0)에는 센서캡(14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센서캡(140)은 제1 하우징(110)의 개구(앞쪽) 상에 결합되면, 특히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0)과 센서캡(14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오링(142)이 개재될 수 있으며, 센서캡(140)이 결합시 기밀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캡(14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141)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구멍(141) 상에 압력센서(150)가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150)는, 수압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통상의 압력센서(pressure senso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켈러(Keller)사의 PA-21SC 제품을 채용하여 실시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 및 자동채수기(1)는 수심의 측정을 위하여 압력센서(150)를 채택하고 있으며, 실제 제어장치(100) 및 자동채수기(1)가 위치하는 지점의 정확한 수심을 확인할 수 있고, 자동채수기(1)를 매단 로프가 해류 등으로 휘어지는 경우에도 정확한 수심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압력센서(150)는 관통구멍(141)에 결합되면서, 압력센서(150)의 일측 단면이 수중에 노출되며, 압력센서(150)의 대부분은 제1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 상에 위치하게 된다.
구동자석(120)은 수용공간(111) 내부에 구비되어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유닛(130)은 수용공간(111)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자석(120)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유닛(130)은, 구동전지(131), 구동모터(132), 제어기판(133), 구동기어(134) 및 랙기어(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전지(131)는 압력센서(1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며, 리튬이온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132)는 통상의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전지(131)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은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고 단부가 뒤쪽을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기판(133)은 구동전지(131)와 구동모터(132) 사이에 위치하며, 압력센서(150)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32)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이를 위하여 제어기판(133) 상에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 저장장치, 신호변환기 등의 소자가 결합될 수 있다.
제어기판(133)은 2개 이상의 부분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판(133)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모서리 단부에 소정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 상에, 압력센서(150), 구동전지(131) 및 구동모터(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놓일 수 있다.
구동기어(134)는 상기 구동모터(132)의 구동축 단부 상에 결합된다.
랙기어(135)는 구동기어(134)와 직간접적으로 치합되어 선형이동하며, 특히 전후방향으로 선형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랙기어(135)의 후단부에는 구동자석(120)이 고정결합된다.
내부고정틀(180)은 제1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되며, 압력센서(150), 구동전지(131), 제어기판(133) 및 구동모터(132)를 연속되게 정렬되도록 지지하고, 또한 랙기어(135)가 유격없이 선형이동하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내부고정틀(180)은 전방틀(181), 후방틀(182), 중앙틀(183) 및 연결봉(1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틀(181)과 후방틀(182)은 납작한 판 또는 원형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앞쪽과 뒤쪽에 각각 위치한다. 전방틀(181)의 앞쪽면에는 구동전지(131)의 후단이 꼭 맞게 안착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전방틀(181)의 중앙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구동전지(131)가 꼭 맞게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방틀(181)에는 구동전지(131)와 구동모터(132) 및 제어기판(133)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선 등이 배선될 수 있다.
후방틀(182)은 제1 하우징(110)의 뒤쪽 벽에 밀착결합되며, 제1 하우징(110) 상에서 후방틀(182)의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제1 하우징(110)의 뒤쪽 벽 내측면에는 후방틀(182)이 꼭 맞게 안착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틀(183)은 전방틀(181)과 후방틀(182)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틀(183)에는 랙기어(135)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즉, 랙기어(135)는 중앙틀(183)을 관통하는 형태로 중앙틀(183)과 결합되며, 중앙틀(183)과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중앙틀(183)을 상대로 한 랙기어(135)의 원활한 이동(전후방향 이동)을 위하여, 중앙틀(183)과 랙기어(135)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레일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전후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함)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184)은 전후방향으로 긴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연결봉(184)은 전방틀(181), 중앙틀(183) 및 후방틀(182)을 서로 연결한다.
전방틀(181), 중앙틀(183) 및 연결봉(184)이 결합되어 이루는 공간 내부에 제어기판(133), 구동모터(132)가 꼭 맞게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틀(182), 중앙틀(183) 및 연결봉(184)이 결합되어 이루는 공간 내부에 구동자석(120)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제어장치(100)의 체적을 최소화하면서 제어장치(10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강한 수압 및 외부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어장치(10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피동자석(160)은 제1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되고, 구동자석(120)과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1)에서,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중 어느 하나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영구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안정되고 강한 자기력의 발휘를 위하여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은 모두 통상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은 제1 하우징(110)의 벽(뒤쪽 벽)을 경계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특히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의 거리가 충분히 이격(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유닛(130)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자석(120)이 뒤쪽으로 이동하면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면서 피동자석(160)은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1)에서는, 이처럼 구동자석(120)의 이동에 의하여 피동자석(160)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피동자석(160)의 이동을 개폐캡(300)이 본체(200)의 유입구(210)를 밀폐하는 신호 또는 동작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도 2 내지 5를 통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자동채수기(1)에서는,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간에 척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개폐캡(300)이 본체(200)의 유입구(210)를 밀폐하는 신호 또는 동작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에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하우징(170)은 전체적으로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제2 하우징(170)은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사각형관을 포함한 다각형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170)은 제1 하우징(110)의 후단에 고정결합된다.
제2 하우징(170) 내부에서 피동자석(16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피동자석(16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동자석(160)의 외경은 제2 하우징(17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근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우징(170) 내부에는 제2 탄성체(171)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제3 탄성체(1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탄성체(171)는, 피동자석(160)이 구동자석(12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피동자석(160)을 탄력지지하며, 구체적으로 제2 탄성체(171)는 통상의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피동자석(160)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70) 내부에 피동자석(160)과 제2 탄성체(171)가 구비되는 경우(제3 탄성체(17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그리고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이 충분히 이격된 경우(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에 작용하는 인력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된 경우) 피동자석(160)은 제2 하우징(170)에서 가장 뒤쪽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자석(120)과의 인력에 의하여 피동자석(160)이 앞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피동자석(160)은 제2 탄성체(171)를 압축하게 되고 제2 탄성체(171)는 탄성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 및 자동채수기(1)에서, 구동자석(120)이 피동자석(160) 쪽으로 최대한 접근시,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에 작용하는 인력은 제2 탄성체(171)에 의한 탄성력보다 크며,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에 작용하는 인력과 압축되는 제2 탄성체(171)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를 때까지 제2 탄성체(171)는 압축되게 된다.
이처럼 제2 하우징(170) 내부에 제2 탄성체(171)가 구비됨으로써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70) 내부에서 피동자석(160)이 의도하지 않게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 탄성체(172)는 제2 하우징(170) 내부에 구비되되 피동자석(160)을 중심으로 제2 탄성체(171)와 반대쪽에 위치하고, 피동자석(160)이 구동자석(120)에서 가까워지는 쪽으로 피동자석(160)을 탄력지지한다.
제3 탄성체(172) 역시 통상의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이 충분히 이격된 경우(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에 작용하는 인력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된 경우), 제2 탄성체(171)와 제3 탄성체(172)에 의하여 피동자석(160)은 제2 하우징(170) 내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그리고 제3 탄성체(17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동자석(160)과 제어봉(400)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800)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돕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와이어(800)가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와이어(800)는 긴 로프 또는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한쪽이 피동자석(160) 쪽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브라켓(600) 및 제어봉(40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와이어(800)는 전체적으로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합성수지, 섬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고정브라켓(600) 및 제어봉(400)에 결합되는 부분(후술할 브라켓구멍(610) 및 제어구멍(420)에 삽입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1)에서, 제2 와이어(800)의 한쪽 단부가 피동자석(160) 쪽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고정브라켓(600) 및 제어봉(400) 쪽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와이어(800)는 느슨하지 않고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2 와이어(800)는 피동자석(160) 쪽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결합되지만, 고정브라켓(600) 및 제어봉(400) 쪽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와이어(800)와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브라켓(600)에는 브라켓구멍(610)이 형성되고, 제어봉(400)에는 제어구멍(420)이 형성된다.(도 4 참조)
브라켓구멍(610)과 제어구멍(420) 각각은 제2 와이어(80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브라켓구멍(610) 및 제어구멍(420)의 내경은 제2 와이어(800) 단부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봉(400)은 고정브라켓(600)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어봉(400)의 위치에 따라 브라켓구멍(610)과 제어구멍(420)은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채수기(1)에서는, 제어봉(400)이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이동하여 제1 탄성체(700)를 압축한 상태에서 브라켓구멍(610)과 제어구멍(420)은 서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특히 이때 브라켓구멍(610)과 제어구멍(420)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와이어(800)의 단부는 브라켓구멍(610)과 제어구멍(4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와이어(800)의 단부가 브라켓구멍(610)과 제어구멍(4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1 탄성체(7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어봉(400)은 앞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아울러 제2 와이어(800)의 단부는 브라켓구멍(610)과 제어구멍(420)에 걸림 상태가 유지되고 고정브라켓(600)을 상대로 한 제어봉(400)의 이동(앞쪽방향으로의 이동) 또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구동자석(120)이 뒤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동자석(120)과 피동자석(160) 간의 인력이 증가하여 피동자석(160)이 이동(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와이어(800)가 당겨지면서 제어구멍(420)(또는 제어구멍(420) 및 브라켓구멍(610))에 삽입된 제2 와이어(800)의 단부 부분이 인출되게 되고, 제어봉(400)은 제1 탄성체(700)에 의해 가압되면서 앞쪽으로 이동하며, 걸림고리(410)가 함께 이동하면서 걸림고리(410) 상에 걸린 제1 와이어(500)의 단부가 풀어지고, 아울러 개폐캡(300)에 의한 유입구(210)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100) 및 자동채수기(1)에 의하면, 압력센서(150)를 통하여 인지된 정확한 수심에서 자동 채수됨으로서 기존 해류나 유속 등의 간섭 및 수심별 수동 채수로 인한 부정확성을 개선하여 시료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채집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로프를 통한 별도의 메신저의 이동이 없더라도 채수를 위한 신호 및 동작을 정확히 발생시킬 수 있고, 아울러 원하는 지점에서의 정확한 채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동채수기 100 : 제어장치
110 : 제1 하우징 120 : 구동자석
130 : 구동유닛 131 : 구동전지
132 : 구동모터 133 : 제어기판
134 : 구동기어 135 : 랙기어
140 : 센서캡 141 : 관통구멍
142 : 오링 150 : 압력센서
160 : 피동자석 170 : 제2 하우징
171 : 제2 탄성체 172 : 제3 탄성체
180 : 내부고정틀 181 : 전방틀
182 : 후방틀 183 : 중앙틀
184 : 연결봉 200 : 본체
210 : 유입구 220 : 채취공간
300 : 개폐캡 400 : 제어봉
410 : 걸림고리 420 : 제어구멍
500 : 제1 와이어 600 : 고정브라켓
610 : 브라켓구멍 700 : 제1 탄성체
800 : 제2 와이어

Claims (8)

  1. 해수 또는 담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수중에 잠기고, 유입구 및 채취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캡과, 상기 본체 일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봉과, 일단이 상기 개폐캡 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봉 일측에 걸리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봉에 의한 상기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개폐캡에 의한 상기 유입구의 폐쇄가 이루어지는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자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수심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피동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이 작동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자석이 상기 피동자석 쪽으로 접근하며, 상기 피동자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봉에 의한 상기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고,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제어봉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제어봉에 의한 상기 제1 와이어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어봉을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일단이 상기 피동자석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봉에 의하여 상기 제1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고정브라켓 및 제어봉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을 포함하고,
    상기 피동자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와 상기 제어봉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1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제어봉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브라켓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봉에는 제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봉에 의하여 상기 제1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브라켓구멍 및 제어구멍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와이어가 상기 고정브라켓 및 제어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자석이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동자석이 상기 구동자석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상기 피동자석을 탄력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자석이 상기 피동자석 쪽으로 최대한 접근시, 상기 구동자석과 상기 피동자석 간에 작용하는 인력은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한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피동자석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탄성체와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피동자석이 상기 구동자석에서 가까워지는 쪽으로 상기 피동자석을 탄력지지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압력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전지;
    상기 구동전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기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선형이동하고, 단부에 상기 구동자석이 고정결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압력센서가 나사결합되는 관통구멍이 중앙에 형성되는 센서캡;
    상기 제1 하우징과 센서캡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압력센서, 구동전지, 제어기판 및 구동모터를 연속되게 정렬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랙기어가 유격없이 선형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내부고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
  8.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자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제1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관통구멍이 중앙에 형성되는 센서캡;
    상기 관통구멍상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고, 수심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피동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이 작동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자석이 상기 피동자석 쪽으로 접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KR1020170049966A 2017-04-18 2017-04-18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KR101753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66A KR101753326B1 (ko) 2017-04-18 2017-04-18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JP2020507969A JP2020517971A (ja) 2017-04-18 2018-04-17 制御装置及びこれを含む自動採水器
CN201880032252.9A CN110945339A (zh) 2017-04-18 2018-04-17 控制装置及包含其的自动水采样器
EP18787807.9A EP3614120A4 (en) 2017-04-18 2018-04-17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WITH IT
PCT/KR2018/004427 WO2018194341A1 (ko) 2017-04-18 2018-04-17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US16/657,138 US11175201B2 (en) 2017-04-18 2019-10-18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water sampler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66A KR101753326B1 (ko) 2017-04-18 2017-04-18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326B1 true KR101753326B1 (ko) 2017-07-05

Family

ID=5935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966A KR101753326B1 (ko) 2017-04-18 2017-04-18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75201B2 (ko)
EP (1) EP3614120A4 (ko)
JP (1) JP2020517971A (ko)
KR (1) KR101753326B1 (ko)
CN (1) CN110945339A (ko)
WO (1) WO201819434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7719A (zh) * 2018-01-15 2018-05-08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水质采样器
CN111855290A (zh) * 2020-07-08 2020-10-30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可定深采集水样的装置
KR102411548B1 (ko) * 2021-11-29 2022-06-22 이정원 자동 채수기
KR102623851B1 (ko) * 2022-12-21 2024-01-11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기어방식 지하수 채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9289S1 (en) * 2020-06-02 2022-04-19 Luxembour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ousing of an automatic water sampler apparatus
CN111855299A (zh) * 2020-08-24 2020-10-30 山东交通学院 一种远距离遥控的分布式多点水质取样装置
CN113092173B (zh) * 2021-04-13 2022-07-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长江水产研究所 一种水样采集装置及水样采集方法
CN114371033A (zh) * 2022-01-11 2022-04-19 福建师范大学 一种具备强可控性及高精度性的分层采水器装置
CN114593950B (zh) * 2022-03-17 2023-06-30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一种可同时在不同深度采样的水文地质用地下水采样器
CN115575182B (zh) * 2022-09-29 2023-08-15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水母型深海冷泉喷出流体取样器及取样方法
CN116929855B (zh) * 2023-09-18 2023-11-21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水质监测分层取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41B1 (ko) 2004-12-02 2006-03-31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9012A (en) 1967-07-17 1970-01-13 Shale J Niskin Water sampler device
US3537316A (en) * 1968-01-25 1970-11-03 Us Navy Underway water sampler
US3974795A (en) * 1975-06-18 1976-08-17 Facet Enterprises, Inc. Filter Products Division Differential pressure indicating device
US4347751A (en) 1981-01-14 1982-09-07 Niskin Shale J Electric water sampling device
CA1304239C (en) * 1987-09-25 1992-06-30 Dennis L. Richards Streamlined oceanographic sampling bottle
US4852413A (en) * 1988-08-17 1989-08-01 Niskin Shale Water sampler rosette
JP2505591B2 (ja) 1989-08-30 1996-06-12 富士通株式会社 光学記憶装置のレ―ザダイオ―ド駆動回路
US5341693A (en) * 1993-01-14 1994-08-30 Ocean Test Equipment, Inc. Double wall sampler
US5932527A (en) 1995-10-24 1999-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sanitizing methods, compositions, and/or articles for produce
KR100318969B1 (ko) * 1999-09-07 2001-12-29 임정규 채수기의 원격제어장치
KR200261997Y1 (ko) * 2001-09-28 2002-02-06 주식회사 한국플랑크톤연구소 채수기
CN2660483Y (zh) * 2003-12-10 2004-12-01 国家海洋技术中心 系缆式水下爬行器
JP2006133206A (ja) * 2004-11-05 2006-05-25 K Engineering Kk 採水器用閉蓋装置
KR20090070182A (ko) * 2007-12-27 2009-07-01 (주)월드이엔지 자석 메신저봉을 이용한 채수장치
KR101017112B1 (ko) * 2008-05-29 2011-02-25 한국전력공사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
US8994527B2 (en) * 2009-03-19 2015-03-31 Galen G. Verhulst Sea floor sampling device and method
CN204359564U (zh) * 2015-01-19 2015-05-27 赵玉龙 一种便携式定深采样器
CN204422257U (zh) 2015-02-15 2015-06-24 武汉海八德科技有限公司 一种全海深断电电磁式采水装置
CN104698933A (zh) * 2015-02-17 2015-06-10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单片机的采水器控制系统
CN204556307U (zh) * 2015-04-10 2015-08-12 武汉海八德科技有限公司 一种全海深纯电磁式采水装置
CN205665045U (zh) * 2016-06-01 2016-10-26 海南省海洋地质调查研究院 采水器
CN205981775U (zh) * 2016-08-24 2017-02-22 姜辉 水质监测取样装置
CN211383329U (zh) * 2016-10-14 2020-09-01 蒸汽热能公司 用于输送呼吸气体的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41B1 (ko) 2004-12-02 2006-03-31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7719A (zh) * 2018-01-15 2018-05-08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水质采样器
CN111855290A (zh) * 2020-07-08 2020-10-30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可定深采集水样的装置
CN111855290B (zh) * 2020-07-08 2024-05-10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可定深采集水样的装置
KR102411548B1 (ko) * 2021-11-29 2022-06-22 이정원 자동 채수기
KR102623851B1 (ko) * 2022-12-21 2024-01-11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기어방식 지하수 채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4120A4 (en) 2021-04-21
CN110945339A (zh) 2020-03-31
US20200116599A1 (en) 2020-04-16
WO2018194341A1 (ko) 2018-10-25
US11175201B2 (en) 2021-11-16
JP2020517971A (ja) 2020-06-18
EP3614120A1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326B1 (ko)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채수기
CN106895997B (zh) 基于水下电磁铁的电动采水器
KR102069007B1 (ko) 수심 측정 기능이 구비된 채수기
CN105181376B8 (zh) 一种水下运载器搭载深海沉积物取样器
CN105716897A (zh) 一种水利湖泊探测取样设备及其实施方法
CN111721916A (zh) 水分检测设备
KR101062284B1 (ko) 해수샘플러용 스터링장치
ES2886568T3 (es) Detección de superficies y manipulador de herramienta de recolección
CN110514471A (zh) 一种海洋工程地质检测用的电动取样器及其取样方法
CN116235807B (zh) 一种鱼类多样性保护的研究方法
KR100566541B1 (ko) 자동채수기
CN111239358A (zh) 水质检测装置
JP2006133206A (ja) 採水器用閉蓋装置
CN110411789A (zh) 一种水样的取样装置及使用方法
CN115598315A (zh) 一种基于鱼苗种的培育参考数据监测装置
KR102411548B1 (ko) 자동 채수기
CN207346064U (zh) 下潜式多功能海洋调查取样机器人
CN213957359U (zh) 一种无人机水质监测装置
CN112674802A (zh) 一种样本采集装置
CN219319861U (zh) 一种便携的多层水体取样装置
CN101140253A (zh) 适用于深海低温热液区的原位探测系统
CN210687185U (zh) 一种阀门及水质稳定检测工具
CN219194080U (zh) 采样结构及分析仪
CN213180128U (zh) 一种具有防生物附着功能的温盐深传感器
CN111912663A (zh) 一种定深水样采集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